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흡생리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무용 호흡표기법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김향선(Hyaung Sun Kim),김유진(Yu Jin Kim),임학선(Hak Sun Lim),정선해(Sun Hae Jung),안의수(Eue Soo Ann)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8 No.-

        본 연구는 한국춤의 논리적 이해를 돕는 춤이론과 훈련법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를 위한 것으로, 대상자는 본 연구의 대상 춤인 태극구조 기본춤의 고안자로부터 직접 사사(師事)를 받은 무용수로서 태극구조 기본춤의 호흡을 가장 잘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무용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호흡분석에 따른 호흡표기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호흡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써미스트(Thermister)가 장착된 마스크와 휴대용 가스분석기(Meta max3B, 독일)를 등에 착용하고 태극구조 기본춤의 12단계 중 2단계에 해당하는 무용동작들을 3회반복하게 하여 이때의 호흡을 측정하여 호흡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치백분율은 평균값이 84.5%, 최소값은 75.6% 최대값은 95.1%로 나타났으며, Kappa치는 평균값이 .798, 최소값이 .687 최대값이 .933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호흡유형을 들숨, 날숨, 멈춤으로 분류한 세 유형 중에서는, 날숨의 유형에서 그 일치율이 91.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들숨의 유형이 83.3%, 멈춤이 71.4%의 평균값을 보여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춤의 전반적인 호흡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호흡표기의 활용이 매우 타당성 있는 방법임을 시사해 주는 결과라 하겠다. The present study is a methodological study on a dancing theory and a training method assisting logical understanding of Korean dance. The selected subject was a dancer who directly studied under the originator of the Taegeuk-form ground dance, the object dance of the present study, capable of understanding breathing for the Taegeuk-form ground dance and performing accordingly. The breathing pattern was analyzed by asking the subject to perform dance moves three times pertaining to the second level out of twelve levels of the Taegeuk-form ground dance. The breathing pattern was analyzed from a dancer wearing a mask with thermister and portable gas analyzer (Meta max3B, Germany) to validate the dance notation based on the breathing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study, coincidence percentages showed the mean value of 84.5%, the minimum value of 75.6%, and the maximum value of 95.1%, while Kappa values show the mean value of .798, the minimum value of .687, and the maximum value of .933, thus proving a very high coincidence level in overall. As for three breathing types classified as inhaling, exhaling, and pausing, exhaling showed the highest coincidence rate of 91.7%, followed by 83.3% for inhaling, and the mean value of 71.4% for pausing, thus proving a very high coincidence level in overall. The outcome clearly implied that utilization of breathing notation helping understand the overall breathing structure for Korean dance could be a very valid way.

      • KCI등재

        레이저 형광법의 교합면 우식증 탐지 효과

        김창기,이창섭,이상호,Kim, Chang-Gi,Lee, Chang-Seop,Lee, Sang-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idity of an incipient occlusal caries using argon laser fluorescence. Extracted human premolars and molars with enamel carious lesion of occlusal surface were assessed using visual examination, visual examination with probing, argon laser fluorescence and histologic depth of carious lesion. The results in each of all the three detection methods were compared to the assessment of histologic depth of carious lesion using polarized microscope.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highly correlation between the histologic depth of occlusal caries and all three detection methods(P<0.01). 2. The reproducibility(kappa value) of the visual examination, visual examination with probing and argon laser fluorescence between the histologic depth of occlusal caries was 0.189, 0.128, 0.472. The highest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by argon laser fluorescence and histologic scores by polarized microscop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argon laser fluorescence considered to be accurate and reliable method in detecting occlusal caries. 본 연구는 레이저 형광을 치아의 교합면에 적용하여 임상에서 초기 교합면 우식증의 감별에 레이저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르곤 레이저 형광법의 교합면 우식증 탐지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발거된 사람 치아 중에서 치아우식증을 제외한 결함이 없고 법랑질이 건강한 대구치와 소구치 50개를 선정하여 시진, 탐침을 이용한 시진, 아르곤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와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한 병소의 깊이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합면 우식의 조직학적 깊이와 아르곤 레이저 형광법에 의한 교합면 우식증 평가법과 시진, 탐침을 이용한 시진사이에서 모두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2. 교합면 우식증의 조직학적 깊이와 각 검사법간의 일치도(kappa치)는 각각 시진이 0.189, 탐침을 이용한 시진이 0.128, 레이저 형광법이 0.472 이었으며, 레이저 형광법이 가장 일치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육안적 검사보다는 레이저 조사 후 관찰된 우식과 편광현미경상에서의 우식이 더 유의성 있는 관계를 보여 교합면 우식증탐지에의 레이저 형광법의 적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