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공 김재준 박사의 구원론에 관한 연구: 초기 신학사상(1926-1949)을 중심으로

        최윤배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8 No.-

        This paper is a study of Jae Joon Kim’s soteriology with special reference to his first Opera I(1926-1949). Dr. Rev. Jae Joon Kim was born on November 6, 1901, in Korea. He died on Janurary 27, 1987. By Jae Joon Kim the order of salvation(ordo salutis), beginning in justification and ending in glorification, represents not only a logical sequence, but also a chronological one. The justification clearly precedes the others, as sanctification, new life, and glorification, on our use of the term, follows them - so called “the golden chain.” The Holy Spirit plays the important role in the order of salvation. Because the Holy Spirit takes all things out of Christ, and gives them to us. Jae Joon Kim can be regarded as reformed theologian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Republic of Korea(PCRK). 우리는 무엇보다도 장공(長空) 김재준(金在俊; Kim Jae Joon, 1901.음9.26/양11.6~1987.1.27) 박사를 공정하게 평가해야 한다. 우리는 편향된 한 가지 잣대만 가지고 그를 평가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의 신학사상은 매우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소위 자유주의신학자도 아니고, 소위 보수주의신학자도 아니었다. 우리는 김재준의 초기 신학사상(1926-1949)에 나타난 구원론을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김재준의 초기 구원론과 관련하여 그는 복음주의신학자인 동시에 개혁신학자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성령을 통한 신앙체험과, 구령(救靈) 또는 영혼구원을 위한 복음전파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교회, 사회, 국가 등)와 자연 속에서 하나님 사랑과 정의에 근거한 하나님 나라 실현도 강조한다. 둘째, 김재준의 경우, 창조자(創造者), 주재자(主宰者), 속량자(贖良者)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속 역사(歷史)의 틀 속에서 이해된 인간은 선하게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순진무구(純眞無垢)’한 인간, 선악과를 따먹음으로써 타락한 인간, 성령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에 따라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구원(속)받아야할 인간이다. 셋째, 김재준은 구원의 객관적인 내용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전체 삶(탄생, 고난, 죽으심, 부활, 성령강림/성령파송, 재림 등)을 매우 강조한다. 넷째, 김재준은 구원 과정(稱義, 新生, 聖化, 榮化 등)을 분명히 말하고 있으나, 우리로서는 그가 이해한 구원 과정이 시간적․단계적으로 이해되는지 신학적․논리적으로 이해되는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발전과정의 강력한 점진성의 표현을 참고할 경우, 전자의 의미에서 이해되는 것 같고, 성령을 절대적으로 강조하는 표현을 참고할 경우, 후자의 의미에서 이해되는 것 같다. 다섯째, 무엇보다도 김재준의 구원론에서 성령에 대한 강조가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칭의, 신생, 성화, 영화 과정 안에서 항상 성령 하나님이 주체적으로 그리고 주권적으로 나타난다. 여섯째, 김재준의 믿음 이해는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사랑에 대한 마음의 신뢰와 하나님과 이웃 사랑의 열매의 근거가 되어, 매우 포괄적이고, 전인격적(全人格的)이다. 일곱째, 김재준에게서 칭의 이해는 종교개혁자들(루터, 깔뱅, 부처 등)이 이해한 칭의 개념과 동일하다. 그의 칭의 이해는 철저하게 오직 믿음과 오직 은혜와 연결되어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전가(轉嫁)된 의로서 법정적(forensic) 의로 이해된 칭의이다. 여덟째, 김재준에게서 신생(新生)은 성령을 통한 거듭남이다. 그는 물세례를 수양(修養)의 차원에서 이해하고, 성령세례를 신생과 결부시킨다. 아홉 번째, 김재준에게서 성화는 성령을 통해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종말론적인 실천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변화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김재준의 성화 개념 속에 소위 ‘개인적 성화’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화’ 차원에서도 발견된다. 김재준의 경우, 출발점의 관점에서는 ‘개인적 성화’가 먼저이지만, 결과적인 관점에서는 ‘개인적 성화’는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반드시 ‘사회적 성화’를 실현해야 한다. 열 번째, 김재준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한 그리스도의 몸의 영화(榮化)에 근거하여 그리스도인의 몸의 부활을 통한 그리스도인의 영화를 설명한다. 그는 그리스도인의 영화로운 부활과 ...

