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질 국가 발전과 교육의 역할로 본 발전 전망

        박채원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22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history of education for 200 years after the independence of Brazil, and to illuminate the prospects for Brazil’s development through education.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theories o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development, political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that make up the n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history of 200 years of education in Brazil was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a total of four period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olitical periods. This study finds that the government of Brazil lacked interest and investment in education from independence in 1822 to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1985, and concludes that it was difficult to find a relation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However, since the revision of Brazil’s Constitution in 1988 and the revision of Law of Guidelines and Bases of National Education n.9394/1996, the government's interest in education has increased, and Brazil's National Common Curricular Base was introduced with a lot of institutional changes. In addition, interest and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education are arising as the investment in education are increased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 are made during the reign of President Cardoso and President Lula. This study ultimately argues that it is not possible to clearly find a relation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in Brazil that is seen in Western countries or East Asia. However, the changes shown in Brazil over the past 30 years brighten the outlook of the national development in Brazil near future. 이 연구는 미래의 나라 브라질의 독립 이후 200년의 교육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 발전과 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브라질의 발전 전망을 조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가 발전과 교육에 관한 주요 이론과 교육과 국가 발전의 관계를 이루는 경제 발전, 정치 발전, 사회 발전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브라질 200년 교육 역사를 정치 시기 구분에 따라 총 네시기로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브라질은 제1시기부터 제3시기인 1822년 독립부터 1985년 군부 정권 시기까지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미비하였으며, 그 결과 국가 발전과 교육에 관한 상관관계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1988년 헌법 개정과 1996년 국가교육 지침 및 기본법 개정 이후 브라질 정부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방 정부 주도의 공통 국가 커리큘럼 기반이 학제별로 수립되기 시작하면서 브라질 교육은 제도적으로 많은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카르도주 정부와 룰라 정부를 지나면서 교육에 대한 투자와 교육의 양적 팽창이 이루어짐에 따라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브라질에서 서구 국가 혹은 동아시아에서 보이는 국가 발전과 교육의 상관관계를 뚜렷하게 발견할 수는 없으나, 지난 30년간 브라질에서 보여준 변화 양상을 통해 향후 브라질의 발전 전망을 밝혀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브라질 원주민 정체성 문제에 대한 연구

        임두빈(Im, Doo-Bi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5 중남미연구 Vol.34 No.3

        이 글은 그 태생부터 타자로부터 호명된 "브라질"이란 공간에서 "원주민"이었지만 이방인에 의해 "인디오"라고 불리고, 이방인의 언어를 강요 받으며 사회적 소수자로서 위치지워진 브라질 원주민의 역사와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오늘날 그들이 겪고 있는 종족보존의 문제, 현대사회로 편입되면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딜레마들을 인구통계조사결과와 그들의 언어상황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다른 무엇보다도 존재의 차원에서 원주민어는 의사소통수단의 기능일뿐만 아니라 생태환경의 일부분으로써, 그들만의 역사와 존재양식, 즉 정체성을 보존하면서 자신들의 사회·역사적 행위를 상징체계로 남길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오늘날 과연 누구를 원주민으로 부르는지, 그리고 원주민으로 분류된 사람은 자신의 종족성(원주민어 사용)과 근대국가의 일원(포르투갈어 사용) 가운데에서 어떤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discuss the atual situation of Brazilian indians and his languages in danger of extinction, on the base of the racial classification applied by IBGE. Classification’s categories are then discussed together with some common uses, aiming at evaluate its applicability in the brazilian context. Attention will be placed, at first, on discourses focusing on a dilema faced by brazilian indians and by their speech communities. How to cope with the need to strengthen a indigeous language that reinforces their ethnic identities and the need to have acess to a portuguese language that enable to gain social, economical benefits outside their communities? The ultimate aim of this text is to response that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