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소의 자유론

        張世龍 대구사학회 2004 대구사학 Vol.76 No.-

        Liber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oughts of Rousseau. How can we catch the way Rousseau use the liberty? Rousseau classified the concept of liberty into four sorts such as natural, civil, moral and/or political liberty. Natural liberty is a conjectured liberty that is assured by idealized natural state. Civil liberty is the production made from the agreement of original social contract and the performance of people's sovereign. Moral and/or political liberty is the one achieved by people's autonomous decision-making. In general many scholars accept the prescription of Isaiah Berlin to Rousseau's recognition on liberty. He claimed that Rousseau's liberty is not a negative but a positive one. However, his thought also implicates the characteristic of negative liberty which is reflected in the presupposition; that is, peoples should be 'forced to be free' by laws. Rousseau comprehended the positive law, which is enacted by realization of people's general will, as an instrument to assure civil liberty. In fact the arguments of Rousseau on liberty are very complex. Thus the two concepts of liberty classified by Berlin can not be properly applied to Rousseau's thought. Rather Rousseau's notion crosses and traverses the Berlin's two concepts of liberty. By this point I believe that Rousseau's thought serves as a means of searching for the third concept of liberty for present day society.

      • KCI등재

        로크의 자유론

        조승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8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8

        John Locke is respected as an intellectual saint amongst contemporary liberals in any kinds who provided philosophical bases of modern liberalism. They think of liberalism as the very political ideology proper in the modern world which aims at protecting individual rights and private sphere against modern sovereign state. And they agree that in the core of liberalism is negative liberty as non-interference. This paper investigates if this thesis is accountable by discussing Locke’s concept of liberty in the context of seventeenth century political discourse in England and by interpreting it with reference to contemporary republican view of liberty as non-domination. Chapter II reviews seventeenth century English republican view of liberty in the classical version of freeman versus slave which criticized vehemently Hobbesian negative liberty which denied classical free state thesis of liberty. Chapter III finds that Lockean liberty is not negative one as liberals believe. Rather it is positive one which emphasizes that liberty should not be enjoyed in moral vacuum. Therefore Locke believed firmly with republicans against Hobbes that rationally enforced law by consent of people does not diminish liberty but enlarge it. Chapter IV tells contemporary republican interpretations of Lockean liberty. Pettit estimates it as a republican non-domination liberty which insists that the very presence of arbitrary power is inimical to liberty though it does not interfere actually. On the contrary, Skinner excludes Locke from republican camp because he permitted royal prerogatives for realization of common good which seventeenth century republicans regarded as symbol of slavery in which people had to live by depending on the mercy of ruler. Chapter V concludes that Lockean liberty is not at least liberal one which guarantees individuals to leave alone to do what they list without citizenship and rational moral judgement for public interests and common good.(Cheongju University) 최근 정치사상사 학계와 정치철학계의 일반적 합의에 의하면 자유주의의 핵심적 원리는 그 독특한 소극적 자유론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자유주의는 자유를 국가나 타인의 외부적 방해와 간섭의 부재에 한정시킴으로써 개인의 사적 영역을 불가침의 영역으로 성역화 한다. 현대 자유주의자들은 로크를 개인주의적 권리 담론의 태두로 자리매김해 왔다. 그 누구도 침해 받을 수 없는 권리의 담지자로서 개인을 설정하고 근대 이후 등장한 국가 권력으로부터 그러한 개인을 보호할 수 있는 철학을 로크가 제공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의 자유론은 철저히 소극적 자유론이어야 한다. 즉 외부의 간섭의 부재가 곧 나의 자유가 될 때 그러한 논변은 유지될 수 있다. 이성이라는 명목 하에, 공동선이라는 미명 하에,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못 하게 하는 것은 그 목적이 아무리 숭고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나의 자유를 빼앗는 것이다. 그러나 로크의 자유론은 이러한 소극적 자유론이고 할 수 없다. 그는 진정한 자유는 이성적인 지성에 의해 지배되는 삶을 사는 것이요 정치적 자유도 공동선을 실현해야 하는 의무와 별개로 논의 될 수 없다고 보았다. 즉 자유는 도덕적 진공 상태에서 무엇이던 방해 받지 않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로크를 전적으로 자유주의와 연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그의 자유론을 오늘날 회자되고 있는 공화주의 자유론과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이 그 지성사적 위치를 가늠해 보는데 더 유용하다.

