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2년 『환단고기』 역주본, 고고학적 비판

        김재윤(Kim Jae Youn) 한국상고사학회 2018 한국상고사학보 Vol.102 No.102

        『환단고기』 원문은 이미 위서로 규정되었으나, 2012년 출판된 『환단고기』 역주본은 고고자료가 대거 이용되어 생산되었다. 이 책에서는 세계 각국의 고고문화자료가 언급되었는데,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와 관련해서 중국 신강성과 요서, 한반도가 관련이 있다. 중국 신강성에서 발원한 ‘환국’이 각 지역으로 퍼져서 동쪽으로는 요서지역에 안착해서 이 지역 신석기문화를 형성했고, 요서의 소하서문화, 흥륭와문화, 홍산문화가 한반도 신석기문화계통으로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홍산문화의 C자형 동물형옥기가 강조되었으나 정작 한반도에서는 출토되지 않는다. 홍산문화의 토기에 대한 언급은 없고, 이전 시대인 소하서문화 및 흥륭와문화 토기가 한반도 빗살무늬토기계통이라는 주장만 거듭되었다. 유물의 단순형태비교가 중심이 된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과 이 책이 대중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른바 「환국」이 시작된 연대와 지역은 9,200년 전 중국 신강성 「신석기시대」이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 신강성에서는 토기등장을 기준으로 한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와 구석기시대의 구분이 모호해서 ‘석기시대’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9,000여년 전 중국 신강성은 세석기를 사용하는 시대이며, 6,000~5,000년 전에 석기시대 내에서 구분된 신석기시대 유적이 있다. 그러나 토기가 출토되지 않고, 세석기의 모양이나 크기가 그 이전과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중국 신강성은 토기등장을 기본으로 한 동북아시아 신석기 문화와는 다르며, 요서지역 신석기문화의 기원지로 보기 힘들다. 요서지역 소하서문화는 흥륭와문화에서 이른 단계의 유물을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나 아직 학계에서 논쟁중이다. 이를 제외하고도, 특징적인 토기가 무문양이기 때문에 한반도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와 같은 계통으로 볼 수 없다. 또한 흥륭와문화의 之자문토기를 한반도빗살무늬토기로 여겨, 결상이식과 함께 한반도가 요서지역 신석기문화계통으로 간주되었다. 근거가 된 압록강 유역의 미송리 유적 하층 토기 중 2점은 인접한 요동남부나 하요하유역과 비교 가능하지만, 그 연대가 4,800~4,400년 전으로, 흥륭와 문화가 기원전 6,200~5,400년에 해당된다는 점에서 시공간적 차이가 크다. 이 문화와 한반도 각 지역의 신석기 토기를 비교했으나, 한반도신석기문화를 요서지역으로 확대해석할 수 있는 자료는 없다. 뿐만 아니라 흥륭와문화의 결상이식과 고성 문암리를 비교한 결과 토기, 무덤양상, 결상이식의 종류와 제작방법 등은 전혀 다르다. 따라서 『환단고기』 역주본의 내용은 단순한 유물형태연구를 근거로 한 것으로 고고학적 분석은 결여되었으며, 사실과 다르다. The Hwandangogi published in 2012 with using a lot of archaeological data is quickly spread to the public by social network, utube and blog. The affected books for commercial history are being published steadily. The “pseudograph discussion” of 1980s turned to the “Hwandangogi phenomenon” of 2000s as disconformably using archaeological data. The connivance of archaeology academia must be reflected and it is a time to verify and criticize archaeologically. The Hwandangogi’s claims are considered archaeological relics and remains. It is thought that Hwankook the origin of Gojoseon was strarted from Xinjiang Province 9200 years ago in Hwandangogi. The distinction between Paleolithic and Neolithic times is blurred, so it is believed to be the “Stone Age”. Among them, Neolithic relics a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stone tools and the lack pottery and the fastest historical site is 6,000 to 5,000 years old. The fastest prehistoric earthenware in Xinjiang Province has been produced since the Bronze Age.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Neolithic cultures of Northeast Asia, which is based on the appearance of pottery. In the Hwandangogi, In based on igzag pattern pattern pottery and Jade earring of the Xinglongwa culture belongs the same Neolithic culture system with the Korean Peninsula. the connection between Xinglongwa culture and the Korean Peninsula culture is based on the excavated articles of Misongri in the Amnok River basin. This accepted Lee hyungu. It was claim for denial that the Korean Peninsula’s Neolithic Culture was came from the Siberian origin, and the origin is represented by pottery from the midwest in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pottery of the Amrok River Basin and the midwestern region differs in the way they are shaped and decorated, it is not convincing to claim that as a relic of the Amrok River basin. It is simply the focus of the comb patterns. first of all, the different ways of drawing patterns are used in the two regions. the zigzag pattern pottery of the Xinglongwa culture is decorated by pushing flat tool. It is differ from the comb-pattern pottery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decorated by carving a line. It is thought that the Neolithic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was related to the Liaoxi area through the Jade earring found in Munamri site, Goseong. Hwandangogi accepted ’s opinion that it was originated from the Hongshan culture. It focused on the similarity of a form of an earring. However, Excavated a tomb, a pottery with Jade earring differs from that of Munamri site, and also Villages, tomb structures, and jade patterns of the Xinglongwa culture differ greatly from Neolithic cultures of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of the jade artifact, the Neolithic culture of the Liaoxi area is thought to belong same system with the Korean Peninsula. It is originated from accepting the arbitrary thesis of Chinese scholar and interpreting Dangun Joseon. This is to remove the disgrace of the book as a fake book and escape its popularity.

