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창립20주년 기념: 성과와 전망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was founded in January, 2000 with the goal of "the primary purpose of approaching and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from a feminine perspective, but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by promoting active exchanges with other achievements“ From the start, the society has made clear its identity as a joint society of male and female members and integrated field to discuss the issue of ‘women’ across various fields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journal of the Society, planning specials have been frequently prepared,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the Society, and by discovering a number of female writers and works that have not been known in academia,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has been enriched for 20 years. The ‘feminine perspective,’ the goa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still seems to be valid as it needs to note the hidden voice of women. Above all, this Society is worth trying for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It could also be responsibility of this Society to report how far North Korean classic women’s literature has come. In future, the Society needs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 or perspective to include women's literature in East Asia, at least in the Northeastern Asian countries, influenced by Confucian culture at similar times. It is hoped that this year, which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will be a new start year for the Society. 한국고전여성문학회는 “한국고전여성문학을 여성적 시각으로 접근, 연구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되, 여타의 연구성과들과 활발한 교류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 하에 2000년 1월 창립되었다. 본 학회는 출발부터 남녀 공동학회이고, 고전문학의 하위분야로서 고전문학 내 고소설, 고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등 각 분야를 포괄해서 ‘여성’의 문제를 논의하는 통합 분야라는 정체성을 분명히 했다. 본 학회의 저널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를 살펴보면 무엇보다 기획특집이 자주 마련되어 학회의 방향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했다. 그동안 학계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작가, 작품들을 다수 발굴해서 20년 사이 한국고전여성문학을 풍성하게 정립했으며, 여성의 여행, 종교나 노년의 여성처럼 여성 관련 주제의 다양한 속성들을 보여주었다. 단지 기획 특집을 통해 의미 있는 연구 주제들의 지속적인 제시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다툴 어떤 이슈나 쟁점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학회창립의 목표인 ‘여성적 시각’은 고전문학 속 여성의 숨겨진 뜻과 목소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 학회는 여성문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인적 자원이 풍성하다는 점에서 한국고전여성문학사의 집체적인 저술을 시도해볼 만하다. 덧붙여 북한의 고전여성문학 연구가 어디까지 왔는지, 여성사 서술에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도 본 학회가 중심이 되어 정리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본 학회는 연구 대상이나 시각을 유사한 시기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적어도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여성문학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하는 것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학회의 다양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 내 분야별로 활발하게 여성문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문학회의 존재에 대한 도전에 직면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아직도 산재해 있는 여성 작가와 작품을 찾고, 분석하고, 평가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고, 이것은 본 학회만이 감당할 수 있는 고유 영역이라는 점에서 창립 20주년을 맞이한 올해가 한국고전여성문학회가 새롭게 다시 출발하는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문학 연구의 위상과 과제에 대하여

