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삶의 비평으로서 역사

        김기봉 ( Gi Bong Kim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0 동방학지 Vol.152 No.-

        History is a narrative composed by the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and the past, E. H. Carr once describing it as the endless dialogu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pertinent side of the initiative. An appropriate historical discourse of every epoch is constructed by way of this dialogue. We, thus, may say that the history of the historiography has been basically developed by the changes in historical discourse. The periodization of the discourse is generally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pre-modern, the modern, and the postmodern ages. First, pre-modern historical discourse is well expressed by the famous words of Cicero, historia magistra viate (History is a teacher of human life). Historians then write their histories by way of criticizing the given present time according to the precedents of the past. Second, modern historical discourse ca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lightenment, which viewed the past not as an example for the present but as an obstacle to the future`s progress. In other words, the progressivism of the modern historical discourse created the future-type project beyond history as the records of past; therefore, the idea becomes a grand narrative covering all of the different histories. The past loses its function of criticizing the present. This modern concept of history as a grand narrative allowed the modern time to be viewed as a revolutionary age. Third, postmodern historical discourse serves to excavate each history that has been buried by History as Grand Narrative. Although a scientific approach to history has reached a crisis, historical narratives have become popular, which reflects the the postmodern turn of historical discourse. On the other hand, as we all know, the postmodern historical discourse reverses the Marxian 11th thesis of Ludwig Feuerbach, as follows: People attempted to change the world in one way; however, in the postmodern age, various ways of thinking have become significant. If the modern era is considered as a revolutionary age, the postmodern era should be considered as the age of criticism. While the moral right, in their pre-modern historical criticism, belongs to the hegemony of the historical discourse, modern history in which historiography is the exclusive property of professional historians loses the function of history as the criticism of life, finally facing a crisis. Although historical science has confronted a critical stage, historical narratives have become popular through the return of micro-histories. If the past is a finished book, then history is rather related to a work that is written to criticize the past. Every man who critiques the past is a historian in the postmodern time. According to Alvin Toffler, the term prosuming describes the open source-like phenomenon of people producing what they consume. The producers of historical dramas and historical novelists critically reuse historical knowledge, and they become prosumers. In this prosuming age, historical criticism is expected to play major role. With the crisis of historical science, people may have an opportunity to become history critics but not historians. If so, we can apply the common phrase, opportunities are found in times of crisis.

      • KCI등재

        世界史 敎科書 敍述에서 東아시아史 談論의 問題 : 中國 世界史 敎科書의 境遇

        宋相憲(Sohng Sang-Hon) 역사교육연구회 2002 歷史敎育 Vol.84 No.-

        World History Textbook of a nation contains histories of the near nations related intimately. History of East-Asia is included history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discourse of East-Asian History discussing in World History Textbooks in China represent the Chines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historical image of the future they have in this region. Therefore, it can be the way of judgement on the Chinese historical consciousness to analyse the discourse of East-Asian History written in World History Textbooks. World History as a subject matter is characterized by emphasis on the object of mutual understanding among nations. This character correlates with and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nature of history is constructive and product of historian insights. For reason of this, World History can be regulated and negotiated. And the future historical image can be contained in textbook because it is to be the dialectical process of past and future to understand a history. After all, World History as a subject matter is characterized in the fact that it is the products of being constructed by discourses on the past and the standard of judgement of truth is a degree of plausibility the discourses have. The problems founded in World History Textbooks of China are the absence of the plausible discourses on the East-Asian history and the fact that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statements is Chinese-centered cosmology. As a result, through the selection and neglect, the statements in textbook are centered in history of Japan and regard Korea as adjunct to China or Japan. Explanation about the modernization of this region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is not sufficient either. For constructing historical image of East-Asia, it needs considerations of particularity of this region. The particularity of this has a continuity different from any other region. Korea and Japan have lived in comparative linear development without great change and China has maintained as a great power in this region. This region shares the international legal system under the Chinese-centered cosmology and the many experiences of modern plans as regarding as ground for experiment of modern plans. And this region shares the tragic mem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discourse of history of East Asia have to be contained these aspects of this region. For constructing the discourses of East-Asian history, we need the contemplation about the situation of three nations. Korea among them is the most miserable sufferer and wishes best remodelling the perspective for East-Asian history. It can be the best way of regulation for historical perspective to negotiate through history textbook contained master narrative and public discourse. That is the productive plan for conference.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 기술과 문학사 기술

