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기림 이상론의 변모 과정 연구

        이미순 이상문학회 2023 이상리뷰 Vol.- No.20

        본고는 김기림 이상론의 변모 양상을 살피고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 논문이다. 김기림은 1934년 「현대시의 발전」에서 처음 이상을 거론하였다. 이 글에서 김기림은 당시 한국 현대시의 난해성이 초현실주의의 수용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초현실주의자로 이해한 이상의 시를 가장 먼저 비평하였다. 김기림은 현대시의 발전을 위해 초현실주의를 방법론을 계승하자고 하면서도 이상의 <운동>에서 시적 언어의 질서와 의미, 명랑성 등을 읽어내었다. 1935년 이후 김기림은 이상이 <위독>에서 적절한 현대의 진단서를 썼고, 시대의 우울을 표현하였다고 하였다. 당시 유토피아의 지향을 지니고 있었던 김기림은 이상의 우울 속에서 유토피아의 지향을 발견하였다. 1930년대 말 김기림은 유토피아의 방향을 “모더니즘의 초극”으로 구체화하면서 이상을 내세웠고, 이상을 유토피아를 꿈꾼 비극의 신으로 이해하였다. 해방 후 김기림은 이상의 인간적인 모습을 다양하게 드러내고 그를 “나르시쓰”로 회고하였다. 또한 이상의 현실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그의 문학을 비평하면서, 이상이 현실에 “서늘함”의 태도를 지녔고, 현실에 대한 “철저성”으로 현실을 깊이 해부하였다고 하였다. 또 이상은 원래 “나르시쓰”였으나 속악한 현실에 대응하면서 점차 순교자로, 청교도로 나아갔다고 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Kim Ki-rim’s literature theory of Lee Sang and clarify its significance. Kim Ki-rim first discussed Lee Sang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Poetry” in 1934. In this article, Kim Ki-rim suggested that modern Korean poetry should inherit surrealism, and he listened to the above <Movement> a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Movement>, Kim Ki-rim paid attention to the methodology of surrealism, especially the combination of language, not the spirit of surrealism. In the late 1930s, Kim Ki-rim tried to read the spirit of the times in Lee Sang’ poetry that revealed the modern crisis. This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Kim Ki-rim had a utopian orientation. Kim Ki-rim said that Lee Sang wrote an appropriate modern medical certificate in <Widok>. Lee Sang was called “Jupiter” and “Jesus” as the hero who dreamed of utopia. At the end of the 1930s, Kim Ki-rim emphasized “the overcome of modernism” and brought Lee Sang to the fore. After Liberation period, Kim Ki-rim did not compare Lee Sang to a god or a hero, but called it “an asylum in life” and “Narcissus”. Kim Ki-rim paid attention to the attitude toward the reality and said that Lee Sang has “indifference” and “shame”. Kim Ki-rim discussed the literature focusing on Lee Sang’ novels. Kim Ki-rim said that Lee Sang was originally “Narcissus”, but he gradually became a martyr and a puritan in reality.

