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형사재판에서 사면의 효력 : 관할권행사의 근거 및 설립규정에 따른 사면의 대항가능성 중심으로

        이혜영(Lee, Hyeyoung) 국제법평론회 2021 국제법평론 Vol.- No.60

        In a March 2020 decision, the Appeal Chamber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stated that “international law is still in the development stage on the question of acceptability of amnesties.” This decision caused controversy over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the ICC to decide the legality of national amnesty law. It has been argued that the question of legality of amnesties under international law is different from the question of their opposability to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tribunals, and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for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tribunals to only decide the opposability of amnesties to international courts/tribunals.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tribunals are not established to adjudicate the legality of acts of States under international law. They are established to prosecute individuals who committed international crimes and, thus, their pronouncements on the legality of acts of States could be ultra vires. A question, therefore, arises as to whether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tribunals have capacity and authority to make decisions on the legality of amnesties adopted by States. In addition, whil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tribunals have decided on the matter outside the scope of its mandates, they have failed to provide concret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amnesties, irrespective of their legality under international law, are opposable to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tribunals.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is article reviews different jurisdictional bases of existing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tribunals, and how courts/tribunals have dealt with legal effects of amnesties differently. This articles then identifies the issues that are, in fact, relevant for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tribunals—whether amnesties, irrespective of their legality, are opposable to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tribunals.

      • KCI등재

        국제형사재판소 관할범죄에 대한 형사사법공조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최석윤 ( Choi Suk-yoon ),이수진 ( Lee Su-jin ),변용남 ( Byun Yong-nam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6 비교형사법연구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ICC 규정 및 이행법률의 주요내용을 검토함으로써 국제형사재판소 관할범죄에 대한 형사사법공조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주요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제형사재판소의 설치는 이전에 설치된 임시재판소와 비교해 볼 때 대단한 업적이라 할 수 있다. 국제형사재판소의 존재만으로도 국제관계에서 각국의 형법과 형사소송법 이론 및 제도적 발전에 지대한 의미를 가질 수 있고, 국제인권법과 관련해서도 중요한 가치가 있다. 그러나 여전히 국가의 이익과 국제형사사법정의의 실현이라는 문제 사이에 존재하는 논쟁과 긴장관계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면서 국제적 핵심범죄를 저지른 범죄자를 처벌하면서도 동시에 그들의 인권보호를 도모하기 위한 노력이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국제형사사법정의의 합리적·효율적 실현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는 ICC 규정과 이행법률의 충돌문제에 대한 정비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ICC 규정과 이행법률에 의한 국제협력이 수직적 모델에 가까울수록 실효성이 더 클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현하지 못한 주된 이유는 협력의무와 다른 조약이나 국제관습법상 의무의 저촉, 협력의무와 국내형사법질서의 저촉, 그리고 협력의무와 국가주권에 밀접하게 관련된 권리 또는 이익의 저촉이라고 분석된 바 있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다른 의미의 법질서구축과 충돌의 문제로 이해될 수 있으며, 각각의 규정에 대한 효율적 조정을 통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자국민불인도원칙의 배제를 ICC 규정에 명시한 것은 개별국가의 자국민보호원칙에 대한 효율적 조정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사례와 같이 국제적 핵심범죄에 대한 국제형사재판소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제형사사법공조와 관련된 ICC 규정과 이행법률 간에 일정한 범위에서 수직적 체계의 구축이 필요불가결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형사범죄에 대한 대응수단으로서 세계주의의 도입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점점 더 다양한 방식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새로운 입법을 통한 세계주의의 적용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현행법률, 즉 대다수 국가에 대해 구속력을 발휘하고 있는 ICC 규정과 이행법률의 수직적 체계화를 통해 올바른 법적용을 도모하는 것도 정의로운 국제질서의 확립에 지대한 기여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riminal justice with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gainst the core crimes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 of those problems, through examining the main contents of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nd the implementation of domestic law.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of all,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s a very outstanding achieve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establishment of `temporary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Just by its existenc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as tremendous meaning in the theoretical and institutional progress of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dure law of each country in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t also is of great value when it comes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But still, because of the controversy and tension that lies between a country`s benefit and execution of international criminal judicature justice still remains, to settle this problem and the effort to promote protection of human rights while penalizing criminals that carried out international core crimes is much in need. To carry out International Criminal Judicature justice rationally and efficiently, maintenance of the clash between the Rome Statu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nd the implementation of domestic law has to come first. Additionally, even though it would be more effective if international cooperation, fallowing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nd the implementation of domestic law, is closer to a vertical model, but isn`t. The analyzed reason for that are the infringement of the obligation that comes from other treaty and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fringement of cooperative duty and order of domestic criminal law, and infringement of the rights or benefits that is closely related to cooperative duty and national sovereignty. These problems after all can be understood as a clash in making different law and order, and is seemed to be solvable by adjusting each regulation effectively. For example, clearly stating the exclusion of principle of its nationals burindo in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s deemed to be a effective adjustment for its citizens protection principles. Like the example, for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o gain effectiveness in international core crimes, it is inevitable to establish a definite range of vertical system between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nd the implementation of domestic law, related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riminal justice. Not only is adoption of universalism as a mean of confrontation to international criminal offense is in controversy, it is expanding in more diverse ways. However,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at not only applying universalism by newly legislating, but planning a proper application of law by vertically systemizing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nd the implementation of domestic law will contribute greatly in establishing a righteous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아프리카 형사재판소 설립논의와 주요 쟁점— 국가원수 면제를 중심으로 —

