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극사실 회화의 이중구조에 대한 연구: 1970-80년대 극사실 회화를 중심으로

        허나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60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recent Korean contemporary art, I studied the Korea hyperrealism paintings, a style which started in the period of the 1970s-1980s. This article aims at putting in the position of Korea hyperrealism painting in Korean art history, define its critical terms, and uncover its identity. Most discussions of Korea hyperrealism painting have focused on figures and their subject matter. However, these discussions are limited in that they did not clearly identify Korea hyperrealism painting and extend the meaning of them. From this point, It is significant that the double structure is defin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figures’ expressed by a hyperelastic technique and ‘grounds’ which strengthen the surfaces of the canvases. The figures in these artworks are painted in great detail and derive from the artists’ personal experiences. Therefore the double structure between the figures and the grounds in Korea hyperrealism paintings has the two roles of creating illusionistic reality in the frames of the canvas and thus emphasizing the objectivity of the actual canvas. Therefore, the viewer gains a sense of reality in the figures on the frames of the canvas while also observing the real object in the form of the canvas. This ironic double structure consisting of virtual reality figures and the planar grounds of the canvas mixes the figures and grounds exquisitely and creates interaction between the surfaces and viewers, thus uncovering the identity of Korean hyperrealism paintings. 본 논문은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는 하이퍼리얼리즘 회화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이미 1970-80년대에 등장했던 한국 극사실 회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단색화와 민중미술에 비해 세가 약하였고 서구미술의 아류로 평가절하 되면서, 그간 관련한 연구가 면밀히 진행되지 못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1970-80년대 한국 극사실 회화의 미술사적 위치와 용어를 재규정하 고, 그 정체성을 찾고자 한다. 그간 한국 극사실 회화에 대한 논의는 주로 주요 형상과 그 소재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는 한국 극사실 회화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그 의미를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극사실적 기법으로 표현된 형상과 캔버스의 평면성을 강조하는 배경 간의 이중 구조에 주목 하고자 한다. 작품 속 형상의 특성은 작가 개인의 경험 속 사물을 극사실적 기법으로 표현하 였으며 인간적인 흔적을 함께 나타난다. 그런데 이러한 형상은 르네상스적 원근법적 공간이 아닌, 캔버스의 평면과 평행하여 평면성을 드러나는 형태로 배치되고 이는 배경을 통해 극대 화된다. 결과적으로 형상과 배경의 이중구조는 캔버스의 프레임 안에서 환영적 현실을 만들 어내면서도 실재 캔버스라는 사물을 강조하는 두 가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관람자는 형상을 캔버스 틀 안의 현실로 인식하면서도 동시에 캔버스라는 실재 사물을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극사실주의 작품에서 캔버스 속 가상현실을 만드는 형상과 캔버스의 평면성을 강조하는 배경 간에 형성되는 이중 구조는 형상과 배경을 절묘하게 조합하고 화면과 관람자 간의 상호교환을 만들어내면서, 극사실 회화만의 차별적 특성을 이룬다.

      • KCI등재

        1970~1980년대 신형상 세대의 한국화 - 극사실 경향에서 민중미술까지

        이민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After the mid-1970s, a new atmosphere was created in the Korean art world by the formation of a unique figurative art. This stream is represented by the so-called Hyperrealism, which was mainly spread out through consecutively held large-scale private sponsored exhibitions such as The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Donga Art Festival, and Joongang Fine Arts Prize. These exhibitions all claimed to support ‘originality’ and ‘figuration.’ To begin with, they carry repellent meanings toward Informel, Dansekhwa, and other abstractive tendencies. These events were also called as ‘new figura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existing and unchanging conceptions spread by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 highlight that the emphasis on this ‘new figuration’ brought great differences to trends in Hangukhwa (Korean painting). Artists who sought for their direction to modern Hangukhwas from traditional paintings were awarded not only in private exhibitions, but also in The Grand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by submitting numerous hyper-real Hangukhwas. The combination of Hyperrealism and Hangukhwa seems incompatible in an instant, then what does this fusion mean? Such phenomenon cannot be interpreted solely by focused discourses on the existing combination of ink wash painting and abstraction. Therefore, this study retraces Hangukwha with the flow of ‘figuration’. In other words, it will compare and contrast how figure is expressed in traditional and modern Hangukhwas. This examination should be started from the hyper-real Hangukhwas. By this, the study analyzes and understands Real-Scenery Landscapes and urban landscapes in the 1970s, the ink painting movement in the early 1980s, and Hangukhwa affiliated with Minjung Art in the context of art of the same period.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우리 미술계에는 독특한 구상(具象)(figurative) 미술이 하나의 기류를 형성했다. 이른바 극사실주의로 대표되는 이 흐름은 당시 잇달아 개막한 《한국미술대상전》, 《동아미술제》, 《중앙미술대전》과 같은 대규모 민간 주최 공모전(이하 민전)을 통해 주로 전개되었다. 이들 민전이 표방한 것은 ‘새로움(New)’과 ‘형상성(Figuration)’이다. 여기에는 우선, 1960년대와 70년대 전반까지의 앵포르멜, 단색화와 같은 추상 경향에 대한 반발의 의미가 깔려 있었다. 또한 기존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만연한 구태의연한 구상과 구별하기 위해 ‘새로운 형상’으로 지칭되었다.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이 ‘새로운 형상성’의 강조가 당시 한국화의 경향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전통회화에서 현대 한국화로의 방향을 모색하던 화가들은 민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미술대전》에 극사실 경향 한국화 작품들을 대거 출품해 입상했다. 언뜻 봐도 어울리지 않는 듯한 극사실기법과 한국화의 결합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같은 현상은 기존의 수묵과 추상의 관계에 집중된 논의를 통해서는 결코 설명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형상성’의 흐름으로 한국화를 다시 기술한다. 즉 전통회화에서의 형상 표현과 현대 한국화에서의 그것이 갖는 공통점과 차이를 극사실 경향 한국화를 기점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1970년대 실경산수화와 도시풍경화, 이후 1980년대 전반기의 수묵화운동, 그리고 민중미술 계열 한국화를 동시대 미술의 문맥에서 분석하고 파악한다.

