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헝가리 민담의 갈래와 구조적 특징

        한경민(Han Kyeng M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구비문학은 한 민족의 특성을 담고 있는 문화의 보고라는 점을 인정할 때, 헝가리 구비문학 연구는 헝가리 민족과 문화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 된다. 이 글에서는 구비산문 중에서도 민담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민담의 갈래와 구조적인 특징을 고찰하였다. 헝가리 민담은 내용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류된다. 요정담은 전체 민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물담과 교훈담, 우스개 이야기등의 세부 갈래로 나눌 수 있다. 2장에서는 헝가리 민담의 갈래 분류를 소개하고,각 갈래를 대표하는 작품을 짧게 요약하여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앞에서 소개한 민담에서 뽑아낸 구조적인 특징을 도출해 보았다. 그 결과 헝가리 민담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모티브가 발견되었고, 이것에 대해 4장에서 분 석하였다. 연구 결과 헝가리 민족은 아시아 민족이며, 목축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구조를 지탱하기 위해 유럽까지 이주해갔음을 알게 되었다. 그 결과 헝가리는 아시아 민족이면서 유럽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고, 서유럽의 공통적인 문화코드인 카톨릭을 받아들여, 국교로 발전시켰다. 이렇게 해서 헝가리는 서유럽의 문화유산과 아시아의 고유한 문화유산을 함께 지니고 있는 특별한 민족이 되었다. 구비민담이 각 민족에게 가장 오래되고 가장 보편적인 가치관의 결정체 라고 할 때, 헝가리 민담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독특한 것을 찾아내는 것은 헝가리 민족의 고유한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는 지렛대가 될 수 있다.이 글은 헝가리의 구비민담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헝가리 민족이 이어 내려온 고유한 이야기를 내용과 형식면에서 고찰하고자 했다.그러므로 민담이 배경으로 하고 있는 시대의 모습과 문화, 더 나아가 고유한 가치관과 신앙관을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도 담고자 노력했다. 민담이 간직하고 있는 공동체 문화의 발견과 가치 평가는 헝가리 민족의 고유함과 독자적 특징을 보여주고, 우리에게 헝가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것이다. A literature of Folklore contains the very characteristics of a nation. It is needless to say the literature of Folklore is a treasure house of a culture. So to study the Hungarian folklore is a royal road to understand the Hungarian nation and the special feature of their own thoroughly.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examined and analyzed the Hungarian Folklore, especially concentrating on the structure of the oral tales. First of all, the fairy tales we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Hungarian oral tradition. Maybe about 50% of the oral tradition can be classified as a category of fairy tales. And then there were animal stories, didactic literature (or morality story) and some jokes.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article, I introduced the varieties of the hungarian folklore and analyzed some representative stories of the genres. In the next chapter were the analyse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lklore. Then I found out the very features only relevant to the Hungarian folklore. There were the points of the 4th chapter. Hungarian Nation were suspected to be come from Asian regions for a long time ago. The reason why was they had raised the livestocks and they needed a new meadowland to feed them. They had moved toward west. So they were originally from Asia but now they were in the middle of Europe. For about 1,000 years, they have lived in the heart of Europe as a nation of Asia. They accepted the Christianity as a state religion. So we can say Hungary is a really special nation who have European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a culture peculiar to Asian way of life. A folklore and oral tradition is said to be a crystal to show us the nations' view of life and world. It is so natural to find out the longest and the most special contents in the Hungarian folklore and oral traditions. It can provide us the very Hungarian view of life and world. Adding this, the article was proposed to rediscover the way of life and the people's attitudes inborn in the minds of the Hungarian people. The article also tried to show the background of the time related to the folklore and oral tradition. This approach to detect and look for a common folklore and oral tradition as well as special ones, is to help us to understand the very desirable nature of the Hungarian culture in a well-balanced and whole approach.

