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甁窩 李衡祥의 禮的 秩序에 대한 易學的 해석 ?物則篇?의 人倫的 規範에 대한 周易 解釋을 중심으로

        정병석,권상우 한국유교학회 200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5 No.-

        Byungwa, Lee Hyung Sang's Analyzing Moral dutiful Order of Li by I-Ching / Jung Byung Seok⋅Kwon Sang Woo In this paper, I shall examine Byungwa, Lee Hyung Sang's study on Yi Ching by critically analyzing his Mulchicpyun(a sentence stating that everything consists of the law). The reason why I particularly focus on his Mulchicpyun among Lee's other philosophical works on Yi Ching is that he tries to explain actual and practical matters of philosophy in terms of the very Mulchicpyun. For instance, it is his Mulchicpyun that explains normative matters in terms of the combination of Li and Yueh, the theory of change of Yi Ching, and a certain nexus and mutual response: In his Mulchicpyun, he explains away domestic and societal normative ethics in terms of 23 gua. For him, gua of Yi Ching plays a crucial role in consistently explaining normative system of Human beings. Every home is composed of parents, offsprings, brothers, and sisters. It is certain that each member of each family group plays a different role in each family group. There should also be self-love and reverence among family members. This is the very reason of moral culture and governing one's family wisely. Byungwa tries to establish a new view that connects Yueh emphasizing harmony to hierarchial moral dutiful order of Li that only concentrates on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So far as moral dutiful Li gets stronger, it causes non-actual thought to occur, and the dogma of Li to occur through fixing stronger hierarchical order. This made Byungwa think that the problems of Li should be backed up by Yueh. At this point, he suggests changes and exchanges of Yin-Yang as Yeuh-centered view. All this is clarified in his Mulchicpyun. 본 연구는 기존에 거의 연구가 되지 않았던 병와 이형상의 주역 연구, 그 중에서도 특히 물칙편을 중심으로 분석하려고 한다. 다른 많은 주역 관련 저작들을 놓아두고 물칙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려는 이유는 당시의 현실적 문제를 주역이 가지고 있는 철학적 성격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예와 악의 결합, 주역의 변역이론, 교류와 상호감응의 문제들을 통하여 인륜적 규범들을 해석하는 저서가 바로 물칙편이기 때문이다. 그는 물칙편에서 23개의 괘를 이용하여 가정과 사회의 윤리적 규범들을 해석하고 있다. 병와는 가정을 중심으로 하는 인륜적 규범체계를 주역의 괘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모든 가정에는 부모와 자식, 부부, 형제자매로 구성되어 있다. 가정을 구성하는 이들 구성원들은 각기 자신이 처해 있는 위치에 따라 지켜야 할 분수가 있기 마련이다. 또 각 구성원들 간에는 자애하고 공경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수신과 제가의 도리라는 것이다.병와는 주역을 통하여 分別과 다름(異)만을 강조하는 예의 위계적 명분론적 질서에 다시 조화를 강조하는 악을 결합하려는 시도를 하려고 한다. 명분론적인 예는 철저할수록 비실제적 사고를 유발하고 존비)의 위계적인 질서를 더욱 확고하게 구성하여 예의 도그마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런 현실이 병와로 하여금 예적 질서로 인해 야기된 폐단을 樂을 통해 보충하려는 시도를 하게 만든다. 여기에서 그는 樂論을 강조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주역이 말하는 음양의 조화를 통한 변역과 교역의 관점을 제시한다. 즉 병와는 고정된 지위의 위계적 질서만을 강조하는 예론에 조화를 강조하는 악론을 보충하여 계층 간의 조화를 이루려고 시도한다. 이런 경직화된 현실의 예적 질서를 조화시킬 수 있는 樂의 관점을 주역 속에서 발견하려는 시도가 구체화된 것이 바로 물칙편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陳暘 『樂書』 禮樂論의 易理的 硏究