        최태현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7 No.2

        Many African States have been the ardent supporters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ICC), and The African States are the largest group in the membership of the ICC. But over the years some African States have criticized the attitude of the Court for being too focused on their continent. This phenomenon was mainly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ICC has investigated and prosecuted the incumbent heads of African State or government of Sudan, Libya and Kenya. This criticism urged the Assembly of the African Union to adopt “the Protocol on Amendments to the Protocol on the Statute of the African Court of Justice and Human Rights”(the Malabo Protocol) in June 2014. This new Court will, once its Statute enters into force upon achievement of the 15 required ratification, be a highly ambitious court with three separate chambers: (1) the General Affairs Section, (2) the Human and Peoples' Rights Section, and (3) the International Criminal Law Section. The International Criminal Law Section that has the jurisdiction on the 14 international crimes will function as the African Criminal Court. Until now there is, however, no State that ratified the Malabo Protocol. Article 46A bis of the Malabo Protocol provides for the immunity of the sitting heads of State or government or any other senior state officials before the African Criminal Court, which is contradictory to Article 27 of the ICC Statute. This is the most contentious provision of the Malabo Protocol. From a legal point of view, current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s silent about immunities for sitting heads of State or government befor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 or tribunals. There is no legal rule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denying immunity of the heads of State or requiring the immunity befor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 or tribunals. Therefore, the Article 46A bis seems to be not contradictory to today's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 that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does not deny immunities of the heads of State or government befor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 However, the Article 46A bis seems to undermine the fight against immunity. The African Criminal Court extends its jurisdiction to 14 international crimes, while also expressly including immunity of the heads of State or government. This Article will shield the perpetrators of the international crimes from being tried or punished before international courts or tribunals and consequently harm the fight against impunity by permitting the immunity of the heads of State from the reach of international justice. 2014년 6월 27일 적도 기니(Equatorial Guinea)의 말라보(Malabo)에서 개최된 AU의 ‘국가원수 및 정부수반 회의’, 즉 AU총회는 “아프리카 사법 및 인권재판소 규정에 관한 의정서의 개정에 관한 의정서”라는 소위 말라보의정서를 채택하였다. 말라보의정서는 아프리카 문제에 대한 아프리카 식의 해결방안 제시의 일환으로 아프리카 지역에 고유한 형사재판소로서 통칭 ‘아프리카형사재판소’를 설립하고자 하고 있다. 이 의정서는 15개국의 비준서 기탁일로부터 30일 후에 발효되도록 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어느 국가도 비준하지 않고 있다. 말라보의정서의 주된 목적은 아프리카형사재판소를 설립하는 것으로, 그 방식은 이직 설립되고 있지 않은 ‘아프리카사법 및 인권 재판소’(ACJHR)를 개편하여 이 재판소 내에 3가지 부류의 관할권을 가지는 재판부를 설치하고 그 중 하나를 새롭고도 전문적인 형사재판부, 즉 ‘국제형사법 부문’(International Criminal Law Section)이라는 명칭을 가지는 재판부로서, 소위 통칭 ‘아프리카형사재판소’로서 신설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말라보의정서는 ACJHR 내에 세 부류의 재판부를 두어, 아직까지 설립되지 않은 사법재판소를 대체하는 ‘일반사항 재판부’(the General Affairs Section)와 인권보호를 위한 관할권을 가지는 ‘인권 및 인민권 재판부’(the Human and Peoples’ Rights Section), 이 외에, 새로이 광범위한 부류의 ‘국제범죄에 대한 관할권’을 가지는 ‘국제형사법재판부’를 둘 예정이다. 이 세 번째 재판부는 특히 집단살해죄, 인도에 반한 죄, 전쟁범죄 및 침략범죄와 같은 핵심적인 ICC 관할대상범죄는 물론, 그 외에 해적, 테러범죄, 부패, 자금세탁, 마약거래 등 아프리카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는 10개 범주의 범죄에까지 관할권을 확대하고 있다. 말라보의정서는 아프리카형사재판소 설립과 관련하여 국제법상 지금까지 전례가 없었던 새로운 제도적 측면을 제시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재판소는 국제적 차원에서 자행된 인권위반에 대해 국가차원의 국제책임을 묻는 제도와 함께 개인차원에서의 형사책임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다. 다만, 말라보의정서는 현직 국가원수 및 정부수반과 고위직 국가관리들에 대해 아프리카형사재판소에서의 재판권 면제를 인정함으로써 특히 이러한 면제를 부인하고 있는 ICC규정과의 마찰을 야기하고 있다. 국제형사재판소(ICC)설립 이후 그동안 아프리카 국가들은 현행 국제형사법의 적용과 집행에 대하여 많은 불만을 가져 왔다. 아프리카국가들은 아프리카의 국가원수 및 고위관료들을 집중적으로 기소하여 온 ICC의 사법정책을 인종차별적이고 서구의 강제적인 정의 구현, 신식민지주의의 적용이라고 비난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아프리카의 ICC에의 협력체제에 큰 균열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보편적 관할권 등 역외관할권을 행사하려는 유럽국가들에 대한 불만은 AU와 EU 간의 갈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제형사사법 분야에서 자기결정권을 가질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아프리카형사재판소를 설립하기 위한 말라보의정서의 채택이다. 이러한 변화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국제형사법의 적용대상인 객체가 아니라 국제형사법의 적용과 발전을 주도하는 주체로 변모하려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말라보의정서가 국가원수 면제에 관한 조항을 포함한 것에 대 ...