      • KCI등재

        헝가리 구비문학의 산문 장르 연구

        이상협(Lee, Sang-Hyup)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1 No.2

        헝가리 구비문학의 산문 장르 분류에서 대두되는 용어 및 분류 기준 그리고 민담 장르의 하위 분류에 대한 조사가 먼저 행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헝가리의 구비 산문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민담”과 “전설”의 차이점과 각각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헝가 리 민담의 민족적 고유 특징이나 성격에 관한 조사도 행해졌으며, 민담의 모티브에 나타나 고 있는 비유럽적 -아시아적- 모티브는 물론 여러 유럽의 제민족들의 민담에도 나타나는 모티브 역시 고려하였으며, 민담 내의 하위 장르들이 차지하고 있는 분포 비율도 밝혀 종합 적인 측면에서의 헝가리 민담의 특징과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모티브와 분포 또 기원 역사를 포괄하여 행한 조사 방식은 헝가리 구전 전설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연구되었다. 이 결과 민담과 전설로 크게 대변되는 헝가리 구전 산문 장르의 특징으로 무엇보다도 민 족의 오랜 역사와 문화 발전 과정에서 다양한 문화권, 여러 상이한 종족들로부터 흡수하여 축적 반영한 결과인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들 수 있다. 헝가리 민담과 전설 속에 나타나고 있는 샤마니즘 요소와 모티브도 이 문화적 종족적 접촉과 영향의 결과를 분명하게 증명해주 는 것이며, 또 다른 특징으로는 서유럽의 민담들이 경직되어 고착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 과는 달리 특히 헝가리의 민담에는 여러 모티브들이 계속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혼합되어 수 많은 변형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헝가리 민담에 있어 많은 중간적 유형 및 장르가 존재 하고, 여러 다양한 모티브들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구전 문학 자료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은 이와 같은 특징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점 역시 헝가리 구비 산문 장르가 전래되어온 자료의 단순 수치상에서 뿐 아니라 그 내용, 형식 그리고 모티브의 측면에서도 다양성과 풍 요로움을 갖고 있는 특징을 잘 반증하는 것이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into the Hungarian prose folklore; with special reference to folktale (Hu; népmese) and legend (Hu; monda). Also the terminological and classifying problems of Hungarian folklore and legend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another aim of this paper was to make clear the national character of Hungarian oral prose. Although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clear their own unique characters which is discriminated with other european oral literature, the unique national character of Hungarian prose folklore can be concluded in the distinctive feature of its distributional variety of folktale and legend and of their sub-genre. When we consider these facts - the variety and richness of its motive and theme of the Hungarian prose folklore-, we could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Hungarian prose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The speciality and character of Hungarian prose folklore is defined by historical experience which contains the exodus of Hungarian peoples from Ural to Carpathian basin and the 'settlement' in Europe. By these facts, I would like to prescribe the Hungarian prose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as a result of the contacts of various culture and interaction of various peoples.