        라영균(Ra, Young-k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7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 이후 거대담론에 대한 회의와 불신이 확산돼가면서 역사와 문학사의 학문적 가치와 유용성은 끊임없이 의혹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에 맞서 역사 담론의 총체적인 위기를 극복하고 역사의 새로운 방법과 지평을 모색하려는 노력도 함께 진행되었다. 포스트모던적 역사관은 무엇보다 역사의 텍스트성을 강조한다. 역사는 실재가 아니라 이야기된, 즉 하나의 텍스트로 변형된 현실이라는 점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던적 역사는 실증적인 연구를 근거로 방법적 합리성과 과학적 위상을 주장했던 과거의 역사와는 달리 역사적인 지식이 형성되고 전달되는 과정, 즉 역사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적 (시학적, 수사학적) 전제들을 강조한다. 이렇게 담론화된 역사는 선험적 역사인식이나 초월적 의미가 내재된 메타 담론을 부정하고 진보, 이성, 계급, 민족 등과 같이 과거와 현재의 관계를 일방적으로 규정하는 역사의 중심을 해체한다. 역사 담론의 전반적인 변화와 함께 문학사도 새로운 이론적, 방법론적 전제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새로운 문학사는 그 특징이 포스트모던적이라는 점에서 이전의 문학사와 구분된다. 문학사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그것이 구조주의적이건, 기호학적이건, 해석학적인이건 모두 전체성과 연속성에 기초한 역사를 거부한다. 이것은 시대 중심의 문학사에서 우연 중심의 문학사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새로운 문학사는 다양성과 차이를 중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의식과 가치에 맞게 완결성이나 통일성 대신 분산, 복합, 대비를 구성 원칙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알파벳순으로 배열된 백과사전식 편제나 직선적이고 일관성 있는 기술 보다는 몽타주나 단편적 형식을 선호한다. 또한 전체보다는 부분을 그리고 중심보다는 주변에 대한 의식을 강조하고 가능한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반영하기 때문에 정전작품 외에 오랫동안 소외되어 온 문학 전통이나 국면들을 대거 문학사 기술에 포함시킨다. 어떤 형태이건 포스트모던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관계를 초월적인 의미나 메타담론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다양한 관점과 기준에 따라 새롭게 생성되는 의미관계들을 기술한다. 이런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은 역사의 종말이나 해체를 초래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역사이해와 무한한 역사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계기였다. After the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on, an academic value and usefulness of history and literary history were endlessly doubted due to the enlargement of skepticism and distrust against the meta-discourse. But the effort to overcome historical-discourse's overall crisis and find the new methods and prospection of history was also occurred. Above of all, postmodernism's concept of history emphasizes textuality of history. Because it focuses that history is not a real event but narrative event. Narrative event means transformed real event as a text. Previous history was based on positive research and insisted methodical rationality and scientific status. Differently, the postmodern history stresses the process of historical knowledge's creation and transmission, in other words it stresses linguistic (or poetic, rhetoric) premise which makes the historical description possible. And the discoursed history disassembles center of history, which lopsidedly regulates the relation between previous and current like the progress, the reason, the class and the people and denies meta-discourse, which includes transcendental cognition of history and transcendental meaning. With the total change of historical-discourse, the literary history started from new theory, methodic premise. The new literary history features postmodernism. So it can be differ from previous literary history. A new paradigm of writing literary history denies the history which based on totality and continuity. This means the transformation from literary history of epoch to literary history of contingency. The new literary history makes dispersion,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as a composition rule instead of completion and unity. To assume time awareness and value of postmodernism that emphasizes diversity and difference. So the new literary history prefers montage or fragmentary form to alphabetical list like an encyclopedically structure or linear and coherent writing. And also the new literary history emphasizes part, periphery rather than whole, center and reflects the various perspectives as possible. So it includes canonized literature, literary traditions and situations into literary history writing. In any form, the postmodern history also tries to write newly-created numerous relations according to perspective and criteria, which is not fixed to transcendental meaning or meta-discourse. In this point, the challenge of postmodernism made new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possibilities of history interpretation rather than termination or disassembles of history.

