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기 한국장로교회 헌법의 형성 과정에서의 곽안련 선교사(Rev. Dr. Charles Allen Clark)의 역할과 업적에 대한 고찰

        전재홍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동서인문학 Vol.0 No.44

        This study deals with Rev. Dr. Charles Allen Clark who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e was prominent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oundation and growth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revitalization of his role and re-evaluation of his achievements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s a legislator and interpreter, Rev. Dr. Charles Allen Clark produced a draft of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additionally took a primary role in the spread and educa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Constitution. He was dedicated to laying the groundwork for transforming the Korean Church into the traditional Presbyterian Church. Rev. Dr. Charles Allen Clark drafted the constitution of Korean Presbyterian Church, which included the constitution in 1919, and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25. In addition, he, as a Creed․Government Board, played a major role for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for the period of 1909-1921. Due to his effort, the General Assembly officially adopted the constitution based on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nd western Presbyterianism. Rev. Dr. Charles Allen Clark contributed himself to verifying and diffusing the constitution and its education and additionally took an important role in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He translated the constitu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for the purpose of teaching it to pastors. He established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s well as inserted 12 articles in the journal, Shinhakjinam, which were annotat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General Assembly. Rev. Dr. Charles Allen Clark, as one of the influential missionaries in building theology and faith, had great influence and achievement pertaining to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and diffusion. Therefore, appreciation and due treatment should be paid to Dr. Clark for his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the Korean church history. Through this paper I hope to cultivate a new understanding of Rev. Dr. Charles Allen Clark,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achieve a more in-depth study of the constitution, which is the basis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 KCI등재

        해방기 헌법초안의 헌법사적 기원 - 임시정부 헌법문서의 영향력 분석을 통한 ‘유진오 결정론’ 비판

        신우철(SHIN Woo Cheol) 한국공법학회 2008 공법연구 Vol.36 No.4

        흔히 ‘제헌헌법의 아버지’로 불리는 유진오가 1948년 헌법의 기초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해방기 헌법초안들의 면밀한 텍스트 대조·분석을 통해, 우리 건국헌법이 단순히 유진오 등 당시 몇몇 기초자의 의사로만 결정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혀내었다. 특히, 건국헌법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친 헌법초안들, 즉 행정연구위원회의 한국헌법(1946), 민주의원의 대한민국임시헌법(1946), 입법의원의 조선임시약헌(1947), 민주주의민족전선의 조선민주공화국임시약법(1946), 유진오 헌법초안(1948) 등에는,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모두 임시정부 헌법문서로부터 영향 받은 흔적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건국헌법에 대한 유진오 개인의 기여만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정확한 평가가 아니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It is common knowledge that Yu Jin-o, who is often called the "Father of the Korean Constitution",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odific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I, from the viewpoint of a constitutional historian, examine the then constitutional drafts article by article, and find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is not the mere result attained by the efforts of several drafters at that time. Through the textual survey of constitutional drafts by which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influenced, such as the Korean Constitution(Hankuk-heonbeob)(1946) of the Administration Research Committee Association,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of the Korean Republic (Taehanminguk-ymsiheonbeob)(1946)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Democratic Council of South Korea, the Korean Provisional Constitution(Chosun-ymsiyakheon)(1947) of the South Korean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of the Korean Democratic Republic(Chosunminjugonghwaguk-ymsiyakbeob)(1946) of the Democratic People"s Front, I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above listed constitutional drafts was more or less influenced by the constitutional document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at Yu Jin-o should not be overestimated as the "one and only Father" of the Korean Constitution.

      • KCI우수등재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성립의 헌법적 의의 ― 근대 의회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