      • KCI등재

        헝가리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에 대한 연구

        이상동(Sang-Dong Lee)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2

        18세기 후반 서유럽 국가들에서 낭만주의 운동과 함께 민중문화가 사랑을 받은 덕택에 구비문학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처음으로 본격화 되었다. 그 결과 그림(Grimm) 형제의 민담 모음집이 생겨났으며, 이 민담집이 출판된 뒤로 수집 활동이 계속되어 유럽 및 세계의 민담들이 수없이 발굴되어 왔다. 헝가리에서도 그림 형제의 영향으로 헝가리 민담에 대한 수집 활동이 1782년에 시작되었다. 1822년에는 첫 번째 헝가리 민담모음집 󰡔헝가리 동화 (Märchen der Magyaren)󰡕가 갈 죄르지(Gaál György)에 의해서 독일에서 독일 어로 출간되었다. 이후 1850년대부터 헝가리 민담 수집에 대한 본격적인 움직임이 지속되었다. 헝가리어로 된 최초의 민담 모음집은 전체 3권으로 구성된 에르데이 야노시(Erdélyi János)의 󰡔민요와 전설(Népdalok és mondák)󰡕 이다. 신화나 전설에 비해 민담은 역사성이나 지역성이 적고, 오락성이 강하기 때문에 더 쉽게 전승되고 전파될 수 있었다. 통시성과 공시성을 가지고 있는 민담은 서로 다른 나라나 민족에게서 줄거리가 유사한 것은 물론이고, 공통된 모티프나 삽화를 갖고 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존재한다. 때문에 이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민담들 속에는 보편성이 있는 한편 강한 지역성과 민족성이 반영되어 있다. 헝가리 민담은 세계적인 보편성이 있는 구비문학 갈래이면서 헝가리 인 나름의 사상과 정서를 용해하여 재편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헝가리 민담 속에는 특정인이 기록한 역사적 사건보다도 헝가리 인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잘 담겨있다고 본다. 오랜 기간 수많은 헝가리 인들에 의해서 전승된 언어구조물로서 헝가리 민담 역시 헝가리 민중의 삶을 입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헝가리 민담은 완벽한 인간 삶의 모습과 철학을 담고 있으며 헝가리 인들에게 진솔한 감동과 교훈을 주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서사학적 관점에서 헝가리 민담의 대표적인 유형을 중심으로 그 이야기의 서사구조를 분석하고, 이야기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여 문화적 의미와 교훈적 의미를 추출하고자 한다. 서사는 수사학의 용어로서 진술된 언어를 말하기 양식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하위 단위인데 진술대상이 동적이고 말하기 방식이 표현과 설명을 혼합한 양식 이다. 설화, 서사시, 소설 등이 이러한 양식에 속하는데 모두 주체의 움직임을 통하여 의미를 구현하는 언어구조물이다. 이러한 서사물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양식은 민담이다. 본 글을 통해 분석된 헝가리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의 의미가 새로운 지평을 여는데 밑거름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 It was in advanced Western European countries that research and study on the oral literature was first. Because of the Romantic Movement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interest of folktales, a collection of folktales by Grimm brothers was created. Since the publication of this collection of folktales, collecting activities have continued in numerous European countries, and international folktales have been unearthed. In Hungary, with the influence of the Grimm Brothers, the collection of Hungarian folktales began in 1782. In 1822, it was published in German by Gaál György, the first collection of hungarian folktales. Since the 1850s, full-scale movements in Hungarian folktales have continued. The first collection of folktales in Hungarian is “Népdalok és mondák” by Erdélyi János, which consists of three volumes in total. Compared to myths and legends, folktales were less historical and local, and were more easily passed on and disseminated because of their strong entertainment. There are many stories of common sense and public disclosure that share common motifs and illustrations, as well as similar plots in different countries and peoples. That is why there are so many folktales in the world that are universal, while reflecting strong locality and ethnicity. Hungarian folktales have been reorganized by dissolving Hungarian ideas and sentiments in a world-class oral literature. In this regard, I think Hungarian folktales have a better sense of value and worldview than historical events recorded by certain people. As a language structure that has been handed down by countless Hungarians for a long time, Hungarian folktales also describe the lives of the Hungarian people in three dimensions. Hungarian folktales contain a perfect human life and philosophy and are giving the Hungarians a genuine touch and lesson. From an epic perspective, the main paper tries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tory surrounding the representative type of Hungarian folktales, and analyze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story to extract the cultural and instructive meaning. An epic is a sub-unit that classifies a stated language based on a spoken form as a term of rhetoric, with dynamic subject of statement and a mixture of expression and explanation. The tale, epic, and novel belong to these forms and are all linguistic structures that embody meaning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he most basic form of these epics is folkta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of archetypes found in the Hungarian folktales, focusing on narrative structural original form. The archetype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 structure. I hope that the meaning of the structural prototype of the Hungarian folktales analyzed through this article will serve as the basis for opening new horizons.

      • KCI등재

        헝가리 민속신앙 비교 연구

        유진일(Yoo, Jinil)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2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7

        Hungary is often characteristically referred to as “Asia in Europe.” This indicates that Hungarians currently reside in Europe, but migrated from Asia in the past. Their ancient Asian faiths are well shown by “taltos,” “eletfa,” “vilagfa,” etc. which appear in various forms in Hungarian traditional folklore culture and oral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taltos is considerably similar to a Korean shaman, i.e. mudang in that he/she has long dominated the spiritual world of Hungarian people as a being that connects humans to gods. First, though Christianity is given more weight in them than other nations, the two countries still see the wide spread of ancient shamanistic faiths among their peoples. Second, the gods served by taltos and mudangs are different in shape from those served by the shamans in Siberia and Central Asia, which were pointed out by Eliade as the sources of shamans. The gods in Korea and Hungary are quite similar to each other in appearance, although this may be a mere accident. Third, shamanism is deeply rooted in the cultures and lives of the both countries. As the popular life in Korea is closely related to Feng Shui, shamanistic songs, etc, so that in Hungary is deeply infiltrated by astrology and exorcism, especially with shamanistic factors deeply involved in folk arts. Lastly, Hungarians regarded deer as holy animals, which is to be found in the golden crowns from the Silla Kingdom.<br/> In general, mudangs are roughly divided into two kinds, i.e. “possessed mudangs” and “hereditary mudangs.” No written record has yet been found on any taltos, who is specially born and subjected to a special disease a person destined for a taltos must put up with. Interestingly enough, Korean shamanism does not harmonize with Christianity, but is opposed to it, while Hungarian one peacefully coexists with Christianity without conflict. Despite of such differences, Hungarian shamanism is similar to that in Central Asia and Siberia which is not to be seen in other European countries. This makes it somewhat valid in religious terms as well to assert in linguistic terms that Hungarians are from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