      • KCI등재

        국제형사법원의 변화 추세와 전망 : 임시재판소(ad hoc tribunals)와 혼합재판소(hybrid courts)를 중심으로

        장석영,조정현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경희법학 Vol.50 No.3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has developed considerably as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including the ICC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Second World War.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criminal cases, greater part of the decisions have been delivered by ad hoc tribunals and hybrid courts. As co-existence between the ICC and other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is expected to last for a whil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ell the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tribunals. This article concentrates on seven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ICTY, ICTR, East Timor Special Panels, Kosovo Regulation 64 Panels, Special Court for Sierra Leone, Extraordinary Chambers in the Courts of Cambodia, Special Tribunal for Lebanon) which are the well known ad hoc tribunals or hybrid courts in order to examine developments on the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courts according to the date of creation, and examine the changes on the role of the UN. Then, after comparing features and useful aspects of the ICC and other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this article describes future prospects of the tribunals. Through the examina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function and support of the UN has been decreasing and at the same time the role of the state concerned has been increasing in general. This development has been witnessed through the seven tribunals, and as the role of the UN has been diminishing, influence and burden of the state concerned has been rising gradually.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the will of the UN to create a new ad hoc tribunal was not strong enough after the birth of the ICC and establishing a new one is a great burden to the UN. Nevertheless, new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have emerged continuously since 2002 as these courts can play complementary role to the ICC with their special features. Therefore, it seems possible to see an emergence of a new criminal tribunal, and this one is expected to be similar to the Special Tribunal for Lebanon or the Special Court for Sierra Leone reflecting the recent developments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Therefore, the new court is expected to be established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the UN and the state concerned and have the statute of the tribunal clearly specifying the rights and duties of each party.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형사재판은 상설재판소인 ICC를 정점으로 다수의 국제형사법원이 설립되면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그동안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국제형사재판은 다수의 재판소를 통해 이루어져 왔는데, 그 중 임시재판소와 혼합재판소의 역할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해 왔다. ICC와 기타 국제형사법원이 공존하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양한 국제형사법원의 설립과 운영방식에 대해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임시재판소와 혼합재판소를 이야기 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국제형사법원 일곱 개(ICTY, ICTR, 동티모르 특별패널, 코소보 혼합패널, 시에라리온 특별재판소, 캄보디아 특별재판부, 레바논 특별재판소)를 선별하여 설립 시기에 따른 법원 설립 및 운영의 변화 추세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유엔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국제형사법원의 특징과 유용성을 ICC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국제형사법원의 미래를 전망해 보았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유엔의 역할과 지원은 점차 감소하고 법원 설립을 요청한 사건 관련국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ICC가 설립된 이후 새로운 임시적 성격의 국제형사법원을 설립하려는 유엔의 의지가 크지 않았고 새로운 법원의 설립은 재정적으로나 절차적으로 큰 부담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CC가 설립된 2002년 이후에도 다른 국제형사법원이 계속해서 등장한 것은 ICC와는 별개로 기타 국제형사법원이 가지는 특별한 기능이 있기 때문이며, 국제형사법원은 ICC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ICC와 기타 국제형사법원은 공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새로운 국제형사법원이 설립될 가능성은 충분히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새로운 법원은 최근 변화 추세를 반영하여, 유엔과 사건 관련국 간 조약 체결을 통해 설립되고 유엔과 국가의 권리 및 의무를 재판소 규정에 명확하게 담고 있는 레바논 또는 시에라리온 특별재판소와 유사한 형태의 혼합재판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제형사재판절차상 국제적십자위원회의 증언거부권