      • KCI등재

        고정희의 역사 연작 시편에 나타나는 여성 해방 담론 연구 -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장서란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0

        본고의 목적은 고정희의 역사 연작 시편에 나타나는 여성 해방 담론을 수행성의 차원에서 살피는 데에 있다. 담론으로서의 수행성에는 역담론의 가능성, 즉 저항적 재의미화와 정치적 전복력이 존재한다. 「현대사 연구」와 「여성사 연구」, 「이야기 여성사」에서는 여성 담론과 역사를 연결 짓는 논의가 공통적으로 제시되며, 이는 ‘역사’라는 공통적인 틀 안에서 연결됨으로써 텍스트 차원에서의 새로운 역사를 구축한다. 고정희의 역사 연작 시편은 텍스트적 차원에서의 역사를 구성하고 기존의 억압 담론의 기제인 이분법을 전복하려는 욕망을 반복함으로써 역담론으로서의 수행성을 형성하며, 여성 억압의 담론과 여성 혐오를 전유하고 거부함으로써 기존 질서를 전복하는 수행문을 구성한다. 고정희의 역사 연작 시편은 기존의 젠더 규범과 이를 형성하는 이분법적 헤게모니를 무너뜨리고 사회적 실재를 창조하는 수행적 저항성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iscourse on women’s liberation shown in Goh Jung-Hee’s History series-poems under performativity theory. Performativity as a discourse possesses the possibility of counter-discourse, i.e. resistant reconceptualizing and political subversion, 「a study on modern history」, 「a study on herstory」, and 「story-herstory」 simultaneously suggests discussion in connection of the discourse on women and history, which constitutes a new history in text level by being associated under the common frame of ‘history’. Goh Jung-Hee’s History series-poem develop performativity as counter-discourse by founding history in text level and repeating the desire to overthrow dichotomy–the instrument of the already established discourse of suppression–and constitutes performatives that revolts against the previous order by denying and expropriating misogyny and the discourse of female oppression. Through Goh Jung-Hee’s History series-poems we can examine the formation of performative resistance that dissolves dichotomic hegemony that empowers previous gender criterion and creates social reality.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연구의 비판적 성찰; 한국 근대사 연구의 “문화사적 전환" : 역사 대중화, 식민지 근대성, 경험세계의 역사화

