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박민정,유찬열,조수정,Park, Min Jeong,Yu, Chan Yeol,Cho, Soo Jeong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써 갈색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의 부위별, 추출 용매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열수 추출물 갓과 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15±0.19 mg GAE/g과 7.37±0.16 mg GAE/g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 갓과 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23±0.14 mg GAE/g과 3.76.±0.19 mg GAE/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대에 비해 갓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DPPH, ABTS, ORAC 지수, 환원력도 10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고 대에 비해 갓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흰색 느티만가닥버섯에 비해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ORAC 지수, 환원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WST-1 assay (4-[3-(4-iodophenyl)-2-(4-nitrophenyl)-2H-5-tetrazolio]-1,3-benzene disulphonate)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대식세포주 RAW 264.7의 세포 생존율로 확인하였으며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열수 추출물 처리구에서 대식세포주 RAW 264.7의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느티만가닥버섯은 품종에 따라 항산화 활성에 차이가 있고,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은 다른 버섯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기 때문에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otential of Hypsizygus marmoreus (brown cultivar) as a functional food and drug materials. H. marmoreus were divided into pileus and stipe and extracted in hot water and 80% ethanol.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hot water extracts (pileus 17.15±0.19 mg of GAE g, stipe 7.37±0.16 mg of GAE/g) and pileus compared to the ethanol extracts (pileus 10.23±0.14 mg of GAE/g, stipe 3.76.±0.19 mg of GAE/g) and stipe. Also, hot water extracts of pileus from H. marmoreus (brown cultivar) was more effective DPPH, ABTS, ORAC value, reducing power than ethanol extracts and stipe extracts. The pileus and stipe extracts were confirmed to be non-cytotoxic in the 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determined by WST-1 (4-[3-(4-iodophenyl)-2-(4-nitrophenyl)-2H-5-tetrazolio]-1,3-benzene disulphonate) assay. Overall, extracts of H. marmoreus (brown cultivar) w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mushrooms, and no cytotoxicity. Therefore, H. marmoreus (brown cultivar) showed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and drug materials. The brown cultivar of H. marmoreus h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white cultivar, H. marmoreus seem to have different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the cultiv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