        홍나래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8 No.-

        This thesis examines the status and tasks of classical studies at the Academic Society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Therefore, I found the tendency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paper of classical literature i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Through this, the planning theme selected and concentrated by the academic society showed good results, but I suggested that the researcher and research subject should be expanded further. I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apers related to classical literature account for about 15% of all papers. Despite relatively few classical research papers, topics such as women’s literature and women’s writing are ahead of other journals. Classical scholars were able to connect and discuss scholarly fields to study and theorize literary and cultural phenomena from classical to contemporary times. In other words,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i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has contributed to the generalization of theories through the history of female literature, literary phenomena and writing theories on our foundation. In the Korean Women’s Literature Association,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achieved intensive results by planning themes. Classical researchers extended the age and genre of research with feminist methodologies and themes, and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was a space that encouraged their research. Therefore, this challenge must be carried out by more researchers. This will enrich our literary research and ensure the significance of academic social practice. To this end, this Association should encourage future generations to study classics in feminism, continue long-term research such as th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and theories of women’s literature, and be interested in researching women’s culture materials and academic projects. As the population decreases and the research environment changes, it is difficult for future generations to continue research, hoping for academic support. In order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classical researchers, it is necessary to connect with applied scholars or to study the subjects in which classical and contemporary interests coexist. When communicating with related disciplines or conferences, the current literature following the classics will be better understood. Our original thoughts and feelings will also be grasped. It is hoped that the Academic Society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will continue its practical significance as an open field of study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classical, modern and genre from a feminist perspective. 본고는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문학 연구의 위상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해당 학술지인 『여성문학연구』를 중심으로, 고전문학 연구 논문의 경향과 의의를 도출하고, 선택 집중된 기획 연구의 성과에서 더 나아가 연구자와 연구 대상을 확장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여성문학연구』에서 고전문학 관련 논문은 전체의 15% 정도를 차지하지만, 여성문학사 서술이나 여성의 글쓰기와 문학 활동에 대해서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집적된 연구들을 아우르며 연구 담론을 선도해가고 있었고, 고전문학 연구자들에 의한 학문 장의 연결은 고전부터 현대까지 문학·문화 현상들을 통시적으로 살피며 이론화하도록 했다. 즉 『여성문학연구』를 통한 고전문학 연구는 우리 토대에서 여성문학·문학 현상·글쓰기 이론을 사적으로 이으면서 보편화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었다.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문학 연구는 기획 주제로 선택되고 집중되면서 집약적인 성과를 이룰 수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여성주의라는 방법론과 주제가고전 연구자들에게 시대와 장르를 확장하도록 이끌었고, 『여성문학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독려하며 활발히 연구할 수 있는 장을 제공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도전과 시도가 보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 우리 문학 연구가 풍성해지고 사회적 실천 의의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고전을 공부하는 학문후속세대를 북돋우고, 문학사 및 문학이론과 같은 장기적 연구를 지속시키며, 여성문학 관련 연구 자료나 사업 현황에 관심을 갖고 연구 대상도 넓혀야한다. 인구감소와 연구 환경 변화에 따라 후속 세대들이 학술적 지원을 기대하면서 연구를 지속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고전 전공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응용 학문 연구자들과 연계하거나 고전과 현대를 잇는 시기와 대상에 대하여 보다 전공을 넘나들며 관심을 모을 필요가 있다. 관련 학문·학회간 연계와 소통을 추진할 때, 고전에서 이어지는 현재의 문학과 문화가 더욱 입체적으로 구성되면서 우리들의 원형적 사고와 감정도 총체적으로 파악될 것이다.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 연구 역시 지난 20년간의 성취에 더하여 여성주의 시각으로 고전과 현대, 장르의 경계를 확장하며 그 실천적 의의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정체성과 지구화 시대의 과제

