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센스 & 센서빌리티: 안드로이드(로봇)의 관점과 나름의 인간

        이강원 한국문화인류학회 2018 韓國文化人類學 Vol.51 No.2

        This research follows the approach of multinaturalist perspectivism to understand the ‘humanness’ of the Japanese Android (robot). An Android is a robot that looks and moves exactly like a human. Thus, an Android must possess sensibility to detect subtle mood changes in the person it faces. Are these Androids simply ‘born’ machines? Do they remain as ‘fake humans’ because, while they are similar to humans, they do not attain the wholeness of humanness? Are they merely marionettes that reflect the interests of the robot scientists’ collective? Or are they bodies that multiplex humanness? This study is an experiment that explores the potential ‘humanness of something that is not a human but is like a human’ through the aforementioned questions. This experiment of the Android’s humanness explores how the so–called elements pertaining to man’s mind or culture, such as feelings, consideration, sociality, and morality are embodied in the Android and comprise the Android’s perspective. Further, the experiment allows for the world in which the Android lives in to be deployed from its perspective. First, I explore the discussions of sense as a long continuum emergingfrom vague feeling to perception, in order to extract the key elements of the Android’s sensory process. Secondly, I consider the installation of a sensor on the Android and the aesthetic judgement made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data produced through the sensor. Thirdly, I discuss the different aspects of sense as revealed through sensibility, intelligence and consciousness, as part of the transformat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sensibility. Fourthly, I discuss how the various models constituting the actions of the Android are mobilized from fields like psychology, cognitive science and linguistics, which have hitherto studied mankind; in addition, the modulation process by which these models are ordere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actions of the Android are considered here. Fifthly, I explore the world that is deploy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droid, by presenting a dialogue with an Android that possesses both sense and sensibility. In this way, through this study, I present the ontology of the ‘Android’s humanness’ that multiplexes humanness. 이 연구는 ‘확장된’ 다자연주의적 관점주의에 따라 일본의 안드로이드(로봇)의 ‘인간됨’을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안드로이드는 모습과 움직임이 사람과 꼭 닮은 로봇을 말한다. 그래서 안드로이드는 마주하는 사람이 보이는 미묘한 분위기의 차이까지도 감각할 수 있는감성 지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안드로이드는 ‘태생적으로’ 기계일 뿐인가? 인간과 비슷해 보이기는 하지만 총체성을 지니지 못해서 ‘가짜 인간’에 머무는 것인가? 로봇공학자 집단의 이해관계가 투영된 꼭두각시에 불과한가? 아니면, 나름의 인간으로서 인간을 다중화하는 또 다른 몸인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들로 ‘인간 아닌, 인간 같은 것의 인간됨’의가능성을 탐구하는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의 인간됨에 대한 실험은 감정, 배려, 사회성, 도덕 등 인간의 마음 혹은 문화라고 불리는 것들이 어떻게 안드로이드의 몸으로 체화되어 그들의 관점을 이루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나아가 안드로이드가 거주하는 세계가 안드로이드의 관점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첫째, 애매한 느낌에서 시작해서 지각에 이르는 긴 과정으로서 감각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안드로이드의 감각 과정에서 논의해야 할 요소들을 추출한다. 둘째, 안드로이드에 센서를 장착한다는 것과 센서를 통해서 생산된 센사가 처리되는지를 과정에서 내려지는 미학적 판단을 살펴본다. 셋째, 감성, 지성, 의식에 이르는 감각의 상이한 국면들을 감성의 변형생성 과정으로 논의한다. 넷째, 안드로이드의 행위를 구성하는 여러 모델들이 인간을 연구해 온 심리학, 인지과학, 언어학으로부터 동원되고 이 모델들이 안드로이드의 순차적 행위들의 조합으로 배치되는 모듈화 과정을 다룬다. 다섯째, 감각과 감성을 지니게 된 안드로이드와 인간의 대화를 제시함으로서 안드로이드의 관점에서 전개되는 세계를 살펴본다. 이를통해서 이 연구는 인간됨을 다중화 하는 ‘나름의 인간’의 존재론을 제시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디지털 감성으로 접근하는 미술교육

        박수정,이미희,전수현,이하림,송명길,이주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9 No.-