      • KCI등재

        김기림의 시론과 ‘근대정신’의 복원

        오문석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5

        Kim Ki-rim often shows contradictory attitudes in his poetic theory. On the one hand, he is a champion of modernism, while on the other hand, he is being critical of the fact that modernism is becoming a technologist. In emphasizing the reflection of the zeitgeist, he denies 19th century literature and espouses modernism as the 20th century literature. When he emphasizes the criticism of civilization, he becomes critical of modernism focused only on reflecting civilization with its technique. Kim Ki-rim's ambivalent attitude toward modernism is a reflection of his dual attitude toward civilization. Because he simultaneously demands acceptance of civilization and criticism of civilization. Therefore, he criticizes modernism emphasizing only the acceptance of civilization, and also the romanticism and realism that focuses only on criticism of civilization. He proposes coexistence of the two and calls it the 'total poetry'. The total poetry seeks to integrate the contradictory attitudes of acceptance of civilization with criticism of civilization. Kim Ki-rim regards it as a modern spirit. He insists the total poetry, which combines contradictory attitudes toward civilization, is the realization of a modern spirit. Modern spirit originated from the Renaissance, when the two contradictory emotions of humanity and intelligence were coexistence. Contradictory emotions are subsequently reconfirmed as romanticism and classicism, following Hume's suggestions. Kim Ki-rim believes Hume's proposal to restore classicism, excluding romanticism, is falling short of the modern spirit. In contrast, he seeks to compensate for the modernism of Classicism and to restore the modern spirit by recovering romanticism. The modern spirit of working through the coexistence of conflicting emotions has disappeared since the Renaissance, when Kim Ki-rim hoped to recover it throughout the total poetry. But the romanticism that Kim Ki-rim seeks to restore is not the past romanticism but the future romanticism that exceeds the acceptance of the civilization. Therefore, Kim Ki-rim meets up with the revolutionary Romanticism of Im Hwa in that the romantic spirit that Kim Ki-rim introduces in modernism includes active criticism of capitalist civilizations. Eventually, the total poetry of Kim Ki-rim, the synthesis of modernism and realism, was meant to restore the modern spirit of synthesis through contradiction. 김기림은 그의 시론에서 모순된 태도를 자주 보여준다. 한편으로는 모더니즘의 옹호자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모더니즘이 기교주의로 전락하고 있다면서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시대정신의 반영을 강조할 때 그는 19세기의 문학을 부정하고 20세기의 문학으로 모더니즘을 옹호한다. 문명비판을 강조할 때 그는 모더니즘이 기교를 내세워 문명을 반영하는 데만 치중한다고 비판적 반응을 보인다. 모더니즘에 대한 김기림의 양면적 태도는 문명에 대한 이중적 태도의 반영이다. 그는 문명에 대한 감수와 문명에 대한 비판을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명감수만 강조하는 모더니즘, 문명비판에만 치중하는 낭만주의와 리얼리즘의 일면성을 비판하고, 양측의 공존을 제안하고 그것을 ‘전체시’로 명명한다. 전체시는 문명감수와 문명비판이라는 모순된 두 가지 태도의 종합을 지향하며, 김기림은 그것을 ‘근대정신’으로 이해한다. 그는 문명비판의 경향파와 문명감수의 모더니즘을 종합하는 전체시가 근대정신의 실현이라고 주장한다. 근대정신은 인간성과 지성이라는 두 가지 모순된 정서의 공존을 보여준 르네상스에서 발원한 것이다. 이후 모순된 정서는 흄의 제안을 따라 낭만주의와 고전주의로 재확인된다. 김기림은 낭만주의를 배제하고 고전주의를 복원하는 흄의 제안이 근대정신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맞서 그는 낭만주의를 복원함으로써 고전주의 편향의 모더니즘을 보완하고, 근대정신을 회복하고자 한다. 서로 상반된 정신의 공존을 통해 작동하는 근대정신은 르네상스 이후로 사라졌었는데, 김기림은 그것을 전체시를 통해 회복하고자 한 것이다. 그의 전략은 고전주의 편향의 모더니즘에 낭만주의를 끌어들여 고전주의(모더니즘)와 낭만주의의 모순적 공생 관계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것은 모더니즘의 문명감수의 정신에 낭만주의의 문명비판의 정신을 추가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김기림이 복원하려는 낭만주의는 문명감수조차 거부하는 과거의 낭만주의가 아니라 문명감수의 정신을 초과하는 미래의 낭만주의이다. 따라서 김기림이 모더니즘에 도입하는 낭만주의 정신은 자본주의 문명에 대한 능동적 비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임화의 혁명적 낭만주의와 만난다. 결국 김기림의 전체시, 즉 모더니즘과 경향파의 종합은 모순을 통한 종합이라는 근대정신의 회복을 모색한 것이다.

