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위기담론과 뉴미디어- 반복되는 문학의 위기론에 대한 전망 -

        최성민(Choi, Sung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소통에 대한 인류의 욕망은 늘 새로운 미디어를 등장시켰다. 뉴미디어의 등장은 기존의 미디어들이나 예술 장르들에게는 위기에 대한 두려움을 안겨주기도 했다. 문학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문학 위기론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마다 여러 차례 반복하여 등장했다. 특히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들은 종이 위의 활자 문학의 전통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문학의 역사는 늘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하며 유지되어 왔다. 뉴미디어의 등장과 기존 예술 장르의 위기가 어떤 의식의 변화와 문화적 변화를 동반해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이 논문은 영화의 위기와 문학의 위기를 함께 살펴보고자 했다. 영화는 문학에 비하여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본래부터 테크놀로지의 집결체로 출발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도전과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영화는 텔레비전을 비롯한 수많은 경쟁 미디어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확고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영화는 그 안에 담겨진 영상텍스트 못지않게, 그것을 소비하고 감상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왔고, 그 덕분에 영화의 발전이 지속될 수 있었다. 문학도 이제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맞추어 변화를 모색하고 있고, 또 그래야만 한다. 그것은 수용자들의 텍스트 수용 태도를 주목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한다. 현재의 문학적 텍스트 수용자, 즉 콘텐츠 소비자는 일상 속에서 콘텐츠를 일시적이고 개인적으로 소유하고 소비하지만, 그 이후 수용 반응과 소비 후 감정은 집단적, 사회적으로 교류하고 공감하려 한다. 문학의 위기는 단지 종이 인쇄물의 종말이 올 것인가의 여부에 대한 논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문학의 미디어는 언제든, 어떻게든 변화하게 되기 마련이다. 우리는 문학을 감상하고 교류하는 제반의 환경, 즉 문학적 미디어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에서 위기 극복의 단서를 찾아야만 할 것이다. People always have expectations for the advent of new media. At the same time they also have some fear for crisis. The Crisis of literature appears repetitively. New media have threatened literature every time. Media in digital era threatens the tradition of printed literature. However, the history of literature has been maintained by adapting and changing itself to new environment of New Media.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development of fil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resent crisis of literature. Though the films have much shorter history than literature. But they are very sensitive for the challenge and change of new media since they were originally the concentration of technologies. The films keep strong presence in spite of competitive media such as TV. The file industry has expanded consistently. The films are able to continue to develop themselves by concerning media environment. Literature is, and should grope change for new media environment. Though nowaday consumers possess and consume contents individually, they eager to interchange their emotions and reactions collectively. The crisis of literature does not end by arguing the end of printed papers. Anyhow, the media of literature would be changed anywhere. The clue will be found in having concerns for the environment of literature media.

      • KCI등재후보

        스마트 미디어 이용자 특성과 디바이드에 대한 연구

        김미경(Kim, Mikyung)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3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2

        본연구는 스마트 미디어의 매체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이용자의 특성과 디바이드 수준을 검토하고 디바이드 수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평등을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미디어리터러시 정책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미디어 격차가 이용과 활용면에 적용되는 격차이며 이용자는 스마트 미디어 특징에 적용하여 맞춤형, 참여형, 연결형, 확장형으로 규정한다. 또한 스마트 미디어가 개별 미디어이며 다기능적인 미디어인 점을 감안하면 이용자들의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이용경험과 효능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 자료를 통해서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세대별 인식과 이용 경험이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기하고 제한적 이용자와 확장적 이용자 집단 간의 활용격차 검 토를 통해서 스마트 미디어 이용자들 내부에서의 다층적 격차가 발생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미디어 수용자의 각 특징과 격차의 발생 수준 및 대응 방안에 대해서 제시한다. 구체적인 정책으로 스마트 기회 지수 개발,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개발, 스마트 프라이버시 보호, SNS 리터러시, 마이너 이용자 중심의 활용 격차 해소를 위한 리터러시 정책 등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불평등 극복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media user’ and ‘the smart media divid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edia technological traits.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the media literacy policy which protects inequality from ‘media divide’. As the result of study, smart media divide is the gap which comes from use and application of smart media. Smart users are characterized as customized, participated, connected and expanded type. Smart media as a personal media and multi functional media needs to be focused on the aspects of ‘using experience’ and ‘user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ese aspects are caused of smart media divide between personal and personal, and group and group. This paper addresses the impact of practical use of ‘App’ by generation acknowledge and using experience of ‘smart media’ and the ‘application divide’ and ‘multi divide’ between ‘limited user’ and ‘expanded user’.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smart media literacy’ such as smart opportunity index, smart media literacy index, smart privacy protection, SNS literacy, application divide literacy for minor users.