        이경하(Lee Kyung ha)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9

        이 글은 지구화 시대에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과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하는 학회의 역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0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창립 당시만 해도 선명해 보였던 '여성'주의의 기치는 오늘날 힘을 잃은 듯 보인다. 또한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전지구화는 '한국'과 같은 민족국가 단위의 근대적 학문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으며, '고전/문학'을 비롯한 인문학을 점점 더 위기로 몰아가고 있다. 이 격변의 시대에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가 '한국/고전/문학' 연구로서의 정체성에 안주하지 않고 '여성ㆍ젠더' 연구로서의 정체성을 학회 차원에서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다. 학회 창립 이후 15년 간 한국고전여성문학회는 지속적인 기획을 통해 '여성문학' 연구를 특성화함으로써 '한국고전문학' 분야에서 다른 학회들과의 차별화에 어느 정도 성공했다. 그러나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는 이제까지보다 훨씬 더 '여성ㆍ젠더' 문제의식에 민감해져야 하며, '여성ㆍ젠더' 연구의 간학문적이고 다학문적인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연구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지구화는 다양한 행위주체들의 선택과 노력에 따라 그 방향이 바뀌게 될 미완의 현실이다. 한국고전여성문학회도 학문세계를 구성하는 행위주체로서 바람직한 지구화에 기여하기 위해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 첫째, '고전/여성' 연구의 현재적 의의와 방법에 대한 성찰을 학회 차원에서 담론화 함으로써 인문학의 소통성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 둘째,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국제화를 학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기획하고 지원함으로써 학문세계의 평등한 지구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학술지가 단순한 논문 모음집에 그치지 않고 '한국/고전/여성 /문학'을 매개로 비판적 인문정신을 실험하는 비평의 장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학회 차원의 적극적인 기획과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considers the identity of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in this globalized era and critically examines the role of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s Literature which has led the research. The banner of 'feminism' has come to be raised with less enthusiasm since the days when the society was first established in 2000, while research paradigms which focus on the unit of the nation-state (such as 'Korea') are becoming fundamentally weakened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In such an intellectual context, it is imperative that th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looks beyond the themes of 'Korean', 'classical' and 'literature' and finds a new identity by focusing on research related to 'women' and 'gender'. It is stressed in this paper that the Society must play an active role in bringing about this change in research direction. In the 15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the Society has been successful in encouraging research on 'Women's literature', thereby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research societies which deal with Korea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research needs to be even more attuned to the issues of 'women' and 'gender', with new attempts at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 Globalization is an ongoing process, forged through the choices and efforts of various actors.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s Literature can also engage actively in this process. Firstly, this can be done by generating discourse within the society on the meanings and methods of research on 'classical/woman', thereby contributing the restoration of communication in the humanities. Secondly, the Society must actively encourag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research on 'Korean/ classical/literature', thereby contributing to a more equal 'globalization' of scholarship. Finally, the journal of the Society should go beyond being a mere collection of papers; it should be an arena of experimentation for humanities focused studies of a critical nature - this can only take place with the active efforts of the Society.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가족 시회(詩會) 연구

        오성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2 한국학논집 Vol.- No.88

        Just as the gate was difficult for noble women to overcome as a living space, it was also difficult for women’s literatures to leave the gate in Joseon. Within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constraint of womanly virtue, women's literary activities were regarded as vice. And literary activities within the family were almost impossible except for some awake families.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works dealing with women's poetry creation or participation in poetry in Korean lineage novels with women as the main enjoyment layer reflects this cultural atmosphere of Joseon. Considering this atmosphere of Joseon society, the existence of family poetry in which women participated in the Kim Seong-dal family or Pungsan Hong family was a special cas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women were participating in literary activities through family poetry, and the theme was that the same title or letters were used as spirits in living spaces, mainly in residential spaces. In this regard, it was considered that the family poems appearing in Yussisamdaerok(劉氏三代錄) and Myeonghaengjeongrok(明行正義錄) may have reflected the tastes and demands of the readership of families who were relatively open to the literary activities of women in the family at the time. Through the scenes of family poetry in the two works represent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e can read the noble women’s desire to be remembered by their descendants beyond ideological and realistic limits and self-consciousness about their literary abilities. In particular, in the two works, it was confirmed that women showed a considerable degree of hesitation, even if it was a exhibition held within the family fence, and that sufficient justifications and excuses were expressed in the work. This contradicted the aspect of family poetry identified in the family of Sanggyeongran in China at the end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or the appearance of women writing poems at family poetry in the representative Chinese novel Honglumong(紅樓夢). Through this, it was concluded that the family poetry in the Korean novel was close to the reality of Joseon, not the reality of China at the time. 조선 시대 사대부가 여성들에게 대문이 생활공간으로써 결코 넘어서긴 힘든 현실적 제약이었던 것과 같이 여성들의 글 역시 대문 밖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부덕(婦德)이라는 이념적·문화적 제약 안에서 여성들의 문학 활동은 부덕(不德)으로 여겨졌고, 몇몇 깨어있는 집안들을 제외하고는 가족 내에서의 문학 활동이 거의 불가능했다. 여성을 주요 향유층으로 하는 한글장편소설에서 여성의 시 창작이나 시회 참여 모습을 다루고 있는 작품을 찾아보기 힘든 사실은 이러한 조선의 문화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사회의 이러한 분위기를 감안했을 때, 김성달 집안이나 풍산홍씨 집안에서 여성들이 참여하는 가족 시회의 존재는 특수한 사례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당시 조선 후기 사대부가 여성들이 현실적 한계를 충분히 감안하며 가족의 울타리를 넘어가지 않는 선에서 가족 시회를 통해 문학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고, 그 주제는 주로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공간 내의 영물로 동일한 제목이나 운자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가족 시회가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유씨삼대록>과 <명행정의록>에 등장하는 가족 시회는 당시 가족 내 여성들의 문학 활동에 비교적 열려있는 집안들의 독자층의 취향과 수요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각각 18세기와 19세기를 대표하는 두 작품에 나타난 가족 시회 장면을 통해 당시 조선의 여성들이 이념적이고 현실적 한계를 넘어 집안의 후손들에게 기억되고 싶은 욕망과 스스로의 문학적 능력에 대한 자의식을 읽어낼 수 있었다. 특히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여성들이 비록 가족의 울타리 안에서 열리는 시회라 할지라도 상당한 정도의 거리낌과 주저함을 보이는 모습, 그리고 이를 상쇄하기에 충분한 명분과 변명이 작품 내에서 표현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했다. 이는 명말청초 중국의 상경란 집안에서 확인되는 가족 시회의 양상이나 중국의 대표적 장편소설인 <홍루몽>에서 여성들이 가족 시회에서 시를 짓는 행위에 대해 크게 거리낌이나 변명이 없는 모습과 상반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가족 시회가 당시 중국의 현실이 아니라 조선의 현실과 가깝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여성의 ‘문화/문학’적 실천(讀・書・行)을 통한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재성찰

