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김만중(金萬重)의 여성시(女性詩)에 드러난 군신(君臣)의 형상(形象)

        윤호진 ( Ho Jin Yun ) 연민학회 2010 연민학지 Vol.14 No.-

        김만중의 시에는 여성시가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시 가운데에는 자신을 여성화하거나 여성을 대변하여 읊은 시가 많다. 뿐만 아니라, 구체적 여성인물에 대해 읊은 시도 있다. 음영의 대상이 된 여성 가운데에는 실존인물도 있으나, 전설로 전해지는 경우도 있으며, 실체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런데 어떤 경우건 간에 김만중이 구체적 여성을 대상으로 읊은 시는 거의 대부분 그 여성에 대해 시를 지은 것이 아니라, 그 여성을 통하여 군신관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우의적 혹은 비유적으로 담아내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는 여성이 본받아야 할 모델로 등장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부정적으로 인식된 여성이 경계의 대상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김만중의 여성시 가운데 역사상 혹은 전설상의 구체적 인물을 시적 대상으로 삼은 것을 중심으로 하여, 김만중이 중국 고대 여성들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군신관계의 형상을 크게 愛憎에 바뀌는 臣下의 運命으로 규정하고, 이어서 君王에의 변치 않는 節介를 드러낸 시, 臣下의 失節에 대한 警戒를 보인 시, 버림받은 臣下의 외로움을 노래한 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The theory above is that Kim Man-jung`s feminine poems are apparently seem like the poems about the love between men and women, but actually are the poems about sovereigns and subjects. In this point of view we looked through Kim Man-jung`s feminine poems. Former researches about Kim Man-jung`s feminine poems considered that only parts of the poems, which are about abandoned court ladies,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s and subjects. However, this thesis considered that the songs about an enduring wife, a refrained women and a spring dream like beauty are also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s and subjects. In this thesis, through the through analyse we discoursed in three way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Firstly, Kim Man-jung`s feminine poems are about subjects` destinies changed by the level of kings` love. Kim Man-jung wrote that when men and women first met each other, they didn`t care about whether they are ugly, or whether they are wise. Like this, when sovereigns first met subjects, sovereigns hired subjects as their abilities, but soon after time had passed sovereigns loved subjects by their feelings. This kind of thinking is found well at Kim Man-jung`s poem he wrote when Ban Cheb-yo expelled to Zhang Sin Palace after losing king`s love. Secondly, Kim Man-jung`s feminine poems are about subjects` loyalties that would never change. Kim Man-jung wrote a poem called "Yi Sha Su Si" and in this poem four paragraphs are about a woman missing her husband far away. Kim Man-jung`s nephew Kim Jin-kyu commented that this song was written because Kim Man-jung worried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It means that Kim Man-jung compared subjects` loyalties as the integrities of women. Thirdly Kim Man-jung`s feminine poems are about the subjects that have to refrain their attitudes and keep their integrities. He expressed his opinion that subjects never lost their honors through the stories about Tack Mun Gun who followed a man blindly and a ordinally faithful woman became a Dae Urn Eu and Soe Si`s kisaeng life. Finally, Kim Man-jung`s feminine poems are about the loneliness of abandoned subjects. Generally, we think that Musan female believer is a dream of all men, but in his poem Musan female believer yearned for the King Hui. And he also wrote a poem called "Sang Yang" which is about a court woman who could not help writing a letter on a leaf to the king because of the loneliness. Therefore, as we looked through above the reason that Kim Man-jung wrote lots of feminine poem is not that Kim Man-jung was a lascivious man or he was interested in ancient poems. It`s because he cared about those days` political situation and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s and subjects to the love of men and women.

