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 특집 : 몸, 권력, 이미지 ; 이미지즘과 동양담론

        오문석 ( Moon Seok Oh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9 인문학연구 Vol.37 No.-

        20세기의 시문학은 ``이미지``의 발견과 더불어 시작된다. 영미의 이미지즘은 그 사실을 직접적으로 증명한다. 하지만 이미지즘의 등장 배경에는 또 다른 발견이 전재되어 있다. ``동양``의 발견이 그것이다. 일본의 하이쿠와 중국의 한시를 발견함으로써 서양은 전통적인 시형식에서 탈피하여 현대시로 진입할 수 있었다. 이처럼 현대시의 이미지 중시 경향은 동양과 서양의 접점에서 형성된 것이다. 그 과정을 면밀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즘의 형성 과정을 연대기적으로 추적할 필요가 있다. 초창기에 이미지즘은 영국에서 흄에 의해 형성되어(1909) 미국에서 찾아온 에즈라 파운드에 의해 절정에 달하게 된다. 이때를 ``전기 이미지즘``이라고 한다면, 그 기간은 1912년에서 1914사이에 해당한다. 그 뒤에 다시 미국에서 찾아온 에이미 로웰(Amy Rowell)이 주도하여 1915년에서 1917년까지 이미지스트 사회집이 간행되는데, 이때를 ``후기 이미지즘``이라고 할 수 있다. ``후기 이미지즘``에 접어들었을 무렵에 파운드는 이미지즘과 결별하고 중국의 ``한시``를 번역하며 ``소용돌이파``를 선도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즘은 흄에 의해 주도되던 1909년에서 1912년까지, 파운드가 주도하던 1912년에서 1914년까지, 그리고 로웰이 주도하던 1915년에서 1917년까지 3단계로 나뉘어진다. 그 성격도 각기 달랐는데, 1920년을 전후하여 한국에 소개된 이미지즘은 ``후기 이미지즘``이었으며, 1930년대에 김기림 등에 의해 다시 ``전기 이미지즘``이 소개되었다. 1920년대에는 동양(중국과 일본)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던 ``전기 이미지즘``이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따라서 이미지즘은 다만 최신의 ``서양`` 시운동이었다. 하지만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다시 ``전기 이미지즘``이 소개되었고, 이미지즘은 최신의 서양 시운동이면서 동시에 서구 근대성의 종말을 알리고 동양을 재발견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The poetic literature of 20th century was began with the discovery of the ``image``. The imagism, swept England and America in early 20th, directly demonstrates the statement as a fact. However, the appearance of imagism set the other discovery forth as a premise; the discovery of the ``the Orient``. The Occident found the way to the modern poetry by growing out of their own traditional verse form thanks to the discovery of the Chinese poetry and Japanese Haiku. The modern poetry makes great account of images since the contact between the Occident and the Orient. Therefore, we have to chase chronologically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imagism. It was molded by T. E. Hulme in 1909 in England and reached the acme by participating of Ezra Pound from America. This former imagism lasted from 1912 to 1914. Then Amy Rowell also from America leaded the publication of the illustrated imagist poetry journals( Some Imagist Poets), this period corresponded to the latter imagism. About the time when the latter imagism was begun, Pound had separated from imagism, was translating the Chinese poetry, and leaded the Vorticism. According to this chronological division, the imagism divides into 3 phases; 1909~1912 leaded by T. E. Hulme, 191 5~1917 leaded by Amy Rowell, 1915~1917 leaded by Ezra Pound. Each phase has different character. The latter imagism had been introduced into Chosun around 1920`s, then the former imagism was little bit lately introduced in 1930`s by Kim Ki-rim. In 1920`s, the former imagism, which regarded the orient(China and Japan) as an important source of new poetry movement, did not affect Chosun, so the imagism in those days was just a newest ``Occidental`` poetry movement. After the former imagism became known in 1930`s, the imagism was no more only the newest ``Occidental`` poetry movement but also the beginning of the rediscovery the Orient which informed the end of the occidental modernity.