      • 홉하우스의 자유론

        조승래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論集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L.T.Hobhouse’s theory of liberty which aimed at revising the traditional liberal conception of negative liberty as the absence of restriction. His effort of emphasizing that liberty was to be positive one was influenced by New Liberals such as T.H.Green who criticized negative liberty as the ideology of ruling class which vehemently struggled against social reform enactment of Liberal party. Hobhouse strongly insisted that state intervention for social justice and common good of community did not destroy liberty. He held that it was for enlarging and enhancing common and equal liberty of citizens. Chapter II describes his intellectual biography and the core tenets of his political thought. Chapter III discusses Green’s New Liberal theory of liberty as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Hobhouse’s theory of positive liberty. Chapter IV analyses Hobhouse’s theory of positive liberty which idealized rational civic personality pursuing common good and communal harmony instead of private impulse and want. Chapter V interprets his theory of liberty as republican one by comparing with Michael Sandel’s theory of positive liberty and Philip Pettit’s theory of liberty as ‘non-domination.

      • KCI등재

        '정치적 자유'의 한 양상 - 최인훈의 19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김진기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7 No.-

        A position of discriminated between 1950's and 1960's has gap in cognizance on the political liberty. The political liberty in 1950's discussed about it does not make clear and even comprehend totalitarian method. Go through the revolution on April 19, such discussion of political liberty was regularized and took more concrete shape. In the system of mighty anticommunism, we can raise an issue of Sun, Woo-hui and Kim, Seong-han as literary reply in connection with the liberalism of 1950's. Sun, Woo-hui was emblematic of a government-patronized liberalism but Kim, Seong-han presented a political liberty as a discussion of resistance at the whole surface, even though his ideological limitations. After the revolution on April 19, a space of literature shows aesthetic differentiation of various form. It is another presentation of the will which discoursed with liberty and equality as the political liberty for the revolution on April 19 in a space of literature. However, such a will was not always friendly about political liberty. The will was evolved now a radical form then a moderately or a conservative form, but anyway it was political contents that implied the private and cIassism character in liberty. This thesis is studying for an literary aspect of political liberty through 1960's literary work. And this thesis makes a study of writer's position about political liberty after the revolution on April 19. Consequently this manuscript survey a situation how can writer's different position embody their literature about political liberty. For this analysis, this manuscript target on Choi, In-hun who was called as a typical writers of 1960's and deal with his literary works was from 1960's. In result, Choi sought to political liberty and made powerfully effort to overcome government-patronized liberalism. To search it carried out for what method grasped topographical map of literature in 1960's and this is important works because of it could analyze the structure of literature in 1970's. 1950년대와 1960년대가 차별화되는 지점은 정치적 자유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있다. 1930년대에도 정치적 자유가 논의되기는 했지만 구체적이지 못했고 심지어 전체주의적 방식으로 이해되기도 했다. 4·19 혁명을 거치면서 이같은 정치적 자유는 전면화되거나 보다 구체화된다. 막강한 반공주의 체제하에서 1930년대 자유주의와 관련한 대표적인 문학적 응답으로서 우리는 선우휘와 김성한을 거론할 수 있다. 선우휘가 예속적 자유주의를 표상해 왔다면 김성한은 관념적인 한계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저항담론으로서의 정치적 자유를 전면에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이같은 정치적 자유는 4·19 혁명을 계기로 하여 보다 전면화되고 구체화되었다. 4·19혁명을 계기로 하여 문학장은 다양한 형태의 미적 분화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4·19혁명의 정치적 자유의 성격과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자유와 평등을 문학의 장 안에서 담론화하고자 하는 의지의 다른 표현이다. 그렇지만 그러한 의지가 항상 정치적 자유에 대해서 우호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이미 1950년대에도 그 분화의 양상이 확인되지만 1960년대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었던 것이다. 그 의지는 때로 급진적인 형태로, 때로는 온건하거나 보수적인 형태로 전개되었는데, 형태야 어쨌건간에 그것은 지극히 정치적인 것이었고, 자유의 내포를 각자의 방식으로 채워나가는 개인적이고 계급적인 성격을 함축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1960년대 작가들의 작품을 정치적 자유라는 개념으로 분석하여 특히 저항적 관점에서 그것이 어떻게 문학화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1960년대 대표작가라 할 수 있는 최인훈과 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로 그의 1960년대 작품들을 다루었다. 이 작가의 1960년대 작품을 정치적 자유라는 주제로 살펴 본 결과 그의 작품세계가 정치적 자유를 추구하면서 1950년대의 예속적 자유주의에서 강하게 벗어나려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수행되는지를 살펴본다는 것은 1960년대 문학의 지형도를 파악하게 해줌과 동시에 나아가 1970년대 문학의 구조까지도 분석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에 중요한 작업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롤스에서 자유의 개념 문제