      • KCI등재

        18세기 후반 서울 양반과 빈곤의 문제-도저동 金履中 家를 중심으로-

        김하라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life and family line of Kim Yi-jung, a gentry who lived in Seoul in the late 18th century. Through this work, I intend to analyze in detail the problems faced by the gentry class of the poo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asic data of this paper is Heumyeong, the diary of Yu Man-ju, Kim Yi-jung's maternal cousin. Kim Yi-jung is a member of the Andong Kim Clan, an influential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s the 6th generation descendant of Kim Sang-yong. The direct descendants of Kim Sang-yong, who lived in Seoul, went through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and found a new basis for life in Odu-ri and Deoksan-hyeon, Chungcheong-do. This lineage has been settled in Odu-ri since the time of Kim Seong-dal, the great-grandfather of Kim Yi-jung. Since Kim Seong-dal's fifth son, Kim Si-jeong, was adopted by his uncle and moved to Deoksan-hyeon, Kim Yi-jung's ancestors showed signs of declining as poor Chungcheong-do gentry. When Kim Si-jeong's second son, Kim Yeo-haeng, died at the age of 32, the bereaved family, his wife and his two sons, had no way to make ends meet. So, the three families went to Seoul to live by relying on Mrs. Yu's younger brother Yu Han-Jun. Shortly after, when Mrs. Yu died, the completely orphaned brothers became completely dependent on their uncle Yu Han-jun, and they were unable to stand on their own financially. Kim Yi-jung got married and became the head of the household with two sons and three daughters. For the 13 years recorded in Heumyeong, the Kim family lived in Dunggeujae outside Seodaemun, Hwakgyo-dong in Yongsan, and Dojeo-dong outside Namdaemun. The fact that this family's residence was always outside the four gates of Seoul shows their poor socio-economic situation. The family's poverty is also related to frequent illnesses: two of Kim Yi-jung's children suffered from the measles epidemic in Seoul in 1786, and one died around the same time. Kim Yi-jung suffered from a disease and died in his late 40s. Yu Man-ju, who observed the lives of poor noblemen, including Kim Yi-jung, came to the conclusion that poverty is like a death sentence for the gentry in Joseon. The fact that the eldest son Kim Baek-sun was executed as a Catholic in 1801, 15 years after the death of Kim Yi-jung,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following the path of poverty inherited from his father. 본고에서는 18세기 후반의 서울에 거주한 金履中(1740~1787)의 생애와 가계를 추적해 조선후기 양반이 직면한 빈곤의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김이중의 외사촌동생인 兪晩柱의 일기 欽英 의 기록을 기초 자료로 삼았다. 김이중은 조선후기 노론계의 유력한 명문으로 일컬어지는 안동김씨의 구성원으로 淸風溪 주인 金尙容의 6대손이다. 서울에 세거하던 김상용의 직계 후손들은 병자호란을 겪으며 충청도 오두리와 덕산현 등지에서 새로운 생활의 기반을 찾았고, 김이중의 증조부인 金盛達의 대에 이르러 오두리에 정착하게 된다. 김성달의 5남 金時淨이 백부에게 입양되어 삶의 터전을 덕산현으로 옮긴 이래 김이중의 先代는 가난한 충청도 양반으로 몰락할 조짐을 보였다. 이후 김시정의 차남 金礪行이 32세로 사망하자 유가족인 그 아내 杞溪俞氏와 두 아들 김이중 및 金履弘은 생계를 이을 방법이 없었다. 이에 기계유씨의 친정에 의지하여 살아가기 위해 세 모자는 서울살이를 시작했다. 얼마 후 기계유씨가 사망하자 완전히 고아가 된 김이중 형제는 전적으로 외삼촌 俞漢雋에게 의지하게 되었고, 그들은 끝내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했다. 김이중은 龍仁李氏와 혼인하여 2남 3녀를 둔 가장이 되었고, 흠영 에 기록된 13년간 그의 가족은 서대문 밖 둥그재와 용산 확교동, 남대문 밖 도저동 등지에 거주했다. 이 가족의 주거지가 늘 도성 밖에 있었다는 점은 그들의 열악한 사회경제적 처지를 보여준다. 또한 이 가족의 빈곤은 잦은 질병과도 관련을 갖는데, 김이중의 자녀 중 2명은 1786년 서울에 유행한 홍역을 앓았으며, 1명은 그 시기에 사망했다. 또한 김이중은 질병에 시달리다 40대 후반에 사망했다. 김이중을 포함한 가난한 양반의 삶을 지켜본 유만주는 조선의 양반에게 가난이란 사형선고나 마찬가지라는 결론을 내렸다. 김이중 사후 15년 된 1801년 그 장남 金伯淳이 천주교도로서 처형된 것은, 부친으로부터 계승된 가난의 경로를 따른 귀결이 아닌가 한다.

      • KCI등재

        유배문학의 산실, 남해도(南海島) -김구, 김만중, 류의양을 중심으로-

        한정호 ( Jeong Ho Ha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1 No.-

        남해도는 유배객들이 남긴 유배문학의 산실로서 상징적이며 대표적인 지역이 되었다. 그런 점에서 유배문학은 남해군의 역사·문화적 보물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다. 글쓴이는 오래 전부터 고향인 남해도의 유배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금껏 남해 유배객에 대한 개별적 연구, 이를테면 작가·작품론은 더러 찾아지지만, 남해 유배문학에 대한 전반적 조망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무엇보다 아쉽다. 이 글은 남해도의 유배문학 전통과 자산을 살피는 데 있다. 사실 우리 문학사에서 잘 알려져 있는 남해의 유배문학인으로 김구, 김만중, 류의양, 남구만, 이이명, 권도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에 글쓴이는 김구의 「화전별곡」, 김만중의 「구운몽」과 「사씨남정기」, 그리고 류의양의 「남해문견록」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남해도가 시가문학, 소설 문학, 기록문학 전반을 아우르는 유배문학의 산실임을 입증하고자 했다. 한편, 남해도에 유배 온 많은 유배객들이 한시 작품을 남기고 있다. 이에 글쓴이는 앞서 대상으로 삼았던 김구, 김만중, 류의양의 한시를 살펴봄으로써 남해 유배문학의 위상과 그 의미를 거듭 확인하고자 했다. 이들 유배객들은 남해도의 명소와 풍광, 그리고 자신의 체험을 작품 속에 끌어들이고 있다. 물론 남해도를 소재한 한 문학적 자취는 고대에서 근대까지 더러 남아 있다. 비록 그것이 ‘과차문학’의 입장을 지니고 있다고 하지만, 그 또한 남해도라는 장소를 배경으로 일구어진 것들임에는 틀림없다. 이렇듯 역사의 질곡 속에서 그나마 남해도가 문인들의 작품에 모습을 드러내게 된 것은 값진 성과이며 자랑이라 할 것이다. Exile literature meant to literary works made in a place of exile. That is to say, It were the works to figure as literature, the world of spirit that are faced by direct experience, emotional contents and exile situation of exile man at the Goryeo Joseon Dynasty period. Namhae Island became symbolic and representative region as repository of exile literature from exile man. That`s, I thought that exile literature was one of historical cultural treasure in Namhae County. The writer was concerned about exile literature for years. So far, Individual study on Namhae exile man, so to speak, Author-work thesis seek for sometimes, but, I missed that was not made to overall view about Namhae exile literature. This paper took a good look to generally trade and value exile literature of Namhae Island. In fact, It was well known that the exile literature man of Namhae were kim Gu, Kim Man-Jung, Loo Yei-Yaong and Nam Kuman, in history of literature. For this fact, the writer was willing to call in question over property of exile literature around of them. and then, I would like to see regional image of Namhae Island and the poetic figuration about objection to the exile Chinese poem of them. Therefore, the writer examined the character of kim Ku 「Hwajeonbyeulkog(화전별곡)」, Kim Man-Jung 「Kuunmong(구운몽)」 and 「Sassinamjeongki(사씨남정기)」, Loo Yei-Yaong 「Namhaemoonkyeunlog( 남해문견록)」. Through These, It proved to be the cradle of exile literature that Namhae Island was harmonized generally on poetry, novel and documentary literature. Meanwhile, An exile from exile of Namhae Island reserved a work of Chinese poem. However, the writer made certain again status and it`s meaning the exile literature of Namhae Island by looking into Chinese poem of kim Gu, Kim Man Jung, Loo Yei Yaong, earlier mention. These exile are attracting their experience in works, attractions and scenery of Namhae Island. Of course, there was some left, literature vestige to the material of Namhae Island, from ancient to modern. Even if it were standpoint of passing literature, In any case, also, Namhae Island must be background of place. Like this, in the fettlers of history, even so, It was valuable result and boast that Namhae Island was exposed by the works of literary man. In fact, This paper was put to inconvenienced depth handle. looking generally tradition and valuation of exile literature of Namhae Island, I was put to inconvenienced in depth untanned about the work and individual writer. A study on the expansion of such author thesis, the form of exile literature and rhetoric expression left next subject. Together, In consider collection of works about an exile of Namhae, It was the remainder of assignment that life and thought of an exile, the world of literature depth studied on influence in effect of Namhae culture.