        이병규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8 No.1

        In the respect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introduced a modern parliamentary system to Korea, this study examines what influence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had on the initial formation of the Korean parliamentary system and what constitutional meanings the Provisional Congress has. The forma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is not irrelevant to the time when Constitutionalism began to spring up in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when the western parliamentary system began to be introduced to Korea. The formation was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assembly system which was presented in the Fourteen Articles of the Exemplary Rules, in the movement posed by the Independence Club to establish National Assembly, in the Royal Constitution of the Korean Empire, and in various newspapers and textbooks.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evaluated as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parliamentary system has the following constitutional meanings. First,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had performed an actual role of National Assembly until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because it had and exercised the authority of today's representative body with legislative power, financial power, power to keep the government in check, and so on. Second,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was more than just a normal representative body or a normal legislative body in terms of its function and role. In other words,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assumed a key role as an organization which essentially created legitimacy of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itself enacted a constitution and existed as a legislative authority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ird, many of the relevant provisions such as the interim constitution, Korean Provisional Congress Act, and so on will provide normative continuity with such relevant provisions as the current Constitution, National Assembly Act,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Act and so on. This could be the source to examine the continuity from a normative dimension, getting out of the discussion that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went through Emergency National Assembly and National Convention, leading to today's National Assembly. Fourth, the system in which the government continuously took charge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in the modified form of government, that is,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after the interim constitution adopted the presidential government, will offer themes of various discussions about future reorganization of the power structure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consistently keeping the presidential system except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of the Second Republic Constitution since the first constitution of Korea. 이 글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성립을 근대 의회제도의 도입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임시의정원의 성립이 우리나라 의회제도의 초기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또한 헌법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임시의정원의 성립은 19세기말 우리나라에서 입헌주의가 싹트기 시작하고, 서구 의회제도가 국내에 소개되기 시작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것은 홍범 14조나 독립협회의 의회설립운동, 대한국국제, 각종 신문이나 교과서 등에 소개된 서구 의회제도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이해가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근대 의회제도의 도입으로 평가되는 임시의정원의 성립은 다음과 같은 헌법적 의의를 가진다. 첫째, 임시의정원은 입법에 관한 권한, 재정에 관한 권한, 대정부 견제에 관한 권한 등 오늘날 대의기관의 권한을 보유하고 행사함으로써 광복 이전까지 실질적인 대한민국 국회의 역할을 수행했다. 둘째, 임시의정원은 그 기능과 역할에 있어서 통상적 대의기관이나 입법기관 이상이었다. 즉 임시의정원은 헌법제정회의 혹은 임시정부의 정당성을 시원적으로 창출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임시의정원은 스스로 헌법을 제정하고 그 헌법에 따른 입법기관으로서 존속했다. 셋째, 임시헌법, 임시의정원법 등 다수의 관련 규정들은 현행 헌법과 국회법, 국회사무처법 등의 관련 규정과 규범적 연속성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임시의정원이 비상국민회의와 국민회의를 거쳐 오늘날 국회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논의에서 벗으나 규범적 차원의 연속성을 검토할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다. 넷째, 1919년 임시헌법이 대통령제를 채택한 이후 의원내각제로 변경된 정부형태에서 줄곧 정부가 임시의정원에 책임을 지는 구조는 제헌헌법 이래 제2공화국 헌법상 의원내각제를 제외하고는 대통령제로 점철된 우리 헌정사에서 향후 권력구조 개편에 있어서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논의의 소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임시의정원의 헌법적 의의에 대한 이상의 주장들이 보다 타당성을 갖기 위해서는 임시헌법의 제정 과정과 개정 과정 및 개정 내용, 임시헌법 제정에 미친 대내외적 영향, 임시의정원법을 비롯한 관련 법률과 하위 법령에 대한 면밀한 검토, 그리고 이러한 헌법과 법률에 따른 임시의정원의 구체적인 활동이 규명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현행 헌법상의 적법절차조항의 규범적 의미와 가치