        염수균(Youm, Su-Kyun)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4 No.4

        롤스가 행위에 적용하는 자유 개념과 인간과 사회에 적용하는 자유 개념은 다르다. 그는 어떤 행위에 대한 자유가 존재한다는 것은 그 행위를 하는 것을 다른 사람이나 국가가 방해하지 않고 그에 대한 기회가 보장된다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렇지만 자유에 대한 그의 입장이 소극적 자유론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한 자유 자체에 정치적 가치를 부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롤스가 인간의 자유에 적용하는 자유 개념은 이성의 도덕적 능력에 기초한 칸트적 자유개념이다. 그는 자신의 이성의 도덕적 판단에 따라 행위할 수 있는 사람을 자유인으로 보았다. 자유로운 사회는 사람들의 도덕적 능력을 발전시키고 그 능력이 발휘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기본적 자유들을 평등하게 보장하는 사회이다. 어떤 사람이 한 사회에서 정치적으로 자율적으로 살아갈 때만 그 사람이 자유로울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롤스의 자유 개념은 고전적 공화주의의 자기입법으로서의 자유 개념과 다르다. 또한 개인의 도덕적 능력과 사회가 보장하는 그 행위의 범위에 의해서 개인의 자유가 정해진다는 점에서 롤스의 자유는 구성원들 사이의 평등한 관계에서 자유가 정해지는 패팃의 비지배 자유와도 다르다. The concept of liberty which Rawls applies to action is different from that which he applies to person and society. He thinks that there is a liberty of an action, if the action is not restricted by other persons or state. But Rawls’ view on the liberty can not be said to negative one. For he does not attribute the political value to the liberty itself he applies to action. The concept of liberty Rawls applies to person is Kantian one which is based on reason’s moral capacity. He thinks free person is one who can act according to the judgements of his own reason. Free society is one in which the basic liberties are equally guaranteed. The liberties are held to develop the moral capacity and make circumstance for its displaying. The Rawls’ concept of liberty is different from the republican liberty as self-legislation in that he does not think political autonomy as the essence of the personal liberty. It is also different from Pettit’s non-domination concept of liberty in that while the Rawls’ liberty is determined by personal moral capacity and social circumstance in which it can be displayed, the Pettit’s liberty is determined by the equality between citizens.