      • KCI등재

        박남수 시의 미학성 연구 ― 초기 시를 중심으로―

        오형엽 ( Oh Hyung-yup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4

        이 글은 박남수 초기 시 세계의 중핵을 차지하는 이미지의 대비 및 조화, 주체의 정동과 운동성 및 모티프의 파생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동시에, 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미학적 배후로서 ‘밤’의 아우라를 조명함으로써, 박남수 시의 미학성을 서구적 모더니즘이나 주지적 이미지즘과는 변별되는 동양적 모더니즘 혹은 한국적 이미지즘의 특성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박남수 초기 시의 전체적인 특성은 ‘시적 다중 묘사와 모티프의 파생’ 및 ‘정(靜)과 동(動)의 결합’으로 요약될 수 있다. 박남수의 초기 시 중에서 첫 시집 『초롱불』의 언어 표현의 방식은 시각과 청각적 이미지의 대비 및 조화, 주체의 정동과 운동성 등의 구성 요소들을 다중적으로 배치하는 시적 묘사를 보여주면서 미학적 배후로서 ‘밤’의 아우라를 제시한다. 제2시집 『갈매기 소묘』는 이러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하나의 이미지로 수렴하면서 ‘바람’, ‘갈매기’, 꽃’ 등의 모티프를 파생시킨다. 첫 시집은 시각과 청각적 이미지의 배치가 만드는 고독의 정동과,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주체의 운동성이라는 양극적 구도가 표면 구조를 형성하는데, 내면 구조에는 이러한 현상들을 배태하고 발생시키는 미학적 배후로서 ‘밤’이 자리 잡고 있다. ‘밤’은 단순히 시간적 배경만을 의미하지 않고, 시간성과 공간성을 포괄하는 어떤 배후의 미학적 거점으로서 시각과 청각적 이미지, 주체의 고독과 운동성, 적막감과 비애의 아우라 등을 배태하고 발생시키는 근원적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미학적 배후로서 ‘밤’은 서구 모더니즘이나 이미지즘과 구별되는 ‘동양적 모더니즘’ 혹은 ‘한국적 이미지즘’의 변별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제2시집은 첫 시집의 미학적 특성이었던 시각과 청각적 이미지의 대비 및 조화, 시적 주체의 고독의 정동, 이를 극복하기 위한 운동성 등의 요소들을 하나의 이미지로 수렴하면서 모티프화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전의 시적 구성 요소들을 수렴하고 결집하는 모티프인 ‘바람’에서부터 시적 주체의 영역이 분리되면서 파생되어 나온 ‘갈매기’의 모티프는, 다시 주체를 포함하는 생명적 존재의 상징으로서 ‘꽃’의 모티프를 파생시킨다. 이러한 변모에도 불구하고 첫 시집과 제2시집의 공통분모를 이루는 미학성은 시적 주체를 상징하는 핵심적 이미지로서 “초롱불”의 “조용히”와 “흔들리든” 모습, “바람결”의 “튀치는” 모습과 “갈매기”의 “가다듬으며/눈을/감”는 모습, “꽃”의 “무구”함의 순수성과 “피고” “흐르”고 “타는” 역동성 등의 양극을 모순적으로 충돌시키면서 결합하는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초기 시의 이러한 미학성을 ‘정(靜)과 동(動)의 모순적 결합’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contrast and harmony of the image, the affect and dynamics of the subject, derivation of motifs that occupies the core of Park Nam-soo’s early poetry, while at the same time illuminating the aura of ‘night’ as aesthetic 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esthetics of Park Nam-soo’s poetry as a characteristic of oriental modernism or Korean imagism which is different from western modernism or intellectual imagism.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Park Nam-soo’s early poetry can be summarized as ‘poetic multi-depiction and motif derivation’ and ‘combination of static and dynamic’. Park Nam-soo’s the first anthology in his early poetry “Lantern” shows a poetic depiction of multiple arrangements of elements such as contrast and harmony of visual images and auditory images, the affect and dynamics of the subject, and shows the aura of ‘night’ as aesthetic back. The second anthology “Seagull Drawings” is a collection of motifs such as ‘wind’, ‘seagull’ and ‘flower’ while converging these various elements into one image. The first anthology forms the surface structure as biblical composition of loneliness affect to be created by the arrangement of visual and auditory images and mobility of the subject. In the inner structure, ‘the night’ is located as an aesthetic back which generates these phenomena. ‘Night’ does not mean simply the temporal background, but it is a fundamental area that embodies and generates visual images and auditory image, loneliness and mobility of the subject, aura of despair and sorrow as a certain aesthetic base of the background encompassing time and space. Can be. ‘Night’ as an aesthetic back i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securing the distinctiveness of ‘Eastern modernism’ or ‘Korean imagism’ distinguished from Western modernism and imagism. The second anthology shows the tendency to motivate and convergs to one image the elements such as the contrast and harmony of the visual images and auditory images, the loneliness affect of the poetic subject, and the motility to overcome them which wer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thology. The motif of the ‘seagull’ which was derived from the motif of the previous poetic elements and gathering together from the ‘wind’ to the poetic subject is derived a motif of ‘flower’. Despite these transformations, the aesthetics that form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first anthology and the second anthology can be found in the part where the contradictory collision between the key images that symbolize the poetic subject, such as the ‘quiet’ and ‘shake’ of the ‘lantern’, the ‘splashing’ the purity of the ‘seagull’, the purity of the ‘solid’ and the ‘dying’ ‘burning’ of the ‘flower’. This aesthetics of early poetry can be called ‘contradictory combination of static and dynamic’.