        표명환(Pyo, Myoung-Hwan) 韓國土地公法學會 2012 土地公法硏究 Vol.56 No.-

        우리헌법은 1987년 영미법계의 지배원칙 중의 하나인 적법절차원칙을 헌법에 채택하였다. 이러한 적법절차원칙은 미국수정헌법 제5조 및 제14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미국연방대법원은 미국헌법상의 기본권체계에서 야기되는 흠결의 문제를 보충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해석의 지침으로서 적법절차조항을 활용하고 있다. 미국연방대법원이 적법절차조항의 해석을 통하여 구축한 기본권보장체계는 기본권적용범위의 확장, 기본권목록의 확대 그리고 기본권제한의 한계 및 심사기준의 구체화 등으로 전개되고 있다. 미국수정헌법에 영향을 입어 규정한 우리헌법 제12조 제1항 및 제3항의 적법절차조항은 그 규정내용에서 뿐만 아니라 규정체계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우리헌법상 미국연방대법원의 적법절차원리의 법리를 수용하여 적용하는 것에도 많은 한계가 있다. 본고는 우리헌법에서의 적법절차조항이 미국연방헌법상의 적법절차조항을 계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연방대법원에 의하여 구축된 적법절차의 법리를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 어떠한 한계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또한 본고는 실제에 있어서 우리헌법상의 적법절차조항이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적법절차조항이 헌법에 수용되고 그리고 곧 헌법재판소가 개소되면서 헌법재판소는 적법절차조항의 운용에 있어서 많은 부분 미연방대법원의 법리를 수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대하여 본고는 우리헌법재판소의 적법절차조항의 운용의 모순점을 지적하였고, 나아가 본고는 헌법체제상 문제 및 운용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우리헌법에 있어서 여전 히 적법절차조항이 필요한가를 검토하였다. Korean constitution has adopted the due process principle in 1987 that is one of domination principles of English-American law system. Due process principle is provided on the fifth and fourteenth Amendment of U.S.A. United State Supreme Court makes the good use of 'due process principle' as the guideline of the most important interpreta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a imperfection of the system in the basic right on constitution of U.S.A.. United State Supreme Court has been developing the protection system of basic right through the expansion of application sphere and the list of basic right and the limit of restriction of basic right and embodiment of the criterion of judging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Due process provision. Korean constitution has prescribed 'due process provision' in article 12 paragraph 1 and 3 influenced from american constitution. But due process principle on korean constitution and american constitu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 and system of provision. Therefore it has been occurring problems that apply the law theory of United State Supreme Court for interpretation 'due process provision' in korean constitution. This paper has investigated which limits exist for the application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United State Supreme Court as interpretation of 'due process provision' of korean constitution. This paper has also investigated how apply 'due process provision' in korean constitution. Due process provision is adopted in Korean constitution and then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s opened. So Constitution Court of Korea has applied the law theory of United State America Supreme Court for interpretation 'due process provision' in korean constitution. This paper has indicated those problems of application of our constitution Court. This paper has also investigated why does Due process provision in korean constitution needs.

      • KCI등재

        미국 사법심사와 한국 헌법

        임지봉(Jibong Lim) 미국헌법학회 2017 美國憲法硏究 Vol.28 No.2

        1945년의 해방과 함께 미국헌법이 한국헌법의 제정에 영향을 끼치기 시작할 때쯤에 미국에서 유학한 조선인 유학생들이 한국헌법의 제정에 조금씩 기여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 공부한 한인들 덕택에 미국 헌법시스템의 한국으로의 유입이 한결 수월했다. 그러나 미국헌법의 한국헌법에로의 유입은 미군정에 의해 가장 심대하게 이루어졌다. 헌법의 제정 이후에도 미국헌법의 조항과 이론 및 판례들이 미국을 통해 직접 한국헌법에 영향을 주거나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의 헌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한국헌법의 개정에 영향을 주었다. 헌법재판제도인 사법심사제도의 영역에서도 미국의 사법심사제도가 한국헌법의 개정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미국 연방헌법은 제3조를 중심으로 연방사법부의 구성, 조직, 권한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특히 제3조는 1787년 최초의 미국 연방헌법이 만들어질 때, 다른 6개의 조항과 함께 미국 연방정부의 구성, 조직, 권한에 관해 규정한 중요한 조항들 중의 하나로서 미국 사법부 발전의 토대가 되어왔다. 본 연구는 미국 연방헌법 제3조를 중심으로 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사법심사제가 한국헌법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에서는 미국 연방헌법과 연방법률, 연방대법원의 판례 등에 나타난 연방대법원의 사법심사제에 대해 구성 및 조직, 권한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미국의 사법심사제가 우리의 과거 헌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본다. 또한 우리 현행헌법에 나타난 미국식 사법심사제의 영향에 대해 구성 및 조직, 권한을 중심으로 분석해본다. Korean students who had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Japanese intrusion period rendered services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onstitution. Owing to them, the adoption of U.S. Constitutional systems had less difficulty. However, the adoption of U.S. Constitutional system was conducted most profoundl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from 1945 to 1948.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onstitution, the U.S. Constitution and its theories have had influence upon the revision of Korean Constitution in a direct way as well as in an indirect way by way of the Constitutions 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Germany. In the fields of judicial review, the judicial review systems in U.S. have also had great influences on the revision of judicial review systems in Korean Constitution. Art. 3 of the U.S. Constitution provides the composition and the competences of the federal judiciary which has exis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U.S. Constitution in 1787 and been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ederal judiciary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on what kind of influences the judicial review systems in U.S. Constitution have had on Korean Constitution.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judicial review systems of the U.S. Supreme Court provided in the U.S. Constitution focusing on the composition and the competences of U.S. Supreme Court. In addition, it will analyze the influences of American judicial review systems upon the previous Korean Constitutions. Finally, this paper will analyze the influences of American judicial review systems upon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