      • KCI등재

        김만중 문학에서 어머니의 장르별 형상화와 그 의의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8

        본고는 김만중과 윤씨 부인의 친밀한 관계에 비추어 작가로서 김만중에게 어머니라는 존재가 상당한 의미를 지닐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한시, 행장, 소설 등에서 형상화된 어머니의 모습과 그것에 담긴 작가 의식을 추출함으로써 김만중의 창작 활동과 문학 세계에서 어머니의 존재가 차지하는 위상과 의의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김만중 문학에서 어머니의 존재는 현실적 형상에서 허구적 형상까지 폭넓은 모습으로 그려졌다. 현실의 어머니 윤씨 부인은 김만중의 문학 창작에 주요 동인이 되었다. <구운몽> 창작에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경험을 한시로 표현할 때에도 주요 소재가 되었다.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글인 행장에서는 어머니의 인생 자체가 서술의 동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한시, 행장, 소설 등 여러 장르에서 어머니의 형상화가 이루어졌고 어머니의 존재가 장르별 작품 세계의 구성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작가는 한시에서 주로 그리움과 회한의 정서를 표현하였고 <윤씨행장>에서 평생 지녔던 불효자 의식을 내비치면서도 절제된 구성과 표현으로 여자 선비상을 정립하였다.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서는 어머니를 가문의 중심인물로 그려 내었다. 어머니의 형상화에 나타나는 작가 의식으로 가문 중심의 의식, 여성 이해의 의식, 불효자라는 자의식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어머니라는 존재는 가문 내 중심인물로 보는 작가 의식이 나타난다. 한시에 그려진 어머니는 가문의 중심 어른으로서 자리 잡은 모습이고 <윤씨행장>에서의 윤씨 부인은 친정과 시댁의 가문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며 <구운몽>의 양소유는 결국에 가서 한 가문을 구축하고 <사씨남정기>의 사씨는 쓰러진 가문을 일으켜 세우는 데 혼신의 힘을 쏟는다. 다음으로, 여성의 처지를 이해하고자 한 작가 의식이 나타난다. 한시에서 화자가 어머니를 그리워하거나 회한의 정을 표현하는 것은 어머니의 처지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되었다. <윤씨행장>은 윤씨 부인이 어머니이자 여성으로서 집안을 지켜 나간 역정의 기록이다. 두 소설 작품에 그려진 여성 인물들의 의식과 행동은 어머니로부터 넓혀 나가 여성 일반의 삶에 대해 이해한 관점에서 형상화된 것이다. 끝으로, 작자가 평생 지니고 살았던 불효자 의식이 나타난다. 이 의식은 <윤씨행장>의 서술자 소회에서 분명히 드러나는데 한시의 그리움이나 회한의 정서도 마음 깊이 간직한 여기서 나온 것이다. <사씨남정기>의 유연수가 가문을 망치는 모습에서 불효자 의식이 직접 노출되었다면 <구운몽>의 양소유가 어머니를 모셔 와 혼례하고 집안의 중심에 계시게 한 것은 그것에 대한 보상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가 의식은 어머니 외의 다른 인물 형상이나 다른 장르의 작품으로 확산된 양상을 띤다. 김만중의 문집에 지인들의 어머니, 아내 상(喪)에 대한 만시가 여러 편이고 여성 소재의 한시들이 많은 점, <구운몽>의 여덟 여성이 처첩의 분의를 지키는 모습과 함께 처지와 의식에 걸맞은 형상으로 그려진 점, 『서포만필』의 인헌 왕후, 홍순언 기사에서 어머니와 여성에 중점을 둔 역사 비평과 여성 작가에 대한 관심과 비평 등이 그러한 양상의 예들이다. 이렇듯 어머니의 형상화에 나타난 작가 의식은 김만중 문학 전반에 두루 깔려 있으므로 어머니의 존재는 그의 창작 활동과 문학 세계에 핵심적인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In this study, I paid attention to the deep and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Kim Man-Jung and his mother Mrs. Yoon described in the Seopoyeonbo. I tried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Kim Man-Jung's mother in his creative activities and literary world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status of mother discussed by various genres. To this end, I analyzed the aspects of figuration from the mother of reality to the mother of fiction in poems with Chinese letters, the biographical writing, and the novel, and extracted the writer's consciousness contained in it. There are many poems with Chinese letters the author has wrote with missing emotions when he was far away from his mother. In the poem the mother who the speaker met in the dream is in the center of the family. On the period of exile author was saddened and remorseful, but he could not express it in words that he could not even put on the collection of life. In Yoonssihaengjang, the author emphasized the aspect of reading and education while describing his mother's life, so he established an example of woman intellectual. Behind the description of the mother's biographical writing is the consciousness of the infertile son who had a lifetime. The mother was shaped in the novels. In the Guunmong, Mrs. Yu the mother of Yang So-yu was taken as the center-person of the family and in the Sassinamjeonggi the heroine Sassi was described for figure of mother having relation with her son. Mrs. Yoon was a major driver of Kim Man-Jung's literary creation. Not only she gave a direct motivation to creats Guunmong but also was major material when expressing the experience of everyday life in a moment, and her whole life was the motive of the description of biographical writing. These mothers have been shaped in various genres, including the consciousness of the family, the consciousness of women's understand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infertile. This writer's consciousness about the mother shows a tendency to spread to works of other characters or other genres. There are many poems which have female materials in Kim Man-Jung'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n Guunmong the eight women who have individualities were drawn. In Seopomanpil the writer's interest and positive evaluation of female writers and the view point toward women in description is remarkable. The writer's consciousness shown in the figuration of the mother spreads throughout Kim Man-Jung's whole literature. Therefore, the existence of the mother is widely located in Kim Man-Jung's creative activities and literary world and has a key significance.

