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革菴 金瀅植의 삶과 시문학에 대한 일고

        김새미오 우리한문학회 2019 漢文學報 Vol.41 No.-

        This paper studied the life and poetry literature of Hyukahm Kim Hyung-Sik. Hyukahm Kim Hyung-Sik is an intellectual from Jeju Island who lived the years of Japanese Occupation. His family is a meritorious one and they had lived in Chocheon through many generations. His father is Kim Mun-Ju who served the highest post of Cheongeui-hyun region (currently south east part of Jeju Island); and his brother is Kim Myung-Sik who was very well known as a journalist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rule. He studied in Meiji University and he held erudite knowledge for several languages. Moreover, he perceived keenly the complex political situations under way at that time. Even though he perceived the reality sharply, he chose a life to observe the ongoing situations of society with one step back rather than changing the reality through an active involvement. This made a great contrast with his brother Kim Myung-Sik who strived to change the reality by participating in the reality with an active engagement. Kim Seok-Ik, a colleague of Kim Hyung-Sik, evaluated that the literature of Kim Hyung-Sik presented the consistent unity between his deeds and words. Kim Hyung-Sik can be categorized a figure that belongs to the School of Nosa. While the School of Nosa resisted against the Japanese rule using armed forces in the beginning of the rule, it later made an effort to change society through education. The double edged tendencies made by the School of Nosa were confirmed in his poems. One is to reflect the wills to change actively the reality; and the other is to behave by escaping difficulties. This is clearly confirmed in his two pen names: hyuckahm and piae. Through the poems of Kim Hyung-Sik, it is identified that hyuckahm reflects his imagination for the reality whereas piae mirrors his behaving considering the reality. The pen name of hyuckahm indicates that Kim Hyung-Sik wished to change whatever things. It is a bow and a knife that he thought of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in order to change the dark situation. This shows following the character of armed resistance by Nosa School. Moreover, he was fully aspired to change certain things starting from the Movement of March First. Nevertheless, the reality was so harsh that intellectual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were not able to find enough locations to be situated in such a harsh situation. Kim Hyung-Sik also had to face that situation. His frustration in shadow was deeply reflected in his poems with the metaphors of an alcohol, tears, and friends. This can be read as the frustration and despair among young intellectuals under the Japanese rule being all surfaced, those who had to learn first to escape from difficult situations rather than to fight the reality. Furthermore, this is what should be remembered as an intellectual fight through literature against the Japanese rule. 본고는 혁암 김형식의 삶과 시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혁암 김형식은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제주의 지식인이었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조천에 세거하던 제주의 벌열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정의현감을 지낸 김문주였고, 그의 동생은 일제강점기 항일 언론인으로 이름을 떨쳤던 김명식이었다. 그는 明治大學에 수학했고, 여러 언어에 능통하였다. 뿐만 아니라 당시에 일어나고 있었던 복잡한 시국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의 삶과 처신의 관점은 『반도시론』의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현실을 정확하게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행동으로 현실을 바꾸는 것 보다는 한 걸음 물러서서 시류를 읽는 방향의 삶을 선택하였다. 이는 동생 김명식이 적극적으로 현실에 참여하여 바꾸려는 행동을 했던 것과는 분명히 대비된다. 김형식의 문학에 대해서 동료 김석익은 실질적이면서도 말과 행동이 정확하게 일치한다고 평가하였다. 김형식은 노사학맥의 인물로 분류할 수 있다. 노사학맥은 일제강점기 초기 무력으로 저항하기도 했지만, 후에는 교육을 통한 변화를 모색하였다. 노사학맥의 이런 양면적인 경향은 그의 시에서 그대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는 시대를 적극적으로 바꾸려는 의지를 표현한 작품이고, 또 하나는 어려움을 피하면서 처신하는 것이었다. 이는 ‘革菴’과 ‘避碍’라는 김형식의 호에서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다. 김형식의 시를 통해 볼 때, 그의 현실적 상상은 ‘革菴’이었지만, 현실적 처신은 ‘避碍’였다. 혁암이라는 호에서 보듯, 김형식은 무엇인가를 바꾸고 싶었다. 일제강점기 상황에서 바꾸기 위해 그가 생각했던 것은 활과 칼이었다. 이는 노사학맥의 무력항쟁의 성격을 잇는 면이 있다. 그리고 3.1운동을 기점으로 무엇인가를 바꾸어 보자는 생각도 팽배했었다. 하지만 현실은 매우 냉혹하였다.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은 발을 붙일 곳이 많지 않았다. 김형식 역시 그러하였다. 그의 좌절의 그림자는 술, 눈물, 친구를 통해 짙게 표현되었다. 이는 현실을 바꾸려는 것보다는 피하는 것을 먼저 배워야했던 젊은 지식인층의 울분이 드러난 것이었다. 그리고 이는 일제를 향한 하나의 文鬪로 기억해야할 부분일 것이다.