        김영석(Young-Sok Kim)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6 人道法論叢 Vol.- No.26

        1990년대 이후 구유고국제재판소(ICTY), 르완다국제재판소(ICTR), 국제형사재판소(ICC,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등이 설립되면서 국제형사재판절차가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국제적십자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의 비밀유지에 관한 특권 내지 증언거부권이 국제형사재판절차에서 인정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ICTY의 시미치 사건판결, ICC 규정과 ICC의 절차 및 증거규칙(Rules of Procedure and Evidence, RPE)의 내용을 중심으로 ICRC의 비밀유지특권과 그 직원의 증언거부권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관련 문제로서 우리나라의 국내법원에서 ICRC의 비밀유지특권 또는 ICRC직원의 증언거부권이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ICTY는 1999년 7월 27일의 시미치 판결을 통하여 ICRC가 국제관습법상 절대적인 비밀유지의 특권이 있으며, ICTY와 ICTR은 이러한 국제관습법에 따라 ICRC의 전 · 현직 직원이 그 임무수행과 관련하여 얻은 정보에 대해 증언을 거부하려할 때, 그러한 증언거부권을 이익형량 없이 절대적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다. ICC도 절차 및 증거규칙 73의 채택을 통해 ICRC의 비밀유지특권이 국제관습법상의 절대적인 권리임을 인정하였다. ICC의 절차 및 증거규칙 73은 국제관습법상의 ICRC의 비밀유지특권을 인정하면서도 ICC의 재판진행과 정의의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협의절차 등을 규정함으로써 균형을 갖춘 조항이라고 평가된다. 관련문제로서 만일 우리나라의 법원에서 전쟁범죄 등을 범한 사람을 재판할 경우에 ICRC의 비밀유지특권을 인정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국내법의 규정 중에서 ICRC의 직원에게 증언거부권을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규정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ICRC의 비밀유지특권과 그 직원의 증언거부권이 국제관습법상의 권리라고 하는 ICTY의 시미치판결과 ICC의 절차 및 증거규칙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법원에서도 ICRC의 비밀유지특권과 그 직원의 증언거부권을 인정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현재 우리나라가 제정을 준비하고 있는 국제형사재판소의 국내이행법률에 이러한 ICRC의 비밀유지특권과 그 직원의 증언거부권을 반영하는 조항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n 8 October 1999,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ICTY) announced that the Trial Chamber of the ICTY rendered its ex parte "Decision on the Prosecution Motion under Rule 73 for a Ruling Concerning the Testimony of a Witness"(Simic decision). In the case entitled "The Prosecutor v. Blagoje Simic, Milan Simic, Miroslav Tadic, Steven Todorovic and Simo Zaric", the Prosecutor wished to use evidence in the possession of a former employee of the ICRC. So, the Prosecutor filed the ex parte confidential motion under Rule 73 of the ICTY Rules of Procedure and Evidence. The Trial Chamber decided that the ICRC enjoyed a right to non-disclosure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nd that such evidence should not be given. Judge Hunt issued a separate concurring opinion. Article 69 (5) of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provides "The Court shall respect and observe privileges on confidentiality as provided for in the Rules of Procedure and Evidence." Rule 73 (4) of the ICC Rules of Procedure and Evidence provides that "The Court shall regard as privileged, and consequently not subject to disclosure, including by way of testimony of any present or past official or employee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 any information, documents or other evidence which it came into possession of in the course, or as a consequence, of the performance by ICRC of its functions under the Statutes of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unless: (a) After consultation undertaken pursuant to sub-rule 6, ICRC does not object in writing to such disclosure, or otherwise has waived this privilege; or (b) Such information, documents or other evidence is contained in public statements and documents of ICRC". Thus, the ICC recognizes the ICRC's right not to disclose its information which it came into possession of in the course, or as a consequence, of the performance of its functions. As a related issue, this article reviews the possibility if domestic courts of the Republic of Korea may recognize the ICRC's right to non-disclosure of its information and the privilege of confidentiality. There seems to be no explicit provision to this effect in domestic laws in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the Republic of Korea is the State Parties to the 1949 four Geneva Conventions and its Additional Protocols and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Moreover, the ICRC's right to non-disclosure of its information is a right recognized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rticle 6 (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rovides "Treaties duly conclu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generally recognized rules of international law shall have the same force and effect of law as domestic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ICRC's right to non-disclosure of its information is a right recognized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nd, thus, a right under "generally recognized rules of international law" in Article 6 (1)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erefore, the ICRC's right to non-disclosure has the same effect of law as those rights under Korean domestic laws. So, Korean domestic courts must permit the ICRC's right to non-disclosure of its information. Finally, to ensure the ICRC's confidentiality interest, it is desirable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include a provision on the ICRC's right to non-disclosure in the national implementation legislation for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which is now being drafted by the Korean Government.