      • KCI등재

        북한헌법의 개정에 따른 권력구조의 변화와 특징

        김민우 ( Min Woo Kim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4

        South and North Korea where is the only divided nation in the world possess each constitution under different ideologies and systems. South and North Korea is pitted by differing in a base of their own continuation of a system and justification. North Korean Constitution was enacted in September 8 1948, and then revised 11 times to the revision in April 13 2012. North Korean Constitution is ‘A National Fundamental Law’ as “a law to regulate national-social system, basic human rights and obligations of a citizen, and social relations related to organization and realiz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Each constitu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belongs to different ideologies, so purposes each constitution aims for and power of rule are different, so comparing and examining these constitutions superficially may have no great import. However, analyzing and expecting a system of North Korean Constitution help set up the way to go by building an image of the future of unified nation. Study and preparation in all its bearings such as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in a process to prepare the reunification that will be the biggest challenge of the Korean race in the 21st century, but a problem of legal and institutional organization offering foundation and basis of these activities should never be neglected. Conflict expected in the unified nation is the acute opposition as a maintenance of vested rights of the existing political powers. Therefore, a power structure of the unified nation should solve concern about political alienation by unilateral monopoly of personal and material distribution under the principle ‘unification by agreement’. Above all things, a power structure of the unified nation should combine a political conflict of South and North Korea. Our unification can be finally achieved under the single constitution system, so differences of South and North Korean constitution system should be overco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stitution systems between two through comparison of South and North Korean constitution system to combine these constitutions. This thesis is a fruit reflect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of North Korea. In addition, it is not ignored that Constitution has accepted the results of social changes, and especially, has been revised as security for the race to succeed and completion of the dictatorship on political authority. Therefore, an analysis on a power structure of North Korean has the actual meaning because this analysis provides the beginning to expect the direction of Jong-un Kim’s system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vision of North Korean Constitution.