      • KCI등재

        김재준 박사의 구원론에 관한 연구; 초기 신학사상(1926-1949)을 중심으로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8 No.-

        우리는 무엇보다도 장공(長空) 김재준(金在俊; Kim Jae Joon, 1901.음 9.26/양11.6~1987.1.27) 박사를 공정하게 평가해야 한다. 우리는 편향된 한 가지 잣대만 가지고 그를 평가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의 신학사상은 매우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소위 자유주의신학자도 아니고, 소위 보수주의신학자도 아니었다. 우리는 김재준의 초기 신학사상(1926-1949)에 나타난 구원론을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김재준의 초기 구원론과 관련하여 그는 복음주의신학자인 동시에 개혁신학자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성령을 통한 신앙체험과, 구령(救靈) 또는 영혼구원을 위한 복음전파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교회, 사회, 국가 등)와 자연 속에서 하나님 사랑과 정의에 근거한 하나님 나라 실현도 강조한다. 둘째, 김재준의 경우, 창조자(創造者), 주재자(主宰者), 속량자 (贖良者)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속 역사(歷史)의 틀 속에서 이해된 인간은 선하게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순진무구(純眞無垢)’한 인간, 선악과를 따먹음으로써 타락한 인간, 성령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에 따라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구원(속)받아야할 인간이다. 셋째, 김재준은 구원의 객관적인 내용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전체삶(탄생, 고난, 죽으심, 부활, 성령강림/성령파송, 재림 등)을 매우 강조한다. 넷째, 김재준은 구원 과정(稱義, 新生, 聖化, 榮化 등)을 분명히 말하고 있으나, 우리로서는 그가 이해한 구원 과정이 시간적 · 단계적으로 이해되는지 신학적 · 논리적으로 이해되는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발전과정의 강력한 점진성의 표현을 참고할 경우, 전자의 의미에서 이해되는 것 같고, 성령을 절대적으로 강조하는 표현을 참고할 경우, 후자의 의미에서 이해되는 것 같다. 다섯째, 무엇보다도 김재준의 구원론에서 성령에 대한 강조가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칭의, 신생, 성화, 영화 과정 안에서 항상 성령 하나님이 주체적으로 그리고 주권적으로 나타난다. 여섯째, 김재준의 믿음 이해는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사랑에 대한 마음의 신뢰와 하나님과 이웃 사랑의 열매의 근거가 되어, 매우 포괄적이고, 전인격적(全人格的)이다. 일곱째, 김재준에게서 칭의 이해는 종교개혁자들(루터, 깔뱅, 부처 등)이 이해한 칭의 개념과 동일하다. 그의 칭의 이해는 철저하게 오직 믿음과 오직 은혜와 연결되어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전가(轉嫁)된 의로서 법정적(forensic) 의로 이해된 칭의이다. 여덟째, 김재준에게서 신생(新生)은 성령을 통한 거듭남이다. 그는 물세례를 수양(修養)의 차원에서 이해하고, 성령세례를 신생과 결부시킨다. 아홉 번째, 김재준에게서 성화는 성령을 통해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의 종말론적인 실천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변화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김재준의 성화 개념 속에 소위 ‘개인적 성화’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화’ 차원에서도 발견된다. 김재준의 경우, 출발점의 관점에서는 ‘개인적 성화’가 먼저이지만, 결과적인 관점에서는 ‘개인적 성화’는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반드시 ‘사회적 성화’를 실현해야 한다. 열 번째, 김재준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한 그리스도의 몸의 영화 (榮化)에 근거하여 그리스도인의 몸의 부활을 통한 그리스도인의 영화를 설명한다. 그는 그리스도인의 영화로운 부활과 죄인들의 고통의 부활을 통한 이중부활을 주장하고, 천국과 지옥이라는 종말의 이중적 결과를 인정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Jae Joon Kim`s soteriology with special reference to his first Opera I(1926-1949). Dr. Rev. Jae Joon Kim was born on November 6, 1901, in Korea. He died on Janurary 27, 1987. By Jae Joon Kim the order of salvation(ordo salutis), beginning in justification and ending in glorification, represents not only a logical sequence, but also a chronological one. The justification clearly precedes the others, as sanctification, new life, and glorification, on our use of the term, follows them - so called “the golden chain.” The Holy Spirit plays the important role in the order of salvation. Because the Holy Spirit takes all things out of Christ, and gives them to us. Jae Joon Kim can be regarded as reformed theologian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Republic of Korea(PCRK).