      • 미디어와 세대갈등 -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미디어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김영임 ( Kim Young Yim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7 통합인문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세대갈등과 미디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미디어가 사람들의 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갈등을 조장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가정하여 관련 연구 논의를 검토했다 특히 최근 한국사회와 같은 특정한 정치경제적 변동기에 세대갈등 이슈를 어떻게 미디어가 다루는지를 보기 위해 전통적 미디어와 뉴미디어의 효과 차이에 주목하고 미디어 수용자의 분화현상을 살펴보았다. 미디어는 중립적이지 않다. 미디어의 편파성과 정파성이 미디어에 접근하고 수용하는 사람들의 인식과 태도, 가치관, 이념, 믿음, 문화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미디어 효과이론에 근거하여 오늘날 미디어가 형성한 세대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한국사회 세대 간 대립의 문제를 몇가지 관련 미디어이론의 시각에서 설명했다. 끝으로 미디어세대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규정하기 위한 후속 연구 계획과, 세대갈등 완화로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media not only impacts the perceived conflict amongst the people but also serves further as an aggravating factor, this study reviews the research discussions surrounding the media and the generational conflict. In particular, the study addresses the differentiation of the audience of the media, and pays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 old and new media, in order to analyze how the media deals with generational conflicts during times of certain political and economic transitions such as that the Korean society faces today. The media is not neutral. Based on the media effects theory which argues that media bias and partisanship impacts the awareness, attitude, values, ideology, belief, culture, etc., of those who access and consume the media,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generations which have been formed by the media. This study also reviews the media theories relating to generations, and explains the problems of generational conflicts based on a number of media theory perspectives.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further courses of study to define the identity of the media generation, and to seek the roles of the new media which would relieve the generational conflict, thereby contributing to social integration.

      • KCI등재

        미디어서비스 중독 변인의 종단적 추세변화 연구 - 2000~2021년 청소년 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배승주(SeungJu Bae),이상호(SangHo Lee) 한국산업정보학회 2021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6 No.5

        본 연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디어서비스에 대한 중독이 어떻게 연구되었는지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중독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들은 특히 청소년의 미디어 서비스의 중독에 주목하였으며,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독 변인은 크게 청소년기 속성, 개인 속성, 매체 속성, 미디어 의존 속성 등 4가지 속성으로 취합되었다. 속성에 귀속되는 중독 변인은 주요 미디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4기로 나뉘었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변인의 빈도는 개인 속성과 관련된 변인이 가장 많았고, 매체 속성, 청소년기 속성, 미디어 의존 속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속성 변인은 대상관계 요인에서 점차 개인의 심리적 요인으로 옮겨갔다. 매체 속성의 변인은 새로운 매체 도입과 확산으로 청소년의 중독 현상 연구가 증가하였다. 청소년기 속성과 미디어 의존 속성의 변인에 대하여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동기를 관찰하거나 중독 관련성을 띤 연구가 미약했으며 2020년부터 발표된 논문은 없었다. 미디어서비스 중독 연구는 산업적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사회적 측면이 강조되는 면이 있었으나,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디어서비스 개선과 이용자의 건전한 몰입의 측면에서 산업적으로 다양하고 구체적인 개별 미디어와 사회ㆍ문화적 차이에 따라 비교되는 중독 변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기대된다. This paper is a study to check the flow of how addiction to media services has been studi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o identify variables that can be the basis for future addiction research. Researchers noted the addiction of media services in adolescents in particular, and identified a combination of factor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ddiction variables were largely aggregated into four properties: adolescent properties, personal properties, media properties, and media-dependent properties. Addiction variables belonging to the attribute were influenced by major media and divided into four period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frequency of variables was most related to personal attributes, followed by media attributes, adolescent attributes, and media-dependent attributes. Also Individual attribute variables gradually shifted from object-relationship to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Variants in media attributes were influenced by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new media. Variations in adolescent and media-dependent attributes have been weak in studies that observe teenagers" motivations for media use or are related to addiction, and no paper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20. Although addiction research on media services is important in terms of industry, there has been an emphasis on social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o continue to study the variables of service users who can be used in terms of industry.