      • KCI등재후보

        북한헌법상 기본권조항 변화의 특징과 전개방향

        조재현(Cho Jae Hyun) 북한법연구회 2018 북한법연구 Vol.19 No.-

        The changes in the provisions of basic rights of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refer to the constitutional historical domain of basic rights, ranging from the Constitution of the People’s Democratic Constitution of 1948, the transition to the socialist constitutional system of 1972, and the Constitution of Kim Il-sung & Kim Jong-il in 2012.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al provisions on human rights are stipulated in Chapter 5 of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However, the formal normative system in the country, such as the Constitution and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 the North Korean society, where the party is superior to the state, cannot be applied to the guidelines of the Party or the so-called instructions and words of Kim Il-sung, Kim Jong-il and Kim Jong-un according to the democratic centralized system, which exist beyond the Constitution. The basic rights of the citizens prescribed in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are not the freedom from the state but the right to assume the collective and social human beings for the fulfillment of the socialist revolution and as a duty for the unification of political thought rather than rights. In other words, it is more like a duty to express than a right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basic rights consist of rights and duties at the same time, and the forms are always associated with the fulfillment of the socialist revolution and unity under the principle of collectivism of basic rights, the unification of political ideas based on the Juche idea, and the duty of national security. Since the Constitution of North Korea is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own management for the benefit of the working people, the Constitution and the laws made by them cannot be different from the opinions of the people. The opinions of the party, the state and the people always start from a structure that can always be reconciled.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se three is not logically to be established.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are very original and are a list of decorative and nominal declarative rights in terms of application of reality, citizens’ duty is sensational, and excessive loyalty is demanded by collectivist principl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basic right based on the interests of class and group, not basic rights of natural rights or fundamental rights. 북한헌법의 기본권 조항의 변화는 1948년 인민민주주의 헌법시대를 거쳐, 1972년 사회주의헌법 체제로의 변화 그리고 2012년 김일성-김정일 헌법까지 기본권 분야의 헌법사적인 영역을 의미한다. 북한헌법의 공민의 인권관련 조항은 헌법 제5장에 규정 되어 있다. 국가 보다 당 우위의 북한사회에서 헌법을 비롯한 각종 법령 등 국가내의 공식 규범체계는 당의 지침이나, 민주적 중앙집중에 따른 이른바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의 교시와 말씀 등이 헌법을 초월 하여 존재한다. 이는 북한헌법에 규정된 공민의 기본권리가 국가로 부터의 자유라기보다는 사회주의혁명 완수를 위한 집단적, 사회적 인간을 상정한 권리이며, 권리의 보장 보다는 정치사상적 통일을 위한 마땅히 수행해야할 권리라고 할 수 있다. 즉, 표현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닌 표현해야 할 의무라고 할 것이다. 북한 기본권의 특징은 권리와 의무가 동시에 이뤄지는 것인데, 그 형태는 사회주의혁명 완수와 기본권의 집단주의 원칙 하 에서의 단결, 주체사상에 입각한 정치사상의 통일, 조국보위의무와 항상 결부 되어 나타난다. 북한의 헌법이 근로인민대중의 이익을 위하여 인민들 자신이 만든 국가관리의 기본법이므로, 자신 스스로 만든 헌법과 법령은 인민의 의사와 처음부터 다를 수가 없고, 인민의 의사는 당과 수령의 의사와 일치 하는 고로 당과 국가, 그리고 인민의 의사는 항상 일치해야 하는 구조 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이들 상호간의 간극은 논리적으로 성립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북한 헌법의 기본권은 매우 독창적이며, 실재 적용면에서는 장식적이고, 명목에 그치는 선언적 권리의 나열이라 할 수 있으며, 공민의 의무는 선정적이고, 집단주의 원칙에 따른 과도한 충성요구이다. 이는 천부적 권리 또는 자연권적 성질의 기본권이 아닌 계급과 집단 이익에 기초한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다.

