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시의 ‘미장아빔mise en abyme’ 연구

        이기주(Lee Ki-ju)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미장아빔은 20세기 예술의 특징을 설명해주는 미학적 원리 중 하나로 기능한다. 특히 문학적 주체가 스스로를 의식하고 텍스트 내부 세계를 반영하고자 하는 자기반영성(self-reflexibility)의 문학과 미장아빔은 큰 연관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현대시의 연구방법론으로서 미장아빔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근대체험을 통한 근대적 주체로서의 독자성과 내면의식은 시의미적 형식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내면"과 이에 따른 "형식"의 문제는 우리 현대 시단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문제이다. "내면"의 문제를 연구하기위해서는 이에 따른 미학적 원리를 파악해야 한다. 현대시의 미학적 동향은 외부에서부터 주체내부의 문제를 드러내는 것으로 점차 응축되고 있으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에 알맞는 형식적 미학인 미장아빔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거울’로서의 미장아빔과 허천의 패러디 이론, 데리다의 ‘파레르곤’ 개념을 미장아빔과 연결시켜 이를 현대시의 연구방법론으로 적용하여 보았다. ‘거울’로서의 미장아빔은 자기분열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패러디’로서의 미장아빔은 상호텍스트성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인식의 갱신을 가능케하는 역할로 작용한다. 또한 ‘패러디’의 특성상 자기반영적이고 비평적인 메타시와 연결된다. ‘파레르곤’으로서의 미장아빔은 1990년대 이후 현대시의 해체적인 측면을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미장아빔을 활용한 분석의 틀을 통해 현대시와 미학의 연결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Mise en abyme functions as one of the aesthetic principles that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20th century art. In particular, the literature of self-reflection and Mise en abyme, in which the literary subject is self-conscious and wants to reflect the world inside the text, are largely related.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ise en abyme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modern poetry. The independence and inner consciousness of modern subject through modern experience greatly influenced the aesthetic form of poetry. The problem of "inner thought" and the resulting "forms" is a matter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our modern era. In order to study the problem of "inner thought" we need to grasp the aesthetic principles accordingly. The aesthetic trends of modern poetry are gradually condensed from the outside to reveal the problems within the subject,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ppropriate formal aesthetics, Mise en abyme, to grasp them. This study linked the parody theory of mise en abyme and Hutcheon as "mirror" and the concept of "Paragon" of Derrida with Mise en abyme and applied it a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modern poetry. Mise en abyme as "mirror" appears to reflect self-dissociation. Mise en abyme as a "parody" is closely related to intertextuality and acts as a possible renewal of perception. It is also linked to self-reflection and critical meta-poems due to the nature of "parody". Mise en abyme as "Paragon" reflects the disorganizing aspects of modern poetry since the 1990s. Through the framework of analysis using Mise en abyme, we can confirm the possibility of confirming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modern poetry and aesthetics.