      • KCI등재후보

        도덕교육에서 정치적 자유의 개념

        김상범(Sangbum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5 No.-

        이사야 벌린(I. Berlin)은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한 논문에서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의 두 개념을 구분하고 후자의 개념이 잘못된 자유 개념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본 연구에서는 삼단논법(벌린의 대논증)의 형태로 정식화한 후 이 대논증(Master argument)을 논파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로서 맥컬럼(G. MacCallum)의 삼각관계 모델, 그리고 벌린의 공격으로부터 적극적 자유를 구하려는 크리스트먼(J. Christman)의 적극적 자유의 모델,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극적/적극적 자유가 아닌 ‘제3의 자유’랄 수 있는 공화주의적 자유(Republican liberty) 모델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정치적 자유의 본질적으로 논쟁적인 속성(essentially contestedness)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치적 자유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교육적 현실의 문제점을 밝히고, 오늘날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는 공화주의의 ‘비지배(non-domination)로서의 자유’ 개념을 가르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물론 본 연구는 벌린의 자유의 이분법이 주의 깊게 활용된다면 유용한 교육적 수단일 수 있음을 부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이 자유 개념의 이분법에 경도된 나머지 그것에 내재하는 잠재적 문제점들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소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그리고 도덕과 수업에서 정치적 자유 개념을 다룰때 소극적/적극적 자유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자유 개념을 바라 볼 수 있는 신중하면서 유연한 태도가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Why and how should we teach students political liberty in classroom? Political liberty i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our democratic society(a fortiori in our moral education). Unfortunately, however, political liberty has been taught in classroom as if it had only two concepts. In his most influential paper 「Two Concepts of Liberty」(1969) Isaiah Berlin distinguished between ‘negative liberty’(freedom as non-interference) and ‘positive liberty’(freedom as self-mastery) and argued against the latter. In this article formulate Berlin’s argument as a form of logical syllogism(what I call Berlin’s Master Argument) and examine various conceptual models that can be seen as theoretical attempts to rebut the Master Argument: G. MacCallum's triadic relation model, J. Christman's revised positive liberty model, and Republican liberty model. This article argues that Berlin's useful dichotomy has not only incompleteness and unclarity but also a harmful effect on our students whose moral knowledge and thought need to be both correct and flexible. Thus, this article suggests that our moral and ethics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include the third concept of political liberty, namely Republican liberty(freedom as non-domination) and deal with Berlin's dichotomy more carefully.

      • KCI등재

        이사야 벌린의 소극적 자유론과 한국헌법 제10조

        안준홍 한국법철학회 2010 법철학연구 Vol.13 No.3

        The division into the negative concept of liberty as “the absence of interference” and the positive concept of liberty as “self-government” which Berlin has given the main role in the concepts of liberty has a classical meaning among the modern theories and debates on liberty. There are critics who suggest the single concept of liberty as one and the same triadic relation of agents, preventing conditions, and aims, or as the negative freedom which designates the positive one for its own value. However, first, the negative concept of liberty is an opportunity-concept, whereas the positive one is an exercise-concept. Secondly, we can admit both as concepts of liberty according to our ordinary and general linguistic usage. Thus, individuality and validity as a concept of liberty can be applied to both concepts. Moreover, one can argue that it does not matter whether there exists one, two or even more concepts of liberty.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re are differing concepts(or conceptions) of liberty representing different views of the man and the world. Accordingly, Berlin's two concepts of liberty are beneficial to understanding the differing positions on liberty. Berlin has accentuated the rivalry of the two concepts, but the relation between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liberty cannot be conceived wholly opposed to each other. Both concepts are interdependent and complementary since the negative liberty is a condition of the positive liberty whereas the positive liberty can and must be the value of the negative liberty to some extent. So a synthetic concept of liberty is the appropriate one. The debates on the concept of freedom relate to the value of freedom. The differing positions on the value of freedom may be divided broadly into two distinct categories. One category views it as a means to want-satisfaction, and the other as a condition of autonomy. In general, negative liberty relates to the former, and positive liberty relates to the latter. Berlin has found the value of freedom in the human condition in which a man transforms himself through choices among incommensurable and absolute claims. Thus, Berlin’s view can be read to belong to the want-satisfaction theory, but his unique contribution to the theory is his emphasis on the value of freedom as a condition of the human being’s self-determination. The autonomy- based doctrine of freedom allows discrimination between more valuable and less valuable freedoms, according to their contribution to the ideal of autonomy. But it cannot accept the various kinds of human lives as broadly as the want-satisfaction doctrine does. Thus, the basic value of liberty must be seen as a means to want-satisfaction. Thereafter, the autonomy theory can and should play the secondary role of making the freedoms orderly. This can be viewed as a two-step theory on the value of freedom. Article 10 of the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Human dignity and worth”. It is the leading ideal of the constitution, and the other constitutional rights serve to guarantee it. Thus the interpretation of “human dignity and worth” relates to the debate on the value of freedom. In Korea, some autonomy-based interpretations have been raised. But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above-mentioned,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the clause basically as meaning that human “self-determination” which conceives the autonomy as an option for choices and permits even irrational choices. This makes the clause more effective by permitting broader ranges of human lives to be acceptable. The autonomy can and should be the secondary criterion which makes the various human lives thus accepted orderly.

