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내용학 : 동학에 나타난 고유사상 연구

        김대훈 ( Dae Hoo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7

        이 논문은 동학(東學)의 사상적 기저(基底)가 유교, 불교, 도교가 아닌 고유사상(固有思想)에 있음을 고찰한 글이다. 유·불·도(儒·佛·道)가 삼국시대에 전래된 이후 도교는 민간신앙(民間信仰)과 혼합되어 그 정체성이 뚜렷하지 않지만, 유교와 불교는 전통사상(傳統思想)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동학은 우리 민족의 종교이자 학문사상이기 때문에, 우리의 문화적 전통과 역사적 맥락에서 탐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유·불·도는 동학의 본질이 될 수 없다. 유교의 경우는 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비록 조선의 선비로 자랐지만, 주유팔로(周遊八路)의 과정에서 유교의 한계를 직시하고 그러한 전통을 거부한다. 불교는 최제우로 하여금 유교적 지식인의 삶에서 깨달음의 종교적 삶으로 전환시키는데 기여하지만 동학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다. 도교는 동학의 이상(理想)을 효율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당시 보편적으로 쓰이던 도교 관련 어휘들을 원용(援用)한 것이다. 우리민족의 고유사상은 단군신화(檀君神話)와 이를 계승한 신라의 풍류도(風流道)에서 그 근원과 특징을 엿볼 수 있는데, 『동경대전(東經大全)』과 『용담유사(龍潭遺詞)』의 고유사상적 내용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됨을 개진하였다. 첫째, 동학의 경전에 제시된 ‘천황씨(天皇氏)’는 중국의 신화적 인물이 아니라 단군신화의 ‘환웅(桓雄)’이다. 둘째, 최제우가 실천목표로 삼은 ‘다시개벽’은 환웅의 개벽사상을 계승한 것이다. 셋째, 동학의 주문수련(呪文修鍊)과 검결(劍訣)은 고대로부터 우리 민족이 중시한 가무(歌舞)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넷째, 동학은 풍류도의 포함삼교(包含三敎)의 논리 및 접화군생(接化群生)과 친연성을 가진다. This study aims at researching that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Donghak is not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Yubuldo), but the indigenous Korean thought. Since the introduction of Yubuldo into Korea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Confucianism and Buddhism have settled down as traditional Korean thoughts, while the identity of Taoism, mixed with folk-beliefs, was not clear. Since Donghak is Korean people’s religion and academic thoughts, it should be explored in the Korean cultural tradition and historical context. However, Yubuldo cannot be the essence of Donghak. It can be found that our indigenous thought has the origin in the Myth of Dangun and the Pungrudo which inherited it and also holds the features related with them. After 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indigenous thoughts in Dong-Kyung Dae-jun and Yongdam-yusa, the conclusion I reached is as follows. First, ‘Cheonhwang-ssi’ presented in Donghak Scripture is not a mythical Chinese character but ‘Hwanung’ in the myth of Dangun. Second, ‘Dasigaebyeok the recreation of the world’ at which Choi Je-u aimed in practice succeeded Hwanung’s Gaebyeok thoughts. Third, Jumunsuryeon and Geomga in Donghak succeeded the traditions of song and dance to which Korean people attached importance since ancient times. Fourth, Donghak has an affinity with Pungryudo’s logic of Pohamsamgyo - It includes all three religions, Yubuldo, and Jeobhwagunsaeng - It aims to contact, reform and save all living being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