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류콘텐츠, 한국제품 및 서비스경험이 한류선호 및 한국인식변화,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일본,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김도희,이지원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2

        한류의 확산으로 인한 한류콘텐츠와 다양한 산업과의 융복합화는 화장품, 의류, 식품, 가전제품 및 휴대품등 소비재 수출증가와 의료 및 관광 등 서비스산업에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한류의 글로벌확산과 한류 내용 및 범위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주로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일부 한류콘텐츠(특히, 드라마, K-pop 등)의 선호도, 국가이미지, 태도, 구매의도, 방문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고찰하는 연구들로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한류콘텐츠 유형 및 한국 제품과 서비스 경험을 포함하는 포괄적 연구가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류의 중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드라마, 영화, K-pop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웹툰, 게임을 포함한 한류콘텐츠 경험과 한국 제품 및 서비스 경험이 한류에 대한 선호, 한국 인식변화,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국가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중국시장은 애니메이션과게임이 한류선호 및 인식변화 그리고 학습의도, 방한의도에 있어 모두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변수로 나타나한류 콘텐츠가 점차 진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한국제품 및 서비스 경험의 경우 식품, 서적, 가전제품이 공통적으로 한류선호와 인식변화에 영향력이 켰으며, 학습의도와 방문의도에 있어서는 서적, 화장품, 의료서비스가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시장은 예능, 애니메이션, 웹툰이 공통적으로한류선호와 인식변화, 그리고 학습의도와 방문의도에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고, 한국제품과 서비스 경험 중식품, 화장품, 서적이 한류선호와 인식변화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변수이며, 학습의도와 방문의도에는 식품,서적, 패션, 액세서리 등 저관여 제품의 구매경험이 중요한 영향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국시장의 경우 드라마가 한류선호 및 인식변화, 학습의도와 방문의도에 가장 큰 영향변수이고, K-pop, 게임 등도공통적으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나 한류콘텐츠의 성장시장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한국제품과 서비스 경험중에서는 한류선호와 한국인식변화에 액세서리가 공통으로 중요한 영향 변수로 나타났고, 서적과 액세서리는학습의도에, 그리고 한식당, 화장품, 식품은 한국방문의도에 중요 영향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별분석과 진단을 통한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Hallyu or Korean wave” boom first emerged in the late-1990’s when Korean TVdramas and pop music gained great popularity in China. It then expanded to the USA, Europe andLatin America, and even across the China and Japan. This trend linked broad interests in Korea, suchas its food and language, with Korean mass culture. The convergence of Hallyu content and industrieswith the ‘Korean wave’ has had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Korean exports of consumer products,such as cosmetics, fashion, food, home appliances, and mobile phones, as well as growth in tourismand medical services. However, in spite of the global expansion of the Korean wave and the diversityof Korean wave contents and its range,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wave have narrowlyfocused on its effects on preferences, including images about Korea,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products, and interest in visiting Korea -- mostly from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 Along withexpanding definitions or perceptions of the Korean wave to include Korean more products and services,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Korean wave contents including TV dramas, entertainmentprogram, movies, K-pop, animation, webtoons, online games, products and services (medical servicesand tourism) on potential consumers in the major markets of China, Japan, and the USA.This research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consuming Korean wave contents,products and services on Korea wave preference, changes in awareness about Korea, and behaviorintentions (learning about and visiting Korea) to investigate differences among China, Japan and USAwith 500 samples from each country, collected from November 19 to December 10 in 2018. In China,the study found that animation and online/mobile games had the greatest general impact on preferencesfor Korean wave content, changes in awareness, and intentions to learn more about and visit Korea.Among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food, books, and home applianc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preferences for the Korean wave and changes in awareness about Korea. Books, beauty products,and medical services had the greatest impacts on intentions to learn and visit Korea respectively.In Japan, entertainment program in TV, animation and webtoons had the greatest general impacton preferences for the Korean wave, changes in awareness about Korea, and intentions to learn aboutand visit Korea. Among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food, beauty, and books had the greatestgeneral impact on preferences for the Korean wave and changes in awareness about Korea. Food,books, fashion, and accessories had the greatest impacts on intentions to learn about and visit. Inthe United States, TV dramas, followed by K-pop and online games, had the greatest general impactson preferences for the Korean wave, changes in awareness about Korea, and intentions to learn aboutand visit Korea. In terms of products and services, accessor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preferencesfor the Korean wave and the changes in awareness about Korea. Books and accessories had thegreatest impacts on intentions to learn about Korea, while restaurants, beauty, and food had the greatestimpacts on intentions to visit Korea.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ongoing, stable expansion of the Koreanwave are discussed. Firs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support the export of Korean productsand service along with Korean wave contents to increase positive awareness about Korea. Second,given tha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pact of mobile contents such as webtoons, mobile gamesand animation, it is important to extend the categories of Korean wave contents and products tofocus more on web-based content such as online/mobile games and animation. Last, it needs to developa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for Korean wave contents and products that considers the regionaldifferences of consumer interests and needs.