      • KCI등재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 속에 나타난 서포 김만중과 그의 시화에 대한 연민 이가원의 인식과 수용

        윤호진 ( Yun Ho-jin ) 연민학회 2018 연민학지 Vol.30 No.-

        이 논문은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선생의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에 인용된 김만중과 그의 비평이 어떠한 모습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민의 생각은 어떠한가를 살핀 것이다. 연민의 『옥류산장시화』에서 김만중(金萬重)의 『서포만필(西浦漫筆)』은 허균, 이수광 등에 비하여 인용된 것이 훨씬 적다. 허균이나 이수광 등은 모두 60곳 이상에서 인용되거나 언급이 되고 있는데 반하여 김만중은 불과 20여 곳에서 인용이 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연민은 김만중에 대해 비록 훈척파의 일원이기는 하지만, 그의 비평은 허균 다음이라고 그를 높이 평가하였다. 『한국한문학사』에서는 그의 한시를 그리 높이 평가하지 않은 측면도 있지만, 이미 소설 방면에서는 높이 평가하였는데, 『옥류산장시화』에서도 그의 비평을 높이 평가하였다. 연민이 『옥류산장시화』에서 김만중의 견해를 수용한 것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첫째는 김만중의 비평적 견해를 수용한 것과, 둘째는 김만중의 고증적 견해를 수용한 것이다. 김만중의 비평적 견해를 수용한 것은 다시 네 가지 측면에서 살필 수 있는데, 김만중이 역대 문인과 작품에 대한 품평을 수용한 것, 여류시인들 특히 허난설헌과 이옥봉에 대한 인식을 수용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역대 문인 가운데 유독 택당이식에 대해 긍정적으로 높이 평가한 김만중의 견해를 받아들인 것과 김만중이 국문문학에 대한 긍지를 드러낸 것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을 볼 수 있다. 김만중의 고증적 견해를 수용한 것은 세 가지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 김만중이 사실 관계를 시정한 내용이다. 김만중은 『서포만필』에서 비평의 여러 가지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었는데, 그 가운데 하나로 고증을 통한 사실의 확립이라 할 것인데, 연민은 김만중의 이러한 측면을 높이 평가하였던 것이다. 하나는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등에서 근거 없이 이루어지는 허구와 낭설을 배격한 것, 그리고 김만중이 이전의 유학자, 비평가들과는 다르게 이전의 인물 특히 매성유(梅聖兪), 두보(杜甫), 이백(李白) 등에 대해 새로운 견해를 제출한 것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한 면모를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itation of materials about Seopo Kim Man-jung and his perceptions through them in Yeonmin Lee Ga-won's Okryusanjangsihwa (玉溜山莊詩話). Heo Gyun has always been considered as the greatest critic in Joseon, bu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the second greatest critic in Joseon. In his Okryusanjangsihwa, Yeonmin clearly spoke highly of Kim Man-jung as an unrivaled critic next to Heo Gyun. His criticisms of Kim or perceptions of materials about his poetry stories offer considerably valuable comments about Kim's position in the literary history and are worth exploration. Kim did not leave many poetry stories. Although Yeonmin said there were many materials about his poetry stories, the number of his poetry stories in Okryusanjangsihwa is not as high as that of poetry stories by Heo Gyun, Lee Su-gwang, and even Mujeong Jeong Man-jo in the early modern days. Kim's sharp criticisms and in-depth analyses in his poetry stories are, however, hardly found in other critics, which is why Yeonmin decided to quote most of Kim's poetry stories as they were in his Okryusanjangsihwa. In special cases, he would shorten Kim's poetry stories or connect two of them together. Yeonmin selected Kim's materials in four aspects, which are the criticism of poems, opinions about female poets, assessment of an individual writer Lee Sik, and perception of literature of motherland, and put them in his Okryusanjangsihwa. Kim's poetry stories introduced in Yeonmin's Okryusanjangsihwa demonstrate that his immense trust in Kim's critical opinions. Yeonmin, in particular, quoted materials about Kim's poetry stories containing his controversial criticisms, showing interest in his interpretations to repute Lee Su-gwang's opinions, his opinion that it was not right for poems to deviate from fiction or factual relations, and his poetry stories reflecting his unique opinions. Yeonmin's Okryusanjangsihwa is a total collection and settlement of materials about poetry stories. It offers valuable materials, including a number of important materials about poetry stories and reflecting Yeonmin's ideas. These materials about poetry stories have been translated, but there is a tendency of delay in its research because of difficulties with the utilization of its original scripts as well as translations. If the original scripts are provid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they will add momentum to the research of Yeonmin's critical viewpoints. Future studies on Yeonmin's Okryusanjangsihwa will need to cover the literary trends such as the poetry of Tang and Song, female poets, and ordinary people as well as figures quoted in it.