      • KCI등재후보

        미자나빔mise en abyme으로 생각하고 표현하기

        황혜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6 사고와표현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use of mise en abyme in “thinking and expression”. Mise en abyme is a technique that contains another small frame in the work. This technique has long been used in literature and painting, and André Gide conceptualizes it. Mise en abyme which is transartistique concept is used today not only in literature, paintings, photographs, movies, music, performances, but also in Media art. Through this concept, we appreciated the works of various art genres from a common point of view. We looked at concrete examples of mise en abyme and tried to reflect o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concept. Especially,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on the reality in today ‘s society where the virtual area is combined with the reality in various ways by applying the mise en abyme technique to contemporary media art. And we had time to summarize the opinions on this concept. Through mise en abyme, we not only witnessed the artistic sensibility, the possibility of imagination and new thinking, but also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decentered and pluralistic thinking. In addition, mise en abyme of contemporary media art, where the boundaries of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re fused, has helped us to reflect on human identity and the values we should pursue. 이 연구는 <사고와 표현>에서 미자나빔mise en abyme 개념과 그 구체적인 작품들을 감상함으로써 예술적 감성을 일깨우고 상상력과 가정적 사고의 영역의 가능성을 성찰해보고자 한 강의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자나빔은작품 속에 또 다른 작은 작품이 들어 있는 기법으로 문학이나 그림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온 것을 앙드레 지드가 개념화하였다. 미자나빔은 오늘날 문학, 그림, 사진, 영화, 공연을 두루 관통하고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해체해나가는 미디 어아트에서도 응용되는 트랜스아티스티크 개념이다. 이 개념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예술 장르의 작품들을 공통된 사유 기반에서 음미해보고 나서 구체적인 예들을 각자 찾아보면서 미자나빔의 개념 이해를 확인하고, 미자나빔 기법이 작품에서 가지는 의미나 의의를 성찰해보았으며, 특히 현대 미디어아트에 미자나빔 기법을 응용하여 봄으로써 가상의 영역이 현실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 오늘날사회에서 가상이 현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돌아보고 수업에서 생각한 내용들을 글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미자나빔을 통해 예술작품 속에 도입된 새로운 중심에서 탈중심적이고 복수적인 사고의 다양한 형태를 경험해볼 수 있었다. 또한 현대 미디어아트의 미자나빔은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융합되어가는 오늘날 삶과 자아의 정체성 그리고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치에 대해 성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 KCI등재

        미장아빔(Mise en abyme)에 관한 소고

        신혜경 ( Hye Kyung Shi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02 美學·藝術學硏究 Vol.16 No.-

        N/A La litte´rature, roman en partiuculier, offre un vaste champ d`e´tude interdiciplinaire gra^ce a` nouvels outils me´thodologique, la psychologie, la sociologie et la se´miologie par exemple. Parmi les sujets traite´s dans ce domaine, notre inte´ret porte sur l`intersection ou` se croisent le roman et l`art plastique. Malgre´ tous ce qui les se´pare en deux domaines artistique distincts, tout le´gitime en apparence, il y a, a` nos yeux, un phe´nome`ne qu´on peut y observer; la mise en abyme. La mise en abyme, introduite et applique´e a` la litte´rature par Andre´ Gide, est a` l`origine, une techique he´raldique pour la fablication du blason c`est-a`-dire une figure visuelle. Si la mise en abyme est de´finie comme re´plique miniatuarise´e de soi-me^me, modalite´ de la fe´flexion, qui consiste a` faire saillir l`intelligibilite´ et la structure formelle de l`oeuvre, on peut citer parmi les exemples des oeuvres litte´raire, Hamlet de Shakespeare, la pie`ce dans la pie`ce. Nouveau Roman est, a` nos yeux, la plus bel exemple de la mise en abyme. La techinque narrative adopte´e par Robbe-Grillet consiste en rede´finition de la structure traditionnelle du re´cit et la mise en abyme retrouve sa force e´vocatrice dans la re´pe´tition des certains passages, souvent anodins, qui peuvent e^tre conside´re´s comme insignifiant de point de vue traditionnel. Or, chez Robbe-Grillet la re´pe´tition ou de´doublement reve^t la figure des miroirs, des photos, ou des tableaux. Ceux-ci re´sument par la figure fixe le mouvement narratif. Avec le miroir qui a fonction de la prolepsie la mise en abyme implique la temporalite´. On retrouve ce me^me miroir dans les tableaux ; le portrait d`Arnolfini de Yan Von Eycks. Ou Les me´nines de Velasquez que Michel Foucault a analyse´ dans Les Mots et les Choses. Ⅱ ne manque pas d`autres exemples dans la photographie aussi. Nous avons donc un riche corpus et exemples qui concecnt la technique de re´pe´tition. Reste a` les exploiter.