      • KCI등재

        국가 간 거리가 K-Pop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글로벌 확산에 미치는 영향

        박승배(Seungbae Park),홍재원(Jaewon Hong) 대한경영학회 2016 大韓經營學會誌 Vol.2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한류 문화 콘텐츠의 전 세계적 확산에 있어서 국가 간 문화적 차이의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한류 확산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글로벌 한류 확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가졌다. 이는 한류 콘텐츠의 전 세계적 확산을 확인해 줄만한 실증적 자료가 부족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ofstede(1980; 1991)의 문화적 가치 범주와 Ghemawat(2001)의 문화적 차이 구분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한류 콘텐츠의 전 세계적인 확산이 확인될 수 있는 K-Pop ‘강남스타일’ 온라인 한류확산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K-Pop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글로벌 확산에 각국의 문화적 영향을 웹문서, 동영상, 이미지 형태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한류의 확산은 국가 간 특정한 문화적 차이와 이에 근거한 지리적 변수, 그리고 경제적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웹문서 형태의 K-Pop 한류 콘텐츠는 권력거리가 크고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덜 발전된 나라이고 인구가 적은 나라가 확산이 잘되었으며, 지역적으로는 미주지역과 유럽지역에서 확산이 잘되었다. 이는 K-Pop의 온라인 확산 국가의 양극화를 나타내는 내용으로서 동남아를 비롯한 국가들을 기반으로 전 세계로까지 확산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으며, 개인주의 문화일수록 자기능력함양이나 개인의 관심사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다른 상징수단에 비해 인지적 노력이 많이 요구되더라도 기꺼이 웹문서를 탐색하여 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동영상 형태의 K-Pop 한류 콘텐츠는 권력거리가 크고 불확실 회피성이 낮은 국가일수록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적으로 미주지역과 유럽지역에서 확산이 잘되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콘텐츠의 확산은 ICT 인프라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미주지역이나 유럽지역은 ICT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어서일 것으로 생각되며, K-Pop 한류가 동남아를 넘어 미주와 유럽으로 전 세계적인 확산이 된 것은 동영상이 중심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이미지 형태의 K-Pop 한류 콘텐츠는 문화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권력거리가 크고 불확실 회피성이 낮은 국가일수록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불확실 회피성이 낮은 국가의 경우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 하기 때문에 온라인 한류 문화콘텐츠의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 online Korean Wave diffusio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In existed studies, it w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orean Wave diffusion. But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fluence of countries with relatively less interest in diffusion of Korean Wave.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hat explain diffusion of Korean Wave using empirical data to show worldwide spread of Korean Wav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trying to investigate cultural effect of countries in the global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through empirical data of “Gangnam style” Korean Wave diffusion phenomenon in web, Youtube, image ect. Based on Hofstede (1980, 1991)’s cultural value and Ghemawat (2001)’s type of cultural distance, and on the basis of data that was collected through the Google Trends, we investigate the cultural effect on the global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in online. Based on finding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 some Korean Wave diffusion strategy in online to guide Korean Wave diffusion based on cultural distance for Korean Wave managers.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usion of Korean Wave influenced by geographic distance, economic distance and specific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ations. It is as follows in more detail. First, K-pop contents of web document type are well diffused in the country with strong individualism and large power distance. Also these are well diffused low development country and small population country, North America and EU by geographic distance. This result might show that online diffusion of K-Pop Korean Wave reflect polarization of online diffusion and globalization based on Southeast Asia. Text contents are generally required more cognitive efforts than other contents type. Because the more it is individualism culture, the more people focus on cultivation of self-ability and personal interest, we think that people with individualism culture are willing to search web text even though it is required much cognitive efforts. Second, K-pop contents of Youtube type are well diffused in the country with weak uncertainty avoidance and large power distance, North America and EU by geographic distance. Because ICT infrastructure of country influence online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Hong & Park, 2014), the more Korean Wave contents diffuse throughout North America and EU that are well equipped ICT infrastructure. This result might show that it is K-pop contents of Youtube type that take lead of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throughout North America and EU beyond limit of Southeast Asia. Third, K-pop contents of image type are only influenced by cultural factor and are well diffused in the country with weak uncertainty avoidance and large power distance. This result might show that because people in the country with weak uncertainty avoidance positively accept new culture,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expand well.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effort for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should focus on country of large social inequality and country to set a high value on the freedom and achievement of individual. This study is lots of limit. First, because this study only investigate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 contents, ‘Gangnam Style, A lot of problems may occur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study. Second, limitation of data exist. we analyze data collected through the Google Trends only. Finally, although cultural nature of country is not easily change, Hofstede (1991)’s cultural distance data is old established data.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should be considered data reflected the change of times.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확산 및 지체 요인과 지속 가능성