      • KCI등재

        西浦小說 성립의 배경 연구 - 蘇東坡 同一化樣相과 『서포만필』ᆞ『서포집』소재逸話ᆞ詩話를 중심으로 -

        박성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2 No.-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work paper is to study So Dong-pa(蘇 東坡)'s an aspect of identification and focus on Kim Man-jung(金萬重)'s anecdotes in 『Seopomanpil (西浦漫筆)』. Kim Man-jung in his exile life at Nam-hae referred to literature as the power to touch the heart of the audience in popular novels coming from 『Samkukgiyeunyee(三 國志演義)』. In 『Dongpajirim(東坡志林)』, special mention was made of the reason for the popular novel. He tried to look like So Dong-pa(蘇 東坡). In terms of the aspect of identification, these anecdotes in 『Seopomanpil(西浦漫筆)』 should be required for having a certain continuity. Though this, I will look at all the details about how to constitute this novel. 『Seopomanpil(西浦漫筆)』 is a collection of essays written in Kim Man-jung's exile at Nam-hae. It is the most reliable primary material, which catch not only the context of his novels but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text and context. In this study, the quest for 『Seopomanpil(西浦漫筆)』 can be analyzed by giving a whole new perspective on his novels. On the one hand, the literatures in exile at Nma-hae of Kim Man-jung are associated with those at Haenamdo(海南島) of So Dong-pa. The other hand, the literary world of Kim Manjung has something unique. An Analysis on 『Seopomanpil(西浦漫筆)』 shows that Kim Man-jung has had So Dong-pa's an aspect of identification related to anecd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Kim Man-jung escaped from a previous style that adhered to the only creation of the Chinese poem on the second volume of 『Seopomanpil(西浦漫筆)』. Kim Manjung asserted the usefulness of writing novels. In the end, such causes can lead to an inference based on writing novels in his exile life at Nam-hae. 본고는 金萬重이 南海 謫所에서 『三國志演義』를 비롯한 통속소설에서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힘이 문학이라고 하였고, 『東坡志林』에서는 통속소설을 짓는 까닭이라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배경이 그가 蘇 東坡를 同一化樣相이라는 점에서 모종의 연속성을 갖는다는 전제 하에『서포만필』 소재 일화를 통해 그의 소설 성립의 배경에 대한 전후사정을 살펴본 것이다. 『西浦漫筆』은 김만중이 남해적소에서 저술한 에세이 모음집이다. 『서포만필』은 서포소설의 컨텍스트를 파악하는 측면에서나, 텍스트와 컨텍스트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신빙할 만한일차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만필』 탐구는 서포소설의해석 시각을 새롭게 마련하는 데에도 중요한 참조사항이 되리라 생각한다. 필자가 원전을 독파해본 결과, 서포가 남해적소에서 저술한 유배문학이 소동파가 海南島에서 남긴 유배문학과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정부분 차이점도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간파할 수 있었다. 이는『서포만필』 분석을 거쳐 김만중이 소동파를 동일화한 양상을 통하여서포소설 성립배경 과정을 일화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김만중은 『서포만필』 하권에서 소동파 관련 일화 기사를통하여 漢詩 창작만을 고집하던 종전의 양식에서 탈피하여, 소설 창작의 효용론을 주장하였다. 그러한 사유의 특징이 결국 남해적소에서 서포소설 창작의 모태가 되었음을 추론했다.