      • KCI등재후보

        연대순으로 살펴본 미장아빔의 이론과 구조

        이효원 ( Lee¸ Hyo Won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2 No.-

        ‘이야기 속의 이야기’와 같은 문학적 기법으로 알려진 미장아빔은 2000년 초반 국내에 소개된 이래로 문학 외 다른 장르에도 확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2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미장아빔 이론이 부재하여 아직도 과거의 논의만을 재인용 하고 있다. 이에, 새로운 시각을 바탕으로 국외 문헌과 사례를 참고하여 연대순으로 미장아빔 이론을 살펴보고 이미지를 그려 한눈에 미장아빔 구조를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다. 미장아빔 이론을 다양하지만 그 중 6개의 계보를 소개하였다. 미장아빔의 단편적인 아이디어를 일기에 적은 지드, 이를 토대로 용어를 창시한 매그니, 누보로망 작가인 모리세티와 리카르도, 논의를 대중화한 델렌바흐, 포스트모던 철학자 데리다와 들뢰즈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 허천과 볼프의 논의를 연대순으로 살펴본다. 미장아빔 이론은 예술적 동향에 맞춰 조금씩 변화한다. 형식을 중요시했던 모더니즘에서 미장아빔이 극중극처럼 틀을 강조했다면,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러 미장아빔은 자기반영성을 내세우며 형식에 대한 해체를 강조한 점은 무척 흥미로운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미장아빔 기법을 알고 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미장아빔 이론의 지평을 확장하길 기대해본다. Mise en abyme, known as a literary technique such as ‘Story in a Story,’ has been expanded and applied to other genres since its introduction in Korea in the early 2000s. However, even after 20 years, no new theories have emerged, and only the past discussions are being cited. Therefore, based on a new perspective, the mise en abyme theory was examined in chronological order by referring to foreign literature and cases. And I drew an image to make it easier to recognize the structure of the mise en abyme. Although there are various theories of mise en abyme, six genealogies are introduced. Gide, who wrote down the fragmentary ideas of mise en abyme in his diary, Magny, who coined the term based on it, Morisette and Ricardou, Nouveau-Roman writers, Dallenbach, who popularized the discussion, the Postmodern philosophers Derrida and Deleuze, and Hetcheon and Wolf who presented new ideas Let’s look at the discussion in chronological order. mise en abyme theory changes little by little in line with artistic trends. In modernism, which emphasized form, mise en abyme emphasized the frame like play in the pla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a very interesting change for mise en abyme to deconstruct the form while emphasizing self-reflecxivity in Postmodernism.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horizon of plastering beam theory by knowing various plastering techniques and selectively applying them.

      • KCI등재

        예술작품에서 지시성의 문제 : 예술작품 속의 ‘미장아빔’ 기법과 데리다의 문제의식

        김종기(Kim, Chong-Ki)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이 글의 목적은 데리다가 ‘차연’의 논리를 바탕으로 예술작품을 해석할 때 ‘미장아빔’(mise en abyme)을 어떠한 관점에서 이해하여 자신의 미학이론과 연관시키는가를 포착해보고자 하는데 있다. 미장아빔은 다양한 예술장르에서 극중극, 이야기 속의 이야기(액자소설), 그림 속의 그림 등으로 드러나며, 예술작품의 자기 반영적(반성적) 특성을 드러내는 장치로 기능한다. 따라서 미장아빔은 문학과 예술에서 일련의 사건들을 다시 들려주는데 초점이 주어져 있는 재현적 서사 및 묘사를 벗어나는 것과 연관이 있다. 이때 미장아빔은 예술작품의 대상 지시적 성격에 대한 반성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 이 미장아빔은 어떤 작품의 축소판(microcosm)으로 작용하여 어떤 작품의 주제, 앞으로의 진행방향을 암시해주는 것으로 드러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미장아빔은 비재현적 예술작품에서 상호텍스트성의 도구가 될 수도 있으며, 어떤 텍스트를 그 바깥의 현실과 무관하게 자기 복제의 놀이를 계속하는 독립된 텍스트의 놀이터로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미장아빔이 어떻게 기능을 하든, 어떤 작품의 어떤 요소를 단순히 미장아빔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텍스트 또는 작품을 하나의 고정된 서사 체계로 환원시키는 것이 된다. 이와 달리 예술작품이 특정한 지시성을 벗어난다는 것, 그럼으로써 자유를 획득한다는 것, 그리하여 수용자에게 의미부여의 역할을 넘겨준다는 것, 이것이 데리다가 반 고흐의 <구두>를 미장아빔이 아니라고 읽는 것의 핵심 의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grasp from what point of view Derrida understands ‘mise en abyme’ and how he associates it with his own theory of aesthetics, as he interprets works of art with the logic of Différance. In various genres of art mise en abyme emerges as a play within a play, a story within a story (Rahmennovelle), and a picture within a picture, and it performs a function as the apparatus to reveal the self-reflecting characteristic of artworks. So in art and literature, mise en abyme goes beyond the representational narratives and portrayal which are heavily focused around the retelling of a series of events. In this case, mise en abyme is also the result of the reflection on the object-referentiality of works of art. Furthermore, it can also function as a microcosm of a work and hence to allude the work"s theme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its development. On this account mise en abyme can play a role as a tool for the intertextuality in non-representational works of art, or can make any text a playground of independent texts which play a game of self-replication regardless of the reality of the outer world. But whatever its functions, to label an element of a work of art as mise en abyme is to restore the work to a fixed narrative system. In contrast, a work of art acquires freedom by casting off its determinate referentiality and thus entrusts the recipient with the role of assigning meaning - this is the core of Derrida’s reading: <Old Shoes with Laces> of van Gogh is not a mise en abyme.