      • KCI등재

        포스트-매체 조건 시대에 있어서 1990년대 이후 한국 극사실 회화의 의미 : 크라우스의 매체 개념을 중심으로

        허나영 ( Na-young Hur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7 美學·藝術學硏究 Vol.52 No.-

        1970년대-1980년대의 극사실 회화와 유사하면서도 차별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1990년대 이후의 극사실 회화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관련한 작품의 특성을 크라우스가 제시한 포스트-매체 조건 시대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2세대 극사실 회화의 변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먼저 1970년대 한국 극사실 회화가 성립한 후 최근까지의 전개과정을 살펴 보았다. 이 과정에서 두 세대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1990년대 한국의 상황과 관련 있다. 1990년대는 이전에 비하여 경제적 부가 창출되면서 보다 국제화되고 개방적인 문화가 형성되었으며, 컴퓨터의 보급으로 디지털 문화가 새로운 세대에게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1990년대와 그 이후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2세대 한국 극사실 회화 작가들은 앞선 세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면서도 자신들만의 표현을 구축하였다. 그 바탕에는 디지털 매체의 사용과 미감이 있다. 1990년대 이후 극사실 회화 작가들은 디지털 카메라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만들고 보정을 한 후 이를 화폭에 옮기는 작업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작가들은 이전과 다른 디지털적인 화려하고 생생한 색감과 화면을 구성하며, 동시에 인간의 시각으로만 지각할 수 있는 형태와 색감을 회화를 통해 구현한다. 이 과정에서 크라우스가 말한 매체의 재창안이 이루어진다. 크라우스는 매체의 경계가 흐려지고 혼합이 되는 포스트-매체 조건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매체의 재창안을 제시하는데, 이는 벤야민이 말한 쇠퇴한 매체에 대한 기억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 극사실 회화 역시 물감과 캔버스라는 회화의 지지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를 작가의 자동기술적 구조를 통하여 회화 화면을 구조화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극사실 회화에서는 모더니즘 시기 이후 잊혀졌던 회화의 재현적 기능과 인간의 시지각을 회복하고 서사성을 부여한다. 그러므로 1990년대 이후 다시 주목을 받고 있는 한국 극사실 회화는 오래된 매체에 대한 답습이 아닌, 새로운 시대에 맞는 매체의 재창안이라고 그 의미를 진단해볼 수 있다. 그러므로 과거와 다른 미감과 소재를 통하여 새로운 회화를 제시하고 있는 1990년대 이후 한국 극사실 회화의 가치와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yperrealism paintings made since the 1990s. The hyperrealism painters have created and corrected digital images with digital cameras and computer programs. Then they paint shapes and vivid colors that can be perceived by human vision, on a canvas.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reinventing the medium as told by Rosalind Krauss. She suggests that the reinventing of the medium overcomes the age of post-medium condition, where the identities of the media are blurred and mixed and are based on memories of obsolete media. In this regard, Korean hyperrealism paintings support paintings and canvases, but they also structure the paintings through the automatism method of the artists. Thus, hyperrealism paintings restore the representation of paintings, human perception, and narratives that were denied in Modernism. Therefore, Korean hyperrealism paintings, which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since the 1990s, can be analyzed as reinventing the medium for a new age, rather than following the old media.