      • KCI우수등재

        Amygism or Imagism?: Re-Vision of Amy Lowell’s Discourse of Imagism

        ( Jihee Han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8 영어 영문학 Vol.64 No.2

        This paper, postulating that Lowell’s Imagism is not some “Amygism” that wobbles with “emotional slither,” “mushy technique” and “general floppiness” as Pound once mocked, but another kind of poetic discourse that deserves the fullest re-consideration, goes back to the very scene where Pound left for Vorticism, condescendingly allowing Lowell and her supporters to use the name “Imagism” for three years. There, it tries to illuminate how Lowell, making the most of the opportunity given to her, picked up what Pound had left behind, grafted it on the soil of America, and finally fulfilled her literary passion to awaken the common reading public to the taste for poetry reading. For the purpose, it looks into her critical reviews in Tendencies in Modern American Poetry, and stresses her creative critical efforts to re-address Pound’s principles of “Imagisme.” In particular, given the limit of space, it focuses only on the second principle of her Imagism and examines the modernity of her concepts of “a cadence,” “suggestion,” and “the real poem beyond.” Then it reads “Patterns” in the context of Japanese poetry and Noh drama and analyzes the poetic patterns that Lowell made through a creative adaptation of Japanese aesthetics for Imagist poetics. In doing so, this paper aims to provide reasonable evidences to evaluate the modernity of Lowell’s Imagist ars poetica and to consider her a truly serious Imagist poet worthy of a place in the history of American poetic modernism.