      • KCI등재

        해방기 김기림의 행보와 민족주의 의식 연구

        김윤정 ( Kim Yun-j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4

        이 논문은 1930년대 모더니즘의 대표적 이론가이자 시인이었던 김기림의 해방기 행적을 살펴보고 그가 어떤 논리로 좌익 문단에 가담하였으며 당시 그가 지녔던 민족과 국가에 대한 의식이 어떠하였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해방기 지식인들이 사회주의자가 아니었음에도 좌익 문단에 가담한 경우는 드문 경우가 아니었으며 여기에는 주체들의 의식 이전의 국제정세에 그 요인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당시의 국제 정세와 그와 분리될 수 없었던 국내 상황을 통해 김기림이 좌익 문단에 참여했던 이유를 고구하고 결국 그의 선택이 명실상부한 민족주의 의식에 따른 것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해방기 김기림이 좌익단체에 가담할 수 있었던 것은 2차 세계 대전을 미소의 좌우익 연합에 따른 파시즘 극복의 성격을 띠는 것으로 본 점과 조선문학건설본부 및 조선문학가동맹이 민족통일전선을 내세우며 사회주의적 정체성을 유보시킨 데 따른 것이다. 이 두 사안은 김기림 등 당시 지식인들이 좌익과 협력하는 데 대해 아무런 저항을 느끼지 않게 하였고, 그들로 하여금 2차 대전의 연장에서 파시즘 축출로서의 친일 잔재 청산, 국수주의의 배격, 그에 따른 인민 중심의 민족국가건설을 도모하게 하였다. 그러나 해방 후 남한에서 전개되었던 미군정에 의한 좌익 탄압과 신탁 정국 속 좌우익 세력 간의 갈등은 김기림 등 좌익 지식인들의 국제주의적 시각과 민주주의에 대한 믿음을 뒤흔들었다. 이들은 국제 민주주의 체제를 옹호하면 할수록 더욱더 분단 상황으로 치닫는 상황에 좌절하면서 이에 저항하는 인민 투쟁을 전개하게 된다. 끝내 미소공위가 결렬되고 좌익이 불법화되며 영구 분단이 획책되기에 이르자 대부분의 문학가동맹 지식인들은 월북을 단행하였으나 김기림은 남한에 머물게 되는데, 이러한 김기림의 선택은 우유부단했다기보다 종국적으로 좌익일 수 없었던 김기림의 신중한 모습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에게 중요했던 것은 사회주의나 좌익이라는 정체성 이전에 진정한 의미에서의 민주주의였고 민족의 분단 극복이었다. 김기림에게 “국토 양단”은 우리 민족이 겪고 있는 가장 큰 상처로 인식되었기에 김기림은 분단을 피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고민하고자 했다. 그에게 “영웅”의 길 대신 “불행과 고난”을 택하고 “가난한 자 남루를 달게 견디는” 길은 곧 민족분단 극복을 위해 헌신하는 일에 해당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beration period movements of Kim Ki-rim who is a representative theorist and poet of modernism in the 1930s, and examines with what logic he participated in the left-wing literature and what consciousness he had about the nation and the country at the time. It is not uncommon for intellectua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o participate in left-wing literature even though they were not socialists,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a factor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not the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reason why Kim Ki-rim participated in the left-wing literature throug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 domestic situation that could not be separated from it, and in the end, his choice was based on a sense of true nationalism. Kim Ki-rim was able to join left-wing organization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ecause he saw World War II as a modern settlement under the left-right alliance of the international world and because the Joseon Writer Alliance held up its identity as a Socialist. These two issues made intellectuals, including Kim Ki-rim, felt no resistance to cooperating with the left. However, the suppression toward left-wing groups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and the conflict between left and right forces in the trust political situation shook the internationalism of left-wing intellectuals such as Kim Ki-rim and their belief in democracy. The more they defend the international democratic system, the more they are frustrated with the situation that is heading toward division. Therefore they develop a people’s struggle to resist it. Eventually, when the US-Soviet Union collapsed, the left became illegal, and the permanent division was planned, most intellectuals of the Joseon Writer Alliance defected to North Korea. However, Kim Ki-rim stayed in South Korea. This means Kim Ki-rim’s attitude is very cautious rather than indecisive. What was important to him was democracy in the true sense and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nation before the identity of socialism or the left. For Kim Ki-rim, “both ends of the country” were recognized as the biggest hurt our people had been experiencing, so Kim Ki-rim wanted to think about the best way to avoid division. For him, the path to “bad luck and hardship” instead of “hero” and “to endure the poor” corresponds to dedication to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nation.