      • 헌법사 속에서의 통일

        전민형(Jun, Min-Hyoung) 헌법이론실무학회 2015 통일법연구 Vol.1 No.1

        통일법연구의 목적은 분단국법리의 발전을 통해서 우리 민족이 진정으로 환영할만한 규범적으로 안정적인 통일을 조속히 실현하는 것에 있다. 분단국법리는 남북한을 포괄하는 한국의 헌법사를 통해서 발전될 수 있는데, 규범의 정신적 지주로서 공화국에 소급하는 작업은 대한민국헌법 제4조에 국가목표조항으로서 규정된 통일의 법적 성격을 구체화하는데 유용한 방식이다. 통일의 주체로서 국민과는 구별되는 민족의 개념이 그 시원적 단일성으로 인해서 체제대결적 분단국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민족이 분단국의 체제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교류 협력의 네트워크의 제도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고전적인 사회복지국가의 수요를 정부만이 감당할 수 없기에 시민사회와 정부의 융합형태인 거버넌스로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통일 후 북한주민에 대한 사회복지수급정책의 적절한 제도화만이 통합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인 상황에서, 민족은 통일한국의 상부와 하부의 체제결정적인 가치들의 중간단계에서 활발한 교류협력을 이루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 규범의 정신적 지주로서 공화국원리는 남북한이 분단국이 되기 이전에 우리 민족이 진정으로 희망하였던 공동체에 반성적으로 소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분단국으로서 남북한이 통일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절대로 포기할 수 없는 부분과 일정부분 포기할 수도 있는 부분을 나누는 기준을 제시한다. 주체사상과 선군후로사상을 핵심으로 하는 북한의 헌법은 전통적인 공산주의국가 헌법의 궤도에서 완전히 이탈하였으나, 이러한 규범적 이질성을 근거로 통치행위에 의한 결단주의식 통일이 논의되어서는 안된다. 통일은 경제적 효율성이 아닌 민주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만 진정한 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데, 정치적 결단주의에 의한 통일의 실현은 통일 후의 내적 통합을 담보할 수 없다. 1972년 유신헌법을 통해서 완성 헌법이 분단헌법으로 변경되었다는 견해가 다수설이지만, 이는 명시적인 한국헌법규범의 적용영역을 휴전선 이남으로 변경한 것이 아니므로 타당하지 않고, 통일에 대한 규범적 논의가 애초에 봉쇄되었던 한국의 전체주의적 독재정권에 대한 반성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의 독재정권 하에서는 학계와 시민사회의 통일에 대한 규범적 논의가 애초에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1987년 헌법 제4조의 입법에 이르러서야 규범적으로 통일에 관한 다양한 학설이 나오게 되었다. 헌법 제3조와 제4조는 상반구조적 입법기술의 테두리 속에서 구체화 입법을 통하여 개별 상황에 따라 올바른 결정을 할 여지를 부여하고 있는데, 이러한 남북관계의 이중적 성격은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국가 내부의 관계라는 특수성에 기초하고 있다. 헌법 제3조를 통해서 남한의 국가성이 북한보다 확고한 우위에 있다고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규범적으로 남한이 북한보다 공공복리 지향이라는 공화국개념을 더욱 제대로 실현하였으며, 사실적으로는 남한의 GDP가 북한의 44배가 넘는 압도적인 사회경제적 상황이기 때문이다. 헌법개정권자가 1987년의 국가목표조항으로서 헌법 제4조의 입법을 통해서 제3조를 무력화시키려는 의도를 가졌을 리 없기 때문에, 헌법 제4조를 국제법 조항으로 오해하여 마치 분단을 완성하는 조문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국가목표조항으로서 헌법 제4조의 해석은 분단국을 관리하는 규정으로서, 어떻게 통일을 지향하는 나라와 나라간의 관계가 아닌 민족내부간의 교류협력의 네트워크를 제도화 할 것인지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체제대결적 분단국의 모순을 벗어나, 남한의 규범적인 공화국의 실현과 사실적으로 북한을 압도하는 국가성을 배경으로, 북한에 대한 민족적 포용과 분단국을 규범적으로 관리하는 체제로의 진입이 이루어져야만 진정으로 우리 민족이 환영하는 통일의 실현이 조속히 가능하다. The purpose of unification law research is to realize legally stable Korean unification which all the Korean nation would give a welcome through the develop of legal principle of divided states. The legal principle of divided states could be developed by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including South and North Korea. Casting back working to republic, as the normative anchor, is useful to materialize the legal character of Korean Constitutional Law article 4 which regulated as the national goal article. As the Korean unification subject, Korean nation ha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contradic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national system’s confrontation and Korean nation have to fulfill the role of managing divided states b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change and corporation networks. There are mergence phenomenon of government with civil society to be able to fulfill social welfare system as the formation of governanc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unification social welfare system for making Korean society integration. As the normative anchor, republic has the possibility of showing what the real promise of Korean nation was pursuing before they divided and it gives a chance to self-reflection of what the Koreans have been done wrongly to each other on the divided circumstances. It would explain the criteria of what the basically systemic determination is required to the South and the North and it also explain what they can give up some part of their states". North Korean constitution went out of its orbit from traditional communism constitution because of legalization of their own Juche idea and Military first idea. However, for the reason of legal difference of the South and the North, it shouldn’t be accepted the category of an act of the state. For making unified Korean society fully integrated, Korean Unification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pursuing of democratic efficiency not the perusing of economic efficiency. By the amendment of 1972 Korean constitutional law(Yushin constitution), there is an argument that the legal character of it was changed from complete constitution to divided constitution. However, there hadn’t been the explicit change of legal application area from whole Korean peninsula to south Korea and it should be understood self-reflection chance that forbid the any legal argument concerned with Korean unification. By 1987 Korean constitutional law, with the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there are lots of legal argument can be possible. Korean constitutional law article 3 and 4, which has the inter-contradiction relations, had been legislated based on contrary system to give a possibility of coping with each situ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relationship of South and North Korea can be explained dual characters which means it is not the national relation but the special inter-national relation on the process of pursuing unification. By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article 3, it is true for explaining the nationality of South Korea is higher than North Korea"s because normatively South Korean republican principle has been realized far more than North Koreans" and realistically South Korean GDP is 44 times bigger than North Koreans". Importantly, Korean constitutional law article 4 which is the national goal article wouldn"t be misinterpreted as the international regulating article to complete Korean peninsula dividing. As the national goal article, Korean constitutional law article 4 is the managing article to show how Korean nation institutionalize exchange and cooperation to aim unification. It will lead the overcoming of the contradiction of national systemic confrontation and manage the divided states on the legal republican realization in the South and the superiority of south Korean nationality.