      • KCI등재

        인간성 회복과 윤리적 삶을 위한 미디어 연구

        김세은(Sae-Eun Kim) 한국언론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5 No.2

        우리는 왜 미디어를 연구하는가? 이 글은 『왜 미디어를 연구하는가?』를 중심으로 현대 사회의 미디어와 미디어 연구에 대한 로저 실버스톤의 사유와 논의를 짚어봄으로써 우리가 미디어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와 목적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미디어를 연구하면서도 정작 ‘왜’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았던 우리의 둔감함과 안이함에 대한 반성이 그 출발점이다. 실버스톤에 따르면, 미디어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미디어 연구 역시 더이상 주변적인 학문 영역이 아닌 중심 학문이(되어야 한다)라는 것이다. 세계화로 일컬어지는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흐름 속에서 우리의 경험은 미디어의 매개 없이는 의미를 가지지 못하며, 타자에 대한 이해는 더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실버스톤이 제시하는 미디어 연구는 기본적으로 인간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중심 학문으로서의 미디어 연구는 무엇보다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윤리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야 하며, 그를 위해서는 타자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필수라고 실버스톤은 주장한다. 미디어 연구에 철학과 역사 등 인문학적 접목이 필요한 이유, 또 인류학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실버스톤이 제안하는 ‘미디어폴리스’는 우리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타자에 대해 배우며 서로에 대해 책임을 지는 매개된 공간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폴리스를 위한 초석이 되는 중요한 기획이다. Why do we study the media? Why media studies at this stage? This paper starts from the reflection of our insensibility and easygoing way of intellectual life without thinking the true reason of doing media studies. Roger Silverstone points out the paradox around the media and media studies; no one denies the centrality of the media in our everyday life, however, they hardly admit the importance of media studies. Silverstone’s critical question provokes the debates not only on the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position of the media but also of media studies. His argument gives a clear orientation for media studies for humanity and morality. Silverstone sees the media as environment, general texture of experience, and, therefore argues that the media should provide a proper distance to think our reciproci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We, users or consumers in this globalized post/modern world, according to him, need to regard ourselves as players and performers as well, paying a special attention to the media’s signifying strategies such as rhetorics, poetics and erotics, media literacy in other words. In so doing, we may understand, engage and trust the Other and make a further step towards the mediapolis.

      • KCI등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권성호 ( Sung Ho Kwon ),박선희 ( Sun Hee Park ),유숙영 ( Sook Young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더 나아가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우선, 창의성 및 미디어 교육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창의성 정의와 요인을 찾아내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 방법을 조사하였다. 유아들의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 방법은 미디어에 노출, 미디어 작품 감상, 미디어 내용 분석, 미디어 제작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창의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학습활동으로 언어 및 신체 표현, 그리기, 만들기, 역할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는 유치원 교사 2인이 참여하였다.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는, 서울 S유치원 6~7세 유아 16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즐겨보는 비디오 프로그램과 주제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유아의 관심 주제에 따른 교수자료와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적용과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7세 20명에게 적용하여 관찰 결과에 따라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10개의 주제로 구성된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하여 세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은 각각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특성들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들이 직접 미디어 제작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이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media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we derived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and analyze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media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learners. Second, we derived design principles of a media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creativity based on eight factors. Finally, we developed a media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based on the designed framework. The framework of this program is focused on drawing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that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lready have. The factors can be extracted when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re exposed to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and movement in the media. And children learn to appreciate media works, discuss their thought with friends, and produce thei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ccording to the diverse features of media that more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econd,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based on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Third, the media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allow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ir own media.