      • KCI등재

        김기림 시론에서 ‘이미지’라는 용어의 의미 확장 양상

        안웅선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7 No.-

        Kim Ki-rim accepted Ezra Pound`s imagism in the early 1930s and borrowed the pronunciation of image without paraphrasing the term image and used it. For Kim Ki-rim, the meaning of image was used in different meanings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1930s. Kim Ki-rim's poetry theory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s, image was used as a translation of video, and it wa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poetry, which had been used since the 1920s. Ki-rim Kim accepts the concept of the beginning of creation starting from ‘a single image’ that Ju-han Joo-han spoke of in the creation of poetry in the 1920s. This is expressed in the word inspiration, and the image at this time was close to the concept of a video emerging in the mind or spirit. Furthermore, in the early and mid-1930s, Ki-rim Kim implemented a starting method close to the free association method through his interest in surrealism. Attempting a surrealist creative method to implement a critical approach to modern civilization, Kim Ki-rim's image now goes beyond the meaning of a simple video and contains the meaning of the material of the automatic technique method. However, in the face of criticism that the attempt at creation through the unconscious chain of images simply pays attention to the technique of poetry, Kim Ki-rim shows his own attempt to control the unconscious chain in a scientific way by combining it with an intellectual attitude. After studying at Sendai Imperial University in the late 1930s, Kim Ki-rim actively accepted I.A.Richard's theory of poetry. In this process, the meaning of the word image is also expanded to the dimension of integrating image and sens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sychology, it is stated that images or representations that occur in human cognition can evoke the senses, and analyze the dedication of Kim Gwang-kyun's Wasa-deung and Oh Jang-hwan. The integration of image and sense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contain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image at the level of context in the future, but subsequent attempts fail due to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 KCI등재

        1930년대 전기 김기림 시론의 탈감상주의적 태도 연구 -‘감상주의’의 공백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류순태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2 No.-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attitude of post-sentimentalism[탈감상주의] of Kim Ki-rim's poetics in the former half of 1930s, focused on the possible void of 'sentimentalism[감상주의]' which had been called by Kim Ki-rim. Kim Ki-rim had consistently showed that attitude in his pursuit of 'new poetry', treating 'sentimentalism' as a specimen that had represented the negative attributes of 'old poetry'('modern poetry'). But, his attitude of post-sentimentalism had the distinct possibility that 'sentimentalism' would be able to play the part of void in his 'new poetry' too. That possibility was chiefly due to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ly, intellectual attitude[주지적 태도] that had been looked upon as a important way to create and constitute reality in Kim Ki-rim's poetics was limited in overcoming the subjectivism of a poet, colligated with language. Secondly, lucid sentiency[명랑적 감성] that had been the key to the expression in language of images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most intellectual attitude by Kim Ki-rim was free from romantic desire, depending on primitivity. Thus, the 'new poetry' of Kim Ki-rim's should be consistently forced to split and reconstitute by the void of 'sentimentalism' that had been denied by Kim Ki-rim. In conclusion, 'sentimentalism', paradoxical as it may seem, made Kim Ki-rim realize that he would be unable to achieve the goal of 'new poetry' in only one way. 본고의 목적은 1930년대 전기 김기림의 시론에서 나타난 탈감상주의적 태도가 지닌 특성을 ‘감상주의’의 공백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1930년대 전기에 김기림은 ‘감상주의’를 기존의 시(‘근대의 시’)가 지닌 부정적 속성들을 대변하는 것으로 바라보았다. 그러면서 그는 ‘새로운 시’를 추구해 나가는 데 있어서 지속적으로 탈감상주의적 태도를 드러내었다. 이런 사정은 다른 무엇들보다도 김기림이 당시에 ‘주지적 태도’를 앞세워 현실의 변화를 제대로 포착해 낼 수 있는 시를 주창하였던 데에서, 또 이미지의 언어화를 ‘새로운 시’가 추구해야 할 기술로 바라보면서 ‘명랑적 감성’에 바탕 한 시를 주창하였던 데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그러한 태도나 방법을 통해서 ‘감상주의’를 완전히 떨쳐내어야만 한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김기림의 그런 태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에서 ‘감상주의’의 공백적 가능성, 즉 ‘감상주의’가 그 ‘새로운 시’라는 집합에 돌출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지닌 것이었다. 첫째로, 김기림이 시인의 주관이 객관에 부단히 작용하여 현실을 새롭게 창조하고 구성해 내는 것으로 여겼던 ‘주지적 태도’가 언어와 결부되면서, 김기림이 부정하였던 시인의 주관적 경향 또한 어느 정도 지닐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둘째로, 김기림이 가장 지적인 태도로 여겼던 이미지의 언어화에서 그 요체라고 할 수 있는 ‘명랑적 감성’이 ‘원시성’과 결부되면서, 그가 벗어나고자 했던 ‘감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는 점이다. 그래서 김기림의 탈감상주의적 태도에서는 김기림이 현실과 관련을 맺지 못하는 주관적인 경향의 ‘감상주의’로 치부하였던 ‘입체파’, ‘다다이즘’, ‘슈르리얼리즘’ 등과, ‘감상주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비판하였던 ‘로맨티시즘’, ‘상징주의’ 등이 돌출될 가능성이 적지 않았다. 이처럼, 1930년대 전기에 김기림이 추구하였던 ‘새로운 시’라는 실재는 그가 부정하였던 ‘감상주의’라는 공백에 의해 지속적으로 균열되고 재구성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1930년대 중반에 들어서서 김기림이 ‘기교주의’를 반성하고 ‘전체시’를 주장하였던 것도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결국, 1930년대 전기 김기림의 시론에서 나타난 탈감상주의적 태도에서, ‘감상주의’는 역설적이게도 김기림에게 ‘현대’가 추구해야 할 시가 결코 하나일 수 없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각성시켜 주는 역할을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해방기 김기림의 문학 활동과 이념 노선에 대한 일 고찰