        주정민(Joo, Chung-Mi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확산과 지체를 반복하고 있는 한류 콘텐츠의 지속적 확산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류 콘텐츠의 확산요인과 지체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류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최근 한류 콘텐츠가 확산되었던 요인으로는 콘텐츠의 우수성에 기반한 경쟁력, 수출국의 한류 콘텐츠 수용에 대한 긍정적 여건, 문화사회적인 유사성과 근접성, 그리고 한류 콘텐츠를 유통할 수 있는 미디어의 확산 등이었다. 그리고 한류 콘텐츠 확산을 지체시키는 요인으로는 정부의 소극적인 한류 수출 정책, 방송사의 제작 및 콘텐츠 투자여건 악화, 콘텐츠 수출국의 각종 규제와 반 한류 현상 등이 작용하였다. 한류 콘텐츠 확산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수출국과 공동제작 및 현지화, 타깃 층을 고려한 제작 등이 필요하고, 정부의 한류지원 시스템 구축, 한류 콘텐츠 제작을 위한 제작기반 조성 및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관련국가와의 우호적인 관계형성과 교류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한류 콘텐츠가 양산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continuous expansion plans for Korean Wave content, whose expansion and delay had been repeating. For that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expansion and delay factors of Korean Wave content and examined its continuous activation plans based on them.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everal factors to explain the recent spread of Korean Wave content including the competitive edge based on content excellence, positive conditions for the acceptance of Korean Wave content in countries where it was exported, cultural and social similarity and proximity, and spread of media to distribute the Korean Wave content. The delay factors of Korean Wave content include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assive export policies of Korean Wave, deterioration of production and content investment conditions at broadcasting stations, and all kinds of regulations and anti-Korean Wave phenomena in countries where it was exported. The continuous expansion of Korean Wave content demands that South Korea should join forces with other countries in production and localization an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target groups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system to support the Korean Wave and build and advocate a production foundation for the Korean Wave content. In addition, an ecosystem should be built to produce quality Korean Wave content in large volumes by forming favorable relationships with concerned countries and promoting exchanges with them.