      • KCI등재

        <정주성> 시 해석의 일방향

        박호영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6 No.-

        1935년 조선일보에 발표된 백석의 처녀작 <정주성>은 그의 민족 의식이 반영된 시이다. 그는 홍경래 난의 유적인 ‘정주성’을 의도적으로 시의 소재로 택 했다. 홍경래의 난을 농민 항쟁의 역사적 사건으로 인식하고 이와 같은 저항이 식민지 현실에서도 이뤄지길 바라는 마음을 ‘정주성’을 통해 표현했다. 그가 ‘정 주성’을 민족 의식의 상징으로 인식하고 시의 소재로 택한 근거로 세 가지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는, 정주 내지 정주성에 대해 백석이 본래 지녔던 의식이다. 정주라는 곳이 몽고의 침입 때에도 굴복하지 않았던 곳이라는 사실과, 홍경래 난을 민중 해방을 시도한 사건으로 보는 인식이 정주에서 성장한 백석에게 있었 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그가 다닌 오산학교의 교풍과 무저항 민족주의 운동자인 고당 조만식 선생과의 특별한 인연도 첨가된다. 둘째, <정주성> 발표 바로 전 해에 미르스키의 글을 번역 소개하면서 백석이 고향의 방언을 구사하기로 결심 한 배경이다. 그는 이 글의 영향으로 방언의 구사가 곧 민족 정신의 고수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그것이 반영된 첫 작품이 시 <정주성>이었다. 셋째는 고향의 존경하는 선배시인이자 오산학교 동문인 김소월의 <물마름>의 영향이다. 이 작 품에서 소월은 홍경래 난 때 정주성에서 죽은 백성들을 애도하고 그 항쟁이 실 패로 그치고 만 것을 아쉬워했는데, 이 시를 읽고 백석도 ‘정주성’을 시의 소재로 택하고자 하는 마음이 들었다고 할 수 있다. 백석이 의도적으로 ‘정주성’을 시의 소재로 선택하였다고 할 경우 <정주성> 해석에는 또 하나의 방향이 제시될 수 있다. 우선 ‘문허진 성터’ ‘헐리다 남은 성 문’은 퇴락한 대상이라기보다 민중 항쟁을 꿈꾸게 하는 대상이다. ‘파란 혼들’ ‘한울빛’ ‘청배’를 통해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청색 이미지는 그 희망과 꿈을 암시 한다. 토종배인 청배를 매일 팔러 나오는 메기수염 늙은이도 단순한 인물이 아 니라 부단히 우리 민족의 희망을 일깨워주는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 백석의 첫 발표작인 <정주성>을 이 같이 해석하는 것이 설득력을 확보할 때 그의 민족의 식은 더욱 확고한 것이 되며, <정주성>의 시사적 의의도 새롭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Beak, Seok’s first poem ‘Jung-Ju Castle’ published at Chosun Ilbo in 1935 reflects his national consciousness. Beak intentionally chose Jung-Ju Castle as a subject material for the poem because the place is the historical remain of Hong, Gyeong-rae’s rebell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rough ‘Jung-Ju Castle’ he expressed the desire towards the recognition of Hong, Gyeong-rae’s rebellion as an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peasant resistance and the succession of resisting movement in the colonial era. Three evidences can be presented in choosing Jung-Ju castle as a symbol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subject material of the poem. First, there is Beak’s original understanding on Jung-Ju or Jung-Ju castl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Beak who was born in Jung-Ju, Jung-Ju was the place where did not surrender to Mongolia and the Hong, Gyeong-rae’s rebellion was an attempt towards people’s liberation. In addition to that, his alma mater Osan School’s tradition and his relationship with nationalist teacher Cho, Man-sik should also be emphasized. Second, he decided to speak local dialect after translating Mirsky’s work a year before he published ‘Jung-Ju Castle’. With the influence of Mirsky’s writing, he started to consider speaking dialect as a success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is was firstly reflected in ‘Jung-Ju Castle’. Third, the influence of his Osan School alumnus as well as venerated poet Kim, So-wol and his poem ‘Mulmareum(water chestnut in Korean)’. In ‘Mulmareum’, Kim mourned for the dead civilians in the Hong, Gyeong-rae’s rebellion and expressed deep regret about the failure of the rebellion. The probability is that Beak chose the subject material after reading Kim’s ‘Mulmareum’. In considering Jung-Ju castle as a material of Beak’s intentional choice, another interpretation on ‘Jung-Ju Castle’ can be added. ‘Collapsed ruins of the castle’ and ‘remains of the castle gate after torn down’ can also be interpreted as the objects that inspire national resistance as well as dilapidated objects. Bluish images commonly reflected on ‘blue soul’, ‘skylight’, ‘blue pear’ imply the hope. An old man with catfish mustache who comes out every day to sell domestic blue pear is rather a person who ceaselessly arouse national hope than just a simple character. If this interpretation of Beak’s first poem ‘Jung-Ju Castle’ is convincing, his firm national consciousness and topical significance of ‘Jung-Ju Castle’ should be reevaluated.