      • KCI등재

        김기림 시론에서 ‘이미지’라는 용어의 의미 확장 양상

        안웅선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7 No.-

        Kim Ki-rim accepted Ezra Pound`s imagism in the early 1930s and borrowed the pronunciation of image without paraphrasing the term image and used it. For Kim Ki-rim, the meaning of image was used in different meanings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1930s. Kim Ki-rim's poetry theory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s, image was used as a translation of video, and it wa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poetry, which had been used since the 1920s. Ki-rim Kim accepts the concept of the beginning of creation starting from ‘a single image’ that Ju-han Joo-han spoke of in the creation of poetry in the 1920s. This is expressed in the word inspiration, and the image at this time was close to the concept of a video emerging in the mind or spirit. Furthermore, in the early and mid-1930s, Ki-rim Kim implemented a starting method close to the free association method through his interest in surrealism. Attempting a surrealist creative method to implement a critical approach to modern civilization, Kim Ki-rim's image now goes beyond the meaning of a simple video and contains the meaning of the material of the automatic technique method. However, in the face of criticism that the attempt at creation through the unconscious chain of images simply pays attention to the technique of poetry, Kim Ki-rim shows his own attempt to control the unconscious chain in a scientific way by combining it with an intellectual attitude. After studying at Sendai Imperial University in the late 1930s, Kim Ki-rim actively accepted I.A.Richard's theory of poetry. In this process, the meaning of the word image is also expanded to the dimension of integrating image and sens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sychology, it is stated that images or representations that occur in human cognition can evoke the senses, and analyze the dedication of Kim Gwang-kyun's Wasa-deung and Oh Jang-hwan. The integration of image and sense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contain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image at the level of context in the future, but subsequent attempts fail due to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 KCI등재

        김기림과 김춘수의 이미지론 비교 연구

        장철환 ( Cheul-whoan Ja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1

        본고는 김기림과 김춘수의 이미지론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김기림과 김춘수의 시론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이론적 성과를 축적해 왔으나, 이미지 비교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김기림과 김춘수의 이미지에 대한 사유는 모더니즘 시와 시론의 발전에서 매우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이에 본고에서는 김기림과 김춘수의 이미지론을 주로 그 배경과 목적, 개념과 기능, 효과와 영향의 측면에서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통해 시에서 의미ㆍ이미지ㆍ리듬의 관계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아가 현대시에서의 이미지의 위상과 방향에 대한 지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기림과 김춘수의 이미지론은 전통에의 반역과 관념의 배제라는 점에서 부정과 배제의 시학의 두 양상을 이룬다. 김기림의 모더니즘과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은 이미지를 자신의 이론적ㆍ실천적 방법의 중핵으로 사유함으로써, 이미지 중심의 시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물론 양자의 이미지론은 그 개념과 기능에 있어 상이하다. 첫째, 이미지와 대상의 관계. 김기림의 이미지는 대상과 사물에 대한 표상으로서의 이미지이지만, 김춘수는 대상과 사물에 대한 표상으로서의 이미지 개념을 부정한다. 둘째, 이미지와 의미의 관계. 김기림에게 이미지는 시적 의미의 시각적 차원의 구현태이지만, 김춘수에게 이미지는 의미와 무관한 자율적인 실체로서 간주되고 있다. 셋째, 이미지와 리듬의 관계. 김기림에게 현대문명의 ‘속도’를 구현하는 음성적ㆍ시각적 방식은 긴밀히 호응한다. 이때 이미지의 연결을 통해 속도를 구현하는 ‘연상의 비행’은 의미와 주체의 통일에 의해 규율되고 있다. 그러나 무의미시의 미궁에서 김춘수는 이미지에서 리듬으로의 급격한 전회를 선언한다. 그에게 리듬은 이미지와 의미를 소멸하는 방법이자, 소멸된 이미지와 의미에 의해 산출되는 시의 최종 잔여물이 된다. 김기림에게 이미지가 현대문명에 부합한 새로운 시의 기획에 있어 중심지점에 위치한다면 점에서, 그의 이미지론은 이론적ㆍ목적의식적인 성격이 짙다. 이에 비해 김춘수에게 이미지는 관념ㆍ대상ㆍ의미의 세계로부터의 탈각을 위한 새로운 시작(詩作) 방법론의 중심지점이라는 점에서 창작적.실험적 성격이 짙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양자의 이미지론은 부정과 배제의 시학이라는 출발선상의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개진되어 온 것이다. This article``s primary aim is to compare Kim Ki-Rim``s to Kim Chun-Su``s poetics, specially the difference of thought on the poetic image. Both thoughts on image are very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ism in modern Korean poetry. But, so far, very little has been studied on this theme. 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both thoughts about poetic image comparatively. Kim Ki-Rim``s modernism and Kim Chun-Su``s ``meaningless poetry`` are very similar in the denial of tradition and ideology. But they are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ir thoughts. We can make the following three observations : First, the relation between image and object. The former``s concept of image is concerned with the representative image of objects, but the latter is concerned with the non-representative image of objects. Second, the relation between image and meaning. Kim Ki-Rim considers poetic image as a manifestation of meaning, but Kim Chun-Su considers it as a self-fulfilling entity without meaning. Third, the relation between image and rhythm. To the former, ``the flight of association`` is a major method to embody the speed of modern civilization. In contrast to automatism, his ``the flight of association`` is controlled by a unified theme. To the latter, ``a drastic switch from image to rhythm`` evinces thar rhythm is a method to destroy image and meaning, and a remains through this extinction.