      • KCI등재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재은 ( Jae-eun Lee ),강지원 ( Ji-won Kang ),박정민 ( Jung-min Park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8 國際經營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287명의 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노출도는 모두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에 만족하거나 빈번하게 노출되는 외국인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산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원산지 효과로 인해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민족중심주의는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한류콘텐츠 노출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 모두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민족중심적 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의 경우 자국산 제품을 애용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만족도 및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더라도 자민족중심주의가 높은 경우, 이들 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한류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외국 소비자의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있어 한류콘텐츠의 만족도 및 노출도와 자민족중심주의 간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국제마케팅 분야에 의미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류콘텐츠를 활용하여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고려하는 많은 한국 기업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 역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analyz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and exposure to the Korean wave contents on purchase intentions from foreign consumers. In addition, this manuscript show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how the ethnocentrism moderates the effects of satisfaction and exposure to the Korean wave on their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produc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287 foreign consumers a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xperiences (e.g., satisfaction and exposure) on Korean Wave contents made customers purchase more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exposure toward the Korean wave contents established a positive country of origin effect and increase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ethnocentrism) showed that ethnocentrism had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exposure of Korean wave cont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Ethnocentric consumers would have higher preferences of domestic produ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the Korean wav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were weakened by the ethnocentrism of foreign consum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ethnocentr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ave contents (i.e., the satisfaction and the exposure aspect)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theoretical insights as well as practical applications to many Korean companies considering entrance into foreign markets using the Korean wave contents.

      • KCI등재

        한류의 현주소와 한류 상품 수출 방안 연구: CIS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구소련의 독립국가연합) 국가에서 ‘MD’ 수출 중심으로

        양정훈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9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3 No.2

        The Korean Wave (Hallyu)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al phenomena that have occurred since the spread of the Internet around the world. The impact and speed of a new culture that arose simultaneously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were strong and high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existing culture. This environment was created when the Korean Wave emerged popularly. War, the Olympics, the World Cup, etc. - each of all these things is an event planned or intended by someone, but the Korean Wave was not. The Korean Wave culture