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요구 분석

        공펭 소파(KHONGPHENG SOP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고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교사들이 한국에서 이수한 교사 양성과정과 태국 내 한국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 문화 재교육이 개발되었을 때 필요로 하는 교육 시간, 교육 방식,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 ‘Google Docs’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기초 정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교사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요구 조사 결과, 태국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문화교육에 대한 주제는 일상생활 문화, 대중문화, 예절 문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review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Further, it analyzes the satisfaction with teachers’ training courses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Thailand. Thus, to develop the cultural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 demand survey on the preferred training time, method, and educational content was conducted. The demand survey was emailed to 20 Korean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using “Google Docs”. When elaborating the content of the needs survey,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basic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demand for the teacher culture re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ai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refer the cultural topics of daily life culture, popular culture, and etiquette culture.

      • KCI등재

        한국어 교사 대상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과 개선 방향 : <한국 문화 활용 교수법>을 중심으로

        강소영(Kang so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문화 교수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문화 교육 영역에서 한국어 교사를 위해 어떤 내용이 더 보완되고,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 가운데 어떤 요소가 더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여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분석 대상은 현재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한국 문화 활용 교수법 교과목을 중심으로 문화 영역 PCK에 근거하여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이론적 설명과 사진이 함께 제시되면서 내용 정리가 잘 되어 있었으며, 교과 내용지식과 교수학적 지식에 대한 부분이 교사가 이해하기 쉽도록 재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현재 체계적이지 않은 지식 체계의 전달로 인해 실제적인 교수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전문성이 제대로 갖춰질지 의문스러운 상황이었다. 특히, 상황적 지식과 학습자의 문화 지식, 학습 평가 지식 등에 대해서는 온라인 재교육에서도 여전히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향후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of online re-education programs offer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ability to teach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was suggested by exploring which content should be further supplemented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cultural and educational areas and which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should be considered more.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based on the PCK in the cultural field, focusing on the teaching methods for utilizing Korean culture currently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photographs were presented together in terms of formality, the contents were well organized, and the parts of the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knowledge provided a re-education environment for teachers to understand easily. However, it was questionable whether the expertise gained through practical teaching activities would be properly provided due to the delivery of an unsystematic knowledge system. In particular, concerning the contextual knowledge, the learner’s cultural knowledge, and the knowledge of learning evalu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online retraining still did not provide th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urrent online re-training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more specifically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programs.

      • KCI등재

        한국어 교사의 문화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 - 세종학당 파견교사의 문화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천적 지식을 중심으로 -

        이준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dispatched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Korean culture classes and presents specific action plans to improve Korean culture class expertise. As a result of reorganizing and cross-analyzing PCK in the cultural area, 93.6% of teacher said that it was more difficult than language classes, regardless of education, experience, and qualification level.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cultural classes are perceived as difficult in terms of both content knowledge and method knowledge. A re-education plan is needed to obtain and revise and supplement process knowledge through specific cultural class model education, participation in standard culture class design, and bottom-up reflection process. In addition, to improv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by sharing the cultural class model which is developed through sharing process knowledge between teachers.

      • KCI등재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서의 설화 ‘다시쓰기'

        구민지,김원경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학 Vol.15 No.2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 한국 설화 ‘다시쓰기’의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학생 대상 교양 수업에서 설화 <선녀와 나무꾼>을 활용하여 ‘다시 쓰기’를 진행하여 학습자들의 스토리를 살펴보았다. 수업은 한국어 학습 수준에 따라 초급과 중· 고급으로 나뉘어 진행되 었으며 수업 중에 학습자들이 작성한 ‘다시쓰기’의 결과물 103편을 구 성 측면과 내용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초급 학습자들은 구 성 측면에서 기본적인 단순한 스토리를 만들고 내용적으로는 원전의 화소를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 고급 학습자들은 원전의 구성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스토리의 구성요소 중 일부를 변형 혹은 보완하였 다. 또한 원전의 구성과 다른 새로운 스토리를 만든 경우는 다양한 양 상을 보였다. 내용 측면에서는 매우 다양하게 화소를 변형 또는 삭제 하여 자유롭게 스토리를 풀어 나갔는데 신인교혼 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또한 지상의 가치를 지양하고 주인공이 문제를 자력으로 해결하는 스토리가 많아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력이 작용한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설화 ‘다시쓰기’를 통해 언 어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표현 능력을 진작시키고 비판적 사 고를 통해 한국 전통 문화를 깊이 있게 재해석할 수 있었다. 이에 유학 생 대상 교양 교과목에서 한국 설화 ‘다시쓰기’가 효과적인 한국 언어 문화 교육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2,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re– writing” Korean folktales as a way to educate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bou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do this, we used the folktal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the cultural class meant for foreign students to review learners’ stories. The classes were divided into the beginner and the intermediate– advanced level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ents’ Korean language study, and 103 “rewriting” articles prepared by the learners during the clas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position and content. The beginner– level students tended to create simple stories that were related to the composition topic and include the motifs of the original story in their content. The intermediate–advanced learners had to modify or supplemen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story if they were to maintain the composition of the original story. Moreover, when they created a new stor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 it had to reveal diverse aspects of how the story was ev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