      • KCI등재

        문익환의 통일론의 형성과 성격

        이유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The unification ideology of Moon, Ik-whan, an important person who has given a significant impact to the democratic movement and unification movement in Korea, has clearly been influenced by the influence of christendom. Therefore, the study mainly covers the unification theories of the christianity and Moon, Ik-whan which have not been popular under similar studies. His unification theory formulated between 1984 and his visit to North Korea is being covered now. For the formulation of Moon, Ik-whan's early life and his unification ideology, the christianity and nationalism of his father Moon, Jae-lin, his mother Kim, Shin-mook and the poet Yoon, Dong-joo had been most influential. Especially, death of Jang, Joon-ha in August, 1975 caused him to be involved in the real action for the democratic movement from simply being a theologist. Influences of Kim, Jae-joon, a teacher of Moon, Ik-whan, Ahn, Byung-moo and Kang, Won-ryong are also to be mentioned. Theology of Kim, Jae-joon changed the authoritative and conservative theology of Moon, Ik-whan. Ahn, Byung-moo also influenced Moo, Ik-whan's theology to be evolved to unification theology and further to peace theology. Consequently, his 'people' centered ideology during democratic and unification period of Moon, Ik-whan was influenced by political theology, reconciliation for unification and the peace theology of his teacher Kim, Jae-joon. After 7ㆍ4South and North joint announcement, the christian unification theory before 1975 urged the unification theory based on freedom and democratic value. Although Moon, Ik-whan could not show a specific unification plan, he started considering importance of 'theology of reconciliation' and the will of 'people'. In the unification theory of Moon, Ik-whan in 1975~1984, he cognized three different dimensions of people unification, nation unification and land unification beyond his old theory of geographical unification. Also, he formulated a position that democratization and unification should be realized concurrently. It was Moon, Ik-whan's first time to urge 'neutral way'. Moon, Ik-whan's unification was not compliance with the position of North Korea, but on the democratic ideology. And he did not try to benefit neither North nor South only, but to effectively adjust and compromise both.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사에서 큰 획을 긋는 중요한 인물인 문익환이 그의 통일사상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주요하게 영향을 미쳤던 것 가운데 기독교적 영향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는 별로 주목하지 못했던 기독교계 통일론과 문익환의 통일론을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또한 방북 이전 시기까지 시기별로 그의 통일론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볼 것이다. 문익환의 생애와 통일사상의 형성과정을 보면, 문익환은 아버지 문재린, 어머니 김신묵, 윤동주로부터 기독교 신앙과 민족정신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된다. 특히 1975년 8월의 장준하의 죽음은 그로 더 이상 신학자가 아닌 본격적으로 운동판에 뛰어들도록 한 동력이 되었다. 문익환의 스승인 김재준, 그리고 안병무, 강원룡 등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김재준의 신학은 문익환의 권위주의적이고 보수주의적 신학을 바꾸는 데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안병무 역시 문익환의 신학이 통일신학, 더 나아가 평화신학까지 나아가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문익환의 민주화, 통일운동 시기에 있어서의 그의 ‘민중’ 중심의 사고는 결국 그의 스승 김재준의 정치참여 신학, 통일을 위한 화해와 평화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겠다. 7ㆍ4남북공동성명 이후, 1975년 이전시기에 기독교계 통일론은 자유와 민주주의적 가치에 기초한 통일론을 주장했다. 문익환은 이 시기 아직 구체적 통일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지만, ‘화해의 신학’, ‘민중’의 뜻을 중요시하기 시작했다. 1975~1984년 시기의 문익환의 통일론은 이전의 지리적인 통일에서 더 나아가, 통일을 민족통일ㆍ조국통일ㆍ국토통일의 세 차원으로 인식했다. 또한 민주화와 통일을 병행해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 시기 문익환은 처음으로 ‘중립노선’을 피력했다. 문익환의 통일사상은 북한입장에 동조한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적 사상에 기반하고 있었다. 그리고 북측이나 남측 어느 한편을 이롭게 할 목적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양측 입장을 조정, 내지는 절충하고자 했다.