        제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변화를 이끄는 주된 동력으로 언급되는 디지털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매체로서 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삶에 있어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로 인하여 인간이 인간으로서 가져야 하는 정체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으며, 이에 인간이 지닌 고유의 정체성으로서 ‘감성’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디지털 감성’은 감성이 강조되면서 함께 논의되는 바, 그 사용 의도와 목적에 따라 정의 및 해석이 다양하고 협소하여 정확한 개념 정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시대 디지털 기술과 융합된 인간성의 확장이라는 점에서 또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정체성으로서 디지털 감성이 무엇인지 그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으며, 미술 및 미술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디지털 감성 핵심 키워드의 추출을 통해 앞으로 이의 교육을 위하여 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디지털 감성은 ‘포스트휴먼 시대 새로운 디지털 매체 및 기술의 발달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적응하며 이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 감각의 확장을 지각하고 사고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감각의 확장으로서 디지털 감성의 핵심 키워드로 ‘새로운 기술’, ‘디지털 매체’, ‘소통방식’, ‘다중감각’, ‘융합’, ‘디지털 인문학’의 6가지를 제시하였으며, 새로운 심미적 경험으로서 미술에서의 디지털 감성 핵심 키워드로 ‘감각지각’, ‘자아성찰’, ‘비판적 사고’, ‘자발적 탐색’, ‘연결’, ‘이미지 생성’의 6가지를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휴먼 시대 미술교육에서의 디지털 감성 요소는 ‘나와 세계의 연결’, ‘디지털 매체를 통한 창조적 표현’, ‘비판적 자아성찰’의 3가지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고 관계 맺으면서 전체 속에서 의미를 형성하고 작용하는 것이므로, 학교미술교육에서는 기존의 감성에 국한하지 않고 감각을 확장하고 새로운 심미적 경험으로 이끄는 디지털 감성에 주목하여 이의 구체적 교수·학습에 대안 아이디어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As the main driver of change in a post-human era represent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has been an essential component and media itself through various platforms. However, these digital issues brew concern about what human identity as a human was, and ‘sensibility’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a result. While ‘digital sensibility’ was discussed with emphasis on sensibility, the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of digital sensibility varied depending on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its use. Thus, a clear definition of its concept wa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oncept of digital sensibility, to extract the elements of digital sensibility needed in art and art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art education should go for the future education. As a result, ‘digital sensibility’ was defined as ‘the concept of perceiving and adapting the development of new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in a post-human era, and perceiving and thinking about the expansion of human senses based on the humanistic understanding. In addition, as a expansion of sensation, 6 elements of ‘new technology’, ‘digital media’, ‘communication methods’, ‘multi-sensory’, ‘convergence’ and ‘digital humanities’ were presented as key elements of digital sensibility. And as neo-aesthetic experience, 6 elements of digital sensibility in art, ‘sensory perception’, ‘self-reflection’, ‘critical thinking’, ‘voluntary search’, ‘connection’ and ‘image generation’ were proposed. Based on these, 3 elements of digital sensibility in art education in a post-human era were proposed: ‘connection between me and the world’, ‘creative expression with digital media’ and ‘critical self-reflection’. Since these ele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meaning and function within the whole, ideas for instructional methods and teaching plans to implement digital sensibility in school art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discussed.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에서의 영적 민감성

        김난예(Nan?Ye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6 No.-

        본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성이 무엇이며 인간이 갖추어야 할 영적 지능과 영적 민감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기술적 특이점이 오고, 인간 고유의 능력을 인공지능이 대체하고, 기계인간과 인간 차이의 경계가 모호해질 것이며, 더 이상 도달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된 기계인간은 다양한 육체의 옷을 입고 영원히 존재할 것이다. 아직 미지수이지만, 인간과 기계인간이 함께 공존하며 더 나아가 기계인간이 인간을 대체하는 일이 현실화되면 인간의 인간다움은 무엇이며 기계인간과 인간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기독교교육적으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적인 입장에서 정리한다면 인간의 인간성은 영적 지능과 영적 민감성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영혼과 정신과 몸을 아우르는 능력으로서 자기를 초월하여 의미와 가치와 내면의 궁극적 목표를 추구하는 의식이다. 결론적으로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하여 영적 민감성, 즉 하나님과의 계속적인 전인적 관계 안에서 자신의 존재의식을 가지고, 삶의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며, 책임성을 가지고 창조적으로 인간과 기계와 역사와 자연과 함께 더불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관계적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human nature is and what spiritual sensibility is in AI(Artificial Intelligence) era. In AI era, technical singularity is near. Fu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machina sapiens and human will be disappeared and AI will replace human’s inherent abilities. The highly developed machine human will be exist forever with various body shape. If so, what is human being? Yet, it’s unknown but if the world which human and machine human live together and machine human replaces human is realized, what would be the criterion in human being and machine human, and what would be humanity in human being? In terms of the position of christian education, that is to s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humanity in human can be founded in spiritual intelligence or spiritual sensibility. Spiritual intelligence or spiritual sensibility is the capability which embraces spirit, soul and body, and the consciousness which pursues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nd ultimate goal in inner side transcending oneself. In conclusion, in AI era, human being needs to strengthen spiritual sensibility, relational capability which feels the consciousness of his own existence as a human in wholistic, continuos relationship with God, pursues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nd lives happily with human, machine, history, nature with creativity and responsibility to live like human being.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간상 - 『논어(論語)』와 유자(儒者)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