      • KCI등재

        한국과 중국 헌법상 공공복리 실현원리에 관한 비교 연구

        노기호,천지에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0 동북아법연구 Vol.13 No.3

        Although the concept of public welfare is frequently used in the legal system of China, the constitutional lack of a practical mechanism for public welfare restricts public welfare and it does not effectively exercise the balance function between public power and personal interests. Liberal democratic constitutions, such as the Korean Constitution and socialist constitutions, such as the Chinese Constitution, differ greatly in character, but The Chinese Constitution gives a positive meaning in seeking the real meaning of the public welfare provision because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at contains the principles and values of the provisions of public welfare. By comparing the mechanisms of realization of public welfare provisions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principles of their inherent values, we tried to supplement the mechanisms of realizing public welfare under the Chinese Constitution by identifying the merits of the mechanisms of public welfare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The Chinese Constitution's provisions for public welfare are based on the idea of collectivist ideology, which has a clear instrumental orientation as an idea of serving public interests as the goal of 'state wealth.' This has turned public welfare into a provision on which national public power arbitrarily violates the rights of individuals, and the normative function of the public welfare provision in the Constitution is becoming less famous. The Korean Constitution has effectively guaranteed the realization of public welfare and the normative function of the provisions of public welfare by a series of institutions built on democratic principles. China is in a rapid social transition and is entering the era of rights. It is necessary to mirror some of the ideas and institutions of the Korean Constitution based on its nation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socialist China moving from tradition to modernization. The combined normative ideology and practical experience should be combined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contain and realize the value of public welfare that meets China's reality and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공공복리의 개념은 중국의 법체계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는 개념이지만, 헌법상 공공복리에 대한 실현적 메커니즘의 부재로 공공복리를 제한하고 공권력과 개인의 이익 간의 균형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헌법과 같은 자유민주주의 헌법과 중국 헌법과 같은 사회주의 헌법은 성격상 크게 다르지만, 한국헌법에는 공공복리 조항에 관한 원리와 가치가 포함되어 있어 중국헌법상 공공복리 조항의 실현적 의미를 모색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두 나라의 헌법상 공공복리 조항의 실현 메커니즘과 그 내재된 가치의 원리를 비교하여 한국헌법상 공공복리 실현의 메커니즘이 갖고 있는 장점을 찾아내어 중국헌법상 공공복리 실현의 메커니즘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한국헌법은 민주주의 원리에 의해 구축된 일련의 제도에 의해 공공복리의 실현과 공공복리 조항의 규범적 기능을 효과적으로 보장해 오고 있다. 중국은 빠른 사회적 전환기에 있고 권리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사회주의 중국이 전통에서 현대화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국가적 정체성에 입각하여 한국헌법의 일부의 이념과 제도를 거울로 삼아야 한다. 발전된 규범적 이념과 현실적 경험을 결합하여 중국의 현실에 부합하고 시대의 요청에 맞는 공공복리의 가치를 내포하고 실현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 KCI등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펴본 한국 헌법전사

        허완중 ( Heo Wan-jung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1 法과 政策 Vol.27 No.3

