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종(孝宗) 원년(元年)(1650) 용주(龍洲) 조경(趙絅)의 백마산성(白馬山城) 유수(幽囚)

        허태구 ( Huh Tae-Ko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본 논문은 龍洲 趙絅이 효종 원년(1650) 白馬山城에 幽囚된 배경과 경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경이 주장한 척화론의 내용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의 척화론은 국가의 존망을 가리지 말고 對明義理를 고수해야 한다는 당대의 일반적 주장과 맥이 닿아 있었다. 이어서, 효종 원년 청의 査問勅使 파견과 조·청 간의 여러 외교적 현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예조 판서를 역임하였던 조경은 결국 吊祭謝恩의 失禮와 관련된 사안에 대하여 영의정 李景奭과 함께 최종 책임을 지고 사형을 언도받을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그러나, 효종의 적극적 구명 활동에 의하여 감형되어 이경석과 함께 백마산성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에야 석방되었다. 이 사건은 조경에게 이루 말할 수 없는 고초를 안겨주었지만, 또 한편 反淸 인사로서 명성을 떨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o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Yongju(龍洲) Jo Gyeong(趙絅)’ Imprisonment to Baekma(白馬) fortress in 1650. First, it reviewe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Jo Gyeong’s Cheok’hwa-ron(斥和論). His argument is similar to the prevailing arguments of the day that we should adhere to Dae’myeong Euiri(對明義理, stance of maintaining loyalty to the late Ming dynasty) without regard to the survival of the state. Next, it reviewed Qing’s dispatch imperial envoy of investigation(查問勅使) in 1650 and various diplomatic issues between Joseon and Qing. Jo Gyeong, who served as th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along with the Chief State Councilor Lee Gyeong seok(李景奭) eventually took the final responsibility for impoliteness related to condolence and appreciation(吊祭謝恩) and was in danger of being sentenced to death. However, he was commuted by active rescue activities of King Hyojong(孝宗) and exiled to Baekma(白馬) fortress together with Lee Gyeong seok, and was released only the following year. This incident gave Jo Gyeong an unbelievable hardship, but also became a chance to shine up his reputation as an anti-Qing.

      • KCI등재

        1800년 인동 작변(仁同作變)을 둘러싼 다중의 시선들

        김성우(Kim Sung-woo) 한국역사연구회 2011 역사와 현실 Vol.- No.82

        The spreading of rumors which claimed that King Jeongjo was assassinated by fatal poisoning, and the social unrest that followed the sudden death of King Jeongjo, were all part of a chain of events(incidents) fueled by the people’s general distrust of the No’ron group’s Byeok’pa faction at the time. The Byeok’pa faction, in control of the government, had to neutralize the rumor of the alleged fatal poisoning of King Jeongjo, in order to stabilize their shaky power. The Indong Revolt, which refers to a raid upon the Indong administrative office (in the Gyeongsang-do province) led by a man named Jang Shi-gyeong and his followers, early in the morning on August 16th, 1800, was an incident fabricated to give the Byeok’pa faction a political cover. The Byeok’pa faction intended to accomplish total of three political goals with this so-called Indong Revolt. They wanted to the kill the ‘Jeongjo was poisoned’ rumor, wished to gain a political upper hand by stabilizing the social unrest caused by Jeongjo’s sudden death, and intended to stigmatize the Yeongnam (Gyeongsang-do) region as a ‘province of rebellion’ and label the Southerners in the region as a bunch of traitors. With the Indong raid successfully conducted, they achieved all their political aims. After subduing the Southerners of the Yeongnam region in August, 1800, the Byeok’pa faction staged a massive political offensive against other opposition forces in December, 1800, when the national funeral for King Jeongjo was completed. The Persecution of January 1801 was a blatant example, as it was designed to purge the Southerners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do provinces. The ‘In-law’ parties that dominated the government, which characterized the 19th century politics of the Joseon dynasty, was starting to form in the shape of a reign of terror spearheaded by Queen Jeongsun and the No’ron Byeok’pa faction.