      • KCI등재후보

        롤즈의 자유의 우선성 재해석: 자유의 가치를 보완하는 유연한 해석

        김남희 ( Kim Nam Hee ) 한국윤리학회(8A3209) 2022 윤리학 Vol.11 No.1

        롤즈는 원초적 입장의 개인들이 물질적인 가치보다 자유를 선호한다고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경제적 이득을 위해서 어느 정도는 자유를 포기한다. 엄격한 자유의 우선성이 정당한가에 대한 비판은 그래서 계속 있어 왔다. 쟁점은 제1원칙에서 보장한 동등한 자유가 실질적으로는 동등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제1원칙의 보장만으로 동등한 시민의 지위가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1원칙의 자유가 제2원칙의 차등원칙을 포용하여 현실화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보다 현실적이고 안정적인 자유의 우선성을 지지하기 위하여 자유와 자유의 가치가 연결된 롤즈의 자유 개념을 도출하여 기존 비판에 대응하는 보다 유연한 해석의 토대를 마련하고, 이에 따라 제1원칙의 자유와 제2원칙의 차등원칙이 조건부로 자유의 우선성을 지지하는 해석을 새롭게 제안한다. Although Rawls explained that all parties in the original position prefer the equal liberty to economic benefits, people generally may give their liberties up for the sake of greater economic benefits. Therefore, there have been criticisms on the justification of the priority rule. The major issue lies in the basic liberties guaranteed by the first principle are socioeconomically not equal depending upon the greater authority and wealth. If there is a specific case in which equal citizenship is not solely guaranteed with the first principle, we need to come up with a more realistic substantive way by embracing the second principle. This study deduces to find a basis of more flexible interpretation responding to criticisms of the priority rule by analyzing the conception of Rawls' liberty that liberty and the worth of liberty are linked. A new interpretation basis on this finding combined liberty and the worth of liberty(can be called as ‘two principles of liberty’) is suggested: i.e., the liberty of the first principle and the difference principle of the second principle are conditionally cooperated together only for supporting the priority of basic liberties. Rawls also thought the priority of liberty comes into play in society under certain favorable socioeconomic conditions. The problems are, firstly, people may give up liberties for the greater economic benefits if they wish until the point is reached to the favorable condition, and secondly, even when such time arrives,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tability of regulation by the priority of liberty. But those problems will be resolved by means of adopting these ‘two principles of liberty’ and the priority of liberty in Rawls’ will, correspondingly, be chosen as a more realistic and stable theory.