      • KCI등재

        궁중 악인(樂人)의 음악 연습과 『악장요람(樂章要覽)』

        이정희 ( Lee Jung-hee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 No.43

        『악장요람(樂章要覽)』은 악장의 요람, 즉 악장 중에서 중요한 내용만 뽑아 간추려 놓은 책이라는 의미이다. 전반부에는 악장(樂章)이, 후반부에는 악보(樂譜)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렇게 이원화된 체재는 정조대에 구축된 것이다. 필체와 수록된 가사의 작성된 시기를 통해 『악장요람』은 1809년 즈음에 작성된 후에도 세 차례에 걸쳐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즉, 총 네 단계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전해지게 된 것이라 하겠다. 다양한 필체와 수정한 흔적이 남아있다는 사실은 곧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쳤음을 의미하니, 『악장요람』의 표지 뒷면에 여러 자취가 남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전반부의 악장은 제례 절차를 기준으로 그에 수반되는 악곡명과 가사를 제시하는 방식이며, 특히 노랫말을 한문과 한글음으로 병기함으로써 가독성을 높였다. 후반부의 악보는 제례 절차를 준수하되 중복되는 선율을 과감하게 생략하여 음악을 기준으로 구성하였고, 율명ㆍ한문가사ㆍ가야금과 거문고의 격도지법ㆍ점(‘ㆍ’, ‘ㆍ’)과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궁중음악을 담아냈다. 이러한 구도는 제례의 구조 이해와 제례의 의미를 글로 담아 놓은 악장을 숙지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고, 한문과 병기된 한글음을 보면서 정확하게 노랫말을 익히게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형태라고 하겠다. 의식 절차와 딕션을 선행한 후 전체적으로 음악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연습했던 방향성이 악장과 악보를 수록하는 방식에 투영된 셈이다. 이러한 수록 방식은 악인의 음악교육과 음악연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치였다. 수록곡들의 특징은 우방(右坊)의 향악기 전공자로써 익혀야 할 필수악곡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아울러 『악장요람』의 표지 뒷면에서 김형식(金亨植)이라는 이름이 주목되니, 순조대에 효명세자가 기획한 궁중연향에서 무동(舞童)과 대금차비(大笒差備)로 활약했던 그의 이력을 통해 우방의 향악기 전공자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악장요람』의 수록곡은 김형식과 같은 우방의 향악기 전공자들이 평소에 연습하고 현장에서 연주하던 핵심 레퍼토리로 이루어진 것이다. 『악장요람』은 궁중악인의 일상이 담긴 ‘음악 연습 책자’였던 셈이다. 요컨대 『악장요람』은 주요 의례에서 노랫말을 정확하게 발음하면서 가창할 수 있게 악인을 교습시키려는 목적으로 고안된 책자로, 정조의 아이디어로 ‘악장+가보(歌譜)’의 체계를 갖출 수 있었으며, 순조대에 효명세자가 창작한 정재를 공연했던 무동으로 맹활약한 김형식이 소장자였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우방의 향악기 전공자이기도 했던 악공 김형식의 이름이 남아있는 데에다 이후 여러 악인들이 시대의 변화를 투영하여 수정하면서 활용했다는 실용성에서, 궁중음악을 전승하기 위해 지난한 과정과 시간을 보냈던 궁중 악인의 노정이 담겨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kjang yoram 『樂章要覽』 is a book that summarizes only the important contents from the Akjang 樂章. Akjang 樂章 is arranged in the first half, and score 樂譜 is arranged in the second half. It seems that Akjang yoram 『樂章要覽』 passed through a total of four stages through the time when the handwriting and the lyrics were written. The presence of various handwriting and traces of modifications means that it has been passed through by several people, so it is not unrelated to the fact that several traces remain on the back of the cover of Akjang yoram 『樂章要覽』. The first part of the Akjang 樂章 is a method of presenting the name and lyrics of the accompanying music based on the ritual procedure, and in particular, the lyrics a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sounds to improve readability. The score in the second half complies with the ritual procedures, but boldly omits overlapping melodies, and is composed based on the music, and various symbols are used to capture the expression of court music. This structure is a reflection of the direction we practiced to harmonize with the music after prior ritual procedures and diction. This was a devi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usic education and music practice for the court musici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are that they consist of essential musical pieces that must be mastered as musicians. In addition, the name Kim Hyung-sik 金亨植 is noted on the back cover of Akjang yoram 『樂章要覽』, and he was a court musician who was active in the age of King Sunjo 純祖. In other words, the musical pieces included in Akjang yoram 『樂章要覽』 are the core repertoire played by court musicians like Kim Hyung-sik 金亨植. Akjang yoram 『樂章要覽』 is a 'music practice booklet' containing the daily life of court musicians. Akjang yoram 『樂章要覽』 is a booklet designed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court musicians to sing while correctly pronouncing the lyrics in major ceremonies. It is even more noteworthy in that Kim Hyung-sik 金亨植 was an owner.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Kim Hyung-sik’s name remains, and in the practicality of being used by various court musicians reflecting and modifying the changes of the tim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ains the path of court musicians who spent a lot of time and time to transmit court music.