      • KCI등재

        환작(幻作)된 『환단고기(桓檀古記)』

        이문영(LEE, Moon-Young) 한국사학사학회 201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8

        이유립은 한국의 고대사를 영광스럽게 포장하기 위해 중국의 식민 정권인 기자 조선을 말살하고자 했다. 그 노력의 결정체가 『환단고기』이다. 기존의 국수주의 역사책인 『규원사화』나 『단기고사』를 통해서는 기자 조선을 말살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유립은 새로운 역사책이 필요했다. 이유립은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가지 위서를 만들어나갔는데, 그런 위서들을 모아서 『환단고기』라는 이름을 70년대에 붙이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이유립이 조직한 ‘단단학회’의 기관지 『커발한』에 잘 드러나 있다. 1979년에 출간된 『환단고기』는 왜 그 전에 발간되지 않았는지를 해명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편저자로 알려진 계연수가 1980년에 공개하라고 말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미 『환단고기』는 월간 『자유』등에 소개된 바가 있었다. 또한 『커발한』에 점차 구체화되어가는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다. 이 때문에 오랫동안 유사역사학계는 『커발한』을 공개하지 않고 있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커발한』에 등장하는 이유립의 역사관과 후일 출판된 『환단고기』와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어떻게 『환단고기』가 위조되었는지를 밝히도록 하겠다. Lee Yu-rip tried to eliminate the Chi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Ki-ja Chosun, in order to bring glory to Korea’s ancient history. The fruit of their efforts is the Hwandangogi. Lee Yu-rip needed a new history book because he could not obliterate the Ki-ja Chosun through the existing nationalistic history books Kyuwonsahwa or Dangigosa. Lee Yu-rip has been making various pseudohistory books over time. Such pseudohistory books were collected and the name Hwandangogi was named in the ’70s. Such a series of processes often appears in the Keobalhan, an organ newspaper of the ”Dandanhakhoi” organized by Lee Yu-rip. Hwandangogi published in 1979 could not explain why it was not published before that time. For this reason, some argue that Kye Yeon-soo, known as the editor of the book, told the public open in 1980. For this reason, some argue that Kye Yeon-soo, known as the editor of the book, told Lee Yu-rip to disclose it in 1980. However, it has already been introduced in the monthly magazine Ja-yu. It also incorporates the gradual materialization of Keobalhan. Therefore, it is conjectured that similar historical scholars had not published Keobalhan for a long time.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Lee Yu-rip’s historical view in Keobalhan and the later published Hwandangogi and how Hwandangogi was fabricated.

      • KCI등재

        『환단고기』 소재 단군신화의 서사 구성의 지향과 그 의미

        박성혜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5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version of theDangun myth contained in the Hwandangogi. Until now, the discussion on the Hwandangogi has focused whether this book can be considered a historical work. However, the question of its historicity aside, this book is also valuable as a text representing the imagination of the people who lived in the 20th centur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pproach the Dangun myth contained in this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it as a literary narrative. Chapter 2 of this paper breaks dow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Dangun myth in the Hwandangogi. This approach is good for demonstrating the way in which the Dangun myth was composed. In chapter 3, this paper explains what is emphasized in the Hwandangogi version of the Dangun myth: the nation has a long history and a large territory. Chapter 4 explains the meaning of the Dangun myth by borrowing Cassirer’s phrase and calling it the Hwandangogi as a ‘poitical myth of the 20th century’. The Dangun myth in the Hwadangogi shows the desire for a strong nation named Hwan Guk, which has a large territory. However, this nation can easily be changed into the territory of the Japanese empire and Dangun just as easily changed into Susanoonomikoto, a mythic figure known as a sibling of the mythical founder of Japan, in the discourse of Japanese imperialism. 본고는 『환단고기』에 수록된 단군신화에 대한 설화학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동안 『환단고기』에 대한 논의는 주로 『환단고기』의 사료적 성격 검토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앞선 연구들은 역사적 사실을 구체화하려는 목적 아래 진행된 연구들이다 보니, 『환단고기』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문학적 관점에서의 텍스트 연구는 진행되지 못하였다. 『환단고기』는 한국 고대사에 대한 20세기의 상상력이 담긴 텍스트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이미 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환단고기』에 수록된 단군신화에 대한 설화학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관점에서 『환단고기』내에 수용된 단군 신화의 구성요소와 특징을 서사 단락을 나누어 화소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환단고기』 내의 단군신화가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를 고구하였다. 나아가 이 단군신화가 결국 어떤 상(像)을 형상화하고자 하였으며, 그 의미와 효과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환단고기』의 단군신화는 건국의 역사성을 강조하기 위해 환국의 유구한 역사와 넓은 땅을 강조하고 있으며, 근대에 출현한 단군관이 수용되었다. 사회적으로 불안한 시대마다 단군신화가 대두되었던 신화사적 맥락과 이유립의 개인적, 시대적 경험 속에서 이유립은 광복 후 불안에 대한 대응으로 기존에 전승되던 단군신화를 바탕으로 『환단고기』의 서사를 구축할 수 있었다. 『환단고기』는 개인의 전략적인 고안의 과정과 『환단고기』에 형상화된 과거의 천년왕국을 근거로 20세기의 정치적 신화라 부를 수 있다. 그러나 환인, 환웅, 단군을 지키려는 의도에 매몰되어 환국, 배달, 조선을 제국으로 형상화한 『환단고기』는 단군신화를 서사의 기본 구조로 채택하고 있는 구성 상 일선동조론이나 단군과 스사노오가 동일한 인물이라는 논의에 복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유립은 단군을 높이려고 했으나 역설적으로 일본의 침략논리에 포섭되어 버린 한계가 『환단고기』의 일역자인 가지마 노보루의 판본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환단고기』를 단순히 위서가 아니라 20세기의 정치적 신화로 자리매김 하였을 때, 『환단고기』 자체가 가지고 있는 신화로서의 성격을 근거로 이미 연구사적 판단이 끝난 『환단고기』를 둘러싸고 왜 끊임없이 논란이 계속되는지, 왜 일군의 사람들은 『환단고기』의 서사를 포기하지 못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환단고기』 위서론의 발생과 최근 동향