        윤인현 ( Yun¸ In-hyun ) 한민족어문학회 2021 韓民族語文學 Vol.- No.91

        본고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간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모든 것이 인공지능(AI)의 발달로 대면보다는 비대면으로 전개될 사회에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어떤 인간상이 필요하고 왜 그런 인간상인가를 살펴보고자 했던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의 필요한 인간상을 『논어』 중 인성 교육에 관한 내용을 살폈고, 전통의 계승 차원에서 선인들의 글과 몇몇 유자들의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계승과 활용 방안에서는 전통의 계승과 변용을 통해, 4차 산업 산업혁명 시기에 인성과 감성을 갖춘 사람이 왜 필요한가를 논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인공지능의 시대로 이익과 편리함만을 목적으로 삼기 에 인간만이 지닐 수 있는 가치들이 더 빛을 발할 수 있는 시기일 수 있다. 그래서 인성교육법에 포함된 예와 효, 정직과 소통, 그리고 공감의 차원에서 미래의 인간상을 예견해 본 것이다. 살펴본 결과 공교롭게도 인공지능에 주력하면 할수록 감성적 측면인 휴먼터치(Human Touch)를 그리워한다는 것이다. 이미 진행 중인 감성 경영이 이를 뒷받침하였다. 따라서 미래 사회에서도 전통적으로 계승 발전 시켜온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고 할 인성과 감성 교육을 강화하여 인류 행복과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era that can change the world with devices humans have not ever experienced, as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transform the world. Thus, AI will predict the future as it evolves, and will continue to learn by itself. Existing lifestyles will be externally changed in the future, and the untact lifestyle will be more common than face-to-face life and it will make person-to-person interactions further disconnected. What is the image of the human that is necessary dur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needs an image of a human being that can manipulate information appliances or mobile devices skillfully and acquires and adapts to new skills without resistance. However, we can speculate what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when considering the weaknesses in the early stages of AI. In the era of materialism, human virtues are worthlessly discarded, which leads to the degradation of human values. Therefore, we need an image of a human being that creates a humanity where human nature is recovered. As there are no children without parents, we should not have communication problems and always be honest, extending every courtesy by recovering good nature through filial duty (孝) remaining a permanent truth. Additionally, emotional human-touch will be paradoxically missed by people during the era of AI that is equipped with convenience and rapidity. The most one that we say to AI ‘Genie’ as a product of untact era is ‘Genie, I love you’, and we can guess what people may want from this. Work efficiency is improved by celebrating various anniversaries through emotional management in the workplace that is perceived as a base. As AI improves, humans will continue to thirst for sympathy and physical contact. Thus, a new image of a human being is necessary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solution, and particularly one that is warm-hearted and one with humanit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문학의 현재와 미래