        김유중(Kim, You-joong)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8

        1920~30년대 이 땅의 대표적인 모더니즘 시인이며 이론가였던 김기림의 해방기 행적은 그간 많은 연구자들에게 곤혹감을 안겨주었다. 좌파 문인 단체인 조선문학가 동맹의 핵심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좌경화된 시와 산문을 작성하는 등, 이전의 자신의 문학 활동을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듯한 태도를 취한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글에 나타난 세부적인 내용들을 검토해보면 당시 박헌영 등의 좌익 남로당 계열의 정책 방향과는 미묘한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된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들어 그를 좌우의 이념을 초월한 중간파 문인의 한사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중간파라고 규정했을 경우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중간파 자체가 여운형 등이 중심이 된 중간 좌파에서 김규식, 안재홍 등의 중간 우파에 이르기까지 그 이념 성향이나 범위가 지나치게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그가 구체적으로 어떤 특정 정파의 노선과 유사한 길을 걸었는지를 밝히는 것은 그래서 더욱 중요한 것처럼 보인다. 이 글을 통해 필자는 해방기 그가 추구한 정치적 이념과 사상을 당대의 중간 좌파의 진보적 민족주의 정치 지도자 여운형의 그것과 보조를 맞춘 것으로 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여운형에 대한 그의 경사는 민족의 진로와 미래에 대한 그 나름의 모색에서 나온 결과이며, 모더니즘의 수용과 그것으로부터의 탈피 선언 또한 이런 맥락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사실 김기림은 오래전부터 주위의 여러 사람에게 여운형의 사상과 이념 노선에 대해 호감을 표한 바 있다. 그리고 해방 이후로 그가 취한 정치적, 문학적 태도에 있어서도 여운형의 노선을 추종한 흔적들이 강하게 남아 있다. 구체적으로 해방된 조국의 민족적 주체를 인민으로 보고 인민에 기초한 나라, 인민에 기초한 문학을 추구한 점, 그리고 좌우의 극한 대립을 지양하고 상호 간의 신뢰를 통한 합작 노력으로 궁극적으로 남북통일을 달성하려 한 점, 미소 양대국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이들과의 등거리 균등 외교를 강조한 점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여운형 암살과 남북 양측에서의 단독 정부 수립으로 비록 이러한 그의 희망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어버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기림은 마지막까지 좌우 합작을 통한 통일 민족 국가 수립에의 열망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리고 끝내 그 꿈을 현실화시키지 못한 채 전란의 와중에서 북한 기관원들에 끌려가 납북당하는 비운의 주인공이 되었던 것이다. Kim Ki Rim, one of the best modernist poets of the 1920s and 1930s, has troubled many researchers with his confusing activiti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s a core member of the leftist literary group Korean Writers’ Alliance, he composed left-sided poetry and prose, seemingly denying his previous works. However, examining his specific works reveals that he took a route that deviates from the policies of left-wing South Korea Labor Party such as those of Park Hon Yeong. Considering such difference, some categorize Kim Ki Rim as a moderate, who transcended the ideology of left and right. However, this categorization still leaves problems. The moderate wing, in and of itself, pervades too wide and inclusively; it includes not only the moderate left wing such as Lyuh Woon Hyung but also the moderate right wing such as Kim Kyu Sik and Ahn Jae Hong. Thus, it becomes necessary to specify with which party’s route Kim Ki Rim defined. This study sees Kim Ki Rim’s steps close to those of Lyuh Woon Hyug, a moderate left-wing’s progressive nationalist politics leader of the period. In other words, Kim Ki Rim’s inclination towards Lyuh Woon Hyung resulted due to his concern about the nation’s prospects and future, allowing one to view Kim Ki Rim’s acceptance and break from modernism in such a context.