        유 철(You, Chul)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979년 『환단고기』가 출간된 이후 『환단고기』는 많은 대중의 관심을 받았고 사학계에서도 이를 주시했다. 그러나 『환단고기』가 담은 고대사 내용은 역사학 계의 정통 학설과 양립할 수 없었다. 고대사학계의 몇몇 학자들은 『환단고기』가 위서라고 주장했다. 몇 편의 위서론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그 논조와 내용은 대동 소이하며, 『환단고기』의 가치를 인정하는 다수의 학자들에 의해서 충분히 반박되었 다. 한동안 잠잠하던 위서론이 최근 젊은 역사전공자들을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었 는데, 이들은 『환단고기』의 내용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환단고기』를 중심으로 하는 재야사학계의 정통성과 학문적 권위를 문제 삼고 있다. 정통 역사학이 아닌 유사역사학이라는 것이다. 이 논문은 위서론의 성립 배경과 과정을 년대별로 살펴보고, 논박하는 한편, 최근 젊은 역사학자 모임에서 제기한 위서론을 검토 비판하면서, 위서론의 전반적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Since its publication in 1979, the Hwandangogi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general public, which interested many scholars in the historical circle. But its contents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were so unique that they could not be harmonized with orthodox theories supported by mainstream scholars. In this context, some of the scholars studying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claimed that the Hwandangogi was a forgery by presenting several papers related to the theory of forgery. However, while points and contents they suggested were very similar with one another, their claims were sufficiently refuted by the majority of scholars who had accepted the significant value of the Hwandangogi. Recently, the forgery theory forgotten for a time has been proposed once again by a group of young scholars, who this time around did not target the texts themselves of this ancient scripture but instead raised doubts on the legitimacy of non-mainstream historians and their scholastic authority. The mainstream historians derogatorily claimed that the non-mainstream historians do not deal with orthodox history but pseudo history. This paper reviews in refutation the rise and development of the forgery theory about the Hwandangogi year by year. Also, this study shows an analytical criticism on the forgery theory that was recently suggested by a group of young historians. In this way, this paper discloses the overall problematic matters involving the forgery theory and probes into the hidden motivation behind it.

      • 桓檀古記의 歷史性과 史學史的 意義

        이덕일(Lee, Duk-Il) 세계환단학회 2016 세계환단학회지 Vol.3 No.2

        Once released in 1979, 『Hwandangogi』has been located at one of the controversial issues in Korea. Historians in academia has mainly led negative views on this book. According to them, the writer, Kye Yonsu, was nothing but a fictitious character. Of course, he was a real person in history. Nonetheless, the main points on their criticism is related to its composition date as a historical record. They have claimed that the book was written in either 1979 or 1911. Such perspective has played a key roles in treating it as a forgery. However, both claims can be contested as follows. First, the book was not published in 1979, because some contents were already shared by the independence activists in 1920s. Also, the song, called, OA , only found in this book, was already widely sung by them, with the title, ‘DanGunSinGa’. Second, if it was written in 1911, any content should have been contained in other records published before it. Still, a lot of its materials were already discovered in books written hundreds of years ago: the Chosun period. For instance, 『Hwandangogi』 contains historical narratives about Buru, son of Dangun. He was found in the history books such as『Donggukyeokdaechongmok (Table of contents of Korean History century)』 and 『Dongsabongi (Annals of the Korean History)』 transcrib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In this regard, the claim -『Hwandangogi』is entirely a forged book -is not the right approach to research history. 『환단고기』는 1979년 공개되자마자 위서 논쟁에 휩싸였다. 『환단고기』를 위서로 몬 것은 주로 대학 강단에 서는 학자들이었다. 이들의 논리는 당시까지의 연구결과와 『환단고기』의 내용이 다르다는 이유로 위서로 몰았다. 『환단고기』 위서론은 시기에 집중되어 있는데, 하나는 1979년 공개 당시에 만들어진 위서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환단고기』 서문에서 간행연도라고 밝힌 1911년 당시 만들어진 위서라는 것이다. 심지어 『환단고기』를 간행한 계연수가 가짜라는 주장도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환단고기』가 1979년 공개 당시 만들어진 위서라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자.『환단고기』의 주요 내용들은 1920년대 『개벽』에 이미 실려 있던 내용들이다. 또한 여러 독립운동가들은 『환단고기』의 주요 내용들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 일제강점기 때 여러 문헌에서 드러난다. 따라서 『환단고기』가 1979년 당시 만들어진 위서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둘째 1911년에 만들어진 위서라는 주장에 대해서 살펴보자. 『환단고기』가 1911년 에 만들어진 위서라면 그 주요 내용들은 그 이전의 어떤 책에도 나와서는 안 된다. 그러나 『환단고기』에 담긴 주요 내용들은 1911년 이전은 물론 조선 중기 학자들이 쓴 역사서에도 찾을 수 있는 내용들이다. 『환단고기』에는 단군의 신하 팽오라는 인물이 나오는데 1909년의 「단군교 포명서」에 이미 같은 내용이 나온다. 또한 『환단 고기』에는 단군의 아들 부루라는 인물이 나오는데, 이 내용은 17세기의 학자 홍만종이 쓴 「동국역대총목(東國歷代總目)」 과 18세기 학자인 이종휘가 쓴 동사본기( 東史本 紀 )에도 이미 나온다. 또한 『환단고기』에만 나오는 ‘어아가’라는 노래는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가들이 단군신가( 檀君神歌 )라는 제목으로 널리 불렀던 노래다. 따라서 『환단고기』가 1979년이나, 1911년 만들어진 위서라는 주장은 역사학적 방법론 에 따르면 성립될 수 없다.