        허영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서구 역사학에서 신문화사(new cultural history)는 '문화적 영역'을 연구하는 전통적인 문화사와 거리를 두면서 문화적 '관점'에서 역사를 새롭게 해볼 것을 제안하며 등장했다. 그들의 연구를 통해 사회구조의 해명에 치중하느라 간과해온 생활세계의 의미망이나 그것을 전승하거나 재현하는 매체 및 형식 등 주관적 측면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도 '밑으로부터의 역사'에 대한 지향, 역사 대중화의 요구, 탈민족·탈근대의 역사학에 대한 모색 등 한국 근대역사학이 직면했던 현실적 고민들의 연장선에서 문화적 '관점'을 역사연구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나타났으며, 그것은 한국 근대사 연구의 '문화사적 전환'을 추동했다. 이 글에서는 시기적인 계열화보다는 방향성에 따른 계열화를 통해 그러한 시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그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990년 이후 본격화된 한국 근대사의 '문화사적 전환'은 세 가지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역사 대중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연구영역의 확장이다. 이 단계에서 개인이나 집단 주체의 미시적인 경험세계를 역사학의 연구대상으로 수용하기 시작했다. 둘째는 식민지 근대성 담론을 제기하면서 근대 민족주의 역사담론의 해체를 시도한 것이다. 이것은 거시적인 역사담론 차원에서 탈식민·탈민족의 역사학을 추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는 개별 주체의 경험과 정체성 문제 등 경험세계에 대한 역사화, 역사서술의 추구이다. 대상과 방법 등에서 한계가 많지만 이러한 시도는 점점 더 확대·심화되어 갈 것이다. 지금도 거시적인 역사담론을 둘러싼 논쟁이 문화사적 전환의 핵심에 놓여있다. 역사학은 과거의 사실로부터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고 그것을 이야기로 구축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작업의 뼈대를 결정하는 역사담론은 당연히 중요하다. 그러나 과거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넘어서서, 과거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연구가 없이는, 비판적 역사담론 역시 힘을 발휘하기 어렵다. 역사서술은 과거에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근거로 이루어진다. 과거는 역사서술 이전에 혹은 그 바깥에 객관적으로 실존한다. 물론 과거 사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며, 역사학은 분명 과거에 대한 텍스트이자 사실적 허구이다. 또한 역사학은 역사적 사실 그 자체가 아니라 역사서술의 동의어에 가깝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있었던 그대로의 사실을 알 수는 없다'는 것과 '역사적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구별되어야 하며, 역사학은 그러한 '사실'을 존재 근거로 삼는다. 따라서 한국 근대사 연구의 문화사적 전환은 거시적 역사담론, 기억과 표상의 해석을 넘어 경험세계로서의 '과거'와 직접 대면하고 그것을 역사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적 시도 속에서 새로운 내용성을 획득해 가야 할 것이다. In the studies of western history a new cultural history has emerged, proposing a new look at histor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with some distance from conventional cultural history that studied "cultural areas," and highlighted anew subjective aspects that had been neglected, being focused on explaining a social structure including the network of meaning of the world of life, and the media and formats to inherit and reproduce it. It was in the 1990s that Korea started to introduce a cultural "perspective" in historical science in the line of the realistic worries facing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such as the pursuit of "history from the bottom," demand for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search for post-national and post-modern historical science. A "cultural turn" in the early modern history of Korea can be reviewed in three aspects: first, there was the expansion of research areas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It is in this stage that the study of history began to accept the microscopic worlds of experience of individuals or groups; secondly, there was an attempt to deconstruct the historical discourse of early modern nationalism, raising discourse about colonial modernity. It was a pursuit of post-colonial and post-national historical science in the dimension of macroscopic historical study; finally, there was a pursuit of historicization and historical narration about the world of experience such as issues of individual subjects' experiences and identities. Even today controversy over macroscopic historical discourse stands at the center of a cultural historical turn. Historical science is a science to seek after truth in facts from the past and build a story based on it. Historical discourse determines a framework for such works and accordingly claims significance. However, it will not be able to exercise its power without concrete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past beyond a discussion about how to look at the past. Historical narrations are based on actual events from the past, which claim their objective existence before them or outside them. Of course, one cannot help admitting to the limitations with objective perceptions of facts from the past, and historical science delivers texts and realistic fiction of the past. However, there should b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re is no knowing of facts as they were ultimately" and "There is no such thing as historical facts." Thus a cultural historical turn in the studies of the early modern history of Korea should move in a direction of facing the past as the world of experience beyond macroscopic historical discourse and interpretations of memories and symbols.

      • KCI등재

        한국의 역사수업 연구(2014-2020)에 대한 메타 분석 : 최근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을 중심으로

        김민정(Kim, Minjung),백은진(Baek Eunji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연구 Vol.- No.42

        본 연구는 2014-2020년 국내에서 수행된 역사수업 연구 63편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같은 63편의 연구에 대해 방법론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의 후속 연구로, 최근 수년간 이루어진 역사수업 연구의 주요 담론을 규명하여 역사수업 연구의 역할과 의미를 재고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역사수업 연구가 전제로 하고 있는 연구의 출발점과 좋은 역사수업의 의미, 역사수업 연구의 개념 등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역사학의 특성이 반영되는 역사수업, 지향하는 가치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역사수업, 교사-역사-학생의 상호성과 개별 맥락 속에 위치하는 역사수업, 새로운 교수법을 실험하는 역사수업이라는 4개의 담론으로 범주화하고, 이에 해당하는 연구 성과들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특히 4가지 수업연구 담론이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공통적으로 다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해당 수업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 방식,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전개된 수업의 양상, 학생과의 상호작용 및 교사의 역할 등의 국면에 나타난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각 수업 연구 담론에서 배움의 공동체는 각각 역사 이해를 굴절시키는 비판의 대상, 지향과 실천의 대상, 분석하고 설명해야 할 교육 현상, 혁신적인 방법을 적용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문제로 인식된 상황이나 어려움은 각 담론에 따르면 역사학으로부터 분리된 활동 중심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 교사들이 협력하여 극복할 수 있는 문제,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한 분석과 설명이 필요한 문제 혹은 문제 상황의 제거와 적절한 시행 방법의 처방이 필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별로 연구 문제 설정 방식뿐 아니라 연구 대상의 선정과 연구 방법의 선택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대한 견해 및 좋은 역사수업에 대한 정의 등에도 투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역사수업 연구 담론에 따른 차이를 인지하고, 정치한 연구 방법을 통해 역사수업 연구를 수행할 때 역사수업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상상이 확장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s of 63 history teaching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 2014-2020.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to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f the same 63 studies. It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reconsidering the role and meaning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by clarifying the main discourses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focusing on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premised on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the meaning of good history lessons, and the concept of history lesson research, the discourse of history lesson research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ategorized into four discourses: a history teach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a history teaching that aims to realize the values ​​pursued, a history teaching that is located in the individual context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history-students, and a history teaching that tests new teaching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