      • KCI등재

        제2의 반탁운동과 1947년 초 국내 정치세력 동향

        박명수 숭실사학회 2017 숭실사학 Vol.0 No.39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landscape in Korea at the time when it was centered on the second anti-trusteeship campaign, which took place in January 1947. In early 1947, a letter was made to public which planned to resume the second US-USSR Joint Commission, activating again the anti-trusteeship campaign. The All-Korean Student League, which was the primary agent in the 1946 Movement for Entrepreneurship, had again and again planned a large-scale struggle to commence on January 18, but its radical plans were halted by the intense actions of Rhee. However, on January 22, the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passed a resolution for the Anti-trusteeship by 44 to 1. This action had cleary declared the Korean position against trusteeship, while it proves to be a boost to the right wing and a frustration to the left. The overall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① The US Trusteeship plan was not supported by Koreans at the time, ② the opposition movement was focused on Rhee and Kim, ③ although Rhee was in the US at the time, his actual diplomatic leadership was stronger, ④ Kim Gu was also active in the opposition movement, but his leadership skills could not compete with Rhee Syngman, ⑤ Kim Gyu-sik and Yeo Un-hyung supported the Coalition Committee but it could not develop into a force, ⑥ At the time, the left wing supported the US-USSR Joint Commission, it represented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Soviets but it remained distant from the mainstream of Korean society at that time. In early 1947, the political landscape of South Korea can be summarized 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military forces centered on Hodge and the nationalist forces centered on Rhee Syngman. In this argument, the US military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Soviet Union, but the right-wing forces centered on Rhee built a strategy to oppose the trusteeship and establish a sovereign government in South Korea. At that time, most of the people in South Korea were in support of this position. The development of this political situation led to the birth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본 논문은 1947년 1월에 일어난 제 2의 반탁운동을 중심으로 당시의 한국 정치 지형을 살펴보았다. 1947년 초 하지는 미소공위 재개를 위한 서신을 공개했고, 이것은 잠복해 있던 반탁운동을 다시 재연시켰다. 1946년 반탁운동의 전위대였던 전국학생총연맹(All-Korean Student League)은 1월 18일 다시금 대규모의 투쟁을 계획했으나 이승만의 제지로 과격한 행동은 중지되었다. 하지만 1월 22일 당시 미군정에 의해서 만들어진 입법의원에서 44: 1로 반탁을 결의하였다. 이것으로 미군정이 추구하는 미소공위는 한국인들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부정된 것이다. 이같은 반탁운동은 우익에게 큰 힘을 제공하는 것인 동시에 좌익에게는 좌절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① 미국의 신탁통치 계획은 당시 한국인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② 반탁운동은 이승만과 김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③ 비록 당시 이승만은 미국에 있었지만 그의 외교력을 통한 지도력은 가장 강력했고, ④ 김구 역시 반탁운동의 중심에 있었지만 지도력 경쟁에서 이승만과 비교할 수 없었고, ⑤ 김규식과 여운형은 미군정의 도움으로 좌우합작과 미소공위 재개를 지지했지만 독자적인 세력으로 발전하지 못했고, ⑥ 당시 좌익은 미소공위를 지지하고, 더 나가서 소련의 입장을 대변했으나 당시 한국사회의 주류와 거리가 멀었다. 1947년 초 남한의 정치지형은 하지를 중심으로 하는 미군정 세력과 이승만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주의 세력의 대립 구도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런 논쟁에서 미군정은 소련과 함께 한반도의 문제를 풀어보고자 하였지만 이승만 중심의 우익세력은 신탁통치를 반대하고, 남한에 단독정부를 세우는 전략을 세웠다. 당시 남한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이승만의 입장을 지지했다. 이런 정치지형의 전개는 1948년 대한민국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 KCI등재

        3·1운동의 기폭제

        정병준(Jung, Byung Joon) 역사비평사 2017 역사비평 Vol.- No.119

        Lyuh, Woon-hyung(1886~1947), a Korean politician, met an American politician Charles R. Crane(1869~1958) at the Carlton Cafe, Shanghai, on November 27, 1918. Crane was known as a personal friend and de-facto representative of President Woodrow Wilson instr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in the Far East following World War I. Chinese people hailed Crane’s visit and were excited at his suggestion of sending Chinese representatives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order to protect China’s interests. Inspired by Crane’s speeches, Lyuh asked him to transmit a Korean petition fo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o President Wilson. Lyuh’s petition to President Wilson, dated November 28, 1918, and his letter to Crane, dated November 29, 1918, were found in the Crane Family Papers archived in the Columbia University Library. Another copy was sent to Thomas F. Millard, the publisher of Millard’s Review of the Far East in Shanghai, to convey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Crane or Millard conveyed Lyuh’s petition to either President Wilson or the Paris Peace Conference. Lyuh established the New Korean Young Men’s Association with his colleagues in Shanghai to solve the representation problem. He invited Kim Kyu-sik to Shanghai and sent him as an official representative of the New Korean Young Men’s Association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Lyuh’s petition to President Wilson and his sending Kim to Paris became a crucial motivation for the outburs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Lyuh and Kim were normal Korean residents in China, but their roles in Shanghai and Paris turned them into key figures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and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