      • KCI등재

        H.D.의 서사시와 이미지즘

        손혜숙 ( Son Hyesoo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0 No.68

        본 논문은 H.D.의 초기시와 후기 대표작 『삼부작』(Trilogy) 간의 연속성을 이미지즘의 시각에서 접근하려는 시도이다. 본 논문은 주류 비평에서 H.D.에게 덧씌운 “완벽한 이미지스트”라는 정의가 그녀 시의 본령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보다는 여성 시인을 규정하고 통제하는 일종의 성적 이데올로기라는 점에서 비판적 입장을 취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H.D.를 이해함에 있어 이미지즘은 여전히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이데올로기로서의 이미지즘이 아닌, 그녀의 텍스트의 핵심적 특질로서 이미지즘을 다시금 논의의 전면에 내세울 필요성이 있다. 이는 기존의 양분된 H.D. 연구를 지양하면서 그녀 시의 일관된 흐름과 연속성을 찾아내려는 시도이자, 초기 이미지즘과 후기 장시 연구 사이에 접합점을 찾아 논의 자체를 입체화시키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저간 H.D. 연구에서 문제가 되었던 전기 이미지즘, 후기 예언시의 단절적 연구 경향을 지양하면서, 이미지즘 논의에 있어 왜곡되어 있는 H.D.의 역할에 대한 평가를 바로 잡고, 이미지즘의 발전 경로로 그녀의 후기시를 설명하면서 이미지즘의 시들과 『삼부작』 간의 구체적인 연속성을 밝혀낸다. My essay reads H.D.’s Trilogy as an emanation of her imagist spirit. Throughout her long-ranging career, she continues to maintain the principles of imagism, contrary to the mainstream critical tendency of bi-secting her oeuvre. While the early criticism foregrounds the period of imagism, the recent feminist critics mainly focus on her later long poems, denouncing male imagists’ and modernist critics’ confinement of and control over her texts. However, I suggest continuity between these seemingly disparate periods, appreciating her persistent characteristics of imagism. Trilogy does not so much obscure the earlier imagist impulse and techniques as it weaves them into a new pattern. Its repeated images, especially those of enclosure and opening, are as clear, sharp, precise, and even dynamic as in her earliest imagist poems, “Priapus” and “Hermes of the Ways.” Trilogy’s free verse dispenses with any consistent rhyme scheme or meter, but carries various chains of repeated sounds whose coherence and beauty create a unified web of meaning. Trilogy is an acknowledgement of the unity of H.D.’s career, depending both conceptually and technically on imagism.

      • KCI등재

        조운 시조의 형식과 내용 연구 -이미지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이순희 ( Soon Hee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7