        조민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A native of Minqing County in Fujian Province, Chen Yang was a jinshi (a palace graduate) in China's North Song Dynasty, who later served in the Ministry of Rites. His Yue Shu, a scholarly work with a huge mass of valuable information on Song- and pre-Song-Dynasty music, is of great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Generally regarded as the earliest encyclopedic volumes of musicology in Chinese history, and perhaps even in world history, Yue Shu has been an important and indispensable work of reference in the study of Chinese music. The 200-volume masterpiece, noted for its early date of publication and wide coverageanging over a period between the Han-Tang Dynasties and the Ming-Qing Dynasties, is a rare collection in the treasure of Chinese musicology. This master of Chinese musicology and the academic value, historical statu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his Yue Shu, thus merit ampler attention. A survey of existing scholarship shows that since the 20th century most of the studies of Chen Yang and his Yue Shu, have been conducted from historical in the context of cultur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Based on genealogical information and historical accounts obtained from field work and drawing on relevant scholarship such as A History of the Song Dynast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ing Confucian art view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understanding of Li-Yueh Thought, verifying the ontological basis of Li-Yueh, and then Li-Yueh made on the model Tien-ti and the effect of its realization. The Book of Chang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assics. The Text of the Book of Changes is made up of 64 hexagrams and two explanatory texts under each hexagram. Yin and Yang is two important opposite concepts in Chinese philosophy and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products of the interactions of the two forces. The ancient Chinese music Dao,based on the basic domains of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y, namely Dao. Such as theme are effected Li-Yueh and Chen Yang's Yue Shu. 陳暘은 『樂書』에서 공자, 맹자, 순경 양웅을 비롯하여 많은 학자의 언급 『論語』, 『孟子』, 『中庸』, 『周易』 등과 같은 유가의 경전을 통한 이해 뿐만 아니라 『列子』, 『老子』, 『莊子』 등 도가경전에서 여러 문구를 적용해 이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점은 진양이 『禮記』 「樂記」(이하 「樂記」로 함)의 내용을 단순히 유가적 차원에서만 해석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인데, 이런 이해 중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악기」의 대부분의 문구를 음양론 혹은 역리적 차원에서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진양은 「악기」를 이해함에 있어 ‘以易言之’, ‘以易求之’ 등의 표현과 함께 ‘與易A同意’, ‘在易...’ ‘易言...同意’ 등과 같은 표현을 통해 이해한다. 악기에 대한 이해에서 주역의 諸卦를 적용하여 풀이하되, 특히 陰陽論을 적용하여 관련지어 풀이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하도와 낙서를 적용하여 이해하기도 한다. 본고는 일단 진양이 예악에 대한 음양론적 이해 및 河圖⋅洛書와 관련된 언급을 보되 『주역』의 諸卦를 응용하여 이해한 것 가운데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한 것을 논한다. 진양이 예와 악을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이해하는 것은 「악기」에 이미 천지와 건곤 혹은 건곤의 易簡之理, 그리고 음양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이 태생적으로 간직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樂著太始, 禮居成物’, ‘樂由天作, 禮以地制’, ‘樂者, 天地之和, 禮者, 天地之序’ 등과 관련된 예악의 발생론적 측면 혹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공능성을 말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진양은 禮를 陰으로, 樂을 陽으로 보되, 그것들의 발생론적 측면으로는 ‘樂由陽來’와 ‘禮由陰作’이란 틀을 견지하면서 예악이 갖는 형이상학적 의미를 밝힌다. 특히 음양 對待의 交易적 측면과 음양 流行의 變易적 측면을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아울러 하도낙수 혹은 선천후천적 측면 및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진양의 이런 이해를 통해 예와 악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후보

        특별논문(特別論文) : 진양(陳暘) 『악서(樂書)』 예악론(禮樂論)의 역리적(易理的) 연구(硏究)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陳暘은 『樂書』에서 공자, 맹자, 순경 양웅을 비롯하여 많은 학자의 언급 『論語』, 『孟子』, 『中庸』, 『周易』 등과 같은 유가의 경전을 통한 이해 뿐만 아니라 『列子』, 『老子』, 『莊子』 등 도가경전에서 여러 문구를 적용해 이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점은 진양이 『禮記』 「樂記」(이하 「樂記」로 함)의 내용을 단순히 유가적 차원에서만 해석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인데, 이런 이해 중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악기」의 대부분의 문구를 음양론 혹은 역리적 차원에서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진양은 「악기」를 이해함에 있어 ``以易言之``, ``以易求之`` 등의 표현과 함께 ``與易A同意``, ``在易...`` ``易言...同意`` 등과 같은 표현을 통해 이해한다. 악기에 대한 이해에서 주역의 諸卦를 적용하여 풀이하되, 특히 陰陽論을 적용하여 관련지어 풀이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하도와 낙서를 적용하여 이해하기도 한다. 본고는 일단 진양이 예악에 대한 음양론적 이해 및 河圖·洛書와 관련된 언급을 보되 『주역』의 諸卦를 응용하여 이해한 것 가운데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한 것을 논한다. 진양이 예와 악을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이해하는 것은 「악기」에 이미 천지와 건곤 혹은 건곤의 易簡之理, 그리고 음양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이 태생적으로 간직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樂著太始, 禮居成物``, ``樂由天作, 禮以地制``, ``樂者, 天地之和, 禮者, 天地之序`` 등과 관련된 예악의 발생론적 측면 혹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공능성을 말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진양은 禮를 陰으로, 樂을 陽으로 보되, 그것들의 발생론적 측면으로는 ``樂由陽來``와 ``禮由陰作``이란 틀을 견지하면서 예악이 갖는 형이상학적 의미를 밝힌다. 특히 음양 對待의 交易적 측면과 음양 流行의 變易적 측면을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아울러 하도낙수 혹은 선천후천적 측면 및 건괘와 곤괘를 적용하여 풀이하고 있다. 진양의 이런 이해를 통해 예와 악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A native of Minqing County in Fujian Province, Chen Yang was a jinshi (a palace graduate) in China`s North Song Dynasty, who later served in the Ministry of Rites. His Yue Shu, a scholarly work with a huge mass of valuable information on Song- and pre-Song-Dynasty music, is of great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Generally regarded as the earliest encyclopedic volumes of musicology in Chinese history, and perhaps even in world history, Yue Shu has been an important and indispensable work of reference in the study of Chinese music. The 200-volume masterpiece, noted for its early date of publication and wide coverageanging over a period between the Han-Tang Dynasties and the Ming-Qing Dynasties, is a rare collection in the treasure of Chinese musicology. This master of Chinese musicology and the academic value, historical statu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his Yue Shu, thus merit ampler attention. A survey of existing scholarship shows that since the 20th century most of the studies of Chen Yang and his Yue Shu, have been conducted from historical in the context of cultur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Based on genealogical information and historical accounts obtained from field work and drawing on relevant scholarship such as A History of the Song Dynast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ing Confucian art view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understanding of Li-Yueh Thought, verifying the ontological basis of Li-Yueh, and then Li-Yueh made on the model Tien-ti and the effect of its realization. The Book of Chang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assics. The Text of the Book of Changes is made up of 64 hexagrams and two explanatory texts under each hexagram. Yin and Yang is two important opposite concepts in Chinese philosophy and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products of the interactions of the two forces. The ancient Chinese music Dao,based on the basic domains of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y, namely Dao. Such as theme are effected Li-Yueh and Chen Yang`s Yue Shu.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