      • KCI등재

        미디어융합의 점증에 따른 구비문학 연구의 확장 지점 모색

        최원오(Choi Won-oh) 우리말글학회 2009 우리말 글 Vol.47 No.-

        This paper considers oral literature from the viewpoint of oral media on one hand, and presents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gressive course of media convergence from oral media, through letter media and radio media to digital media. It restricts the view of oral literature as media to regard it as a product of oral culture and compare it those media appearing later including literal culture, radio culture, and digital culture. However, by seeing oral literature as a product of ‘oral media,’ we can realize that the media created by human beings, after all, is nothing but the extension and convergence of human sense organs. Thus I propose that we approach oral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oral media to explicate its vibrant and creative principles as a medium. This may provide the basis for fully and synchronically looking at those media appearing later including literal, radio, and digital media. For this, we need to not only fulfill literary study in oral media, but also synchronically examine how the principles of oral media are accommodated in literal media, radio media, and digital media respectively. A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in the methodology named ‘oral cultural criticism,’ and establish it as a field of research. Only by doing so can we concretely explore a novel area of the study in oral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디지털 담론이 매개하는 영화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라이프 인 어 데이>(2011)와 <지구에서의 하루>(2012)에 나타난 참여 메커니즘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지현 영상예술학회 2012 영상예술연구 Vol.0 No.20

        It is being said that anybody can make a movie today. The rhetoric of media democratization often goes along with the rapid growth of market share by digital media devices around the world. And we have this image of ‘people’ where they have become much more powerful and smarter than yesterday‘s audiences of the mass communication system. But is it true that the expanded access to digit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nnels of audiovisual media enhance the democratic potential of these media? This paper takes a critical look at the claims of the dominant narrative of digital technology regarding the filmmaking environment for the so-called “lay people.”Looking back the history of cinema, we find that the arrival of every new filmmaking machinery brought with it an endlessly renewed promises of enhanced access and user empowerment that seldom really does follow. This means that its history has also been a history of these failed promises, showing how the radical potentials of these devices that could have (according to the rhetoric of media democracy attached to them) revolutionized the filmmaking opportunities for everybody’s sake, were sutured into the rules of dominant media formations. The historical perspective provides that digital technologies’ rhetoric of media democratization is not new but has a deep root, asking us to realize its repetition of unfulfilled dreaming. Thus, what is important is the context in which these discourses arise against the background of ever- increasing phenomenon of media concentration. Why are there so many digital devices that encourage us not only to consume but also to produce?In spite of the general technological determinism found in both utopian and dystopian discourses of the digital, the desire for equal participation in media that they foreground has a positive implication for driving new filmmaking practice. Life in a Day(2011) and One Day on Earth(2012) are two among the many that experiment