      • KCI등재

        국제형사재판소(International Criminal Court) 및 구유고 전범재판소(ICTY)의 재판절차를 통해 들여다본 우리 형사절차

        송중호(Song, Joong-Ho)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2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4 No.1

        근대적 형사사법절차를 채택한 국가들은 대부분 영미법계의 당사자주의 (adversarial system) 또는 시민법계의 직권주의(inquisitorial system)를 각국의 상황에 따라 계수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여서, 현행 형사소송법과 형사소송규칙은 영미법과 대륙법의 절차규칙이 혼재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국제형사재판절차가 만들어졌다. 바로 1998. 7. 17. 로마에서 채택되고 2002. 7. 1. 발효한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규정(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이다. 로마규정은 구유고 전범 재판소(ICTY) 등 종래의 국제형사절차에서 얻은 실무의 경험을 토대로 영미법계의 학자 및 실무가와 대륙법계의 학자 및 실무가가 함께 모여 논의한 끝에 이루어낸 결과물이다. 우리는 로마규정과 우리 법 규정, ICTY의 규정과 판례, 그리고 각국의 입법례에서 무죄추정의 원칙 (presumption of innocence), 법관의 독립 (independent and impartial judge), 공정하고 신속한 재판(Fair and Expeditious Trial)을 받을 권리, 궐석재판의 금지와 같은 형사절차의 공통적 일반원칙을 발견할 수 있다. 한편, 수사의 개시로부터 체포․압수․수색을 포함한 수사의 방법, 진술거부권(the right to remain silent)과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포함한 수사대상자의 권리, 공소제기, 유죄인부절차 (pleading), 증거개시(discovery, disclosure), 피해자(victims)의 증언과 보호, 전문증거(hearsay evidence)의 증거능력 여부에 대한 판단을 포함한 증거조사를 거쳐 판결의 선고에 이르기까지 구체적 개별적 형사절차로 들어가 보면, ICTY의 규정과 판례, 로마규정을 비롯한 ICC의 절차규정에서 영미법계와 대륙법계 사이의 충돌로부터 조화를 이끌 수 있는 다양한 해석론이나 개정론 내지 입법론을 들여다볼 수 있는 나침반을 발견하게 된다. 결국 형사절차를 만들어감에 있어서 가장 큰 이상은 그 기본원칙을 모순되지 않고 통합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배심제를 기본으로 한 미국의 형사절차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배심제를 배제한 우리 헌법 규정과 부합하기 어렵다. 우리형사절차에 관한 해석론, 개정론, 입법론이 우리의 헌법적 틀 내에서 형사절차의 기본원칙을 잘 구현하는 방향으로 논의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로마규정에 관한 글을 쓴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The majority of countries with a modern criminal justice system modeled it after the adversarial system of Anglo-American laws or the inquisitorial system of civil laws and adapted it to suit their individual needs. Korea is no exception, and its current criminal procedural law and regulations are a mixture of the procedural rules borrowed from both the Anglo-American and the Continental legal systems. It was in this situation that a new set of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procedures were introduced.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was adopted in Rome, Italy, on July 17, 1998, and came into effect on July 1, 2002. The Rome Statute is the product of vigorous discussions among researchers specializing in and officials from both the Anglo-American and the Continental legal systems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from the previous criminal court system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ICTY). The general principles shared by the Rome Statute and our laws, ICTY’s provisions and precedents as well as legislations of various countries include the principles of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the independence and impartiality of the judge, the right to fair and expeditious trial, and the prohibition of trial in absentia. Meanwhile, if you closely look at the specific, individual criminal proceedings from the initiation of investigation to the methods of investigation, such as making an arrest, seizing and conducting a search, the rights of the investigated, such as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the right to an attorney, the indictment, the pleading, the discovery and disclosure, the testimony and protection of the victim, the examination of evidence, which includes the determination of the admissibility of hearsay evidence, and finally to the sentencing, you come across a compass in the ICTY provisions and precedents and the ICC procedures, including the Rome Statute, that will allow you to gain an insight into a variety of interpretative, amendment and/or legislative arguments that could bring harmony out of the two conflicting spheres of the Anglo-American and the Continental systems. Given that the ultimate, ideal goal of establishing a criminal justice system is having all of its underlying principles realized without contradicting them, one cannot deny that adopting American criminal procedures indiscriminately that centers around the jury system can be hardly compatible with our constitution that excludes such a system. I have a fervent hope that the interpretive, amendment and legislative arguments around our criminal justice system will move in a direction that will allow an effective and robust implementation of its underlying principles within the larger framework of our constitution. That is also why I wrote this paper about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 KCI등재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 규정(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의 국내적 이행 - 현상과 과제