      • 日本의 天神祭祀와 『桓檀古記』의 書誌學的 位相硏究(2)

        홍윤기(Hong, Youn-Ki) 세계환단학회 2016 세계환단학회지 Vol.3 No.2

        日本歷史冊 『日本書紀』(720) [神代]에는 韓民族 古代史 『桓檀古記』의 天孫 降臨 等 우리 民族의 足跡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그와 같은 韓日古代史의 共通性을 本格的으로 밝히기 始作한 것이 江戶時代의 著名한 考證學者 藤貞幹(1732~1797) 이었다. 그는 渡來人들이 韓半島로부터 日本에 건너와서 未開한 日本先住民들에게 祖上神 祭祀文化와 稲作, 즉 벼농사文化를 가르쳐주게 되었다는 事實을 考證 論述한 것이 그의 名著 「衝口發」(1781)이다. 또한 近世에 와서는 東京帝大 史學科 久米邦武 敎授도 韓日同族說을 내세우면서, 韓日 相互間의 祖上神 祭祀文化에다 그 바탕을 둔 刮目할 만한 硏究로서 日本의 神道軍國主義 政權으로부터 迫害를 당하였다. 더욱 重 =大한 事實은 日本古代史 歷史冊을 쓴 것이 韓半島로부터 日本으로 渡來한 學者들이었 =다는 것을 日本의 權威 史學者들이 多樣하게 立證해주고 있다. Astonishingly, historical descriptions from Nihonshoki( 日本書紀 , 720) on the mythical era of Japan shows us they were plagiarizing some historical material from the mythical era of the Korean race. Descriptions on the descendants of the gods of the heaven coming down to the ground from the sky show much resemblance to those on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work of 『Hwandangogi ( 桓檀古記 )』. So we can infer from it the Korean myth of heavenly race descending to the ground ( 天孫降臨 ) has been transplanted. Is it true? Quite a few of renowned Japanese historians have proven it. For example, in Shokohatsu( 衝口發 , 1781), a master work from Teikan To (1732~1797, an eminent documental archaeologist from the Edo era [1603- 1868 CE]), Teikan To plainly points out some notions commonly noticed in ancient history of both Korea and Japan. Among others, according to him the Korean race has taught the Japanese for the first time how to produce rice from paddy fields. Then the Japanese people read a primitive life not knowing how to produce rice. The Korean race also exported the art of smithery to then underdeveloped Japanese people enabling them to make farming gears from iron. Further, they got to teach the Japanese the ritual culture of worshiping ancestors god. Meanwhile the Korean immigrants and the ancient Japanese community continually mated with each other and their genetic traits were gradually mixed. Prof. Kunitake Kume (1839~1931, Dept. of Historical Science, Tokyo Imperial University), a renowned historian from the modern age, outrightly disclosed his theory on common ancestral origin of the Korean and Japanese races in his works and papers incl. 『The history of Ancient Japan ( 日本古代史 )』(1907). The past imperialist regime of Japan got furious at this and kicked Prof. Kunitake Kume out of his post at the faculty of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Besides, many historians of authority in Japan are of the opinion that the genuine authors of lots of historical works on ancient Japan incl. the Nihonshoki were of Korean origin.

      • 환단고기 진서고(Ⅱ)