themselves with participatory filmmaking practice based on digital network. (Media) Particip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abused terms in the digital age. However, when its meaning refers not to an autonomous contribution or commitment of the self, but the presence of equal power rel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 it becomes a critical site to reflect on the way participation is organized and/or limited in the filmmaking process. This paper compares the participation mechanisms of these two global media projects in order to think about their different cultural imagination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democra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critical look at the framework of cinematic democracy in the context of abundant digital devices that are surrounding us today. Digital technology is not a neutral means by which we can enhance or jeopardies democracy depending on how we use it, but a set of cultural frameworks to think about and illuminate a new 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democracy. The paper is also an attempt to find an appropriate way to approach amateur filmmaking, which has been marginalized for so long, but suddenly finding itself being foregrounded by the digital discourse. 누구나 의지만 있으면 영화를 만들고 보여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고들 한다. 이러한 수사학은 종종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제품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들이 보여주는 놀라운 속도의 전 세계적 시장 점유율과 함께 제시되곤 한다. 그리고 일방향적 소통구조로 특징지어지는 아날로그 대중매체 시대의 영화 관객이나 TV 시청자와는 달리, 훨씬 더 강력하고 현명해진 대중이라는 이미지로 이어진다. 그러나 영상 제작 수단의 대중화와, 디지털 네트워크란 새로운 의사소통 공간의 등장이 정말로 영상 매체의 민주적 가능성을 실현시켜주고 있는가? 본고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일반인들의 영화 제작 및 배포에 관한 진입 장벽을 제거하고 따라서 영화 매체를 민주화시킨다는 오늘날의 지배적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영상 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조건들의 변화 속에서 특히 ‘일반인’들의 영상/영화 제작 문화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회적 담론들의 작동 방식과 그 한계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영화사(史)를 돌아보면 새로운 영상 매체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제작 수단의 민주화와 수용자들의 권한 강화에 대한 유토피아적 기대들이 반복하여 등장한다. 이 과정은 누구나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저렴하면서도 혁신적인 방법으로서, 가장 민주적인 미디어 제작 실천이 될 수도 있었던 새로운 영상 매체의 해방적 잠재력이 지배적 미디어 구조 속으로 계속해서 봉합돼온 역사이기도 하다. 지배적 미디어 구성체는 다양한 사회, 경제, 미학, 이데올로기적 규범화(normalization)를 통해 경쟁자들의 미디어를 통제하려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시각은 오늘날의 디지털 기기들이 구사하는 민주주의의 수사학이 새로운 것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되풀이되어 온 것이며, 이미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했으나 무산된 꿈꾸기의 반복임을 깨닫게 해준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디지털 기술 도입 이후 미디어의 상업화와 소유 집중화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 속에서, 일반인들에 의한 영상 제작 문화가 전경화 되는 맥락에 대한 분석이다. 왜 이토록 많은 디지털 기기들이 넘쳐나고 있으며, 사람들은 이미지를 단순히 ‘소비’할 뿐 아니라 직접 ‘생산’도 하도록 장려되고 있는가?그럼에도 불구하고 낙관론이든 비관론이든 디지털 담론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기술 결정주의적 시각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전경화 하는 평등한 미디어 참여에 대한 열망은 새로운 영화 제작 방식에 대한 실험을 추동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함의를 지닌다. 디지털 네트워크에 기반 한 참여적 제작 방식을 영화의 주요 컨셉으로 내거는 두 가지 글로벌 미디어 프로젝트, <라이프 인 어 데이>(2011)와 <지구에서의 하루>(2012) 등은 이러한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들이다. 디지털 시대에 들어오면서 ‘(미디어) 참여’라는 단어는 가장 널리 남용되는 단어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참여’가 단순히 자발적 기여나 헌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결정 과정에서 관련 주체들의 평등한 권력 관계의 위치에 관한 문제라고 할 때, 영화 제작 과정에서 참여가 조직되고 제약되는 방식은 영화와 민주주의의 관계를 살펴보는 중요한 지점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 두 프로젝트의 제작 과정에 나타나는 참여의 메커니즘을 비교하면서 이들이 각각 영화를 통한 민주 ...