        김성규(Kim Seong-Gyu)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東亞法學 Vol.- No.46

        The success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depends not only on widespread ratification of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but also on states parties’ compliance with obligations under the ‘Rome Statute’. This requires, for almost every state, some change in national law in accordance with existing laws and proceedings in a given legal system. This paper reviews the provisions of the ‘Rome Statute’ and analyses the national legislation on its implementation; it involves a comparative analysis of implementation strategies adopted by the United Kingdom, Canada, Germany, Switzerland and the Netherlands. Approaches adopted by states with regards to specific issues of implementation will also come into focus, followed by discussions on implications of the 'Rome Statute' for the implementation in Korea. In 2007,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the ‘Law on the Prosecu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 nal Court’, which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Rome Statute’. The Law lists and criminalizes all core crimes that are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nd gives the Korean government a statutory basis for transferring suspects to the Court and makes it possible to furnish the Court with legal assistance. This paper focuses on several specific rules of the Law and research questions that the study is set out to answer. In conclusion, it recommends and argue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domestic implementation strategy of the ‘Rome Statute’ in Korea.

      • KCI등재

        국제형사재판소의 활동현황 및 전망

        김형구(Hyoung Ku Kim) 국제법평론회 2008 국제법평론 Vol.0 No.27

        제노사이드범죄, 인도에 반하는 죄, 전쟁범죄 등과 같은 국제범죄는 일반범죄와 달리 대규모 무력충돌을 배경으로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 무력충돌의 종료 후 신생정권은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놓이는 것이 보통이며, 정치적 안정화를 위해 구정권이 저지른 국제범죄에 대한 사면부여를 정치적 협상카드로 고려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사회통합과 안정의 확보라는 명분하에 국제범죄자의 처벌이 어렵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과거 전통적 이론과 실제의 입장에서 그 범죄의 종류가 무엇이든 사면의 부여는 국가의 재량에 속하는 사안으로 국제법의 규율대상이라고 하기는 어려웠으나, 1990년대 말부터 설립된 많은 수의 국제형사재판기관들의 활동과 국제형사법 분야의 발전으로 사면부여를 통하여 국제범죄자들에게 면죄부를 부여하는 것은 국제법상 허용될 수 없다는 입장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에도 이와 관련한 이론과 실제가 서로 일치하고 있지 아니하며, 아직 국제범죄자에 대한 사면부여의무가 국제법상 확립되었는지에 관하여서도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설적인 국제형사재판기관인 ICC가 이미 사면을 부여받은 국제범죄행위자에 대하여 그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상설적인 국제형사재판소인 ICC는 다른 국제형사재판기관인 ICTY, ICTR 및 SCSL의 경우와 달리 보충성의 원칙을 관할권행사의 근본원칙으로 천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ICC의 설립문서인 ICC규정은 국내적 사면과 관련한 ICC관할권행사에 대한 사안을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과연 ICC가 특정 사건에서 이미 부여된 사면이 ICC규정과 합치하는 여부를 심사할 권한이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기준으로 이를 심사해야 하는지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ICC관할권 체제를 전반적으로 개관함과 아울러 국가사면과 ICC관할권행사와 관련한 문제점을 살피고, 향후 국가사면과 관련한 ICC의 관할권행사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사안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를 위하여 현행 국제법과 국제실행의 실제와 이론의 동향을 염두에 둠과 아울러 국제인권법이 정하는 기준과 ICC규정의 목적에 합치하는 관련 조문의 해석과 적용을 시도하였다. International crimes are generally committed during national or international armed conflict or in pre-armed conflict situation. And newly established regime after the armed conflict would easily be in politically unstable situation due to the lack of political or military power or the powerful remnants of the prior regime. In this context, the new regime necessarily would seek the way for political reconciliation with a prior regime to bring more stable and peaceful circumstances to national society. In this context, giving national amnesty to the perpetrators who committed international crimes in prior regime has been regarded as an attractive proposal for political negotiation with political opponents. And such a situation easily makes it impossible or difficult to prosecute and punish the perpetrators who committed international