      • KCI등재

        문익환의 통일론의 형성과 성격

        이유나(Lee You-Na)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사에서 큰 획을 긋는 중요한 인물인 문익환이 그의 통일사상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주요하게 영향을 미쳤던 것 가운데 기독교적 영향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는 별로 주목하지 못했던 기독교계 통일론과 문익환의 통일론을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또한 방북 이전 시기까지 시기별로 그의 통일론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볼 것이다. 문익환의 생애와 통일사상의 형성과정을 보면, 문익환은 아버지 문재린, 어머니 김신묵, 윤동주로부터 기독교 신앙과 민족정신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된다. 특히 1975년 8월의 장준하의 죽음은 그로 더 이상 신학자가 아닌 본격적으로 운동판에 뛰어들도록 한 동력이 되었다. 문익환의 스승인 김재준, 그리고 안병무, 강원룡 등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김재준의 신학은 문익환의 권위주의적이고 보수주의적 신학을 바꾸는 데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안병무 역시 문익환의 신학이 통일신학, 더 나아가 평화신학까지 나아가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문익환의 민주화, 통일운동 시기에 있어서의 그의 ‘민중’ 중심의 사고는 결국 그의 스승 김재준의 정치참여 신학, 통일을 위한 화해와 평화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겠다. 7ㆍ4남북공동성명 이후, 1975년 이전시기에 기독교계 통일론은 자유와 민주주의적 가치에 기초한 통일론을 주장했다. 문익환은 이 시기 아직 구체적 통일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지만, ‘화해의 신학’, ‘민중’의 뜻을 중요시하기 시작했다. 1975~1984년 시기의 문익환의 통일론은 이전의 지리적인 통일에서 더 나아가, 통일을 민족통일ㆍ조국통일ㆍ국토통일의 세 차원으로 인식했다. 또한 민주화와 통일을 병행해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 시기 문익환은 처음으로 ‘중립노선’을 피력했다. 문익환의 통일사상은 북한입장에 동조한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적 사상에 기반하고 있었다. 그리고 북측이나 남측 어느 한편을 이롭게 할 목적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양측 입장을 조정, 내지는 절충하고자 했다. The unification ideology of Moon, Ik-whan, an important person who has given a significant impact to the democratic movement and unification movement in Korea, has clearly been influenced by the influence of christendom. Therefore, the study mainly covers the unification theories of the christianity and Moon, Ik-whan which have not been popular under similar studies. His unification theory formulated between 1984 and his visit to North Korea is being covered now. For the formulation of Moon, Ik-whan's early life and his unification ideology, the christianity and nationalism of his father Moon, Jae-lin, his mother Kim, Shin-mook and the poet Yoon, Dong-joo had been most influential. Especially, death of Jang, Joon-ha in August, 1975 caused him to be involved in the real action for the democratic movement from simply being a theologist. Influences of Kim, Jae-joon, a teacher of Moon, Ik-whan, Ahn, Byung-moo and Kang, Won-ryong are also to be mentioned. Theology of Kim, Jae-joon changed the authoritative and conservative theology of Moon, Ik-whan. Ahn, Byung-moo also influenced Moo, Ik-whan's theology to be evolved to unification theology and further to peace theology. Consequently, his 'people' centered ideology during democratic and unification period of Moon, Ik-whan was influenced by political theology, reconciliation for unification and the peace theology of his teacher Kim, Jae-joon. After 7ㆍ4South and North joint announcement, the christian unification theory before 1975 urged the unification theory based on freedom and democratic value. Although Moon, Ik-whan could not show a specific unification plan, he started considering importance of 'theology of reconciliation' and the will of 'people'. In the unification theory of Moon, Ik-whan in 1975~1984, he cognized three different dimensions of people unification, nation unification and land unification beyond his old theory of geographical unification. Also, he formulated a position that democratization and unification should be realized concurrently. It was Moon, Ik-whan's first time to urge 'neutral way'. Moon, Ik-whan's unification was not compliance with the position of North Korea, but on the democratic ideology. And he did not try to benefit neither North nor South only, but to effectively adjust and compromise both.