      • KCI등재

        유만주(兪晩柱)가 만난 이안중(李安中) - 1786년 9월, 남산의 문학청년들-

        김하라 ( Kim Ha-ra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9

        본고에서는 兪晩柱의 『欽英』에 기록된 바를 바탕으로 李安中의 청년기를 재구했다. 충청도 단양의 문인 이안중은 23세 되던 1774년, 자신이 쓴 시문을 보이기 위해 서울 창동의 兪漢雋 家를 방문했다. 유한준의 외아들로 당시 20세였던 유만주는 「浪華女兒曲」 등 이국 여성의 목소리로 읊은 그 시문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 이래 이안중은 1786년까지 한 해에 두어 차례 이 집을 방문하여 유만주와 교유했다. 유만주는 詩論이 중심이 된 이안중의 言說 및 그가 낭송하는 자작시를 경청했으며, 또한 『索隱』 등 그의 야담집도 읽고 일기에 면밀히 기록했다. 이에 힘입어, 자작시를 낭송하는 감성 충만한 시인이자, 여성인물의 생애에 관심이 많은 야담작가이며 시의 음악성과 형식의 단련에 비중을 두는 평론가로서 이안중의 다각적 면모에 접근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이안중의 작품 「雁帝本紀」가 매개가 된 1786년 9월 11일과 9월 19일의 특별한 文會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그로써 흥미로운 시문을 저술하는 것 이상으로 그것을 낭송하는 데 각별한 재능이 있었던 이안중의 면모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그 문학적 배경으로 어른거리고 있던 朴趾源의 존재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모임의 구성원 중 한 사람인 金相任의 신원을 밝히고 그가 박지원의 후배 문인으로 중요하게 거론 될 여지가 있다는 단서를 얻은 것도 본고의 성과라 할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rtray a portrait of a literary youth in the 18th century Joseon. The young man's name is Yi Ahn-jung and his home is Danyang in Chungcheong Province. In 1774 he visited the house of Yu Han-jun in Seoul, where he showed his poetry and was encouraged. At that time, Yu Man-ju, Yu Han-jun's only son, was impressed by Yi Ahn-jung and his poetry. And Yu Man-ju wrote his diary Heumyeong for the next 13 years and detailed his encounter with Yi. Thanks to the diary Heumyeong, we can reproduce various aspects of a literary youth of Joseon. Yi Ahn-jung, drawn in Heumyeong was a poet who recites poetry that he wrote himself, a prose writer who was interested in the life of female characters, and a critic who considered the form and musicality of poetry as important. I also analyzed the literary gathering of Yi Ahn-jung and his sympathies to appreciate chrysanthemums and to recite poems and prose. Yi and his friends gathered in a garden in Cheongpa-dong, Seoul on lunar September 11, 1786, and gathered at the house of Yu Man-ju’s in Chang-dong on September 19, a few days later. On this occasion, Yi Ahn-jung recited his prose “Life of the Emperor Wild goose” and Yeolhailgi, the China travel sketches of Park Ji-won’s and made a deep impression on the audience. Among the participants was Kim Sang-im, one of the juniors who followed Park Ji-won. He referred to Park Ji-won’s recent works and expressed the influence of Park Ji-won, a literary artist. The diary of Yu Man-ju is a vivid description of a literary gathering in Seoul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it help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Joseon literature and literary youth at that time.

      • KCI등재

        군신 관계의 관점에서 김만중 소설 읽기

        신재홍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3

        This study would interpret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based on the biographical facts of Kim Man-jung, especially his relationship with Sukjong who was the king of the age. Kim Man-jung, as the uncle of the queen, had a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and acted as a member of Seoin which was a political party bounded by bloodline, schooling, and regionalism. In the era of political party struggle in 17th century, he served as a royal aide during the reign of Seoin, but excluded by Sukjong during the reign of Namin which was opposing party against Seoin. He had some offices during the reign of Namin, but he criticized power holders of that time. His second and third exiles were in the midst of the political change in 1689. His relationship with Sukjong changed with the changes of reign, and eventually he died in exile. Preferentially I summarized Kim Man-jung’s though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vassal recorded in various materials. First, the monarch should communicate like a parent’s child without any concealment. Second, he must listen to his vassal’s opinions and be given a hand in the discipline of his character. Third, he must defeat the petty and crafty vassals’ party and cooperate with the virtuous and gentle vassals’ part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vassal, I interpreted Kim Man-jung’ novels,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In Guunmong the process of the affections between man and woman appears on the fron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vassal is set up behind it. In the process of Yang So-yu’s marriage to the imperial family, the crisis and solution of the relationship appear. This reflects the author’s experience of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and the desire for the grace of monarch. The Sassinamjeonggi develope the problems of the family on the front, the problem of the state in the background. In order to satire political situation the author took Eom sung’s period of Ming dynasty. His firm will is projected to the figure of Sassi suffering from arguments, and wish for the change of his monarch’s mind appears in the figure of Yu yeon-su wielded by Kyossi and regained intelligence. But we could read the conflicts between wife and concubine and the meaning of human virtual nature. So this novel have a complex themes. If we could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vassal, it is revealed that the intentions of one author are reflected in different aspects in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The approach to the works with writer’s biographical facts coul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related to the days more concretely. 본고는 군신 관계를 중심으로 김만중의 전기적 사실과 생각을 정리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읽어 보고자 하였다. 김만중은 왕후의 숙부로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고 혈연, 학연, 지연에 따라 서인의 일원으로 정치 활동을 하였다. 17세기 당쟁의 시대에 기해예송~갑인예송, 경신환국~기사환국의 서인 집권기에는 왕실 측근으로 활동하였지만 갑인예송~경신환국, 기사환국~서거까지의 남인 집권기에는 숙종에게 배척당했다. 남인 집권기에도 관직을 지녔으나 허적, 윤휴, 허목 등을 비판하여 왕의 진노를 사면서도 그 뜻과 자세를 견지하였다. 세 번 유배를 당했는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기사환국의 와중이었다. 몇 번의 환국으로 숙종과의 친소 관계가 바뀌었다가 결국 유배지에서 서거하였다. 여러 자료에 나타난 김만중의 군신 관계론을 정리하였다. 첫째, 군신 사이는 부모 자식처럼 숨김없이 소통해야 한다, 둘째, 군주는 신하의 의견을 경청하고 인격 수양에 보필을 받아야 한다, 셋째, 군주는 신하 가운데 소인 당을 물리치고 군자 당과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례별 논설에서는 제갈공명을 통해 신하는 유교적 수양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행사를 해야 한다고 하였고 사안‧왕탄지의 예에서 국가와 운명을 함께하는 신하를, 이필‧왕안석에서 군주 계도를 위한 간쟁과 풍간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군신 관계의 관점에서 김만중의 두 작품을 살펴보았다. <구운몽>은 남녀 주인공의 결연이 주된 흐름이지만 그 배경에 군신 관계의 문제가 전개된다. 양소유가 황실과 혼인하는 과정에 군신 관계의 위기와 해결 과정이 압축적으로 그려져 있다. 이상적 군신 관계에 기반한 황실의 시혜에 의한 갈등 해결이라는 점에 작가의 의도가 담겨 있다. <사씨남정기>는 가정사를 전면에 내세우고 국가사를 배경에 두어 사건을 전개하였다. 가와 국의 유비적 관계를 전제로 간쟁과 개오의 주제를 그려 내어 정치적 풍간의 의도가 읽히지만 가정 내 처첩 갈등을 통해 인간 본성의 회복이라는 주제를 찾을 수도 있다. 복합적 주제에 대한 다면적 이해를 의도한 작품이라 하겠다. 이렇듯 군신 관계에 주목할 때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서 한 작가의 의도가 서로 다른 양상으로 드러남을 알 수 있다. 환상적, 이상적인 <구운몽>에서도 군신 관계의 위기와 극복이 전개되었고, 가정 내 갈등이 중심인 <사씨남정기>에는 당대 정국에 대한 우의가 담겼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김만중의 두 소설이 작가의 생애 및 당대 현실과 관련된 양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