crimes. In traditional theory of international law, it had been regarded that state has the sovereign autonomy on giving amnesty to whomever and on whatever kinds of crime and it was not international issue which should be ruled by public international law. However, many scholars and practitioners in these days begin to support the opinion, which impunity to international criminals by giving national amnesty should be or already prohibited by international law. And such changes of the attitudes are based upon radical developments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since 1990 s. Nevertheless, it is impossible io say that international norm which prohibits to giving amnesty to the perpetrators who committed seriou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law is already settl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nsistent state practices to support such arguments. In such a controversial and ambiguous context, it is very problematic whether the newly established permanent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he ICC, may exercise jurisdiction or not to the person who already given national amnesty or pardon. Because the ICC Statute declared the complementarity doctrine as one of the principles on jurisdiction of the Court, which regarded as a different feature with other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and Courts: the ICTY, the ICTR, and the SCSL. In addition, due to the failure of the negotiation on this issue in Preparatory Committee for drafting the Rome Statute, the ICC Statutes does not contain any relevant clause and provision which expresses the power of the Court to review the relevant national amnesty or pardon, and judicial elements to test the compatibility of the relevant amnesty with the Statute. Therefore, to give the answers to the relevant questions, it may be required so-called progressive interpretation with in mind of the purpose of the ICC Statute and the current international norms, in particular internationally recognized human rights standard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not only dealt with the relevant problems and issues in interpretation of the relevant provisions in the ICC Statutes, but also tried to make some proposals for the future practices of the ICC on this issue.

      • KCI등재후보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김영석 서울국제법연구원 2008 서울국제법연구 Vol.15 No.1

        This article is intended to review the South Korean Implementing law of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ereinafter “ICC Act”). The ICC Act, entitled “Act on the Punishment of the Crim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was enacted in December 21, 2007 as Act No. 8719. The ICC Act has mainly two purposes: 1) to criminalize crim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under the Korean domestic law and 2) to provide legal basis for the surrender of the persons and mutual leg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ICC. For these purposes, the ICC Act provides crime of genocide, crimes against humanity, war crimes and offenses against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as punishable crimes under this Act. The ICC Act allows the Korean Extradition Act and Korean Act on Mutual Leg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MLAT) to be applied with relevant modifications in the cases of the surrender of the persons between the ICC and South Korea and MLAT between the ICC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The author thinks that the ICC Act criminalizes all crim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ICC under Korean domestic law and provides penalties for each crimes enough to fulfill the obligation of the State Party to the Rome Statute. With respect to cooperation with the ICC, the ICC Act may be the legal basis for the South Korea to surrender of the persons to the ICC and to give leg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to the ICC even thoug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due diligence in the special character of the cooperation between the ICC and a State Party to the ICC Statute.