      • KCI등재

        히스토리·미디어·스토리 :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에 대한 존재론적 試論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3

        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역사’라는 질료는 유독 문제적이다. 드라마가 인간과 세계의 길항을 언제나 ‘지금/여기’의 시공간 위에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역사의 극화는 과거의 현재화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과거를 현재로 소환하는 일은 결코 간단하지가 않다. 여기에는 소환할만한 과거 혹은 의미 있는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가치 평가가 개입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역사관이 투사되어 있는 것이다. 그동안 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통용되어온 역사극과 사극, 정통과 퓨전, 사실과 허구를 절충한 팩션 등과 같은 수식어의 난립은 역사 소재 드라마를 둘러싼 역사관과 예술관의 복잡다단한 얽히고설킴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 글은 이러한 난맥을 돌파하기 위한 하나의 모색으로서 ‘역사-드라마’라는 개념을 제안하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역사-드라마는 미디어의 중재를 통한 역사의 극화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역사와 드라마를 연결하는 하이픈은 상징적이다. 이는 역사와 드라마의 접속을 환기하는 ‘이음’이고, 역사적인 것 가운데 드라마적인 것을 ‘추출’하는 수식이며, 역사와 미디어와 드라마의 연쇄를 지시하는 ‘기호’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역사적인 것이 무대와 스크린과 텔레비전을 통해 드라마적인 것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역사-드라마는 두 가지 덕목을 동시에 요구받는다. 그것은 ‘역사에 대한 진지함’과 ‘드라마에 대한 진지함’이다. 이는 역사가 드라마로 형상화되는 연쇄속의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진지하게’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 진지함이란 역사의 사실 혹은 진실의 진위여부 보다 역사적 상상력과 그로 인한 역사 이상과 이외의 살핌을 텍스트 본연의 역할로 간주하는 것이다. 한편 드라마적 진지함은 이러한 역사의 재구과정에서 드라마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미학 원리에 충실하게 텍스트를 직조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두 가지 진지함의 접점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아나크로니즘적 상호텍스트성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텔레비전 역사-드라마는 텔레비전이라는 일종의 타임머신을 통해 역사와 드라마가 상상의 시공간 속에서 조우함으로써 과거와 현재가 나누는 진지한 대화인 셈이다. In the field of History, history is especially problematic material. Historical dramatization is a kind of visualization of the past, in that drama forms conflicts between human and world in the ‘here/now space’ time. However, it is not easy to recall the past into the present. It is because this work is deeply involved with what the recallable or meaningful history is, or the view of history. Rhetorical flourishesfaction, legitimacy, fusion and historical drama-about drama with historical materials shows the complicated relation between view of history and view of art.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historydrama’ to break this impasse. "History-drama’ refers to the dramatization of history through the arbitration of media. In this term, a hyphen between history and drama is symbolic: the connection between history and drama, the extraction of dramatic thing from history, and the sign implying the linkage among history, media, and drama. ‘History-drama’ is required to have two virtues, or the seriousness of drama and history, at the same time through dramatization of historical things in the stage, screen and television. The seriousness of history implies historical imaginary is considered the original role of text than historical reality or fact. The seriousness of drama means the text of drama is faithfully reconstituted based on the aesthetic principles. There is anachronic intertextuality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eriousness of history and drama. In this context, television history-drama is an earnest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y television, a kind of time machine, in which history and time could encounter in the imaginary space.