      • KCI등재

        김기림의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이미순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4 No.-

        In Kim Ki-rim’s early poems, his hometown is not described based on its actual appearance but as a fantasy. This is done by juxtaposing or compressing space through the expansion of space and time. In Kim Ki-rim’s poems, his hometown is not an imaginary place separated from reality, but a heterotopia that overlaps with reality. From the mid-1930s, Kim Ki-rim’s hometown gained a more realistic appearance in his poetry. In the works from this period, time and space in the poem itself are presented as the current living space, and fragmentary narrative situ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narrator’s description. The narrator does not maintain an emotional distance from his hometown and is critical toward modern civilization. After the liberation period, Kim Ki-rim began viewing his hometown as a utopia. This utopia, which Kim Ki-rim recognized in the city after liberation, is modeled after his mythical hometown. After liberation, he presented his mythical hometown, like the hometown of Genesis or the hometown of Zion, as the prototype of a new country to be built in the future. Although this hometown exists in mythology,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nature and civilization. In addition, Kim Ki-rim tried to find the home of the national community in his utopic hometown. In Kim Ki-rim’s poems, his hometown is a channel through which he could peer deep into ’his own individual unconsciousness and a medium to clarify his vision of utopia. Analyzing the role of the hometown in Kim Ki-rim’s works could help us understand his poetic world from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김기림 기행시의 인식과 유형

        김진희(Kim Jin-hee)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기행시는 여행 체험에 의해 형성된 화자의 인식 변화를 주제나 제재로 한다. 이때의 체험이 개인과 사회의 변화와 유기적 관계를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기행시의 의미는 다양한 관점으로 논의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김기림의 기행시를 시간의식에 의해 의미구조를 유형화함으로써, 시적 인식과 형식적 특성을 고찰하고 나아가 시적 성과와 문제점까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김기림이 시 창작활동을 하던 1930-1940년대는 식민지 현실과 근대화의 상충에 의해 인식적 주체가 모순과 혼란을 감당할 수밖에 없던 시기였다. 그런 점에서 김기림 기행시의 ‘시적 자아’ 역시 식민지의 억압적 현실과 근대화의 시간 속에서 양산된 모순적 통일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김기림 기행시의 시적 자아를 해체하고 분류함으로써 시적 경험과 시간과 자아의 상관관계를 밝힐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본고가 시간의식을 도입한 의도와 부합한다. 즉 시적 자아의 인식 변화는 곧 시간의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시간의식을 통해 ‘근대적 주체와 객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김기림의 기행시는 미래지향적 기대와 변화를 표방한 시, 가상 여행의 낭만성을 현전화한 시, 만주 유랑민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는 식민지 현실의 시, 이방의식을 단절된 공간으로 형상화한 시, 공간적인 객체를 주관적 인식과 상응시킨 즉물시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김기림의 기행시에 창세신화가 배경이 된다는 점이나, 이방의식의 소외감이 근대 개인의 본질로 연결된다는 점, 연작 기행시의 시편들을 유기적으로 읽을 때 비로소 서사적 의미가 구축된다는 점 등을 발견한 것은, 김기림의 기행시에 대한 연구 관점을 달리하여 얻은 새로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시간의식을 연구방법으로 도입한 것은 근대 기행시 연구의 한 방편일 뿐이다. 이처럼 각 시인들의 기행시를 독립적으로 맥락화하는 작업도 필요하지만, 기행시에 대한 이론적 구축 아래 여러 시인들의 기행시를 공시적으로 비교 연구하는 작업 또한 한국 시사 연구에 의미 있는 과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ravel poetry is based on change of cognition of poetic ego which is formed by space movement. It is based on organism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an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modern meaning of travel poetry can be discussed in various views. But so far, the study which has been researched independently by using original methods of forms for travel poetry seems a bit neglected. This study is about to consider poetic cognition and formal characteristics and find out poetic results as well as problems, by embodying meaning structure of travel poems written by Kim Ki-rim through time cognition. In the 1930s and 1940s when Kim Ki-rim was actively writing poems, it had to be confused to establish independence since its present and modernization of colony was building its consistent world views. Like the other poets, Kim Ki-rim's 'poetic ego' can be said as a unity with his conflicted independence in modern times accompanied by colonial present. Therefore, we can find out his poetic experience and relation between time and ego, by taking apart poetic ego from Kim Ki-rim's poems. This point of view corresponds to intent of this study that it introduces time cognition. That means through time cognition 'modern subject and object' can be considered as well because cognitional change of poetic ego appears as time aspect. Travel poetry by Kim Ki-rim can be embodied as poems professing future-oriented expectations and changes, thinking and acting by real objects, forming foreign cognition in broken time space, and of colonial present based on stories by Manchurian roamers. In these times, the background in the travel poetry by Kim Ki-rim is based on the myth of the world's creation, his alienation of foreign cognition connects to modern individual substance, and the descriptive meaning is built when reading the series of travel poems organically, and those things are the results by changing study view about Kim Ki-rim's travel poetry. Introducing time cognition in this study and researching travel poetry by Kim Ki-rim is only a means to study modern travel poetry. I think comparing other poets' travel poetry poetically under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travel poetry, as well as coherence of travel poetry independently by each poets, would be giving a meaning to this study and also to the study of Korean research.