        최기숙(Choe, Key-sook)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6

        이 논문은 신자유주의의 체제 속에서 나타난 현대(한국)사회의 문제적 징후를 되짚어, 잃어버린 심성, 인격, 관계에 대한 성찰적 회복 방안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 인문성을 복원하기 위한 인문학적 연구의 실천적 전환 작업의 일환으로, 고전문학/연구의 성과를 일종의 인문적 자원으로 위치시키고, 나아가 ‘한국학’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연구 기획과 사례 연구를 제안했다.: 첫째, 학제간 연구, 사회와 학문의 소통적 연계를 일상과 학문의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 둘째, 개인과 집단(학회, 연구소 등)의 연구 수행을 통해 의제를 공유하고 다학제적 통합 연구와 거시적 틀의 안팎에서 작동하는 ‘큐브식 개별/집단 연구’의 동시적ㆍ통합적 수행, 셋째, ‘사회-학문-대학-제도-문화’의 유기적 결합을 주도할 수 있는 기관(중심축)의 구축, 넷째, 한국적 위기 경험을 진단-분석-돌파한 사례를 성찰적 한국학으로 재구성함.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任允摯堂, 姜靜一堂, 金三宜堂, 黃情靜堂, 金子念 등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사회적 소수자, 억압된 자, 하위주체와 동시대적 삶을 살아가며 그들의 가치와 역량, 자질을 인정한 지식인, 상층부, 권력층, 남성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실천 사례를 살펴보고, 이들의 태도와 활동을 현대적인 사회적 자원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성찰적 분석을 수행했다. 그 과정에서 여성들이 제도적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상층-지식인-남성의 글쓰기 관습을 내면화할 문화적 기회로 부터 배제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파격’과 ‘변격’, ‘차용’ 행위 자체를 창조적 문화 확산, 또는 실천 행위로 해석함으로써, ‘하위주체’의 역사적ㆍ문화적 실천 사례를 풍성하게 수합하고, 이를 현대 사회의 문화 자산으로 위치시키는 ‘매개’로 구축하고자 했다. This paper invested anew research perspective and methodology for reconstructing Korean Studies wi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premodern culture, which was based on the idea of academic purpose; the Humanities should be suggest an practical alternative for overcoming and resloving the problematic symptom of Neo-liberalism which was prevailing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s like loss of humanity, personality and authentic relationship, etc.; The first, constructing of academic system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mmunicative study between society and academic fields like a university, institute and academic society, etc. The second, a simultaneous and integrated approach for ‘individual/collective’ unit study outside and inside of multi-disciplinary and macroscopic perspective. The third, constructing system for organic integration between ‘society-research-university-institute-culture’. The fourth, rebuilding Korean Studies through researching a historical Korean cases with regard to analysis for diagnosis-overcoming cultural crisis, contradiction and dilemmas. For analyzing these, this paper critically invested female writers’ writings as like Yim Yunjidang, Kang Jeongildang, Kim Samuidang, Hwang Jeong-uidang and Kim Janyeom who lived in late Joseon period, with focuding on their value of life and writing styles and also analyzed the male literati’s attitude and perspective towards their writings as like soci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practices. Finally, this paper analyzed the female writers writing style as like irregularity and arbitrary and individual transformation as practical behavior and unintentional creative cultural production, and repositioned these results as women’s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for contemporary Korean/Asian/global society.