created amid the changing times has naturally won the hearts of people around the world. It has enhanced the likeability of Korea as perceived by global peopl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positive response rate indicating that Korea is an ‘economically advanced country’, an ‘IT powerhouse’, or a ‘likeable country’ has come to account for about 60% of the total responses. These phenomena are the results of the expansion of the influence of ‘K-Pop’ being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various kinds of contents representing Korea. The Korean Wave was already evaluated as successful enough to be classified as being in the ‘mature’ or ‘growing’ stage in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CIS) in 2011 although such evaluation may vary slightly according to the country. It is also very encouraging to see that Korean contents which may be somewhat unfamiliar to them due to their different religion, customs and values are being accepted without much disapproval. The effect of the spread of the Korean Wave has been found to be much higher than its usual effect thanks to its ripple effect on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Korean people’s social and cultural pride. Even its value-added synergy effects have been created due to the butterfly effect during its movement through different media channels and mass communications.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which began in movies and dramas has spread, thus resulting in the rapid growth of demand for other various kinds of contents, such as K-Pop, fashion, beauty, medical servic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studying in Korea, and traveling to Korea. In order to continue this stream in such a way as secure greater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development of new Korean Wave contents. In other words, it is desired that the Korean Wave should be made to settle as a new breakthrough for economic growth through harmonious linkage of three elements – active participation and investment by the entertainment companies which have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he Korean Wave and the government-level diplomatic response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Korean Wave will enhance Korea’s political reliability with m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there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not only the Korean Wave contents but also all the other Korean-made products and serving as a great strength for the Korea’s future economy and industry as well. 한류는 인터넷이 전 세계에 보급된 이후 발생한 가장 대표적인 문화 현상 중 하나이며, 스마트폰 보급으로 동시에 진행 되는 새로운 문화로 파급력과 속도는 기존 문화에 비해 강하고 빨랐다. 한류가 확산될 때 이러한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전쟁, 올림픽, 월드컵 등 이 모든 것은 누군가에 의해 기획되거나 의도된 사건이지만 한류는 그렇지가 않았다. 시대의 변화 속에 만들어진 한류 문화는 자연스럽게 세계인들의 마음을 얻게 되었다. 국제사회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인식을 호감도로 높여 놓았다. 한국하면 ‘경제적으로 선진국’, ‘IT 강대국’, ‘호감이 가는 국가’라는 긍정적 응답률이 약 60%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을 대표하는 여러 콘텐츠 중 ‘K-Pop’의 영향력 확대가 가장 중요시됨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CIS국가에서도 한류에 대한 국가별 편차는 있지만 이미 2011년에 ‘성숙’, ‘성장’단계로 분류 될 정도로 성공적인 평가가 나왔다. 종교, 관습, 가치관 등의 차이로 인해 다소 생소 할 수 있는 한국의 콘텐츠가 큰 거부감 없이 수용되고 있다는 것만 봐도 매우 고무적이다. 한류 확산은 국가 경제성장과 국민들의 사회문화 자긍심에 미치는 파급 효과로 일상적인 효과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서로 다른 미디어 채널과 매스컴을 통해 이동하면서 나비효과에 의한 부가가치 상승효과(synergy effect)까지 창출되었다. 영화와 드라마에서 시작된 효과가 K-Pop, 패션, 뷰티, 의료서비스, 한국어, 한국 유학, 한국 여행 등 여러 콘텐츠로 수요가 빠르게 성장한 것이다. 이러한 흐름을 더 높은 경쟁력 확보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한류의 새로운 콘텐츠 개발로 이끌어내야 한다. 다시말해 한류를 일으킨 엔터테이먼트사의 적극적인 참여와 투자 그리고 정부차원의 외교적 대응 3박자가 조화롭게 연결 되어 경제성장의 새로운 돌파구로 정착 시켰으면 하는 것이다. 더불어 세계 여러 국가와의 정치적 신뢰를 높여 한류 콘텐츠뿐만 아니라 한국 전상품의 경쟁력으로 향상되고, 한국 미래경제산업에도 큰 힘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한류인문학’을 제창한다