        윤창열(Yun Changyeol)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2

        『환단고기』는 우리민족의 9천년의 역사와 환국, 배달, 단군조선, 북부여, 고구려, 대진국, 고려로 이어지는 국통맥을 전해주는 유일한 사서이다. 또한 한민족의 뿌리역사뿐만 아니라 우리민족의 신앙, 사상, 철학, 문화까지를 알려주는 寶書이다. 그러나 『환단고기』가 이 세상에 출현한지 100년 이상의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僞書논쟁에 휘말려 그 진가를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환단고기가 眞書로 인정받고 正史로 자리 잡는 그날까지 『환단고기』 내용의 진실성과 정확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작업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북한에서 1993년 발굴하고 1994년 복원한 강동군 대박산에 있는 단군릉은 조선시대 사서인 『조선왕조실록』, 『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미수기언』, 「동사강목」, 「연려실기술」 등에 기록되어 있는 遺蹟으로 결코 북한에서 조작한 무덤이 아니다. 『환단고기』에서는 5세단군 丘乙이 “風流江을 거쳐 松壤에 이르러 병을 얻어 붕어하시자 大博山에 장사지냈다”고 하였다. 여기서 風流江은 강동읍의 동북쪽을 흐르는 沸流江이고 松壤은 江東의 古號이고 지금도 이 산을 大朴山이라 부르고 있다. 우리는 『환단고기』를 통해 북한에서 발굴 복원한 단군릉은 5세단군 丘乙의 무덤이 확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삼국유사』, 『고려사』의 김위제전, 『조선왕조실록』의 「세조실록」, 『성호사설』 등에 단군조선 때부터 전해오는 신지비사가 언급되어 있고 특히 김위제는 신지 비사의 10句를 인용하여 南京을 세울 것을 건의하고 있다. 『환단고기』에는 6대 단군 달문 때 神誌發理가 常春의 九月山 天祭 때 誓效詞를 짓는데 이것이 神誌秘詞이며 36 句의 全文이 기술되어 있다. 신지비사의 全文과 지은이, 지은장소, 지은목적 등을 기록하고 있는 환단고기는 한민족의 정신사를 복원할 수 있는 진서 중의 진서이다. 셋째, 유향이 지은 『설원』에는 商의 湯이 夏의 桀을 멸망시키는데 九夷의 협조를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환단고기』에는 夏商교체기에 단군조선에서 邑借 末良과 蚩 雲出 등의 장수를 보내 成湯을 도와 桀을 멸망시켰다는 자세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환단고기』는 『說苑』의 내용과 동일하면서도 더욱 구체적 이어서 내용에 대한 신뢰를 더해주고 있다. 넷째, 『한서』 「지리지」에는 조선에 犯禁八條(팔조금법)가 있다고 하면서 3조목만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서는 箕子가 조선에 와서 八條敎를 지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환단고기』에는 22대 색불루단군이 단군조선의 제2왕조시대를 열고 4년 己亥(BCE 1282)에 禁八條를 반포했다고 하면서 8조의 全文을 기술하고 있다. 이로 보건대 환단고기는 우리 역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왜곡된 사실을 바로잡을 수 있는 眞書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시경』, 『맹자』, 『史記』의 「周本紀」에서는 文王의 할아버지 古公亶父가 狄人 (獯鬻, 薰育)의 침입을 받아 邠땅에서 岐山下로 이주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지만 狄人의 실체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하고 있다. 『환단고기』에서는 BCE 1280년 단군조선의 제후국인 藍國君이 黎巴達을 시켜 邠岐지역으로 진격하게 하여 그곳 유민들과 연합하여 黎나라를 세웠다고 하였다. 이를 보면 狄人(獯鬻, 薰育)은 단군조선의 한 갈레가 됨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처럼 『환단고기』는 우리민족 역사의 공백을 메꾸어 줄 뿐만 아니라 중국역사의 비밀까지도 밝혀주는 소중한 史書라고 말할 수 있다. Hwandangogi is the only historical book to teach the national genealogy of Korean people for 9000 years from Hwan-guk, Bae-dal, Joseon by Tangun, North Buyeo, Goguryeo, Daejinguk to Goryeo. It also teaches not only Korean root of history but also Korean faith, ideas, philosophy and culture and is a precious book. Though Hwandangogi appeared over 100 years ago, its true value is not accepted due to the dispute of genuineness.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authenticity and accuracy of Hwandangogi objectively until it is accepted as a genuine book and become the official history. This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after Hwandangogi ( 桓檀古記 ) Jinseogo ( 眞 書考 ) (I). First, Hwandangogi was discovered in North Korea in 1993 and the restoration of Mausoleum of Tangun in Daebaksan Mountain, Kangdong County in 1994 is a historical site recorded i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朝鮮王朝實錄 ), Donggukyeoji Seungram ( 東 國輿地勝覽 ), Donggukyeojiji ( 東國輿地志 ), Misu Gieon ( 眉叟記言 ), Dongsa Gangmok ( 東 史綱目 ), Yeonryeosil Gisul ( 練藜室記述 ) and etc., which is never manufactured tomb by North Korea. In Hwandangogi, Gu-eul ( 丘乙 ), the fifth Tangun said that “he got a disease going through Pungryugang river ( 風流江 ) and reaching Songyang ( 松壤 ) and died, and his funeral was held in Daebaksan Mountain.” Hereby Pungryugang river is a Biryugang ( 沸流江 ) going through northeastern area of Gangdongeup and Songyang is Goho ( 古號 ) in Gangdong ( 江東 ) which is called Daebaksan Mountain ( 大朴山 ) until now. Hwandangogi confirms that Mausoleum of Tangun which was discovered and restored by North Korea is the 5 th Tangun,Gueul. Second,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 三國遺事 ), Gimwijejeon ( 金謂磾傳 )in History of Goryeo ( 高麗史 ), the Annals of Sejo i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eongho Saseol ( 星湖僿說 ) and etc. mentioned Sinji Bisa ( 神誌秘詞 ) inherited from Joseon by Tangun. In particular, Gimwije suggested to establish the south capital ( 南京 ) by quoting 10 phrases of Sinji Bisa. In Hwandangogi, when the sixth Tangun, Dalmun ruled, Sinji Bali ( 神誌發 理 ) published Seohyosa ( 誓効詞 ) during a ritual for the worship of the heavenly god in Kuwolsan Mountain ( 九月山 ), Sangchun. This is the Sinji Bisa and there are full texts of 36 phrases. Hwandangogi which re-corded the full text of Sinji Bisa, writer, writing place, purpose of writing and etc. is genu-ine and authentic to recover the history of Korean spirit. Third, Sulwon ( 說苑 ) written by Youhyang ( 劉向 ) recorded that Tang ( 湯 ) of Sang ( 商 ) destroyed Goel ( 桀 ) of Ha ( 夏 ) with the cooperation of Guei ( 九夷 ). Hwandangogi also re-corded that General Eupcha ( 邑借 ), Malryang ( 末良 ) and Chiwunchul ( 蚩雲出 ) destroyed Geol ( 桀 ) with the cooperation of Seongtang ( 成湯 ) in Joseon by Tangun during the re-placement of Ha and Sang with details. Hwandangogi has same contents of Sulwon with more details to be reliable. Fourth, Jiriji ( 地理志 ) in Hanseo ( 漢書 ) described only 3 articles of Eight Prohibitions ( 八條禁法 ) in Joseon. But Hwandangogi describes all eight articles and the announcement of Eight Bans ( 禁八條 ) in the 36 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 己亥 , BCE 1282) when 22nd Tangun, Saekbulu opened the second Dynasty of Joseon by Tangun. This identifies that Hwandangogi is genuine to add missing pieces of Korean history and correct distorted facts. Fifth, the Book of Odes ( 詩經 ), Mencius ( 孟子 ) and Jubongi ( 周本紀 ) in Shiji ( 史記 ) re-corded that Gogong Danbo ( 古公亶父 ), a grandfather of King Wen of Chu moved to the land of Bin ( 邠 ) after invasion of Jeokin tribe ( 狄人 ) and Hunyuk tribe ( 獯鬻 , 薰育 ), but they didn’t reveal who Jeokin tribe was.