      • KCI등재

        후기 근대의 ‘확장된 효율성’과 여성주의 지식생산-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에의 함의

        조주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5

        Issues of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and restructuring of classification scheme in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studies require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offer diverse perspectives. This paper claims that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gender politics on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is starting to reveal its limitation in late modernity and need be generalized to the one based on practice theory and agonistic politics. This will proce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concept of social practices as symbolic complex adaptive systems is introduced and explained based on the author’s previous research. Second, agonistic politics as implementation of practice perspective on feminist politics is presented as a comprehensive political strategy encompassing and generalizing identity politics. Third, possibility of mitigating the present prevalence of neoliberal logic based on shallow concept of economic efficiency deteriorating social practices in Korea through introduction of an expanded concept of social efficiency is presented and its impact analyzed carefully. Fourth,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practice turn of feminist theory and politics allows Korean women’s studies escape from the worries that it has been indiscriminately applying theories based on western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Fifth, analysis of aesthetic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theory reveals the creative role of aesthetic judgment in adaptively transforming social practices in general that has been characterized as an aesthetic character of political judgment at the world-building moment by Arendt. Finally, the practice perspective has important implications on the issues of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and restructuring of classification scheme in classical Korean women’s literature studies. For example, the importance of the works by women writer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reevaluated for their role of valuable windows on diverse social practices in action as collaborative artworks of ancient Korean societies. 여성주의 지식생산과 한국고전여성문학 분류체계 재구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들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분석틀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 필자는 여성주의 지식생산에 관한 전통적인 젠더정치 관점은 후기 근대 한국사회에 들어 그 한계를 노정하기 시작했으며 이제 실천이론과 아고니즘 정치에 기반을 둔 관점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한다. 1) 필자의 선행연구에 근거해서 상징적 복잡적응계로서의 사회적 실천 개념을 제안하고 그 내용을 설명한다. 2) 페미니즘 정치에 대한 실천적 이해는 아고니즘 정치로 구현된다는 점을 주장하고 아고니즘 정치는 정체성 정치를 특수한 경우로 포함시킨 확장된 정치 전략임을 설명한다. 3) 신자유주의 논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후기 근대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실천들을 황폐화시키고 있는 편협한 경제적 효율성 개념을 대체할 확장된 효율성 개념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대안으로 제시된 확장된 효율성 개념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4) 여성학 방법론과 페미니즘 정치의 실천적 전환을 통해 한국의 여성학은 서구의 경험과 관점에 기반을 둔 서구이론을 무차별적으로 적용한다는 혐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5) 실천이론의 관점에서 미적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실천의 적응적 조정에서 미적 판단의 창의적 역할을 드러내고 이러한 미적 판단의 특징이 바로 아렌트가 포착한 세계-구축의 순간에 작동하는 정치적 판단의 미적 특성의 원천임을 강조한다. 6)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로부터 실천이론이 여성주의 지식생산과 한국고전여성문학 자료의 새로운 분류방식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특히 한국고전여성문학작품에 대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존의 소중한 연구에 기반을 둔 평가에 더해, 이들 여성작가의 작품이 규범적 실천을 통해 유교사회의 안정적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남성작가의 작품에 비해 전통사회 구성원들의 공동 작품인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의 적응적 변화가능성의 측면, 즉 창의적 측면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줄 수 있는 중요한 창이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