      • KCI등재

        [특집: 더 나은 민주주의를 위한 정치철학] : 정치적 자유의 공화주의적 출구 -아렌트, 페팃, 루소의 자유론을 중심으로

        정원규 ( Wongyu Je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0 No.-

        필자는 이 글에서 아렌트, 페팃, 루소의 자유론이 벌린식 자유주의적 자유론의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아렌트의 자유론은 자유는 사적 영역의 속성이 아니라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벌린의 자유론과 가장 극명히 대비되는 공화주의적 자유론의 한 전형이다. 로마 공화정의 자유론을 계승하여 자유를 비지배로 정의하는 페팃은 벌린과 달리 자유는 소극적인 것도, 적극적인 것도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아렌트와도 달리 자유는 사적, 공적 영역의 구분과 무관하게 모든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공화주의적 자유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아렌트와 페팃의 자유론은 각각 소극적 자유의 보전 이상의 것으로서 정치적 자유의 독자적 의미와 기능을 명료히 밝혔다는 점에서, 그리고 자유의 개념과 적용 범위가 공적 영역이나 사적 영역 중 어느 한 곳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드러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지만 각각 나름의 한계를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 면에서 필자가 가장 합당한 것으로 생각하는 공화주의적 자유론은 그것의 절차주의적 변용을 허용한다는 전제 하에서 일반 의지로 대표되는 루소의 자유론이다. Berlin`s liberty theory gets a favorable response, since it theoretically changes the main issue of political liberty from the legitimacy of rule to the area of non-interference. However, it cannot avoid criticism that the negative liberty conflicts with the contemporary ideal of welfare state. Furthermore, it makes the idea of political liberty meaningless. Recently, even some liberals join to criticize Berlin`s liberty theory. However, the liberal critics tacitly share the same wrong premise with Berlin. Both of them deal with political liberty as built-in. Political liberty is, for liberals, not the property of political action itsel but the result of political action. Against this line of criticism, I try to examine three republicanist potentials in this article. First, H. Arendt exhibits a typical republican concept of political liberty by defining political liberty as public one. Second, P. Pettit proposes another republican concept of political liberty as non-domination. Arendt`s concept of political liberty can be prized, since she partly succeeds to defend a public meaning of political liberty against negative liberty. Pettit`s liberty also has a good point, in that it encompasses all domains of political liberty. However, I finally recommend Rousseau`s conception of political liberty as the most feasible republicanist alternative.

      • KCI등재

        연구논문 : 밀의 "민주적 자유" 개념에 대하여 -벌린의 두 가지 자유 개념을 넘어서-

        임정아 ( Jeong Ah Lim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59 No.-

        벌린(I. Berlin)의 논문 "두 가지 자유" 이후로, 밀의 자유 개념은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의 틀 안에서 해석되어 왔다. 그리고 밀의 자유는 정치적 이론과 분리되어 이해되어 왔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벌린의 두 가지 자유로 밀의 자유 개념을 이해할 때의 문제점을 분명히 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벌린은 ``불간섭``으로서의 소극적 자유 개념으로 밀의 자유에 반(反)사회적이고 반(反)의무적인 성격을 부여했고, 정치적인 것으로부터 자유를 분리시켰다. 그러나 연구자는 벌린의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개념으로는 밀(J. S. Mill)의 자유를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오히려 밀은 벌린의 주장과는 정반대로 정부 형태와 긴밀한 연관을 갖으며, 의무와 상반되지도 않고, 반사회적이지도 않는 자유를 주장한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밀의 해악 방지의 원리, 의무 이행, 정치적 의무가 함의하는 주장은 개인들 사이의 책임의 상호성과 대칭성에 근거한 자유이다. 이러한 자유 이해에 근거하여 연구자는 규범적이고 평등주의적인 기준을 갖는 정치적(민주적) 자유가 밀의 자유 개념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 자유의 기준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선호가 아니라 ``이성``에 의해 지지되는 결정의 형태, 결정 과정에의 참여, 결정에 관련된 사람들 간의 상호성의 요청을 포함한다. 따라서 밀의 민주적 자유는 개인의 자유가 정치적 자유와 양립가능하며, 자유주의와 민주주의가 양립 가능한 자유이다. 이와 같은 밀의 자유 개념은 더 이상 사회와 윤리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정치적 영역까지 확장된 내용으로 이해될 수 있는 자유 개념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riticize the problems of the Berlin`s two concepts of liberty.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Two Concepts of Liberty", Mill`s thought has been subjected to a kind of pendulum syndrome. It is either glorified or vilified for having made individual liberty prior to social obligation, or for having propounded a teleological liberalism that advocated state intervention for the sake of individual flourishing. While Mill did provide a definition of freedom from interference, he did not individual liberty antisocial, nor did he think that it could be secured without some ``duties`` to the public, nor, consequentially, did he claim that the form of government was irrelevant to its enjoyment and preservation. The harm principle itself and political duties imply that Mill argued for liberty based on reciprocity and symmetry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Political Liberty(Democratic Liberty), which is beyond the ``negative`` and ``positive`` dichotomy, is the vindication of the right people to partake in and make judgement about decisions that are mutually binding and practices that embody roles and obligations. Since Mill`s concept of liberty reformulated in terms of reciprocity, his theory of negative liberty must be located within his theory of political lib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