      • KCI등재

        현대 건축 공간에서 나타난 미장아빔적 표현 특성

        윤득근(Yoon, Deuk Geun),김개천(Kim, Kai Ch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0 No.-

        본 연구는 현대 철학과 예술, 문화 전반에 영향을 준현대 미학의 메타 담론중 하나인 미장아빔 기법의 개념과 특성이 현대건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어지는지에 대한 의구심으로부터 시작하였다. 미장아빔은 소설가 앙드레 지드의 소설에서 처음 도입된 이 후 누보로망 작가들에 의해 주로 사용되진 기법이다. 이는 동 시대 예술 전반에 확대 적용된 예술표현 기법이자 포스트모더니즘 이 후의 예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메타 담론이다. 두 개의 거울 사이에 상이 끝없이 맺히는 것을 의미하는 미장아빔은 그 당시 활동하던 들뢰즈, 데리다와 같은 다양한 철학가들의 담론과 연관을 맺었다. 또한 그들의 철학에 영향을 받은 현대건축가들에 의해서 건축이라는 언어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에서 주로 사용되는 미장아빔 기법과 건축가의 공간표현 방식간의 연계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미장아빔 기법과 현대 건축표현 방식 간의 연계성을 기반으로 현대건축 표현 방식에서 나타나는 미장아빔적 특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 물질화와 특이성을 건축적 언어로 사용하는 장누벨의 건축 작품을 분석하였다. 건축에서 미장아빔기법의 표현 특성은 건축물의 외관을 구성하는 표피의 소재에 의해 구현되거나 반영과 그래픽적 요소를 활용에서 표현됨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록 미장아빔을 표현하는 수단이 다르고 분야가 다르지만 근본이 되는 개념이 가지는 특성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특정한 주류가 없는 현대에 현대건축을 이해하는 하나의 척도로써 미장아빔 기법이 가지는 의의를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졌다. This study has started from a curiosity about how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ise en abyme, which is one of meta-discourse in the contemporary aesthetics and has affected every aspect of modern philosophy, art, and culture, are expressed in modern architecture. "Mise en abyme" is a technique mainly used by writers of the nouveau roman after it was introduced first in the work of novelist Andre Gide; this technique of artistic expression has been extended across the whole contemporary art and has become the meta-discourse which essentially makes its appearance in the art after postmodernism. "Mise en abyme", meaning endless formation of image between two mirrors, got involved with discourse of the various philosophers of the time such as Deleuze and Derrida, and was also expressed in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by modern architects who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philosophy. In this context, the technique of mise en abyme which is mostly used in art has a relation to methods of space expression of architects. This research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mise en abyme which show in the expressional method of the modern architectu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ique of mise en abyme and the modern method of architectural expression. Moreover, on the basis of this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architectural works of Jean Nouvel, who uses de-materialization and singularity as the architectural language. Through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mise en abyme in architecture are embodied in material of the surface which forms buildings" exterior, or expressed by using reflection and graphical factors. Through analysis this study allows the chance to see that even though the means and field for expressing mise en abyme are differ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damental concept are shared among them, and to think about the meaning in the technique of mise en abyme as one yardstick to understand modern architecture in modern times with no specific mainstream.