        본고의 목적은 조운 시조에 형상화되어 있는 이미지즘 시적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영미 이미지즘 이론과 시조혁신론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동시에 현대시조가 문학 장르로 정착하는데 끼친 조운의 영향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미지즘은 1910년대 영미의 젊은이들에 의해 시도된 시 운동으로 전 세계의 시와 시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909년 흄에 의하여 시도된 뒤 곧이어 합류한 에즈라 파운드에 의하여 완성되었다. 에즈라 파운드를 주축으로 한 이미지스트들은 1913년 이미지스트 3원칙을 발표하였으며 1915년 에즈라 파운드가 탈퇴한 뒤 에이미 로우웰을 중심으로 이미지스트들의 6개항 원칙을 발표하였다. 이미지즘이 한국에 수용된 시기는 1920년대이다. 노래 형식이던 고시조를 문학 형식인 현대시조로 재창조하기 위해 가람 이병기는 현대시조의 작법인 시조혁신론을 주창하였는데 이미지즘 이론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가람 이병기가 세워 놓은 현대시조 이론을 바탕으로 조운은 작품 속에서 미적 구조를 형상화하여 현대시조가 문학 장르로 확고한 위치를 구축하는데 기여를 했다. 미적 구조의 형상화는 이미지즘 이론의 주요한 요소이면서 시조혁신론의 주요한 요소인 서경과 서정의 이미저리를 통한 상징화 작업이었다. 본고에서는 조운 시조 속에 형상화된 이미저리와 상징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작품을 내면세계와 외면세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내면세계는 주로 시적 화자의 심상을 소재로한 것으로 결핍으로 점철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결핍의 상징체계는 그리움의 이미저리, 애처로움의 이미저리로 형상화되고 있었다. 외면세계는 시적 화자가 그의 작품에 형상화시키는 서경으로 자연물 이미저리와 유적지 이미저리로 작품 속에 나타나 있으며 시적화자의 결핍된 서정을 해소하는 상징체계로 작품 속에 녹아있었다. 작품 분석의 결과 영미 이미지즘 시적 특성인 회화적 이미저리를 통해 작가의 심상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조운은 초기 현대시조의 대표적 인물임을 논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oetic characteristics in imagism of having been embodied in Jo Un`s Sijo. Jo Un is selected as a pioneer in modern Sijo along with Garam Lee Byeong-gi.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old Sijo that had been tune, Garam Lee Byeong-gi systematized a theory of modern Sijo by introducing a theory of Anglo-American imagism in the 1920s ∼1930s. Jo Un achieved the aesthetic embodiment in a work based on the theory. The theory of imagism can be summarized as the vivid image of containing complex sense, and as a change in rhythm of having a meaning in mind. Jo Un attempted a change in tone in order to pursue a change in rhythm in his work, resulting in having been shown to be a pursuit for diverse poetic forms. The lack of life was symbolized by embodying it with the longing imagery and the miserable imagery in the inner world based on the actual feeling and state(實感實情) for seeking the clear image. It could be analyzed to symbolize the resolution of lack by embodying it with the natural imagery and the historic-site imagery.