        김기덕(Kim, Kiduk),배상준(Bae, Sangjoo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5

        본 글은 한류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의 필요성을 강조한 글이다. 한류는 말 그대로 ‘한국 흐름(Korean Wave)’이지만, 한류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문화적인 현상’과 ‘경제적인 현상’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그 결과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한류를 ‘문화한류’로 칭하고, 전자산업 및 휴대폰산업 등을 통해 한국의 이미지가 높아지는 현상을 ‘경제한류’로 정의하기도 한다. 한편 KOTRA는 문화한류에서 경제한류로의 도약을 위해 ‘비즈니스한류“라는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최근 조사된 한류산업의 지역별 총 수출액은 54억 6천만 달러이다. 이처럼 한국에서 만들어진 대중문화상품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드라마, 영화, K-pop을 중심으로 전개되다가, 그 범위가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생활문화에 까지 확대되었다. 물론 한류의 전파가 과연 전 세계적인 현상인가, 또한 한류가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의문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근현대 세계사적 문화교류의 차원에서 이름없는 문화변방에 머물러 있었던 한국의 대중문화가 최근 20년 동안 이 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은 연구자들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연구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한류에 대한 연구자들의 분석논문은 한류의 시작에 비해서는 많이 늦었지만, 2013년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주요 전문학술지에 526편이 검색된다. 본 글의 작성을 위해 2017년 5월 현재 RISS 한 군데에서만 ‘한류’를 검색해 보면 학위논문 2390편, 국내학술지논문 4686편, 단행본 2638편, 연구보고서 103편이 나온다. 한류 관련 영문 학술지 논문도 45편, 영문 단행본도 23권이 검색된다. 본 글은 이러한 한류 연구상황에서 인문학 차원의 한류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엇보다 그 역할을 인문콘텐츠학회가 주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기한 것이다. 아울러 학술연구와 연동되는 국가기관의 정책연구 측면에서도 한류인문학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류인문학의 최종 지향점은 한류산업의 활성화나, 인문학 역할의 증대라는 현실적인 목표가 될 수는 없다. 그것은 필자가 일찍이 인문콘텐츠의 목표로 제시했던 인류의 共同善, 인간화․인간해방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한류인문학은 결국 한류라는 것을 한국이라는 국가적 차원을 넘어 세계인의 마음을 치유하는 인류자산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만들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mphasize the need for humanistic investigation of the Korean Wave, or "Hallyu". The Korean Wave literally meaning the "flow of Korea" is broadly divided into the "cultural phenomenon" and the" economic phenomenon" from a perspective of taking a look at it. In consequence, the traditional Korean Wave revolving around the popular culture is referred to as the "cultural Korean Wave" and the phenomenon of getting the image of Korean enhanced through electronic industry and smartphone industry is defined as the "economic Korean Wave". On the one hand, KOTRA has presented the concept of the "business Korean Wave" for the purpose of take-off from the economic Korean Wave to the "business Korean Wave". The total amount of exports of industries related to the Korean Wave recently surveyed by region accounts for USD 5,460,000,000. Like this, the Korean Wave of popular culture products manufactured in Korea is sweeping over the whole world beyond Asia. It has revolved around dramas, films, K-pop and then extended to the living culture focused on food culture. Naturally, the question could exist as to whether or not the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is the global phenomenon or whether or not the Korean Wave can continue to last in the future. But the Korean popular culture, which had long belonged to the unknown cultural backwater from the dimension of cultural exchang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world history, has exercised this influence over the world for the recent 20 years, which would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for researchers. Analytic articles of this Korean Wave have been presented later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ve, but 526 articles are found to have been presented in important academic journals up to 2013. For the purpose of writing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search the Korean Wave only in one site of RISS as of May, 2017. As a result, it brought about 2390 theses and dissertations, 4686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2638 books and 103 research reports. In addition, it brought 45 articles in English and 23 books in English about the Korean Wave. It indicates that with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researchers have poured out their research products.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research on the Korean Wave in this situation and presents that the Association of Human Contents needs to take the lead in performing its role among other things. In addition, it presents th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humanities of the Korean Wave in terms of the policy research of national agencies related to academic research. The final goal of the humanities of the Korean Wave can not be a realistic goal of revitalizing the Korean Wave industry or increasing the role of the humanities. It will be the common goodness of mankind, humanization and human liberation as the researchers have set as the goal of humanity contents. Therefore, the humanities of Korean Wave will ultimately turn the Korean Wave into one of the human assets that heals the minds of the world people beyond the national dimension of Korea.

      •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원(Ji-Won, Kang),이재은(Jae-Eun, Lee)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본 연구는 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류콘텐츠의 만족도와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287명의 외국인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노출도는 모두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에 만족하거나 빈번하게 노출되는 외국인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산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원산지 효과로 인해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민족중심주의는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한류콘텐츠 노출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 모두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의 만족도와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를 높이지만 그러한 경향은 자민족중심주의에 의해 약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근 한류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외국 소비자의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있어 한류콘텐츠의 만족도 및 노출도와 자민족중심주의 간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국제마케팅 분야의 의미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류콘텐츠를 활용하여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고려하는 많은 한국 기업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 역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how foreign consumers were exposed and satisfied by the Korean wave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 with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thnocentrism.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287 foreign consumers a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xperiences (e.g., satisfaction and exposure) on the contents of the Korean wave made customers purchase more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and the exposure of the Korean wave contents acted as the positive effect of the place of origin and it can positivel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Second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ethnocentrism) showed that the ethnocentrism had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the Korean wave cont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of the Korean wave cont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the Korean wav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were weakened by the ethnocentris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ethnocentr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wave contents (i.e., the satisfaction and the exposure aspect)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theoretical insights as well as practical applications to companies, which consider entering into foreign markets with using the Korean wave contents.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확산에 관한 연구: 국가 간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홍재원,박승배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4 마케팅관리연구 Vol.19 No.1