      • KCI등재

        한국 극사실 회화에 나타난 시각기호와 미의식

        이주영 ( Joo Young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5 美學·藝術學硏究 Vol.45 No.-

        본 연구는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반까지 극사실경향의 형상회화를 추구했던 주요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범위로 삼아, 이들이 보여준 시각기호의 미의식을 탐구하였다. 이 경향의 회화를 추구한 작가들이 택한 소재는 다양한 시각적상징을 담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미로 수렴된다. 1. 인간을 둘러싸고있는 산업문명에 대한 비판적 시각, 그 속에 침잠해 있는 자의식의 반영. 2. 산업사회의 환경과 대비되는 본래적 자연과 연관된 미의식을 직ㆍ간접으로 표출하고있는 점. 3. 자연과 인간을 조화롭게 연결시키는 요소로서 문화를 중요시하는 점이다. 작가들은 일상의 기물과 인간, 자연 대상 등을 치밀한 사실묘사기법으로 재현했다. 그들이 표현한 시각기호는 단순한 재현으로 나타나지 않는 복잡한 기의를 담고 있다. 묘사된 시각기호는 하나의 ‘상징’이며, 사회와 문화를 상징하는 기표들과 중층적으로 얽혀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기표들의 의미를 분석하면서 극사실 작가들이 의도한 미의식이 소재의 문제나 정치한 재현방식의 기법적 측면을 통해 드러나는 것이 아님을 밝히고자 했다. 작가들에게 내재된 미의식은 그들이 표현한 것의 기표와 대치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편안하지 않고 낯설게 다가오는 환경, 소통되지 못하고 갇혀 있는 자의식 등은 해방의 탈출구를 필요로 한다. 작가들은 현실 비판과 배설의 수단으로서 강박관념의 대상을 그린다. 그들은 이를 일종의 해방의 수단으로 삼는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수렴하는 미의식의 중심부에는 ‘자연’이 있다. 자연은 객관적인실체가 아니라 내적인 리얼리티이다. 극사실 회화에서 ‘자연’은 단순한 기표가 아니라 심층적 해석을 필요로 하는 미적 가치의 문제로 나타난다. 여러 작가들은 자연과 인간(사회)을 조화시키고자 했는데 그 연결기제로 상징되는 것이 문화적 요소이다. 대표적인 것이 문화의 상징으로서 문자, 글로 된 서지(書誌)등인데, 이는 인간 친화적으로 나타난다. 자연과 인간을 통합하는 상징으로서 자연의 재현과 문화적 상징물을 조합해서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는 것이 한국극사실 회화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를 통해 70년대 말에서 80년대 초반의 젊은 작가들에게서도 자연과 연관된 미의식이 중요한 미적 가치로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Korean hyperrealistic paintings from the late 1970s until the early 1980s and their aesthetic consciousness of visual signs. The topics which such works pursued imply various visual symbols, but their main themes converge in the following three: 1. The reflection of self-consciousness from critical viewpoints on the industrial civilization surrounding humanity, 2. They directly or indirectly represent an aesthetic consciousness which is related to an authentic nature, contrasting with the phenomena in industrialized society, and 3. They look upon culture as important, considering it the element that harmonizes nature and humanity. The hyperrealistic painters examined in this study represented everyday objects and motifs from nature via detailed realistic depiction. Their visual symbols embody a complicated signified which doesn``t appear in simple methods of representation. The depicted visual sign is a symbol, being tied to signifiants which symbolize society and culture. By analysing the meanings of these signifiants,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aimed at by these hyperrealistic painters is not represented in material or detailed representative methods. Rather, the aesthetic consciousness within their works implies a meaning contrary to the signifiants they express. The paintings communicate the need for emancipation from the unfamiliar and uncomfortable circumstances humans then found themselves in and the resulting closing of self-consciousness. Painters depicted objects in their obsessions as a means of criticizing modern reality and escaping from it. At the heart of this aesthetic consciousness, where all the elements of the paintings converge, is a nature which represents an inner reality. In these hyperrealistic paintings, nature appears as a value of beauty which requires an in-depth interpretation, not being a simple significant. Many painters have tried to harmonize nature and human society, creating works in which cultural elements are symbolized as connecting elements. Letters and old books, cultural symbols, appear as friends of humanity. Such symbols, along with images of nature, are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hyperrealistic paintings, symbolizing an integration of nature and humanity, upon which the painters build their paintings with combinations of represented from the nature and cultural symbols. Results from this study confirm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linked to nature is an inherent aesthetic value vitally important to the young painters of the late 1970s to the early 198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