      • KCI등재

        일제말기(日帝末期)와 해방공간(解放空間), 6.25 전후(前後)의 김기림(金起林) -김규동(金奎東) 인터뷰 및 보유(補遺)-

        조영복 ( Cho Young-bo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1

        이 論文은, 「나비와 광장」의 詩人 金奎東을 인터뷰 한 것이다. 金奎東은 金起林의 鏡城高普 敎師 時節의 제자였고, 1930년대 김기림이 주도한 모더니즘 運動을 1950년대에 繼承한 것으로 평가되는 ‘後半期 同人’의 一員이었다. 이 인터뷰를 통해, 김기림의 人間的 面貌나 文學的 立場, 해방공간에서의 문학가동맹 가입 계기, 김기림의 「못」, 「공동묘지」 등 日帝末期 詩에 대한 새로운 평가, 셀리, 키츠 등 영국 浪漫主義 詩에 대한 김기림의 關心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日帝末期에 學校를 다닌 김규동 世代가 朝鮮語를 공적으로 습득할 기회가 없어 「임꺽정」 등 조선어 소설을 통해 한글 문장법과 글쓰기를 읽혔다는 것 등도 意味있는 證言이다. 後半期 同人들에 대한 人間的인 평가, 예컨대 김수영과 박인환의 關係, 박인환의 詩人으로서의 資質 등의 증언은 근·현대시사를 엮는 데 보다 意味있는 指針이 될 것이다. This thesis is based on an interview with Kim, Kyu-dong who is a poet and was a member of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of “The Latter Half of the Year(후반기)”. Kim Kyu-dong was a pupil of Kim, Ki-rim when the latter was a teacher at Kyung-Sung Gobo (high school) And they were on good terms with each other until Kim Ki-rim was kidnaped to the north. Kim, Kyu-dong is an alive witness who watched Kim, Ki-rim’s daily life and literary attitude in that period. As the form of interview generally belongs to a subjective and impressive dimension of interviewee, it is not recognized as an academic paper. But if we agree that research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can be pursued through meetings between materials of those days and researcher’s viewpoint of these days, this interview with Kim, Kyu-dong can be valuable as a raw material. Analytic method is used in this interview, that is, supplement is added to each answer to assure the objectivity of this interview. According to this interview some interesting and important facts can be confirmed. For example, Kim, Ki-rim’s literary attitude in ‘the Space of Liberation’ had been maintained from his earlier literary career. Kim, Kyu-dong claimed that Kim, Ki-rim’s poems such as ‘a pond’ and ‘cemetery’ should be revaluated and testified that Kim, Ki-rim had interest in 19th century British Romantic poets such as Keats and Shelley. Interestingly Kim, Kyu-dong restropected also in this interview on human aspects of the members of ‘the latter half of the year’, while he commen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Park, In-whan and Park’s ability as a poet, etc. I wish this interview will be helpful to new research on the history of modem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현대문학 : 1930년대 전기 김기림 시론의 탈감상주의적 태도 연구 -“감상주의”의 공백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류순태 ( Sun Tae Ryu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2 No.-