      • KCI등재

        5・18 당시 계엄군에 의한 여성 성폭력 사건에 대한 국제형사재판소(ICC) 및 국내법원에의 제소 가능성

        김재윤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3 인권법평론 Vol.- No.31

        State-level investigations into state violence that occurred during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were conducted several times. So far, the investigation has focused on the truth about excessive suppression, firing and shooting from helicopters by martial law forces. However, the fact-finding of the case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committed by martial law troops at that time was not properly investigated. In this situation, courageous testimonies of women victims of sexual violence were reported in the media, including the Hankyoreh Newspaper, Yonhap News and SBS Broadcasting in May 2018. As a result, society becam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launched the “Joint Investigation Team for Sexual Violence by the May 18 Martial Law Forces” in June 2018.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 number of violations of women's human rights, such as sexual harassment, were found, including 17 cases of sexual assault by martial law troops at the time. And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Truth Committee, which was launched in January 2020, is closely investigating cases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y martial law forces. According to the May 18 committee's investigation results, at least two of the victims of sexual assault were revealed to be high school girls, and it was found that group sexual assault occurred at least twice. In particular, after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by the Joint Investigation Team were announced in 2018, the public demanded that not only the direct perpetrators of sexual violence, but also the commanders of related units be identified and punished crim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such criminal punishment for those involved will increase even more after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by the May 18 committee are finally announced. In this regard, the statute of limitations has been completed at the present time. Therefore, there is no longer a right to prosecute, and criminal punishment is impossible. On the other hand, some have suggested that cases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y martial law forces can be prosecuted at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ICC) because they fall under Article 7 of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n addition, even if it is difficult to prosecute the ICC, there is a view that the perpetrators of sexual violence can be prosecuted and punished in domestic courts based on the criminality of ‘crime against humanity’, which was an international crime in 1980, based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Therefore, in this paper, first, in relation to the case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y martial law troops at the time of the May 18, the results of the Joint Investigation Team's investigation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y martial law troops were briefly reviewed(Ⅱ). Secon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by the Joint Investigation Team and the May 18 committee, if the substantive true of the case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y martial law forces was revealed, and the direct perpetrators and related martial law commanders wer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prosecuting them to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was reviewed(Ⅲ). Thirdly, if criminal punishment through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s difficult for the relevant person, the possibility of prosecuting them in a domestic court and punishing them was reviewed(Ⅳ). 5・18민주화운동 당시 발생하였던 국가폭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조사는 여러 차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그 동안의 조사는 계엄군의 과잉진압 및 발포, 헬기사격 등에 대한 진실에 초점이 맞추어졌을 뿐 당시 계엄군에 의해 자행된 여성에 대한 성폭력 사건에 대해서는 진상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2018년 5월 한겨레신문, 연합뉴스, SBS방송 등 언론에서 성폭력 피해 여성의 용기 있는 증언이 보도되면서 사회적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를 계기로 국방부, 국가인권위원회, 여성가족부 세 기관은 2018년 6월 「5・18 계엄군 등 성폭력 공동조사단」을 출범시켜 조사한 결과, 당시 계엄군에 의한 성폭행 피해내용 총 17건을 제외하고 성추행 등 여성인권침해행위를 다수 발견했다. 그리고 2020년 1월 출범한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계엄군에 의한 여성 성폭력 사건을 5・18진상규명법 제3조 제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그 밖의 중대한 인권침해사건”에 포함시켜 조사1과에서 조사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23년 5월 8일 진상조사위원회는 최근 계엄군 성폭력 사건 총 51건을 조사 대상으로 정해 그중 24건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진상조사위원회에 따르면 전체 성폭행 피해자들 가운데 최소 2명은 미성년 여고생으로 드러났으며, 최소 2회 이상 집단 성폭행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피해자들 중 회복을 위해 정신병원에 입원했거나 관련 치료를 받은 이들도 무려 7명에 달했으며, 피해자들 가운데 일부는 극단적 선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공동조사단의 조사결과가 발표되고 국민들로부터 성폭력 직접 행위자는 물론이고 관련 부대 지휘관을 특정하여 형사처벌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러한 요구는 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가 최종적으로 발표된 이후에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폭력 가해자의 형사처벌의 문제와 관련하여 현재시점에서 볼 때 공소시효가 완성이 되어 더 이상 공소권이 없어 형사처벌이 불가능하다. 이에 일부에서는 계엄군에 의한 여성 성폭력 사건은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규정」 제7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인도에 반한 죄’에 해당하므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할 수 있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ICC에 제소가 어렵다고 하더라도 1980년 당시 국제범죄에 해당하는 ‘인도에 반한 죄’의 가벌성을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 즉 국제(형사)관습법을 근거로 하여 국내법원에 성폭력 가해자들을 기소하여 처벌할 수 있다는 견해도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5・18 당시 계엄군에 의한 여성 성폭력 사건과 관련하여 우선 공동조사단의 계엄군에 의한 여성 성폭력 조사결과를 간략히 살펴보고, 공동조사단 및 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 계엄군에 의한 여성 성폭력 사건의 실체가 밝혀져 그 직접 행위자 및 관련 계엄군 지휘책임자가 특정되었을 경우 이들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그리고 이것이 어렵다면 국내법원에 제소하여 형사처벌을 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5・18 당시 계엄군에 의한 여성 성폭력 사건과 관련하여 일부 언론과 연구자의 견해와 달리 향후 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 위 사건의 실체가 밝혀져 그 직접 행위자 및 관련 책임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