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사회자본, 직장생활의 질, 조직시민행동 간 구조적영향관계 분석:재직기간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고명철 한국정책과학학회 202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8 No.1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태도를 중심으로 조직사회자본(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OSC)의 효과성에 대한 일반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선행연구를 확장해, 조직사회자본의 효과성이 재직기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조직사회자본의 하위변수인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OSC를 예측변수, 직장생활의 질(Quality of Work Life; QWL)을 매개변수, 그리고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의 하위 구성요인인 개인지향-조직시민행동(OCB directed of Individual; OCBI)과 조직지향-조직시민행동(OCB directed of Organization; OCBO)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구조모형을 제시하고,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 MGA)을 통해 재직기간에 따라 이들 변인 간 구조적 영향관계가 어떤 차이가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OSC의 모든 하위 구성요소가 OCBO의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구조적 OSC와 관계적 OSC는 OCBI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QWL은 관계적 OSC와 OCBO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반면, 인지적 OSC와 OCBO 간 관계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단기 재직자보다 장기 재직자 집단에서 인지적 OSC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직기간에 따른 조직사회자본의 효과성 차이를 제시하는 것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직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 함양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Quality of Work Lif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ffer by organizational tenure. Using a multi-group path model analysis, the hypothesized model was individually tested by organizational tenure,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ere compared. Data obtained from public employees in South Korea provided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enure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 cognitive OSC had a greater impact on bo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rected of individual (OCBI)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rected of organization (OCBO) in the group with long organizational tenure, rather than a group with short tenure. Based on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presented.

      • KCI등재

        친숙성에 따른 관광지 매력성에 대한 구인동등성검증과 잠재평균분석

        최정자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내국인 관광객이 지각한 중국관광지 매력성이 전반적 만족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친숙성에 따른 고 친숙도 집단과 저 친숙도 집단간 관광지 매력성 잠재변수의 평균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잠재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재변인간 관계에서 관광지 매력성 요소의 매력물이 전반적 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다음은 편의성과 서비스 순으로 모두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친숙성에 따른 고 친숙도 집단과 저 친숙도 집단간 관광지 매력성요소(매력물, 편의성, 서비스)의 잠재평균분석을 살펴본 결과, 고 친숙도 집단이 저 친숙도 집단보다 관광지의 편의성과 서비스 요인을 높게 평가했으나 관광지의 매력물요인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저 친숙도 집단이 고 친숙도 집단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친숙성이 증가하면 관광객의 전문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관광지에 대한 친숙성이 높다고 관광지 평가가 반드시 긍정적인 것은 아니며, 관광지에서 제공하는 품질이 고 친숙도 관광객의 기대에 못 미치면 관광지 평가가 부정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내국인의 중국 관광 만족도 제고에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struct equivalence and latent means of destination attractiveness elements between tourists occupying a higher level of destination familiarity and those with a lower level of destination familiarity. Multi-Group Analysis(MGA)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first performed to test configural, metric, and scalar invariances between the two groups. Latent Mean Analysis(LMA) is conducted to capture the mean differences of attractiveness variables after the three invariance tests between the two groups are obtained. In addition,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attractiveness elements and tourist satisfaction is determined and reported.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destination attractiveness elements(attraction, convenience, service) and tourist satisfaction and show that tourists with a greater level of familiarity have significantly higher latent mean values of convenience and service factors than those who have lesser familiarity except for the mean value of the attraction factor.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enrich theoretical development on destination attractiveness offering important implication for tourist destination mark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