      • KCI등재

        1970년대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의 미주본부」의 ‘선 민주·후 통일’ 노선과 자유연합 -김재준의 의장활동을 중심으로-

        고지수 ( Koh Jisoo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80 No.-

        이 글은 1970년대‘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의 미주본부(한민통 미주본부)’의 반 유신 운동을 ‘선 민주·후 통일’지도이념에 따른 냉전기 자유연합 노선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1970년대 미주 한인사회는 폐쇄된 국내조건과 달리반 유신 체제 비판과 통일논의가 가능했다. 한민통 미주본부는 1973년 7월 야당 정치인 김대중의 유신체제 비판에 공감한 미주 한인들의 결합으로 결성되었다. 개신교 배경의 명망가들이 모여 느슨한 조직체로 출발한 한민통 미주본부는 1974년 11월 국내 민주인사이자 개신교 자유주의신학자 김재준의 결합으로 제1차 총회를 개최하여 자유진영 연합 노선을 채택하였다. 1976년 제3차 총회 이후 국내에서 선포된 「3·1민주구국선언」을 지도노선으로 채택하여 자유민주주의 정치이념과 ‘선 민주·후 통일’노선을 천명함으로써 초대의장 김대중의 정치노선으로 조직이념을 강화했다. 현실적으로는 미 의회 및 행정부, 미국교회 등의 대한정책 변화를 요구함으로써 박정희 유신정부를 압박하는 자유연합노선으로 전개되었다. 한민통 미주본부의 자유연합 노선은 1970년대 후반 해외 한인민족민주 흐름에서 민족자주계열의 동포연합운동과 대조를 이루는‘보수화 경향’으로 설명된다. This article sought to identify the anti-Yushin movement of “the Korean Congress for Democracy and Unification-North American Branch(한민통 미주본부)”as the Principle of "선 민주·후 통일“ in the 1970s. In the 1970s, unlike closed domestic conditions, the Korean community in the U.S. was able to criticize the anti-Yushin system and discuss unification. “The Korean Congress for Democracy and Unification-North American Branch(한민통 미주본부)” was formed as a union of Korean Americans who sympathized with opposition politician Kim Dae-jung's criticism of the Yushin regime in July 1973. The Korean Congress for Democracy and Unification(한민 통 미주본부), which started out as a loose organization of famous Protestant backgrounds, held the 1st General Assembly in November 1974 with the union of domestic democratic man and Protestant liberal theologian Kim Jae-joon, and adopted the line of Free-World Alliance. After the 3rd General Assembly in 1976, the “3·1 Democratic Declaration” was adopted as the guide principle and declared the liberal democratic political ideology and the line of “선 민주·후 통일.” In reality, the line was developed as a free-world alliance that pressed the Park Chung-hee Yushin administration by demanding policy changes to the US Congress, the administration, and the American church. The free-world alliance line of “The Korean Congress for Democracy and Unification-North American Branch(한민통 미주본 부)” is in contrast to the national independence line in the Korean- American national democratic coalition movement abroad in the late 1970s.