      • 神市의 主穀·主命·主刑·主病·主善惡이 名詞이며 組織名으로서 5事組織임을 통해 본 『桓檀古記』의 진실성

        이강식(Lee Kang Sik)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1

        이 연구의 주목적은 『환단고기』의 主穀·主命·主刑·主病·主善惡이 名詞라는 것과 이는 업무조직으로서의 5事組織을 기록한 것이며 5帝思想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을 통해서 이를 기록한 『환단고기』는 고대천신교 계통의 사서로서 진실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다시 한번 논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목적은 고대천신교과 그 역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우리 고대천신교를 격의한 격의불교(Gyeogui Buddhism)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하고 또 대종교의 최초기 교리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신시의 5事조직이 명사이며 5帝사상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은 어떤 역사적, 역사학적 의의를 갖는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환단고기』와 『규원사화』가 진실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 논증되었다. 둘째, 국가중앙행정조직이 기록되었으므로 신시가 역사라는 것이 논증되었다. 셋째, 신시가 역사이므로 그 전대의 환국도 역사이고 이는 당연하지만 후대의 (고)조선도 역사라는 것이 논증되었다. 넷째, 그리고 모든 3神5帝조직과 병부조직이 포함된 3伯6事조직의 기원이 환국, 신시, (고)조선에 있다는 것이 논증되었다. 다섯째, 3神5帝사상의 실재성이 논증되었다. 이는 도론과 우주론의 연구에서 실제적인 관찰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서 이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연 것이다. 여섯째, 『환단고기』와 『규원사화』 등 우리 고대사서가 고대천신교의 사서임이 논증되었다. 『환단고기』는 특히 신선합일교의 사서로 본다. 일곱째, 그렇다면 우리를 포함한 세계 대학의 역사교과서를 바꾸어야하는 과제를 갖게 된다. 이처럼 『환단고기』에 기록된 5事가 명사로서 5事조직이며 5帝사상에서 형성되었고 따라서 이 사서가 고대천신교 계통의 사서라는 것을 논증한 것은 『환단고기』의 진실성을 논증한 것으로서 큰 의의를 가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논자는 더 나아가서 『환단고기』를 신선합일교의 사서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격의불교와 함께 『환단고기』 또는 『규원사화』가 1910년대의 대종교 교리서에 나타난다는 것을 논증한 것은 이 사서의 진실성연구에 매우 주요한 증명이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e historical integrity of the Hwandangogi as a history document that details the system of Ancient Cheonsingyo. The integrity of the Hwandangogi is shown through the determination that the terms Jugok, Jumyeong, Juhyeong, Jubyeong and Juseonak spoken of in the Hwandangogi are nouns and the names of executive organizations called the Five-Sa. This is shown through the fact that the Five-Sa Organizations were formed based on Five-Emperor Thought. Furthermore, as a secondary objective this paper examined Gyeogui Buddhism, an offshoot of our ancient Cheonsingyo, 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 Cheonsingyo and its history. The paper also looked at the earliest catechism of Daejonggyo. The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ve-sa of Sinsi being both nouns and an organization formed based on Five Emperor Thought: 1. The high level of historical integrity of the Hwandangogi and the Gyuwonsahwa as historical records has been proven. 2. The National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sation was recorded in the Hwandangogi, therefore, Sinsi’s existence is a historical fact. 3. Sinsi is a historical fact, therefore the existence of Hwanguk, its predecessor state, is a historical fact and, though this is obvious, the existence of its subsequent generation of statehood, Ancient Joseon, has also been proven. 4. It has been proven that all the Three-Baek Six-Sa Organizations, including the Samsin and Five-Emperor Organizations and the Byeongbu Organization, originated in Hwanguk, Sinsi and Ancient Joseon. 5. The existence of Samsin Five-Emperor Thought has been proven. Such a demonstration shows the real observability of the Samsin Five-Emperor Thought in the research of Doism and cosmology, opening new prospects for these fields. 6. It has been verified that Korean ancient history documents such as the Hwandangogi and the Gyuwonsahwa are history texts of Ancient Cheonsingyo. The Hwandangogi particularly appears to be a history document of Sinseonhapilgyo. 7. As such, we are now tasked with changing university history text books not just in Korea, but around the world. The veracity of the Hwandangogi is proven by the verification that the Five-Sa recorded in the Hwandangogi are proper nouns of the Five-Sa Organizati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Five-Sa were constituted based on Five-Emperor Thought, and, therefore, the determination that the Hwandangogi is a history text of the Ancient Cheonshingyo canon. Such proof carries great significance. Not only that, this author furthermore argues the Hwandangogi is a history text of Sinseonhapilgyo. Furthermore, the proof that Hwandangogi or the Gyuwonsahwa came out of the Daejunggyo catechism as well as Gyeogui Buddhism was very important evidence for the research of the historical integrity of this history text.

