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이들의 행복, 행복교육, 그리고 행복사회

        박병기 ( Bak Byung 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아이들의 행복에 반대할 사람은 거의 없다. 이 글은 아이들이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고민을 담은 것이다. 이 글의 첫째 목적은 행복의 ‘진정한’ 의미를 드러내고, 그에기초해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이었다. 둘째 목적은 이런 그림에 비추어 행복교육의 방향을 목적과 내용의 측면에서 제안하는 것이었다. 셋째 목적은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모습을 행복사회의 관점에서 투시하는 것이었다. 첫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주관적 안녕과 객관적 안녕의 통합으로 파악하였다. 주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일상에서의 정적 정서와 만족 판단을 포함한다. 객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인간 잠재력의 충분한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 나는 ‘행복나무’라는 은유적 그림으로 통합적 관점이 반영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표상하였다. 둘째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행복교육의 목적을 ‘평생 행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아이들을 돕는 데’서 찾았다. 행복교육의 가치는 행복의 완벽한 실현이라는 결과가 아니라, 아이들이 행복역량을 갖추어 가는 과정의 지속성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나는 행복역량을 행복교육의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행복역량은 행복나무의 뿌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아이들이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심리적 특성들이다. 나는 이것을 신념체제, 동기망, 의지조절, 정서균형, 관계지향, 그리고 메타능력을 담은 BeMoVER_Me라는 약어로 나타냈다. 셋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Bronfenbrenner의 사회생태체제 관점과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관점을 통합하여 행복사회의 다면적, 역동적 모습을 구상하였다. 행복사회는 각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조화로운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다. 아이들은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가? 그 답은 행복한 아이, 행복교육, 행복사회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에서 찾아야 한다. There should be few that stands against the happiness of children. This article contains my worries about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would be happy?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eal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nd to figure out a happy child. based on it. The second purpose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happiness education in terms of goals and contents. The third one was to see through the perspectives of Korean society from the angle of happy society. With regard to the first purpose, I grasped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s the integr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ppiness as subjective well-being pertains to the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ory judgment in the everyday life. That as psychological well-being is focused on the full actualization of human potential. I represented a happy child by drawing a metaphoric picture of ‘happiness tree.’ In relation to the second purpose, I equalized the goal of happiness education with helping children to acquire the competency to be happy. The significance of happiness education should be judged by the continuity of children’s forming happiness competency, not by the their perfect realization of happiness. I proposed the happiness competency as the content of happiness education. Happiness competency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hildren to become happy. I coined the acronym word BeMoVER_Me for thes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s belief system, motivation network, volition regulation, emotion balance, relation orientation, and meta-capability. With the third purpose, I constructed the multiple, dynamic figure of happy society integrating the perspectives of Bronfenbrenner’s socio-ecological system and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Happy society is the society which pursues the happiness of entire society as well as that of each individual.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should be happy? The answer should be found based on the balanced viewpoint about happy child, happiness education, and happy society.

      • KCI등재

        초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주관적 행복 수준 및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변인 탐색: 행복한 저성취 학생을 중심으로

        허유성 ( Yu Sung Heo ),최지영 ( Ji Young Choi ),남창우 ( Chang Woo Na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2008년도 초등학교 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행복한 저성취 학생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 초등학생 11,378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업성취수준과 행복수준에 따라 4가지 유형의 학생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2유형에 속하는 행복한 저성취 학생을 가능하게 하는 교실수준의 변인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등학생 중 행복한 저성취 학생의 비율은 약 16%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은 1유형 학생이 32.4%로 가장 높았다. 둘째, 행복한 저성취 학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수준의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에 의하면, 수업방법보다는 교사특성과 교실-학습 분위기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방법에서는 강의식과 토의식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특성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열의, 교사의 지원, 수준별 수업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교사의 성취압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실학습 분위기에서는 협력적 분위기, 경쟁적 분위기, 수업분위기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의 개별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수준 변인은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저성취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실수준에서 성취도 향상을 위한 노력과 함께 그들의 행복수준을 높이기 위한 전략과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assroom variables related with happy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in a general education selling. To categorize students into for types, we use KEDI 2008 data including 11,378 elementary students and 11,778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the happy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16% of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are happy and about 30% of them are not happy. We employed logistic regressions to analyze which variables are related with happy and unhappy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classroom climate are more influential than teaching methods. Related with teachers` characteristics, teachers` enthusiasm, supports, individualized learning reported positive influences. Collaborative, competitive, and friendly classroom climate are found to influence positively to the students` happiness. In discussion section, we trie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how to make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happy in school.