      • KCI등재후보

        뉴미디어와 연극 언어의 재매개 : 로베르 르파주의 < 안데르센 프로젝트 >를 중심으로

        이진아 ( Chin A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New Media has brought changes throughout the entire human culture and this is no different in case of the art world. However, difference of opinions is shown between scholars on how to view the new media within art even if they agree on this fact. The term called new media seems to emphasize the difference from the old media. But rather than the new media replacing or disposing old media, they form a dialectal relationship by referring to, accepting and competing with each other. While old media gets to acquire new cultural significance within such relationship, this is called remedi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um-specificity`` that had achieved climax after reaching modernism get challenge in the art of new media era. The history of drama in the twentieth century was the history on the search of ``Theatricality`` while trying to escape from the proscenium theatre and destroy theatrical illusion accordingly. But the drama of new media era seems to be trying to return to the theatrical illusion once again. This study examines the arguments surrounding new media from the aspect called change of art environment to investigate the problems raised by the works performed under this changed environment and condition based on the works of Robert Lepage. The mixture of reality in different dimensions,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and actors, remediation of traditional drama customs or montage of space, etc are the things to be particularly noticed in the works of Lepage. Through such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era performances will be examined. 네트워크 된 컴퓨터 기반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가져온 변화를 ``미디어 혁명`` 혹은 ``디지털 혁명``으로 부르는 이유는, 이것이 단순히 문명의 편리함을 증대시키는 기술적 혁신을 넘어 문명 전반에 걸친 변화를 촉진시켰기 때문이다. 예술계 역시 다르지 않아서 20세기 후반부터 예술계에서 가시화되고 있는 장르 간 경계의 해체, 미적 가치 규범의 변화, 예술의 창조와 향유, 유통 방식의 변화에는 디지털 혁명, 미디어 혁명으로 불리는 테크놀로지의 혁신과 이에 따른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 뉴미디어가 가져온 예술 환경의 변화는 연극언어와 문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무대 위에 구현되는것과 같은 기술적 가시적 변화도 있겠으나, 그보다 중요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은 뉴미디어의 영향으로 인해 변화되고 있는 우리의 예술개념과 지각 방식의변화이며, 이에 따른 연극 언어와 문법의 변화이다. 그런데 뉴미디어가 예술계 전반에 커다란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는 사실에는 모두들 동의하면서도, 뉴미디어를 어떻게 정의하고 바라보는가 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학자들 간에 다소 견해 차이를 보인다. 더불어 오늘의 세계는 기술혁신이 가져온 새로운 세계의 출현이면서 동시에 이미 자리 잡은 올드 미디어들이 뉴미디어와 혼종을 이루는 세계이기도 하다. 때문에 뉴미디어의 고유 속성을구별한다는 것은 생각처럼 용이하지 않다. 어떤 미디어도 고립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올드미디어와의 관계 속에서만이 우리는 뉴미디어와 뉴미디어가 가지고 온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때문에뉴미디어를 둘러싼 담론을 예술 환경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살피고,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와의 관계와 상호 영향 속에서 이러한 변화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연극 속에서 살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뉴미디어환경, 혹은 뉴미디어 조건하의 연극 문법과 연극 언어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연극에 하이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로베르 르파주(Robert Lepage)의 작업을 분석함으로써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르파주의 연극은상이한 차원의 리얼리티의 혼재, 미디어 테크놀로지와 현존하는 배우의 몸과의 관계, 전통적인 연극 관습의 재매개, 뉴미디어를 이용한 공간의 편집 분할등, 뉴미디어 시대의 연극의 변화와 특징을 잘 드러낸다. 본 연구는 로베르 르파주가 2005년 초연한 < 안데르센 프로젝트(The Andersen Project) >를 중심으로이 문제를 논한다.

      • KCI등재

        미디어 로컬리즘 변동에 따른 지역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모색

        원숙경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7

        There is an emerging concern of local communities losing their vitality due to the declines of such elements as population, sense of landownership, local media, and human networks. Local community regeneration requires a new alliance that will help increase the merit of the local communities as living spaces. Aiming to provide educational practice guidelines for vitalizing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conceptualized local media literacy as a civic education that can build future identities for local communities by recognizing a region as a living space constituted by an alliance among local communities, local residents, and local media. Considering such a conceptualization is an explorative work, this study adopted an in-dept interview with the professionals in each area as a method of gathering qualitative data. Although the way the experts perceive local media literacy was diverse, there existed a common perception on the need of local collaborative journalism based on the alliance among local media, local residents, local civic groups, and local governments. The interview results suggested that local media literacy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process of media practices that help the realization of grass-root democracy b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and local media based on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two parties.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directions can be enacted in several areas such as competence in understanding media, competence in media use, competence in media reflection, competence in media practice. 인구감소, 주민의 토지 귀속의식의 약화, 지역 미디어의 쇠퇴, 사회적 인적 네트워크 기능의 상실 등으로 인해 지역이 소멸하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 지역 재생을 위해서는 생활 거점으로서 매력을 높이고, 새로운 연대의 필요성이 강력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 지역민, 지역 미디어 간의 연대를 통한 삶의 공간으로서 지역을 인식하고 미래의 정체성을 만들어 갈 수 있는 시민교육으로 지역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처음 시도되는 개념화 작업이라, 각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했다. 인터뷰 결과, 지역미디어리터러시를 지역사회와 지역 미디어의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지역 미디어가 상호작용을 통해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실천 과정이라 개념화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 지역 미디어, 지역민들 간의 친밀도를 높이고 신뢰를 쌓아 협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 또한 교육 방향성에 관해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이해, 미디어 사용 능력, 미디어 성찰 능력, 미디어 실천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체화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