      • KCI등재

        정지용 시편의 회화성 연구

        권성훈(Kwon Seong-hun)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90

        이 연구는 정지용의 모더니즘 시편이 근본적으로 회화성에 기초한 감각적 지각 작용으로 보고 회화적인 양상을 살폈다. 그동안 정지용 시편의 회화적 탐구는 언어를 중심으로 한 이미지즘을 분석한 것으로 당대 모더니즘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본래 회화성은 회화적 기법에 기초한 감각 작용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지각작용이 아니라는 점에서 상이 한 결과를 유출할 수 있다. 요컨대 시적 이미지는 상상력을 통해 발휘되는 지각 작용이며 회화는 묘사를 통해 형상화되는 감각 작용이라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자들의 회화적 연구가 이미지즘과 회화성을 혼용하거나 혼돈하는 데서 오는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본고에서 살필 정지용 시의 회화는 미학적 측면에서 시적 이미지는 구별된다는 것을 밝힐 필요성이 대두된다. 여기에 정지용 시편에서 회화성을 구성하는 것이 추상과 구상 그리고 형상으로서의 이미지를 통한 재현 예술을 의미한다. 특히 정지용 작품에서 보이는 모호성과 상징성은 추상성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추상성은 일제강점기라는 암흑기의 불안과 공포를 표상하는 상징적 회화로서 추상충동을 야기되고 있다. 이른바 현실에서 비실제적인 불안과 공포는 문학적 상상력의 근원으로 작용하면서 외계 현상과 감정이입으로 생긴 미학적 의욕으로서 추상 충동이 작동되었을 것으로 유추된다. 실제 정지용 시편의 감각적 특질은 현실과 비현실 사이 추상성을 가미한 비재현 회화성으로 발휘되고 있다. 이는 우울과 불안 그리고 자의식에 대한 정체성의 불완전에서 오는 심상이 이미지즘과 결합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거기에 모더니즘의 영향권에서 이미지즘에 관심을 보인 정지용은 일본 동지대학에서 영미문학을 전공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이로써 정지용 시편의 회화적 감각을 탐구하기 위해 재현 미학적 측면에서 구상과 추상 그리고 형상이 가진 회화성을 선행적으로 살폈다. 또한 연구방법과 같이 첫째 구상과 형상에서는 존재의 열림으로, 둘째 형상과 구상에서는 존재의 펼침으로, 셋째 추상과 구상의 반추상에서는 반추상적 초월성으로, 마지막으로 구상과 추상의 반구상에서는 반구상적 근원성으로 정지용 시편을 분석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ictorial aspect of Jeong Jiyong‘s modernist psalms, which was basically reported as a pictoriality-based sensory perception. The pictorial character research that has appear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xams so far analyzes the imagism of sensory objects through language, and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odernism. The original pictoriality can give different results to depiction as a pictorial technique rather than a sensory action centered on sight. Previous researchers pictorial studies can point out problems caused by a mixture or confusion of imagism and pictoriality that a poetic image is a sensory act exerted by the imagination, and a picture is shaped through depiction. This paper inevitably raises the need to clarify that Jeong Jiyongs poem paintings are aesthetically distinguished from poetic imagery and depiction. Here, constructing pictoriality in Jeong Jiyongs poems means representational art through abstraction, concept, and image as form. In particular, the ambiguity and symbolism seen in Jeong Jiyongs works form an abstraction, and this abstraction evokes an abstract impulse as a symbolic painting that expresses the anxiety and fear of the dark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so-called reality, it is speculated that while unrealistic anxiety and fear acted as the source of literary imagination, abstract impulses acted as aesthetic motivations caused by alien phenomena and empath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Jeong Jiyong’s psalms are expressed in a non-reproducible pictoriality that adds an abstraction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This can be grasped as a phenomenon in which depression, anxiety, and an image that comes from the imperfection of identity with respect to self-consciousness are combined with imagism. In addition, Jeong Jiyong, who showed interest in imagism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modernism, majored in English-American literature at the Japanese Contemporary History University, which is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Through this, in order to explore the pictoriality of Jeong Jiyong’s psalms, we first examined the pictoriality of concept, abstraction, and shape in terms of reproduction aesthetics. In addition, as in the research method, we explored first, the opening of existence in concept and shape, second, the spread of existence in form and concept, third, anti-abstraction transcendence in the abstraction and anti-abstraction of concept, and finally anti-concept originality in the concept and anti-concept of abstraction.