      • KCI등재

        어머니 독자와 김만중의 소설 창작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9 고전문학과 교육 Vol.40 No.-

        김만중이 유배지에서 윤 부인을 위해 소설을 창작했다는 것은 여러모로 음미할 만한 문제이다. 본고는 사대부가 여성 독자가 했던 가문 내적 역할과 관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어머니 독자’라는 개념으로써 그것에 접근하였다. 소설 창작의 사회 문화적 배경으로서 17세기 어머니 독자 현상을 논하고, 윤 부인의 독서인다운 면모를 드러내고,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서 어머니 독자를 고려한 면모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머니 독자의 존재는 17세기 사대부가에서 확인된다. 가모(家母)가 소설책을 읽고, 베끼고, 나누고, 빌리고, 보존하는 등의 역할을 하였다. 어머니 독자는 소설 독서를 함께한 여성뿐 아니라 가문의 대를 잇는 친인척 자녀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사대부가 아들이 어머니의 필적을 소중히 보관한 것은 소설 독서를 낙으로 삼은 어머니의 삶을 수용하는 의미가 있다. 김만중의 어머니 윤 부인은 평생을 독서인으로 살았다. 그녀는 역사와 인물 이야기에 관심을 두었고 독서를 통해 인격을 닦았다. 김만중은 평소에 윤 부인의 독서 경력, 교양과 지식, 인격 등에 부응하는 한글 소설을 지었을 것이고, 유배지에서 지은 <구운몽>의 경우에는 어머니를 의식하여 높은 문학성과 깊이 있는 주제가 요구되었을 것이다. 김만중의 소설 속에는 어머니 독자를 고려한 양상이 나타난다. <구운몽>은 남녀 결연의 배후에 어머니의 존재감이 드러나고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수준 높은 독서와 품평의 일상이 그려져 있다. <사씨남정기>는 여성의 덕성과 고난이 강조되었고 가문의 몰락과 회복이 앞뒤에서 상응하는 구성을 취하였다. 여기에는 가문 회복에 대한 작가의 염원과 함께 어머니와 여성의 삶에 대한 응원의 의미가 담겨 있다. 사대부 작가의 소설 창작이 어머니 독자를 위한 효도의 일환으로 인식된 것은 소설 창작 및 향유에 일정한 명분을 얻은 것이다. 작가의 입장에서는 허구에 대한 흥미와 유교 이념의 제시 사이에서 폭넓은 창작의 영역을 확보한 것이기도 하다. 어머니 독자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사대부 작가가 소설을 통해 여성을 일방적으로 가르치기보다는 일정한 교양과 지식을 갖춘 고급의 여성 독자에게 그와 함께한 인생만큼 독서의 기억을 담아 소통의 읽을거리를 제공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17세기 어머니 독자의 사회 문화적 배경하에서 수준 높은 한글 장편 소설이 나올 수 있었다. There are many ways to study the meaning of the fact that Kim Man-jung wrote a novel for Mrs. Yoon in the exile. This paper approached it as a concept of 'maternal reader' considering the internal role in the family and relational features that the female reader had. As a socio-cultural background for novel writing, I discussed the phenomenon of maternal readers in the 17th century, revealed the aspect of Mrs. Yoon's reading, and examined the aspect of considering maternal readers in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The maternal readers appeared in some families of Sadaebu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female reader of the family read, copied, shared, borrowed, and preserved books of novel. These maternal readers influenced not only women who read novels together but also relatives of family members. The fact that the son of Sadaebu cherished his mother's handwritings has the meaning of accepting the life of his mother who made the novel reading a pleasure. Kim Man-jung's mother, Mrs. Yoon, lived her life as a reader. She was interested in history and character stories and cultivated her personality through reading. Kim Man-jung would have wrote Korean novels that could correspond to Mrs. Yoon's reading concern, culture, knowledge, and personality. In the case of Guunmong written on the exile, he would have been conscious of his mother and demanded high literary and in-depth themes. In Kim Man-jung's novel, there is a pattern considering the mother's reader. In Guunmong the presence of mother behi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s revealed, and the daily life of high-level reading and evaluation centered on mother has been depicted. In Sassinamjeonggi the virtues and hardships of women are emphasized, and the collapse and recovery of the family has been taken a corresponding composition between first and last part of the work. This is the meaning of the support for the life of mother and woman along with the desire of the writer for the restoration of his family. The writing of novels by the writer of Sadaebu was recognized as part of the filial piety for the maternal readers, and it became a certain cause for novel writing and enjoyme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writer, it was also a wide range of creative areas between the interest in fiction and the presentation of Confucian ideolog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aternal readers, the writer intends to communicate with readers, providing them with a memory of reading from his life with a high-quality female reader, rather than teaching women unilaterally through novels. Under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maternal readers of the 17th century, high-quality Korean novels came into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