      • KCI등재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Once Upon a Time in Hollywood, 2019)의 미장아빔(mise en abyme) 연구

        이종현(LEEJONGHYUN)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4

        이 논문은 영화 미학 연구의 일환으로 미장아빔의 관점에서 영화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미장아빔은 ‘작품 속의 작품’을 지칭하며, 두 텍스트의 관계성을 통해서 서사의 복합적인 의미를 발생하게 하는 기법이다. 다양한 텍스트들의 집합 공간인 영화는 미장아빔의 원리가 작동되기에 최적의 예술이다. 영화에서 미장아빔은 ‘영화 속의 영화’ 외에도 영화적 요소(세트, 소품, 배우, 음향, 음악 등)가 기인하는 모든 텍스트가 미장이빔으로 활용될 수 있다. 미장아빔 텍스트는 자기반영적 성질로 인해 영화의 본질적 의미와 형식을 구축하게 하고, 관객의 다의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미장아빔의 영화 미학적 가치를 증명하기 위하여, 미장아빔의 향연이라 평가받는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인 할리우드〉를 분석하였다. 이 영화는 1960년대 할리우드의 모든 문화적 산물들, 즉 당시의 고전영화, TV 프로그램, 음악 등이 미장아빔으로 활용된다. 특히 당시의 실존했던 캐릭터와 실화를 미장아빔 텍스트로 적극 활용한다. 실존 캐릭터와 인물 관계는 당시 격변의 할리우드와 미국 사회의 분위기를 함축하고, 타란티노의 변칙적 장르 미학을 구현한다. 실화 텍스트의 변용은 타란티노의 영화적 특징인 폭력성의 쾌감을 극대화하고, 그 시절의 할리우드를 위로하는 영화의 주제의식을 강화한다. 결과적으로 타란티노 감독은 미장아빔을 활용하여 여러 장르성을 아우르며 예술성을 가미하는 본인의 영화 미학을 완성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nalyzing movies from the perspective of ‘Mise En Abyme’ as part of the study of film aesthetics. Mise en abyme refers to ‘a work in a work.’ And it’s a technique that creates a complex meaning of the narrative through the relativity of the two texts. Movies, a collection of various texts, are the best art for the principle of mise en abyme to work. In the movie, mise en abyme is ‘Movie in the Movie.’ In addition, any text resulting from cinematic elements (set, props, actors, sound, music, etc.) can be used as a mise en abyme. Mise en abym text builds the essential meaning and format of the film due to its reflexivité. And it enable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audience. To prove the aesthetic value of this mise en abyme, we analyzed Quentin Tarantino’s film, 〈Once Upon a Time in Hollywood〉. The film uses all the cultural products of Hollywood in the 1960s - classic movies of the time, TV programs and music - as a mise en abyme. In particular, it actively utilizes the characters and true stories that existed at the time as text for mise en abyme. The real-life character and character relationship embodies the mood of Hollywood and American society at the time. And embodies Tarantino’s irregular genre aesthetics. The variation of true story text maximizes the pleasure of Tarantino’s cinematic feature of violence. It also strengthens the theme of movies that comfort Hollywood back then. As a result, Tarantino uses the mise en abyme to expand his cinematic aesthetics, which encompasses a variety of genres and adds artistic value.