      • KCI등재

        정지용과 김영랑의 시청각 심상에 관한 쟁점

        송희복 ( Song¸ Hui-bog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6

        주지하듯이, 정지용은 시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며, 김영랑은 청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다. 두 시인에 관한 대비적인 연구는 이제까지 없었다는 데서, 이 연구는 시작된다. 정지용이 시각을 창작의 향방으로 삼은 사실이 그가 영미권의 이미지즘 시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본인도 이 사실에 관해 밝힌 일이 없었다. 다만, 「유리창 · 1」에서 유리(창)라고 하는 최소한의 물성이 언어로써 드러나고 있으며, 「바다 · 2」에서는 시각적인 심상을 뚜렷이 엿볼 수 있는 표현이 명료한 것은 분명하다. 그의 2행시인 「겨울」이 이미지즘 시의 전형성을 얻게 되지만 그의 시 전체를 통해 볼 때 극히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김영랑의 시에 청각적 특성은, 음(⾳)상징, 시의 율격, 악기 소재, 음운의 자질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와 「청명」은 네 번째의 요인에 해당하는바, 가장 우리말다운 음운적 자질인 리을(ㄹ)을 잘 활용하고 있다. 한편 그의 대표적인 시편인 「모란이 피기까지는」에서 표현된 ‘하냥’이야말로 그만의 ‘시성(poeticity)’을 유감없이 발휘한 시적 부사어, 언어 자체의 무게와 가치를 지닌 시적 언어라고 하겠다. 두 시인 간에는, 사뭇 알고 보면, 시청각적인 심상에 대한 쟁점이 뚜렷이 놓여 있었다. 정지용은 ‘김영랑론’을 쓴 바 있었다. 그는 친구인 김영랑에게 비평적으로 고무적인 발언을 일삼았다. 하지만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은 대목에 이르면, 청각적인 것에 대한 시각적인 것의 우위를 밝히기도 했다. 반면에 김영랑은 박용철에게 보내는 편지글에서 정지용의 시각적인 심상들이 본연의 시 정신을 상실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정지용이 시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고, 김영랑이 청각적인 심상을 중시한 시인이라는 사실을 넘어서, 두 시인의 시 세계는 감각적인 수용 및 미의식의 기반에서 비롯된 분명히 다른 특성이 자리하고 있었다. Jung Ji-Yong is a poet who values visual images and Kim Young-Rang is a poet who values auditory images. This paper begins with that there has never been a contrasting study of the two poets. The fact that Jung Ji-Yong used vision as the direction of creation cannot be inferred that it is natural that he was influenced by the poetry of imagism of English-American literature. He also never revealed this fact. However, the minimum property called glass is revealed in language in the ‘Window.1’ and expressions that give a clear glimpse of the visual images are clear in the ‘Sea. 2’. His poem consisting two-lines, ‘Winter’ is typical of imagism, but this is extremely limited throughout his poetry.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Kim Young-Rang's poem can be found in the musical symbol, the rhythm of poem, the material of the musical instruments, the quality of phonetic rhyme. In particular, ‘On the find spring road of my heart’ and ‘Cheongmyeong’ is belonged to the fourth factor and they make good use of ㄹ as the most Korean phonetic qualities. Meanwhile, ‘ha-nyang’ expressed in his representative poem ‘Until the poeny blows’ is a poetic adverbial language that showed his poeticity without regret, and is a poetic language with the weight and value of the language itself. Between the two poets, it turns out, there was clearly an issue of audiovisual imagery. Jung Ji-yong once wrote about Kim Young-Rang's poetry. He made critical encouraging remarks to his friend Kim Young-rang. However, when they reached a point that was not easily seen, he revealed the visual is placed over the auditory. On the other hand, Kim Young-Rang said in a letter to Park Yong-Chul that he is concerned if Jung Ji-Yong's visual images can lead to the loss of the original spirit of the poem. Beyond the fact that Jung Ji-Yong is a poet who values visual images and Kim Young-Rang is a poet who values auditory images, the poetry of two poets has distinc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stemming from the basis of sensory acceptance and aesthetics.

      • KCI등재

        미국시에서의 일본 하이쿠의 수용

        김은성(Eunseong Kim)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4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1

        Haiku, imagist poetry, and Cummings’ poetry have a lot in common. They are short and employ some poetic devices such as understatement, implication, and juxtaposition of images. And brevity, imagistic clarity, detachment, and impersonality which are some haiku qualities can be also found in imagist and Cummings’ poetry. As haiku whose images are based on objective things, images of Cummings’ poems are derived from things and their suchness. Haiku and Cummings’ poems focus on things and this aspect makes their images not abstract or disruptive but clear and meaningful. Moreover,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ir writers, the poems express themselves. Based on things and their images, they avoid human judgement, analysis, and self-assertion. Haiku obliterate authors or self and self is effaced in Cummings’ poems, too. This self-effacement in these poems leads to an anti-ideological aspect. In the 1950s and 1960s when haiku was popularized in America, haiku-like Cummings’ poems were received as an antidote to American obsession with the self and an excessive emphasis on personality. Most of all, this impersonality in Cummings’ poems is a try to regain true individuality battered by and in ideological contr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