      • KCI등재

        행복증진프로그램 개발

        이경열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행복이란 ‘즐거움과 의미의 포괄적인 경험’이라 정의하고, 행복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유전적 설정값 50%, 환경 10%, 의도적 활동 40%이므로 모든 행복은 의도적 활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고 보았다. 행복의 구성요인은 자기관련 측면과 사회적 관계 측면으로 분류했으며, 자기관련 측면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관계 측면은 대인관계와 관련성을 연결했다. 이에 연구 1에서는 행복의 구성요인에 기초하여 행복증진 프로그램의 내용을 탐색하고 구체화한 후, 프로그램을 예비실시하고 효과를 검증한 후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행복, 자기효능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대학생 25명을 대상으로 15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행복지수 하위영역 중 개인적특성과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대인관계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행복은 연습이 필요하므로 앞으로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기대해 본다. In this study, happy is defined as experience of joy and meaning. We explo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s accoding to the factors of happy.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is preliminary research. We implemented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 to the student groups how it impacted on their happ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group shows improve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 a low rank province of happy index and self-efficacy. Thus it implicates that we developed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s which is wanted by the people. We would like to develop the happy improvement program of the long term in the near future.

      •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Ⅴ: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분석 및 시범사업 운영과 행복마을 특화모형 개발

        오해섭,최인재,염유식,김세광,윤혜지,정재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V’의 연구목적은 전국단위 청소년 행복지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 수준과 변화추이를 점검하고 더불어 청소년 활동 중심 ‘마을공동체’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현황과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① 전국 17개시·도 청소년 행복 수준 조사 분석, ② 국내·외 ‘마을공동체’ 사례 관련 자료 고찰, ③ 청소년행복마을 조성 시범사업(2개 지역)운영에 대한 시사점 도출과 효과 분석, ④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특성화 요인 도출과 논리모델 개발 등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전국단위 지표조사, 현장 면접조사, 콜로키움, 포럼, 시범사업 실시, 전문가 자문회의 및 정책연구실무협의회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행복마을 조성과 정책화 방안에 관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행복 수준 증진을 위한 증거기반 정책 추진을 위해 하위집단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더불어 실증자료 분석과 평가에 기반을 둔 지자체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현실성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내실 있게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공간적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아동과 청소년친화도시’ 정착과 확산을 위하여 자치단체장의 역할 강화를 위한 국내·외 연수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넷째, 청소년 활동 중심 ‘마을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주민과 청소년 간의 협업체제를 구축하여 ‘특성화 사업’을 발굴하고 확대해 나가야 한다. 다섯째,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정책개발의 목적으로 ‘청소년 참여 플랫폼’ 구축, 마을진로체험 학습장 조성, ‘청소년행복마을 지원센터’ 등을 추진해야 한다. “The Study on Youth Happiness Indicators and Establishment of Communities where the Youth are Happy V’ aims to examine the happiness level of the youth and its trends based on the nationwide study of youth happiness indicators. Another purpose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propose a future model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village communities“ driven by youth activities. The main areas of study include ① analyzing the study on youth happiness level in 17 cities of Korea, ② examining the data related to domestic examples of “village communities,“ ③ understanding implications and effects of running pilot projects for Happy Villages for the Youth (2 communities) and ④ identifying characterizing elements and developing a logic model for communities where the youth are happy.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literature study, nationwide indicator study, field interview, colloquium, forum, pilot project, expert advisory meeting, and working level meeting on policy stud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are made for establishing Happy Villages for the Youth and creating the right policy environment. First, there needs to be policies and programs customized for each sub-group’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lement evidence-based policies to promote the happiness level in the youth. Furthermore, local governments should develop their own policies based o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empirical data. Second, realistic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o establish communities where the youth are happy. This must then be supported with the right institutions and venues. Third, there should be expanded training opportunities at home and abroad for stronger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 heads in order to establish and expand “children and youth-friendly cities.“ Fourth, a collaborative system of residents and the youth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develop and expand projects to characterize each community, which will add vigor to the “village communities“ driven by youth activities. Fifth, policy efforts to establish communities where the youth are happy should include setting up a “participatory platform for the youth,“ creating a village career experience learning zone, and introducing “Support Center of Happy Villages for the Youth“ among others.