        This study is the global spread of cultural content of Korean Wave(Hallyu). In existed studies, it w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orean Wave diffusion. But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fluence of countries with relatively less interest in diffusion of Korean Wave.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hat explain diffusion of Korean Wave using empirical data to show worldwide spread of Korean Wav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trying to investigate cultural effect of countries in the global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through empirical data of "Gangnam style" Korean Wave diffusion phenomenon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ultural values ​​of Hofstede, on the basis of data that was collected through the "Google Trends", we investigate the cultural effect on the global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usion of Korean Wave influenced by ICT environment and specific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ations. It is as follows in more detail. First, the Korean Wave is well diffused in the country with strong individualism and large power distance. For the diffusion of Korean Wave, we should keep an eye on the country of large tendency of social unequality. Also we have to consider the country of the individual freedom and achievement are considered very meaningful. Second, the individualism, uncertainty avoidance, the network index and the brand index influence on the diffusion timing of the Korean Wave. In other words, Starting of Korean Wave is well in the country which brand index is low. And the diffusion take-off is good in the country with well ICT environment and low uncertainty avoidance. In the country with strong individualism, Inflection is tendency to last. These results is likely to help developing diffusion strategy of Korean Wave according to the diffusion time. Third, the Korean Wave lasts for a long time after take-off in the country with a high network index and low brand index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we should target the country with low brand index for the mega hit of Korean Wave. And we have to use the Internet and network environment such as social media utilization. 본 연구는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글로벌 확산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한류 확산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류 확산에 있어 각국의 문화적 영향에 대한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가졌다. 또한 한류 콘텐츠의 전 세계적인 확산을 확인해 줄 실증적인 자료로 한류 콘텐츠의 확산을 설명하기도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인 한류 확산의 자료가 확인되는 ‘강남스타일’ 한류확산 현상을 중심으로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에 각국의 문화적 영향을 실증자료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홉스테드의 문화가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구글 트렌드’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류의 글로벌 확산현상에 미치는 문화적 영향을 파악하고 있다. 연구결과 한류 콘텐츠의 확산은 국가 간 특정한 문화적 차이와 ICT환경이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 콘텐츠는 권력거리가 크고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 확산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 내 불평등 기조가 상대적으로 큰 국가나 개인의 자유와 성취가 중요시 되는 국가를 대상으로 한류 확산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한류 콘텐츠의 확산시점은 개인주의, 불확실회피성, 네트워크지수 및 브랜드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확산시작은 ICT 환경이 좋고 브랜드지수는 낮은 국가에서 빨리 일어나고, 확산이륙은 ICT 환경이 좋고 불확실회피 성향이 낮은 국가에서 빨리 일어나며, 확산변곡은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 콘텐츠 확산의 확산시기별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한류 콘텐츠는 네트워크지수가 높고 브랜드지수는 낮은 국가에서 확산이륙 후 지속적인 확산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한류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를 대상으로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등의 네트워크 활용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한류 인식과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제품 선호도, 국가 호감도 관계 연구

        문효진(Hyo Jin Mo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0

        본 연구는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로 대변되는 한류가 아시아를 비롯해 비아시아권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방한한 외국인 유학생(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유럽, 미주 등)을 대상으로 한류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연관 효과를 살펴보았다. 특히, 한류가 인기를 얻고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들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콘텐츠 만족도와의 관계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 만족도와 한국제품 선호도 및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한류의 인기요인은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 ``한류스타의 감성적 매력`` 요인 등 총 세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이들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콘텐츠 만족도와는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 만족도와 한국 제품 선호도 및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 한류 인기요인 중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이 한국 제품 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용자들이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으로 한류콘텐츠를 만족하면 할수록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진다는 점이 확인 되었다. 더불어 한류 인기요인 중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으로 한류콘텐츠 만족도가 높아지면 한국에 대한 호감도도 증가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Korean wave is expanding to non-Asia countries beyond A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popular factors of the Korean wave and the Korean wave``s effects are. Especially,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e Korean wave, the Korean wave contents, the products preference and national image. And the sample is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of all the popular components of the Korean wave turned out to be such factors as the Korean wave contents professionalism, the Korean wave distinction and the Korean wave celebrity emotion appeal. Second, the Korean w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Korean wave contents satisfaction. As well as there were the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Korean wave, the Korean wave contents, the Korean products and the country image of Korea. The Korean wav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Korean product preference and the likability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