      • KCI등재
      • KCI등재

        민중신학에서 본 장공 김재준의 진리론

        김희헌(Hi Heon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1 No.-

        This article is to study a theory of truth in the Christian thoughts of Rev. Janggong Kim Jae-joon. In order to reveal the attitude, perspective, and content of his ideas, this paper employs three analytic methodologies: a contrast between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and the coherence theory of truth, a dialogue with the postmodern criticism of the modern logo-centric absolutism, and an adoption of minjung hermeneutics. Jang-gong went against the conservative streams of Korean Christian theologies in many ways. First, he criticized the theological dogmatization, which was based on the coherence theory of truth, by rehabilitating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and stressing the correlation of discourses to the historical realities as the place where a truth could be grasped. Second, he avoided both hermeneutic extremities of the modern absolutization of one truth and the postmodern relativization of all truths and created between them a way of moderation with the concept of the "Pan-cosmic community of compassion." Third, his understanding was aware of the theological importance of the suffering creatures as the focal point at which Christian theology can talk about the embodiment of Jesus`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This paper discusses the present significance of his idea of truth and requests a listening to his teaching of the Pan-cosmic community of compassion.

      • KCI등재

        ‘국민문학’에 흡수되지 않는 타자적 계기들

        손정수(Son, Jeong-soo)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3 No.-

        근래 들어 일제 말기 문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바 있다. 그렇지만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개별 작가에 대한 평가의 폭은 친일부터 저항까지 넓게 걸쳐 있다. 이 글은 당사자의 직접적인 발언뿐만 아니라 타자에 의한 시선을 겹쳐 읽음으로써 일제 말기의 문학적 상황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지형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런 맥락에서 최재서의 당대 문학에 대한 평가는 주목된다. ‘국민문학’의 이념을 선취한 그의 시선에 조선의 문학은 여전히 기존의 세계관을 굴절된 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과학적인 것’, ‘자유주의적인 것’, ‘조선적인 것’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는 그 징후들은 ‘국민문학’에 흡수되지 않는 타자적인 계기라고 할 수 있다. 그 계기들은 적극적인 방향성을 내포하고 있지는 않지만 현실의 부정적인 흐름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일종의 버팀목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그 가운데 ‘과학적인 것’과 ‘조선적인 것’의 동류(同流)적 관계는 『인문평론』과 『문장』으로 대표되는 두 가지 정신적 지향의 대비를 역사적 진행의 과정 속에서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그 시선으로 보면 ‘과학적인 것’과 ‘조선적인 것’은 동양적인 것=신념적인 것을 사이에 두고 그에 흡수되지 않고 남아 있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동일한 전선 위에 놓인 두 지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그 관계는 일제 말과 해방 후의 문학적 연속성을 설명할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more objective view of the literature in 1940’s, by reading the other’s comments to the works of the era. In this context, comments by Choe, Jae-seo draw attention. In various texts, he detected philosophy of previous days which was preserved in distorted form. Each symptom based on scientific, liberalistic, nationalistic philosophy was not absorbed to ‘national literature’. Those were moments of the other that made it possible to bear the pressure from imperial power, though they didn"t have any positive directional nature. It is expected that the moments will present us with the point of view to create new topography of the literature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홍성의 유교 잡지 『인도』 문예면