      • KCI등재

        대종교 경전으로 본 『환단고기(桓檀古記)』 진위 문제

        이근철 ( Geun Cheol L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4 선도문화 Vol.16 No.-

        『환단고기』에는 『천부경』과 『삼일신고』와 같이 대종교 경전 전문이 나오기도 하고, 또한 『신사기』 등에서 볼 수 있는 대종교 경전의 핵심 교리들이 거의 유사하게 실려 있다. 그런데 『환단고기』에 실린 『삼일신고』가 대종교 『삼일신고』의 후기본에서 바뀐 글자들과 같고, 또한 『환단고기』에 수록된 대종교 교리들 중 대부분이 『신사기』의 후 기본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그리고 『환단고기』에 실린 『천부경』 역시 단군교에 전달되었다는 『천부경』 초기본과는 다른 글자들이 있다. 『환단고기』는 대종교의 여러 경전뿐만 아니라, 『규원사화』, 『단기고사』등을 비롯한 여러 재야 사서, 그리고 신채호 등 민족사학자의 저작물 등을 참고하여 편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환단고기』를 보급한 이유립이 1930년 대에 녹동서원의 ‘명교학원’에서 대종교와 분리된 단군교의 교리를 배웠고, 1960년 대에는 대종교 대전시교당을 이끌었던 경력과 무관하지 않다. 이유립은 『환단고기』가 1911년에 처음 발행되었고, 1949년에 필사 했다고 했지만 이를 입증할 원본이 없는 상태에서 정확한 것은 1979년에 출판된 것이 가장 오래된 원본이라는 사실이다. 「Hwandangogi」 includes whole scripture of Daejonggyo such as 「Cheonbugyeong」 and 「Samilsingo」, and also along the line of core creed of scripture of Daejonggyo in 「Sinsagi」. However, 「Samilsingo」 in 「Hwandangogi」 has same letters changed in the edition of postscript of 「Samilsingo」, and most of the creed of Daejonggyo in 「Hwandangogi」 are based on the edition of postscript of 「Sinsagi」. And 「Cheonbugyeong」 in 「Hwandangogi」 has also different letters from beginning of script of 「Cheonbugyeong」 that was delivered to Dangungyo. 「Hwandangogi」 is believed to publish using many scripture of Daejonggyo as well as writings of Shin, Chae-ho, fork historian, and several history books such as 「Gyuwonsahwa」, 「Dangigosa」 and so on, with reference. Therefore, i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Lee, Yu-lib who propagated 「Hwandangogi」 learned creed of Dangungyo separated from Daejonggyo in ‘Myeonggyo Hakwon’ of Nokdong Seowon in 1930`s and guided Daejeonsigyodang of Daejonggyo in 1960`s. Lee, Yu-lib asserted that 「Hwandangogi」 was first published in 1911 and transcribed it in 1949. but there is not an original copy to verify, the one published in 1979 is the oldest.