      • KCI등재

        행복한 의식과 유기체적 행복

        맹주만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3 철학탐구 Vol.72 No.-

        이 논문에서 나는 행복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려고 한다. 행복한 의식 즉 “행복을 원함과 만족을 느낌”의 의식은 지속적인 만족이나 충족 또는 충만한 느낌을 지향하며, 이는 인간이 자기목적과 자기만족의 활동을 본성으로 하는 유기체적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에 의하면, 인간이 원하는 행복 또는 행복한 의식은 “유기체로서의 삶을 위해 전 생애 동안에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만족의 감정” 혹은 “유기체의 자기충족적 느낌”이다. 인간 유기체는 이러한 만족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거나 느끼게 해주는 것을 다양한 방식으로 추구하며 살아가려고 한다. 그런데 전통적인 행복 개념들은 행복의 의미를 인간의 독립적인 특수한 기능이나 능력에 기초해서 하나의 특정한 사태를 “지나치게 혹은 특별히” 강조한다. 이와 같은 인간 이해를 통해서는 우리가 원하는 행복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 나는 특히 이성중심의 인간관에 기초해서 행복을 탐구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한다. In this paper, I try to present a new concept of happiness. It would be argued that the consciousness of happiness, or “feeling happiness and satisfaction,” aims for continuous satisfaction, or fullness because humans are organistic beings with their own purposes and activities of self-satisfaction. According to this, the happiness or happy consciousness that humans want is “the feeling of satisfaction that they continue to pursue throughout their lives for life as an organic body” or “the self-fulfilling feeling of an organic body.” Human organism seeks to live in various ways to be able or able to feel this satisfaction continuously. However, traditional concepts of happiness define the meaning of happiness based on human independent special functions or abilities. There is a limit to finding out the meaning of happiness we want through such human understanding. To clarify this point, I critically examine and evaluate Aristotle and Kant’s views on happiness, especially based on the rational-centered view of human beings.

      • KCI등재

        행복의 선순환을 낳는 교사의 역할

        최관경 ( Kwan Kyung Choi ),최두진 ( Doo Jin Choi ),류밍위에 ( Ming Yue Li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3