        박경수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60 No.-

        이 글은 이른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현 단계 인공지능(AI)이 쓴 문학작품의 문제를 인간성(humanity) 구현의 측면에서 파악하고, 나아가 인공지능의 문학창작의 미래를 전망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논의는 인공지능의 인간성 구현에 초점을 두되, 인간성의세 가지 속성인 3ty, 즉 창의성(creativity), 감성(affectivity/sensibility), 윤리성(morality)의측면에서 인공지능이 쓴 문학작품들을 검토하고자 했다. 인공지능이 쓴 소설과 시나리오는 아직은 인간이 창작한 소설에 비해 상당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인공지능이 빅데이터에 의한 자료 입력, 딥러닝 기반 언어처리와 논리적 추론을 통해소설과 시나리오 쓰기는 가능한 단계에 이르렀지만, 인간의 개입 없이 100% 독자적인 소설창작은 불가능하다. 기존 소설과 시나리오의 서사 패턴을 분석하여 논리적 추론을 함으로써일정한 분량의 글을 쓸 수 있지만, 그 분량은 매우 짧고 아직 ‘창의적 모방’ 수준을 넘어서지못했다. 따라서 문학 창작을 하는 인공지능을 창작의 주체로 인정할 수 있는 단계에 있지 않다. 인공지능의 시 창작도 소설과 시나리오 창작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인공지능의시 창작은 이외로 소설과 시나리오 창작의 경우보다 앞서 이루어졌다. 특정 시인의 시 작품을딥러닝으로 학습한 인공지능이 제시된 사진을 보고 일정한 분량의 시를 창작하거나 인간이제시한 문장에 반응하는 형식으로 시를 창작하는 단계에 있다. 그렇지만 역시 인간의 도움 없이 주체적인 시 창작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아니다. 미래 인공지능에 의한 문학 창작은 인간과 같은 창의성을 구현하는 것은 물론 인간적인감성과 윤리성을 토대로 신속하고 다양한 문학 창작이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런데 인공지능의 창의성 구현은 비인간적이고 반윤리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위험도 있다. 이에대한 경계심과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겠지만, 이제부터 인간과 기계의 협력과 상호 소통을 통한 공생을 추구하는 탈인간주의(Post-Humanism)의 철학을 가져야 할 때이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problems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AI at the present st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humanity and to examine the future of AI's creation. This discussion focuses on the humanity of AI. For this I examined literary works written by AI in terms of three attributes of humanity: creativity, affectivity/sensibility, and morality. Short stories and scenarios written by AI still have considerable limitations compared with man-made works. Although AI has been able to write short stories and scenarios through data input, Deep-Learning based language processing and logical reasoning, it is impossible to create 100% original work without human intervention. It is possible to write a certain amount of articles by analyzing the narrative patterns of existing works and making logical reasoning, but the amount is very short and has not yet exceeded the level of ‘creative imitation’. Therefore, it is not at a stage to recognize AI as the subject of creation. The poetry has a strong subjective nature and emotional action among artistic branches of literature. The poetry creation of AI was done in two ways. One way is that AI creates a poem by seeing photographs presented by human after learned poems of a poet by Deep-Learning. Another way is that AI completes a piece of poem in a way which responds to a line of poem which a person presents. However, it is not a stage in which subjective creation of poetry is done without human help. The AI-based literary creation will develop rapidly in the near future. It is possible to develop creativity that is human-like as well as rapid and diverse literary creation based on human sensitivity and morality. A professional AI artist will appear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 creativity of AI is also in danger of being inhuman and anti-ethical. Appropriate regulations and discipline are naturally necessary. From now on, it is necessary for us to overcome the humanism of rejecting the machine or perceiving the machine as a means and a tool in the human-centered viewpoint. We need to have the post-humanism in pursuit of symbiosis through cooperation and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machine.

      •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의 생태학적 재평가

        소기석(Ki-Seok So)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6 종교문화학보 Vol.2 No.-