      • KCI등재

        특집논문 : 세계화 시대 한국의 역사학과 역사교육 -서양사의 시선-

        이진모 ( Jin Mo Lee ) 한국서양사학회 2016 西洋史論 Vol.0 No.128

        본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첫 번째 문제는 현재 국내에서 학문으로서의 역사학과 역사교육의 관계가 어떤 상황인가이다. 대다수 역사가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역사학 연구에서 찾고 있으며, 민주사회 건설을 위한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 교육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무관심하다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박근혜 정권에 의해 독단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사태에 직면하여 이러한 상황은 하루 빨리 극복되어야 한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의 근본 동기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문제는 역사해석을 둘러싼 갈등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이 조명하고자 하는 두 번째 문제는 근현대사에서 어느 국가보다 더욱 다양하고 심각한 갈등으로 점철된 독일의 경우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정치적-이념적 갈등이 왜 없는가이다. 세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교과서 승인 제도에서 보이는 정책적 유연성, 둘째, 역사교육이 지향하는 정체성 교육의 성격, 그리고 셋째,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유도하는 교과서 서술 구조이다. 독일의 사례는 현재 우리 사회가 역사 해석을 둘러싸고 겪고 있는 갈등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어디에 있는지 잘 시사해준다. 논문이 강조하고자 하는 또 한 가지 중요한 포인트는 최근 역사교과서 국정화 사태가 한국사 연구자와 서양사연구자에 의해 다소 상이하게 체감된다는 사실이다. 문제의 본질은 최근 몇몇 연구자들의 비판적 연구와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사가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민족 담론”이며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정치 사회적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가 하루 빨리 극복되어야할 것이다. The first question this paper try to research is “how good is the relation between the historiography als science and history education in Korea nowadays?” The majority of historians in Korea find their own identity still in the research rather than in the education. although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education for the democratic society. In the face of the plan of the Park regime, national history textbook to compile, this situation is quickly as possible to be reformed. The second question is “why are political-ideological controversies concerning German history textbooks difficult to elucidate?” First, the textbook publishing and authorizing policy in Germany is becoming less controlled; it is moving from an official certification system by the states to a free publishing system and thus facilitates the coexistence of varied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Second, with the unification of Germany, Europeanization and a multicultural society, Germany has established an open, pluralistic identity education, which is a crucial part of history education. Third, the narratives and structures of German history textbooks try to help cultivate the multi-perspective views. From the German example we should learn the important implication. The last point this paper try to emphasize is that, unfortunatly, the recent national history textbook crisis is felt differently between the Korean history researchers and western history researchers in Korea. The core of the problem is national discourse.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and political conflict surrounding the history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Hannam University / jmlee@hnu.kr)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사의관점에서본 초등학교역사교과서 - 전근대사를중심으로-