        교육은 나라 발전의 원동력이다. 21세기는 낙자생존(樂者生存)의 시대이다.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 일직이 아리스토텔레스가 교육의 목적이 행복한 생활에 있다고 역설한 바와 같이, 교육의 목적은 인격도야와 자아실현을 통한 지속적인 행복한 삶을 낳게 하는 데 있다. 8.15광복이후 6.25전쟁과 같은 절체절명의 위기와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은 홍익인간(弘益人間)의 교유이념아래, 오직 성공지향적인 교육목적관을 지향해옴으로써 개인의 성공과 출세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낳을 만큼 나라발전에도 크게 기여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교육현실을 직시해보면, 해가 갈수록 우리의 학교교육이 불행한 사람을 낳게 하고 있다는 비판의 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성공지향적 교육목적관은 많은 강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살인적인 경쟁심을 내면화하게 할뿐 아니라, 빨리 성공하기 위해 누구나 제발 하루라도 빨리빨리 세월이 가기를 바라는 ‘자살적인 삶’을 낳게 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그런데 행복한 삶의 귀감이 되어야 하고 행복의 선순환을 낳게 해야 할 우리 교사들 대부분이 한평생 내내 오직 성공지향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 우리 교육의 위기와 나라의 위기를 낳는 단초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문제와 위기를 극복할 방안으로 행복의 선순환을 낳는 새교육철학의 정립 및 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성공지향적 교육목적관이 낳은 성공적인 교사의 일생, 둘째, 행복의 의미와 종류를 기술한 다음 행복의 7대 특성, 셋째, 행복한 선순환을 낳게 할 행복한 교사의 실제적 삶과 꿈을 새롭게 디자인 하였다. Education is the driving force of national development. The 21st century is the era of Nak Ja Saeng Zon (樂者生存). Every citizen has dignity and value as human beings and has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As Aristotle emphasized,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create a sustained happy life through character personality and self-realization. Since its liberation from Japan August 15th in 1945, Korean education has oriented itself towards success-oriented life under the educational idea of Hong Ik In Gan (弘益人間). It is a well-known fact that Korean edu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by creating successful individuals. However, looking at th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the voices of criticism that students are increasingly becoming unhappy has been getting louder from day to day. Moreover, in spite of the fact that succ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has not only various strengths, but also fatal shortcomings. By internalizing the murderous competitive spirit and by making most of students hope that time passes as fast as possible, it has made everyone live a suicidal life. To make matters worse, most of Korean teachers are expected to become a model of happy life and have to make a good circle of happy life throughout their lives have lived the same pattern of success-oriented teleologism. Our greatest happiness does not depend on the condition of life, but is always the result of a good conscience, good health, occupation and freedom in all just pursuits. The three grand essential of happiness are : something to do, someone to love, and something to hope for. In sum, I suggest as follows : First of all, we should transform the succ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into the happin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as soon as possible. Secondly, we should do our best efforts to remold our educational circumstances in which all students and teachers can be happy.

      • KCI등재

        Happy People Does Not Compare : Difference in Social Comparison between Happy and Unhappy People

        김경미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19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5 No.3

        The study wan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happy and unhappy groups. To this end, 451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about subjective well-being, comparison by area, and demographic variables. And we divided the top 30 percent of the happiness level and the bottom 30 percent of the happiness level into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s to see if there was any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happiness in the areas of each comparison. The results showed,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confidence, family background, family flower, money, ambient harmony, acceptance of others and money between happy and unhappy groups. Second, differences in appearance and money have appeared depending on gender. Third, differences in comparison appeared in other people's recognition and happines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religion. Fourth, the higher the level of happiness, the lower the degree of comparison in eight a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ppy people do not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and that comparisons undermine happines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it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뷰티 종사자의 행복플로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유림,유진우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0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1 No.2

        Recently, happiness has grown as a social and contemporary value, going beyond just personal value. In addition, more people have started to realize that individual happiness is important for the happiness of society as a whole. Nowadays, South Korea’s aesthetic consciousness has drawn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In cosmetology services, profits are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services and intera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customers. In fact, cosmetologists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by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s, getting socially changing cosmetology-related information and properly responding to customers’ needs. Instead of focusing on accomplish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cosmetologists’ sacrifices, a virtuous circle can be built through happiness exchanges. In other words, individuals make businesses happy, and businesses make a society happy. A society makes a country happy, and a country makes individuals happy again. This study targeted understanding cosmetologists’ happiness and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happiness-flourishing measure based on the concept of happiness-flourishing in positive psychology, which pursues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s different from positive emotions such as temporal satisfaction and pleasure.