        오늘날 칸트철학을 생태학적으로 재평가하려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실상 칸트철학은 생태중심론자들에게 환경파괴를 조장하는 철학으로 비난 받아왔다. 이들은 칸트의 인간중심적인 자연관이 자연을 파괴하고 착취하는 태도를 용인하였다는 것이다. 물론 칸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세계관을 수용하여 인간을 정점으로 하는 위계질서적인 체계를 주장하였다. 자연은 인간의 필요와 목적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칸트는 인간의 무분별하고 무자비한 자연에 대한 착취와 파괴를 용인하는 것은 아니었다. 칸트는 도덕적 주체자로서의 인간만이자연의 최종목적이자 궁극목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도덕적 주체자로서의 인간은 책임을 질 줄 아는 인간이다. 칸트는 인간의 도덕성의 진보를 신약성서의 산상수훈을 인용하여 완전에까지 이를 것을 요구한다. 칸트는 인간이 최고선의 실현을 위해서는 신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신의 존재는 인간의 도덕적 진보를 위한 후원자이자 감시자가 된다. 이와 같이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은 생태학적 논의에 있어서 인간의 지위와 역할문제에 대한 주요한 시사점을 던져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생태학적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생태학적 논의에서 인간의 지위와 역할의 문제는 상당히 부정적인 측면이 팽배해 있었다. 인간은 환경파괴의 주범이고 지구생태계의 안정과 번영을 위해서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 대세였다. 그러나 북친을 중심으로 생태학적 논의에서 인간의 지위와역할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다.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또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인간은 지구생태계 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우리는 생태중심론자들처럼 이러한 인간을 비난하고 증오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인간으로인하여 심각한 파손을 당한 지구생태계의 회복을 인간이 아닌 그 누구에게 맡길 수 있겠는가! 결국은 인간이 책임지고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지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우리는 이기적인 욕망으로 가득 차 있는 그러한인간에게는 더 이상 이 문제를 맡길 수는 없을 것이다. 이 문제를 책임지고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인간은 칸트가 제시하고 있는 도덕적 인간이어야한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을 통해 생태학적 논의에 있어서인간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를 모색하고자, 칸트의 목적론적 자연관과 도덕적 인간학을 살펴본 후에 이를 생태학적으로 재평가하였다. 칸트는 인간중심적인 입장에서 자연의 수단 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도덕적 인간학을 통해 단지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수단적이고 도구적인 것만으로파악하지 않고 진정으로 자연의 미감적 가치를 발견해 내고 자신의 행동에책임을 질 줄 아는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상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이야말로 오늘날 요청되고 있는 생태학적 논의에서 인간의 역할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In recent time, Kant's philosophy is revaluated ecologically. In fact, Kant's philosophy have been blamed by Eco-centrictist in account of the philosophy foster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 Ecocentrictist insistanced that Kant's Anthropo-centric view of nature had been approved the attitude destructing and extracting nature. Of course, Kant insistanced hierarchial worldview summiting human by recepting Aristoteles's teleological worldview. Kant acknowleged that nature existed for human's need and object. But Kant not accepted human's indiscreetical and reckless exploitation against into nature. Kant asserted that Only human as moral subject became last and ultimate object of nature. Human as moral subject is human of responsibility. Kant called that the moral advance of human grow into the perfection by inciting the Newtestmant's the sermon on the mountain. Kant persisted that human needed God's help for realization of summun bonum. God is pathronage and supervisor for human's moral advance. In such case, Kant's moral anthropology has been raised afresh ecologically in point of giving significantial suggestion about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Meanwhile,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has been perceived considerably negative. Human became aware of the chief crimminal and the obstacle for the stability and the prosperity of Earth's ecosystem. But Centering around Bookchin,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is revaluated. In such context, Kant's moral anthropology is observated. Therefore, This essay explored revaluation on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throughout Kant's moral anthropology. Kant emphasized humanity as moral subject sensible of responsibility for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nature even if He perceived that nature became instrumental value for human's need. This essay pointed up that Kant's moral anthropology become an alternative idea in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calling today.

      • KCI등재

        뇌파의 감성 분류기로서 다층 퍼셉트론의 활용에 관한 연구

        김동준 대한전기학회 2018 전기학회논문지 Vol.66 No.11

        This study presents a human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 using neural network and multiple-template method on electroencephalogram(EEG). We used a multi-layer perceptron type neural network as the sensibility classifier using EEG signal. For our research objective, 10-channel EEG signals are collected from the healthy subjects. After the necessary pre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acquired signals, the various EEG parameters are estimated and their discriminating performance is evaluated in terms of pattern classification capability. In our study, Linear Prediction(LP) coefficients are utilized as the feature parameters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EG signal, and a multi-layer neural network is used for indicating the degree of human sensibility. Also, the estimation for human comfortableness is performed by varying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factors an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cheme achieved good performances for evaluation of human sensibility.