      • 광개토태왕비문과 환단고기의 整合性

        윤창열(Yun, Changyeol)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its true form has not been fully revealed to the world up until now. This is because the Office of the Chief of Staff of the Japanese Imperial Army had made the characters in the inscription on the tombstone forged, altered, and defaced. But, fortunately, the original form can be reconstructed based on its rubbed copy made by Gye Yeon-su (honorific name: Uncho) in 1898, the year of Musul. At that time he ascertained the inscription except for only 117 characters, but, in 1912, when he made a second rubbed copy from the epitaph, 138 characters had been completely defaced. Then Gye Yeon-su succeeded in restoring the missing 138 characters and wrote an article titled “A Proposition on the Missing Characters in the Inscription of the Tombstone of Gwanggaeto the Great.” Based on this, Yi Yu-rip authored a book for future generations titled “A Commentary on the Epitaph of the Tombstone of Gwanggaeto the Great.” Thanks to his efforts, we can now comprehend the original contents of the epitaph of the Great King, unforged and unaltered. The Hwandangogi was published and began to be popularized 40 years or so ago, yet its value has not been fully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because some of mainstream historians embroil it in a futile debate of forgery theory. In order to overcome this matter and to prove its value, it is above all important to first be fully acquainted with the contents of the Hwandangogi and then to solve the historical issues that had not been solved by mainstream scholars. An Inscription, or the records of historical facts, as seen in the case of the inscription of the tombstone of Gwanggaeto the Great, is the raw material of history, so it is the source of prime significance. This research work has verified that the inscription of the tombstone of Gwanggaeto the Great and the contents of the Hwandangogi are exactly consistent with each other in ten points as follows. The first point is―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ojumong came from Buk Buyeo; the second,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ojumong was the son of heavenly emperor, and his mother was Habaek Yeorang; the third,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ojumong was born out of an egg; the four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when Gojumong escaped from Dong Buyeo, he crossed over a river called Eomri Daesu; the fif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wanggaeto the Great is a 17th generation descendant by the order of royal succession; the six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wanggaeto the Great ascended the throne at age 18; the seven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wanggaeto the Great adopted Yeongrak as the name of his era; the eigh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wanggaeto the Great defeated Japanese troops and chased after them across the sea up to Imna Gaya. The ninth, the inscription as revealed through the rubbed copy of 1898 records that the military force of Goguryeo, after the conquest of Tsushima Island, had landed in Kyushu, where it conquered the castle of Shiraseong. Then Goguryeo troops went on its military campaign sailing through the Seto Inland Sea, and eventually landed in Awaji Island. Thereafter, the epitaph records, the Left Army marched into Danma and the Right Army advanced towards Mujang, by way of Nanpa. All of these are consistent with the scriptures of the Hwandangogi, which narrates that the Great King went across the sea and defeated the Japanese military, making Imna, Yi, and Japan as his servant states. The tenth, the epitaph records that after conquering a series of castles in Japan, Goguryeo selected the Anrah people to become the security forces. Currently, this part of history is a riddle to almost all the history expert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nd the Hwandangogi alone has the key to solve this mystery. The Hwandangogi says that the Anrah people originated from the Jolbon district of Goguryeo; they migrated from Jolbon to the southern region of Mount Aso to fou 광개토태왕비는 19세기 후반 발견되었으나 일본 육군 참모본부의 글자의 위조, 변조와 글자를 마멸시켜 그 참된 모습이 지금까지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1898년 戊戌年 운초 계연수 선생이 탁본을 뜬 것을 바탕으로 그본래의 모습을 제대로 살펴볼 수 있다. 戊戌謄本 당시 117자만을 파악하지 못하였으나 1912년 다시 탁본을 떴을 때 다시 138자가 완전히 마멸되어 있었다. 이에 계연수는 ‘廣開土聖陵碑文缺字徵實’이라는 글을 써서 138자를 복원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유립은 ‘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聖帝聖陵碑文譯註’를 지어 후세에 전하였 다. 우리는 이를 통해서 비로소 위조 변조되지 않은 본래의 태왕비의 내용을 파악할수 있게 되었다. 『환단고기』는 이 책이 세상에 공개되어 대중화된 지 40여년에 이르고 있지만 아직도 강단사학자들의 위서론에 휘말려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강단사학자들이 풀지 못하고 있는 難題들을 『환단고기』 의 내용을 통해 해결을 하여 그 가치를 스스로 증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라고 사료된다. 광개토태왕비와 같은 금석문은 당시의 사실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어떤 사료보다도 우선시 되는 일차사료이다. 論者는 광개토태왕비문과 『환단고기』의 내용이 10가지 측면에서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태왕비에서 고주몽이 북부여에서 나왔다고 한 것, 둘째, 태왕비에서 고주몽이 天帝之子요 어머니는 河伯女郞이라고 한 것, 셋째, 태왕비에서 고주몽이 알을 깨고 나왔다고 한 것, 넷째, 태왕비에서 고주몽이 동부여를 탈출할 때 부여의 奄利大水를 건넜다고 한 것, 다섯째, 태왕비에서 “대대로 왕위를 계승하여 17세손인 광개토태 왕이 이르렀다”고 한 것, 여섯째, 태왕비에 광개토태왕이 18세에 등극하였다 한 것, 일곱째, 태왕비에 광개토태왕이 永樂이란 연호를 사용한 것, 여덟째, 태왕비에 광개 토태왕이 倭를 추격하여 바다를 건너 임나가라에 이르렀다고 한 것 등의 내용이 『환 단고기』의 내용과 일치한다. 아홉째, 무술등본을 통해 고구려군이 대마도를 거쳐 九州에 상륙하여 구주의 始羅城 都城을 함락하고 瀬戶內海를 거쳐 淡路島에 이르고 左軍은 담로도에서 但馬로 진격 하고 右軍은 難波를 거쳐 武藏에 이르렀다고 했는데 『환단고기』도 태왕이 바다를 건너 倭人을 격파하여 任那·伊·倭를 모두 신하로 삼았다고 하여 두 기록이 일치하고 있다. 열째, 태왕비에 고구려는 일본에서 성을 함락하고 安羅人으로 戍兵케 하였다고 하였 다. 현재 국내외의 모든 학자들이 安羅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지 못하고 있는데 『환단 고기』에서는 안라인은 고구려 卒本에서 일본에 이주하여 구주의 아소산 남쪽에 나라를 세우고 일찍부터 고구려와 친교를 맺어 왔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고구려 는 함락한 지역의 치안을 안라인에게 맡겼는데 이러한 내용은 환단고기가 아니면 결코 알 수 없는 내용들이다. 이를 통해서 보면 『환단고기』는 어떤 사서보다도 역사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는 眞書중의 眞書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