        본고의 목적은 1930년대 전기 김기림의 시론에서 나타난 탈감상주의적 태도가 지닌 특성을 ``가망주의``의 공백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1930년대 전기에 김기림은 ``감상주의``를 기존의 시(``근대의 시``)가 지닌 부정적 속성들을 대변하는 것으로 바라보았다. 그러면서 그는 ``새로운 시``를 추구해 나가는 데 있어서 지속적으로 탈감상주의적 태도를 드러내었다. 이런 사정은 다른 무엇들보다도 김기림이 당시에 ``주지적 태도``를 앞세워 현실의 변화를 제대로 포착해 낼 수 있는 시를 주창하였던 데에서, 또 이미지의 언어화를 ``새로운 시``가 추가해야 할 기술로 바라보면서 ``명랑적 감성``에 바탕한 시를 주창하였던 데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그러한 태도나 방법을 통해서 ``감상주의``를 완전히 떨쳐내어야만 한다고 생각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김기림의 그럼 태도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점에서 ``감상주의``의 공백적 가능성, 즉 ``감상주의``가 그 ``새로운 시``라는 집합에 돌출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지닌 것이었다. 첫째로, 김기림이 시인의 주관이 객관에 부단히 작용하여 현실을 새롭게 창조하고 구성해 내는 것으로 여겼던 ``주지적 태도``가 언어와 결부되면서, 김기림이 부정하였던 시인의 주관적 경향 또한 어느 정도 지닐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둘째로, 김기림이 가장 지적인 태도로 여겼던 이미지의 언어화에서 그 요체라고 할 수 있는 ``명랑적 감성``이 ``원시성``과 결부되면서, 그가 벗어나고자 했던 ``감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는 점이다. 그래서 김기림의 탈감상주의적 태도에서는 김기림이 현실과 관련을 맺지 못하는 주관적인 경향의 ``감상주의``로 치부하였던 ``입체파``, ``다다이즘``, ``슈르리얼리즘`` 등과, ``감상주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비판하였던 ``로맨티시즘``, ``상징주의``등이 돌출될 가능성이 적지 않았다. 이처럼 1930년대 전기에 김기림이 추구하였던 ``새로운 시``라는 실재는 그가 부정하였던 ``감상주의``라는 공백에 의해 지속적으로 균열되고 재구성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1930년대 중반에 들어서서 김기림이 ``기교주의``를 반성하고 ``전체시``를 주장하였던 것도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결국, 1930년대 전기 김기림의 시론에서 나타난 탈감상주의적 태도에서, ``감상주의``는 역설적이게도 김기림에게 ``현대``가 추구해야 할 시가 결코 하나일 수 없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각성시켜 주는 역할을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attitude of post-sentirnentalism[탈감상주의] of Kim Ki-rim``s poetics in the former half of 1930s, focused on the possible void of ``sentimentalism[감상주의]`` which had been called by Kim Ki-rim. Kim Ki-rim had consistently showed that attitude in his pursuit of ``new poetry``, treating ``sentimentalism`` as a specimen that had represented the negative attributes of ``old poetry``(``modem poetry``). But, his attitude of post-sentimentalism had the distinct possibility that ``sentimentalism`` would be able to play the part of void in his ``new poetry`` too. That possibility was chiefly due to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ly, intellectual attitude[주지적 태도] that had been looked upon as a important way to create and constitute reality in Kim Ki-rim`s poetics was limited in overcoming the subjectivism of a poet, colligated with language. Secondly, lucid sentiency[명랑적 감성] that had been the key to the expression in language of images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most intellectual attitude by Kim Ki-rim was free from romantic desire, depending on primitivity. Thus, the ``new poetry`` of Kim Ki-rim`s should be consistently forced to split and reconstitute by the void of ``sentimentalism`` that had been denied by Kim Ki-rim. In conclusion, ``sentimentalism``, paradoxical as it may seem, made Kim Ki-rim realize that he would be unable to achieve the goal of ``new poetry`` in only on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