        박태일(Park, Tae-il)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9

        이 글은 충남 홍성에서 나온 유교 잡지 『인도』를 대상으로 그것의 실증적인 됨됨이를 바르게 밝히고, 그 안에 담긴 문예면의 특성을 구명하는 목표로 이루어졌다. 첫째, 『인도』는 알려진 바와 달리 1929년 6월 창간호부터 1931년 3월 제2권 제2호까지 8권이 나왔다. 월간을 겨냥했으나 검열로 말미암아 합호와 결호를 거듭했다. 호당 3000부에서 5000부까지 낸 것으로 보이는 인도의 유통 범위는 홍성을 중심으로 충남북 일대와 영호남에 걸쳤고 멀리 만주까지 미쳤다. 둘째, 『인도』글쓴이는 거의 유교부식회 회원이거나 내집단 사람이다. 이들이 채운 문예면은 표기 방식에서 중층적이고, 갈래 선택에서 이행기적이며, 창작에서 다갈래적이다. 이런 특성은 그 무렵 다른 유교 매체와 견주어 개방적이고 혁신적이다. 셋째, 『인도』의 시는 식민자 왜로와 피식민자 ‘조선’ 사이의 뚜렷한 이념 경계를 바탕으로 민족정체감과 민족적 의기를 담아내는 데 적극적이었다. 여느 문학 매체의 것보다 압도적이다. 넷째, 『인도』 수필은 이선준의 것이 대표한다. 그는 아산에서 지하 농민조합 활동을 벌이다 고초를 겪은 이다. 그는 ‘조선’의 아들로서 겪는 고통과 외로움을 격정적으로 썼다. 그러한 격정은 그 개인의 것이기도 하면서 그 무렵 지역 계몽 활동에 나섰던 청년들의 마음을 대변한다. 다섯째, 『인도』 소설 6편 가운데 5편을 손재학이 썼다. 그것은 축첩과 대지주의 행패, 가난과 같은, 당대 가족이 겪는 비극적 현실을 그렸다. 그를 빌려 『인도』가 나아가고자 했던 가정 윤리를 간접적으로 계몽하는 역할을 맡았다. 『인도』는 유교 진흥을 위해 낸, 구심성 강한 전문 잡지다. 그럼에도 『인도』는 실국시대 이른바 경학원 체제 아래서 선민 유교, 부왜 유교의 틀에 갇혀 있었던 여느 유교 잡지와 다른 민족 유교, 생활 유교의 실재를 보여 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Indo, the Confucianism magazine published by Hongseong region, Chungnam, and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page. First, Indo was first published on June 1929, and there are total 8 books including Volume 2, no.2 until March 1931. It was to be published monthly, but it was stopped or combined with other magazines due to censorship. The subscription range of Indo which published 3000 to 5000 copiers per book was focused on Hongseong, expanding to Chungnam, Chungbuk, Youngnam, Honam region and as far as Manju region. Second, the writers of Indo were members of Confucius club or from inner circle. Their expressive methods in literary pages were multi-leveled, transitional in choosing sections, and multibranched in creation. Such characteristics are very frank and innovative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Confucianism media. Third, poems from Indo aggressively included ethnic identity and ethnic spirits based on clear ideological border between colonizers and ‘Joseon’. It was very overwhelming compared to other literary media. Fourth, essay of Indo is represented by Lee Seon-Joon"s articles. He suffered hardships due to his participation in underground farmer"s association in Asan region. He aggressively expressed his suffering and loneliness as a son of ‘Joseon’. This passion of his is from himself, but also representing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local enlightenment activity. Fifth, Son Jae-Hak wrote 5 novels out of 6 in Indo. They describe evil concubinage and bullying of landowner, or tragedies of family such as poverty. The novels indirectly enlightened readers regarding home ethics that Indo pursue. Indo is a professional magazine with purpose to enlighten Confucius ideas. Indo shows the reality of ethic Confucianism and general Confucianism which was stuck in elitism Confucianism under Chinese Confucianism after loosing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