      • KCI등재

        곡사 텍스트의 자기반영적 미학 스타일 : 미장 아빔, 퍼포먼스, 상호텍스트성

        문관규(Mun Gwan Gyu) 한국영화학회 2010 영화연구 Vol.0 No.44

        Reflexivity is the typical esthetic style of Gog Sa's texts. In this thesis, Gog Sa's texts are analysed into mise-en abyme, performance and intertextuality as their strategies for reflexivity. Firstly, mise-en abyme forms the abyss of meanings. One of the mise-en abyme strategies of Gog Sa is to present narrative ambiguousness and magnify their messages by reiteration of scenes. The examples of their major texts are 〈Time Consciousness〉 and 〈Capitalist Manifesto〉. 〈Time Consciousness〉 expresses philosophical subjects of Husserl's theory of time and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Capitalist Manifesto〉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decalcomania of images by mise-en abyme. Secondly, there is mise-en abyme expressed through another movie in a movie. Major pieces falling in this category are 〈Principle of Party Politics〉 and 〈Self-contradiction〉. Thirdly, Gog Sa makes use of another frame in a frame. A scene of eating an apple from 〈Anti-dialectic〉 forms a deep abyss of images and is gathered into a frame in a frame. Mise-en abyme is a distinguishing factor to guarantee Gog Sa's esthetic style and signified and the repetitive use of mise-en abyme clarify their authorial style. Second of all, there are performances reappeared in 〈Principle of Party Politics〉 and 〈Self-contradiction〉. Through shocking acts, theatrical performances re-enact an existence more realistic than a real life. Gog Sa's cinematic performances are divided into the two categories of inserting performances into a film and making a film itself become a performance. In 〈Self-contradiction〉, we can see an active intervention of performances in a movie. Turning a film into a performance can be found in 〈Principle of Party Politics〉. Performances successfully acquire the aggression of the political avant-garde movies by contingency and immediateness. Thirdly, there is a discussion of intertextuality. Gog Sa's strategy of intertextuality spreads into 'the aggressive relations between text and text, subject and subject, and text and sociocultural influences' rather than the passive 'quotations and influences among pieces.' Gog Sa's texts communicate, quote and converse among texts including existing masterpieces, classics and famous paintings like Magritte. Gog Sa's movies as hyper text are based on various hypo texts from Nietzche's works, Magritte's pieces to Marx's 〈The Communist Manifesto〉. Eventually Gog Sa makes their texts interchanges with various hypo texts and pursues the mosaic of various texts by passing through their own preexisting films as hyper text. Gog Sa is an author to create hyper text in a form of film based on philosophical masterpieces as hypo text. The communication between hyper text and hypo text gives Gog Sa's ambiguous text lucidity and creates possibilities for various interpretations.

      • KCI등재

        미자나빔Mise en abyme과 시선의 작용

        황혜영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3 No.-

        Dans ce travail, nous avons essayé de réfléchir sur l'action du regard que rappelle la mise en abyme et de prêter attention à sa valeur cachée, à son sens, à son effet sur l'oeuvre à travers quelques œuvres visuelles comme The money lender and his wife(1514) de Quentin Massys(Metzys), Ceiling Painting(1966) d'Ono Yoko, Three jews walk into the bar(2014) de Marc Dennis, La condition humaine I(1933) de René Magritte, Musée du Louvre(1945) de Robert Doisneau et Le flâneur va au musée : Louvre(2016-2017) de Hong-Sik Kim. Premièrement, dans le tableau de Quentin Massys, un petit miroir convexe dans l'oeuvre qui semble être accidentellement placé sert de cœur de l'oeuvre qui donne le sens clé à l'ensemble de l'oeuvre. Introduisant l'image du dehors dans le tableau-encadrant, il joue un rôle actif de transformer le sens de celui-ci. Dans la deuxième réflexion, le <Ceiling Painting> d'Yoko Ono nous montre une mise en abyme qui ne s'achève que lorsque le spectateur monte l'échelle selon la direction du travail et qu'il regarde dans le plafond avec une loupe. Dans le troisième temps, le tableau de Marc Dennis réintroduit Le bar aux Folies-Bergères de Edouard Manet en le répétant d'une manière hyper-réelle, cependant en introduisant trois spectateurs devant le tableau de Manet, il réinterprète la question du regard posée par les positions problématiques des personnages dans le tableau du Manet. Quatrièmement, le tableau encadré dans le tableau encadrant de Condition humaine I de René Magritte donne l'impression de montrer une mise en abyme qui représente la réalité qu'il dissimule exactement comme elle est, pourtant il révèle paradoxalement et contradictoirement la distinction entre le paysage sur le tableau encadré et celui du réel qu'il dissimule de sorte qu'il nous semble montrer simultanément les deux aspects incompatibles, c'est-à-dire l'opacité et la transparence, la continuité et la discontinuité de l'art. Dernièrement, nous avons réfléchi sur les deux oeuvres sur le regard autour de <Mona Lisa> de Léonard de Vinci, Musée du Louvre(1945) de Robert Doisneau et Le flâneur va au musée : Louvre(2016-2017) de Hong-Sik Kim. Musée du Louvre de Roberto Doisneau divise des regards du public vers la <Mona Lisa> en fonction de l'emplacement du public et les réorganise tandis que l'oeuvre de Hong-Sik Kim montre le regard des spectateurs vers <Mona Lisa> à travers dans l'écran du smartphone de sorte que celle-ci se reflète se démultipliant en tant que mise en abyme divergente. Le tableau, le miroir et la photographie encadrés créent un mouvement dynamique et révèlent un réel potentiel dans l'oeuvre encadrante à travers les regards problématiques en stimulant l'imagination et l'interprétation du spectateur.