        임기환 한국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연구 Vol.- No.15

        In this article, I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textbook in 5th grade, which was published in 2007 by the revised curriculum policy. Especially,with the view of East Asian Historical perspective, I tried to analyze the patten of historical writings on the premodern history of korea. As well known, Social studies textbook in 5th grade has consisted nation history. It has been described primarily in terms of national history. the writing patten of regional history was different from that of national history. Thus, as much as possible, It is necessary for the perception of history to arrange the difference. In its contacts,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have affiliated. Those cases were included diplomatic relations, cultural exchanges, the movement of residents, and international war etc.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se points and analyzed case by ca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extbooks were inclined to described in terms of national history. Therefore, children in elementary history classroom were more likely to be limited the historical conciousness. Based on these viewes, I sought to find some alternatives to overcome nation-centerd history without the historiography of East Asian history as possible. It was to make a transnational history beyond the traditional writing of East Asian history. Such cases were related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history of intercourse and cultural history. these areas became more clear in the historical character when we were looking at the view of international perspective in east asian history rather than the national history. I was convienced that It could be useful for the construction of transnational history between korea and the rest of east asia 본고에서는 동아시아사의 담론의 시각에서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현행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교과서(이하 초등역사교과서로 약칭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런데분석 대상인 초등 역사교과서가 ‘민족사’와‘국가사’의 시각에서 서술되고 있다역사 기술체계로서‘동아시아사’및‘지구사’와‘민족사’와‘일국사’는 그 출발점부터가다르다. 따라서‘실용적인’분석을 위해서는 양 역사인식 사이에 최대한의 접점을 마련할필요가 있다. 그 접점으로‘민족사’와‘일국사’체계에서도 반드시 기술할 수 밖에 없는 한국과 주변국가와의 관계사, 구체적으로 외교관계, 문화교류, 주민의 이동, 국가간 전쟁 등에대한 기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초등 역사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지나치게 민족사의 관점에서 서술되어 있어, 이를 공부하는 초등학생들의 역사 인식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많은 서술 비중을 갖고 있는 전쟁에 대한 서술에서도 전쟁의 국제적 배경 등이 생략되고 주로‘침략과 저항’이라는 대립축만이 강조되어 결과적으로 전쟁을 바라보는 폭넓은 시각을 제공하기 보다는 승리한 전투나 외세에 대한 저항 자체만을 강조하는‘도덕적 서술’로 귀결되고 있다. 문화의 교류에 대한 서술도 전체적으로 국가간의 교류라는 측면만이간략이 언급되어 있는데, 동아시아 문화권 전체 속에서 일어나는 문화 변화의 양상이 드러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화교류나 교역의 양상이 전시기에 걸쳐 균질적인 서술을 놓치고있는 면도 지적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부 문화재에 대한 서술에서도 민족사적 시각에서의 해석과 서술이 지나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현존하는 최고’라는 가치를 갖는 특정 유물에 대한 서술이 과도함으로써그 유물로 대표되는 문화일반의 현상에 대한 이해를 왜곡할 가능성도 나타난다. 이는 동아시아 문화권 내에서의 한국 문화의 위상을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를 토대로 ‘동아시아사’라는 역사서술을 위한 체계적인 구성틀을 갖추지 않는다고 하더라고, 자국사 중심의 역사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결과 一國史의 인식에서는 쉽게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동아시아사의 국제적 시각에서 그성격이 보다 뚜렷해지는 주제들, 즉 국제관계사나 교류사, 문화사의 내용에 동아시아의 차원에서 서술한다면, 자국사 중심 인식에서 벗어나서, 전근대 시대에 한국과 주변국가 사이 에 전개된 역사와 상대국의 역사를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역사추리소설의 장르적 성격과 한국적인 특수성

        박진(Jin Park)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현대소설연구 Vol.- No.32

        History thriller, a newly emerging form of novel, is a hybrid genre that combines detective story, an investigative narrative, and historical novel. The emergence of history thriller has a deep connection with the collapse of modern history (a discipline) that is based on positivism. In new forms of history such as `the linguistic turn` or `the new cultural history,` historical records are treated differently as they are viewed as clues rather than sources. In order to recreate the past only with fragments of historic records, a historian need to reason using his / her imagination. In such a case, the historian plays the role of a detective. The creation of history thriller which turns historical facts into objects of reasoning is a cultural phenomenon that shows the signs of change in our perception of history. Meanwhile, `faction,` a term that is often considered synonymous with history thriller, represents one spectrum of the post-modern history. In post-modern history, historians undergo a process of recreating the past or the so-called `simulation` through which the past is relived in present times. In this process, the distinction between historical facts and fiction becomes no longer important. Instead, at the center of attention is how historical facts are carefully recreated and constructed. Korean history thrillers are mostly history thrillers in a narrow sense but at the same time, in a wider sense, they fall under the category of `faction` where facts and fiction are mixed in a way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is is different from faction-history thrillers of the West as they are mostly faction in a narrow sense (they cast doubt on reality itself and subvert what is considered as truth) but they also belong to history thriller in a wider sense. Murder of Bangkakbon (Kim Tak Hwan), Murder of Jung Yak Yong (Kim Sang Hyun) and Tree with a Deep Root (Lee Jung Myung) are some of the Korean history thrillers that are based on strong faith in the justification of reform and the progress of history and weave tales of introducing modern thinking and modern socio-economic orders. They also focus on achieving tasks as a nation in modern times. In other words, Korean history thrillers produce modern discourse and develop stories in the context of these discourse. The particularity of Korean history thriller is that it is a melange of post-modern elements of faction and modern thinking of history. However, at a time when there is a growing criticism of modern paradigm such as nationalistic ideology and capitalist socio-economic structure, this particularity also is the limit of Korean history thrill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