      • KCI등재

        행복교육과 행복한 교육

        최석민 한국교육사상학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학교 행복교육 추진의 어려움과 극복 방안의 모색이라는 시의적 필요 맥락에서 행복교육의 실질적 추진 가능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쉽게 말해 행복교육을 어떻게 추진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교육철학적 탐색을 시도하고 있다. 핵심적으로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다른 교육과 구분되는 특별한 내용을 가진, 명사형으로서의 행복교육’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에 스며드는, ‘학교 교육의 과정과 결과에서 행복이 드러나는, 그런 형용사로서 행복한 교육’으로 이해하자는 것이다. 행복교육의 필요성과적절성은 충분히 공감하면서도, 행복교육은 행복‘을’ 가르치는 교육을 의미한다는 점에서,부분적 접근으로서 그 가치는 인정되지만 기존의 교육을 바꾸어 줄 수 있는 대안적 관점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반면 행복한 교육은 기존 교육의 관행을 바라보는눈으로, 교육 실제의 전반을 행복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반성적으로 개선을 실천하는 모든활동을 의미하게 됨으로써, 학교 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적절한 개념으로 파악될 수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전제하에 행복한 교육이 학교 교실에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출발과 추진의 조건 몇 가지를 축약하여 제시하였다. 즉 출발의 조건으로는 교육 목적으로서 행복인식, 현 행복 상황에 대한 진솔한 진단, 기존 추진 교육과의 관계 분석을, 추진의 조건으로는 학교 지성의 회복, 학생의 내적 필요를 강조한 교육과정운영, 학생의 참여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학교 행복교육의 실질적 추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에 이론적이라기보다는 실천적이며, 분석적이라기보다는 한 가지 제안의 성격으로 제시되었음을 밝혀둔다. Now education of happiness have been widely spread out in Korean educationallandscape. But it has tended to be understood as education for happiness per se. AsJ. Dewey had said, the ideas about happiness might be indifferent or unhappy orhappy. So to speak, it is not a powerful way to make children happy, and also itcould be burdens of school situation which is fully filled with innumerable activities. Happiness is to be considered as a color that might be habituated through all theschool activities, not just some special programs. Therefore, direct teaching ofhappiness should not be taken as the main approach to happiness education. O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suggests six procedures to be reached the happyschool. 1) Happiness is taken as one of core aims of school education. 2) The states ofnow and here of real school is analyzed with eyes of it. 3) It is located under therelationships among educational practices. 4) Recovery of school intellectual is mostimportant in making school happy. For this, co-discussions on it is inevitable. 5) Incurriculum managing, the inner needs of students should be more taken, in that it haslong been overlooked. 6) The participation seems to be useful tool because it can betaken as an index to make a prediction of happiness.

      • KCI등재

        하이데거의 행복과 행복한 스포츠

        이학준 한국체육철학회 201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eidegger happiness concept relating to the concept of happiness through sports. A literature analysis was done on Heidegger's concept of happi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Heidegger's happiness can be arranged via the concept of the poetic. Happiness through sports can be found in the poetic understanding of sports rather than in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m. We are not happy with sports because we are immersed in them to escape negative emotions such as loneliness, lethargy and vanity. We as participants and observers are obsessed with competition, victory and records. We succumb to misfortune, despair and pain through sport rather than happiness. Therefore, the way to be happy with sports is from experiencing them through dignity and sanctity of physical activity. We must forgo physical activity for the immediate goal of victory and record breaking. Being happy with sports begins through the natural need for fulfillment of the poetic understanding of sports. 이 연구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행복과 그것에 근거한 행복한 스포츠에 관하여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하이데거의 행복과 스포츠 행복론에 관련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이데거의 행복은 초연히 내맡김과 시적으로 거주하기로 요약할 수 있다. 이것에 근거한 행복한 스포츠는 스포츠를 하는 사람의 초연한 내맡김의 태도와 스포츠에서 시적으로 거주하기라고 정의할 수 있다. 행복한 스포츠는 스포츠의 과학적 이해보다는 스포츠의 시적 이해에서 발견될 수 있다. 스포츠로 행복하지 못하는 이유는 비본래적 욕구충족을 위한 스포츠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스포츠에서 과잉경쟁, 승리, 기록에 집착한 나머지 행복보다는 불행, 절망, 고통을 만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행복한 스포츠는 승리와 기록을 위한 단순한 신체 활동이 아니라 신체 활동의 존엄성과 성스러움을 경험하는 것이다. 결국, 행복한 스포츠는 비본래적 욕구충족으로서 스포츠를 하는 것이 아니라 본래적 욕구충족으로서 스포츠의 시적 이해와 초연히 내맡김으로부터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