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 연구

        주월랑(Ju Woalr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양상을 논의하기 위해서 베트남과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였으며, 이후 여성결혼이민자의 각 변수(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적, 한국어 학습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거주기간에 따라 문화적응(F=3.076,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기간에서는 언어불안(F=2.829, 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이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국적별로 분리하여 상관성을 측정한 결과,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 문화적응이 높아질수록 언어불안이 낮아지지만,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문화적응이 높아져도 언어불안은 낮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별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의 상관성은 차이가 나타났으나, 결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간, 한국어 학습기관은 문화적응이나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앞서 살핀 본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단순히 제2언어 환경에 단순히 노출되는 상황이 지속 되더라도, 문화적응을 높이면서 언어불안을 낮추기 위한 개인적 및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discuss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of femalemarriage immigrants targe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and China. To begin with, average values of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were measured andafterwards,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of female marriageimmigrants(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the study carried out t 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came up with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residence-length-based cultural adjustment(F=3.076, p<.05) while nodifferences in nationalities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observed. Regarding lengthof Korean language learning, only language anxiety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F=2.829, p<.05). In addition, when the study investigated correlations of language anxiety, cultural adjustment andeach of the variables, it learn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ould not affect correlationsbetween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However, the nationality -based correlationsurvey showed 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their language anxiety andcultural adjust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en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have a negative(-) correlation. Those results confirm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the higher their cultural adjustment gets,the lower their language anxiety gets while in term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Vietnam, even when their cultural adjustment increases, their language anxiety doesn’t decrease. In other words, the nationalitie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ad to correlations with language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and yet, no correlations with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anxiety were caused by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ngth of residence,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What the results above signify is thatin spite of exposure to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personal and social efforts shouldbe required not only to increase cultural adjustment but also to decrease language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