        서양 헌법사와 비교하여 이제 150년을 갓 넘긴 한국 헌법사는 길다고 보기 어렵다. 하지만 한국 헌법사는 어느 나라 헌법사보다 압축적이면서도 극적이다. 서양 헌법사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사건을 한국 헌법사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외세를 물리치고 민족주의와 국민주권에 기초한 시민혁명을 이룩하였다는 점에서 놀랍다. 특히 1863년부터 1919년까지로 볼 수 있는 헌법전사에서는 서양의 헌법이론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면서 이를 실천해 나가는 고유한 헌법사를 만들었다. 세도정치라는 구체제가 인민으로 자각한 백성의 지지에 힘입어 청산되는 것에서 한국 헌법사는 시작한다. 물론 본격적인 한국 헌법사는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이 공포되면서 시작된다. 그러나 헌법 전문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확하게 밝힐 뿐 아니라 기본권 보장과 권력분립을 필수요소로 하는 근대적 의미의 헌법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에서 비롯한다는 점에서 한국 헌법사는 최소한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헌장부터 서술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고종 즉위부터 대한민국 임시헌장 공포까지를 헌법전사로 볼 수 있다. 헌법전사는 기본권 보장과 권력분립을 필수요소로 하는 근대적 의미의 헌법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가리킨다. 프랑스 대혁명 이후 프랑스가 온전한 근대적 헌법국가가 될 때까지 왕정과 공화정을 오가는 혼란이 있던 것처럼 고종 즉위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대한민국이 민주공화제임을 선언하는 제1조로 시작하는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공포할 때까지 전제군주국과 공화국 사이의 치열한 다툼이 있었다. 먼저 흥선대원군의 왕권강화적 복고적 보수개혁에서 출발하여 급진개화파의 하향적 개혁인 갑신정변과 농민을 중심으로 한 상향적 개혁인 동학농민혁명을 거쳐서 일본의 영향 아래 온건개화파의 갑오개혁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모두 실패하고 이를 반성하면서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의 대화와 토론에 따른 온건하고 점진적인 상하합작의 개혁이 뒤따른다. 하지만 광무 황제(고종)의 보수 반동이 일어나 인민 없는 이기적인 보수개혁인 광무개혁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인민의 지지 없는 개혁을 실패할 수밖에 없었고, 대한제국은 일본에 강점되어 그 정부가 소멸하였다. 이에 복벽주의에 기초하여 광무 황제(고종)를 중심에 놓는 망명정부 건설 시도와 공화주의에 따라 국민주권에 토대를 둔 임시정부 수립 시도가 각각 추진되었다. 이러한 시도는 3ㆍ1 독립선언으로 공화주의에 바탕을 둔 망명정부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으로 열매를 맺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최초의 근대적 의미의 헌법인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제정하면서 한국 헌법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Compared to the western constitutional histor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150-year history of Korean constitution is long. However,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 is more compact and more dramatic than any other country's constitutional history. Various cases that can be seen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constitution can be easily found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 particular, the constitutional pre-history, which can be seen from 1863 to 1919, created a unique constitutional history that accepted Western constitutional theory and practiced it.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 begins when the old system of sedo politics is liquidated with the support of the people who have recognized them as people. Of course,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 earnest begins on July 17, 1948, whe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promulgated. However, In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it is clearly stated that it inherits the legal authenticit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constitution in the modern meaning of guaranteeing basic rights and separation of powers as essential elements begins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ccordingly, it can be seen as Korean Pre-Constitutional History from the enthronement of King Gojong to the promulga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constitution. Pre- Constitutional History refers to the process of mak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constitution, which is a constitution in the modern meaning that guarantees basic rights and separation of powers as essential elements. Just as there was confusion between the monarchy and the republic until France became a fully modern constitutional state after the French Revolution, between the monarchy and the republic until the promulgation of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starting with Article 1 declaring that Korea is a democratic republic after Gojong became king. First, starting from the retro-style conservative reform of the reinforcement of the kingship of Heungseondaewon-gun, the Gapsinjeongbyeon, a downward reform of the radical enlightenment group,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 realistic upward reform centered on farmers, followed by the Gabo reform of the moderate enlightenment group under Japanese influence. However, all of these reforms failed and reflected on it, followed by a moderate and gradual reform of vertical cooperation through dialogue and discussions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and the Manmin Joint Conference. However, Gojong’s conservative reaction took place, and the Gwangmu Reform, a selfish conservative reform without the people, was promoted. However, reforms without the people’s support were forced to fail, and the Korean Empire became strong in Japan and its government was destroyed. Accordingly, an attempt to establish an exile government based on monarchism and an attempt to establish a provisional government based on republicanism are promoted, respectively. This attempt bears fruit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 exile government based on republicanism with the March 1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with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enacting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first constitution in the modern sense, the Korean constitution history begins in earn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