      • KCI등재

        La intertextualidad en las películas de Pedro Almodóvar -en torno a <Hable con ella>-

        정동섭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0 스페인어문학 Vol.0 No.57

        Nuestro estudio tiene la intención de examinar los aspectos de la intertextualidad en las películas de Pedro Almodóvar en torno a <Hable con ella>. Originalmente el concepto de la intertextualidad viene del ‘dialogismo’ bajtiniano y está adoptado por Julia Kristeva y Tzvetan Todorov entre otros. El término se usa de una manera tan complicada como ambigua. Por lo tanto, es necesario denominar cómo entendemos la intertextualidad. Estando de acuerdo con Julia Kristeva,la estudiosa que ha inventado el término ‘intertextualidad’, lo comprendemos como la interrelación entre los textos. Es el conjunto de relaciones que acercan un texto determinado a otros textos de varia procedencia: del mismo autor o más comúnmente de otros, de la misma época o de épocas anteriores, con una referencia explícita (literal o alusiva, o no) o la apelación a un género, a un arquetipo textual o a una fórmula imprecisa o anónima. A propósito la intertextualidad no es un concepto exclusivo del campo literario. Es verdad que el concepto de la intertextualidad se ha utilizado en otros campos del arte, incluso el cinema. Así la intertextualidad también se encuentra en las obras fílmicas, ya que el cine puede entenderse como un tipo de discurso prosístico transformado. También hace falta explicar otro término que es ‘Mise en Abyme’. Se comprende el término como ‘blasón dentro de otro blasón’ o ‘texto dentro de otro texto’. En este sentido ‘Mise en Abyme’ está abarcado en el concepto de la intertextualidad. Sin embargo, en el funcionamiento de ‘Mise en Abyme’ se da énfasis en la similitud o la semejanza entre el ‘texto a’ y el ‘texto A’. En general, las obras de Pedro Almodóvar están construídas por varias voces. Encontramos muchas obras artísticas, incluso literarias y fílmicas, en las películas almodovarianas. Al analizar un texto almodovariano <Hable con ella>, encontramos varios elementos intertextuales como las obras de la coreógrafa alemana, Pina Bausch,que le ha gustado al director español, la película inventada por Almodóvar mismo <Amante menguante>, la ballet en proyecto de Katerina, <Trincheras>, la canción de un famoso cantante brasileño Caetano Veloso, ‘Cucurrucucu Paloma’, y Las horas de Michael Cunningham entre otros. Lo que pasa es que la mayoría de estos elementos intertextuales se refieren al ‘Mise en Abyme’. En <Hable con ella> varias obras tanto ficticias -<Amante Menguante>, <Trincheras>-como verdaderas-<Cafe Müller> y <Masurca Fogo> de Pina Bausch;“Cucurrucucu Paloma” de Caetano Veloso; Las horas de Michael Cunningham- indician el tema semejante de <Hable con ella> como ‘Mise en Abyme’. Es decir, en su película el director pone la red de intertextualidad con una intención muy seria. Así muchos elementos intertextuales se dirigen al tema o la historia principal de la ob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