      • KCI등재

        청소년의 인권감수성과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

        홍순혜,원미순,박미현,문정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권감수성의 하위요인들인 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이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중학교 4개교와 고등학교 4개교의 1․2․3학년 학생 640명(중학생 333명, 고등학생 307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교급, 성적, 가족의 소득수준), 부모의 양육행동 중 친밀감과 합리성, 교사환경과 학급환경의 영향을 통제하였을 때, 학생의 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는 덜 허용적이었다. 통제변수들 중에서는 학교급, 부모의 양육행동, 학급환경, 교사환경이 학교폭력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부모의 양육행동인 친밀감 및 합리성 점수가 높을수록, 학급환경과 교사환경이 좋을수록 중․고등학생의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가 덜 허용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에 근거해 논의를 전개하고 인권감수성과 관련하여 학교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among adolescent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from 640 students from 21 classes of 4 middle and 4 high schools. Human rights sensibility were measured by ‘Human Rights’ Sensibility Index’ developed by Moon and colleges(2002), having 3 sub-scales(factors): situation perception, consequence perception,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When the data collecting method,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sex, middle or high school, grade, family’s financial status), parents’ nurturing behaviors(rationality and sense of intimacy), class and teacher climate were controlled, the higher were the scores of situation perception, consequence perception,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the lower was the students’ accepting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And students from high schools than middle schools had lower scores in school violence attitude. Parents’ nurturing behavior and class and teacher climates also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chool violence attitud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by improving human rights sensibility.

      • KCI등재

        자동차 주행 시뮬레이터의 운동감 재현 및 감성평가를 위한 감성어휘의 수집

        정영훈,엄성숙,손권,최경현,Jeong, Yeong-Hun,Eom, Seong-Suk,Son, Gwon,Choe, Gyeong-Hyeon 대한인간공학회 200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19 No.2

        Driving simulators have been developed for evaluating users' reaction to various driving situations. Dynamic simulators have, however, limitations of the motion feedback in spac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driving simulator and suggests a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kansei engineering) method to be used in improving sense of motion through a vehicle simulator. Human sensibility ergonomics(kansei engineering) is defined as translating technology of the customer' feeling about a new product into design elements. Constituents of the simulator were defined and the virtual world was generated by the object modeling technique. Senses perceived were classified into feelings of velocity, acceleration, rotation, and vibration based on the human sensibility associated with driving. And the most frequent verbal expressions were collected from 17 male subjects to define complex human sensibility.

      • KCI등재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Real Time Subjective Sensibility Evaluation System

        Chung, Soon-Cheol,Min, Byung-Chan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and Biological Engin 2003 의공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주관적 감성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펜 마우스와 디지타이저론 이용하여 인간의 감성 변화론 실시간으로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부분과. 쾌도 및 긴장도의 감성 변화즐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감성평가 및 디스플레이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하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20명의 20대 남녀 피험자를 대상으로 긍정 감성과 부정 감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사진을 각각 1장식 제시하면서 실시간 주관적 감성 평가와 함께 Galvanic Skin Response (GSR)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고, 실험이 종료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비 실시간 주관적 감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실시간 및 비 실시간 주관적 감성 평가, 생리 신호 평가의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상관관계 계수의 비교로부터 긍정 사진 자극으로 유발된 실시간 주관적 감성 변화는 부정 사진 자극으로 유발된 GSR 반응과, 부정 사진 자극으로 유발된 실시간 주관적 감성 변화는 부정 사진 자극으로 유발된 GSR 반응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설문지를 이용한 비 실시간 주관적 감성 평가 결과는 실시간 주관적 감성 평가의 누적된 평균 감성 값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시간에 따라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인간의 주관적 감성 크기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는 것과 자극제시 기간 동안의 평균적인 감성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In the present study, a new Real Time Subjective Evaluation (RTSSE) system was developed. The system is composed of two parts: a sensibility input part and sensibility evaluation part. The sensibility input part receives values, which are recorded on an input board using a stylus and digital tablet, from each subject's evaluation of his/her own subjective sensibility towards a particular stimulus. The sensibility evaluation part displays the level of pleasantness and arousal on one or two dimensions in real tim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RTSSE system. The present study compared Galvanic Skin Response (GSR) with the RTSSE by presenting 28 subjects in their 20s with pictures arousing either positive or negative sensibility. Following the experiment, an off-line subjective assessment using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the same subject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changes in subjective sensibility caused by the positive visual stimulus were related more closely to GSR, from the positive visual stimulus, and changes in subjective sensibility caused by the negative visual stimulus were related more closely to GSR from the negative visual stimulus. The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marked similarity to the average responses of the RTSSE. In conclusion,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system is that it not only assesses the average sensibility when stimuli are presented, but also shows the changing strength of sensibility over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