      • KCI등재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이 연구는 외적으로 敬堂 張興孝(1564~1633)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 성리학의 특징을 해명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영남학파 특히 퇴계학파가 지닌 이론적 특징과 실천적 관심을 장흥효와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자들을 통해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장흥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종래 학계에서 장흥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퇴계학파의 이론적 標識를 염두에 두고 경당의 기본 성리이론과 실천적 삶의 특징을 그려보고자 한다. 경당의 성리이론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體用論이다. 그는 體用의 구조로써 성리이론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당은 인간과 만물을 理氣妙合의 존재로 보나, 퇴계와 마찬가지로 오직 인간만이 유일한 윤리적 존재일 수 있는 근거를 理에서 찾는다. 경당의 이러한 이론은 퇴계학파의 기본 이론을 이루는 標識 중 하나이다. 한편 경당은 성리학적 이론을 삶 속에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持敬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持敬論은 퇴계의 입장을 기본적으로 계승한 것이기는 하나, 경당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 삶의 모습으로 體現되며 이후 퇴계학파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경당은 퇴계학을 思辨的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도 균형 있게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17세기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며, 특히 퇴계학파의 형성에 관한 이론적 토대가 보다 선명하게 그려질 수 있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Jang-Heung-Hyo"s (1564∼1633) life as a scholar and his thoughts. This study also compares Jang-Heung-Hyo and other scholars with Toe-Gye School in terms of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oncerns of Neo-Confucianism. Jang-Heung-Hyo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His main concerns were Yi-Hak(理學), Gyeong-Ron(敬論) and Sim-Hak(心學).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has not been shed a proper light.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 KCI등재

        龍州 趙絅의 대외인식과 斥和論

        허태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5 남명학연구 Vol.47 No.-

        In this article, the thoughts and stances of an individual named Jo Gyeong(趙絅) is examined. He was one of the opinion leaders of the Joseon government during the crises of Manchurian invasion in the Jeongmyo and Byeongja years. His view of foreign situations and the issue of boycotting peace with the enemy were what led to his remarks and his actions, so they require a closer look. All the characteristics are searched for and identified. Through this task, the notion of boycotting peace with the enemy suggested by a ‘non-Westerner,’ which had deserved better attention than it had in the past, except for the case of Jeong On(鄭蘊), was discovered and examined. It reveals that the notion was indeed supported by all the parties at the time, so all related facts are examined accordingly. Examined next is how the loyalty issue toward Ming was affecting the Joseon-Qing relationship in terms of mentality and sympathy. Also examined is why Jo Gyeong argued that Joseon should maintain secret communication with Ming, should not send troops that would be sent against Ming, and should ask Japan for troop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nature of such discussions are all discussed here in this article. 이 논문은 丁卯·丙子胡亂 전후 朝庭의 公論을 이끌었던 주요 인물 중 하나였던 趙絅의 대외인식과 척화론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그 내용과 특징을 정리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鄭蘊 이외에는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非西人係 인물의 척화론을 고찰함으로써 당시 政派를 가리지 않고 지지받았던 척화론의 성격을 究明하였다. 그리고, 對明義理의 강고한 心性的 기반이 어떻게 朝·淸(後金) 양국의 대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지도 살펴보았다. 덧붙여, 병자호란 이후 조경이 주장한 明과의 密通, 助兵反對, 日本請兵 등이 어떠한 역사적 배경에서 제기되었으며, 어떤 성격을 가진 논의였는지 재검토하였다.

      • KCI등재

        廬山 慧遠의 情 관념에 관한 고찰

        김수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Since the Buddhism is handed down to China before and after the genesis, the Buddhism has been changed to meet the cultural and social structure and reasoning unique to China to settle down. Under the circumstance, the transmigration and retributive justice idea is one of the disparate and unfamiliar idea to Chinese at the time as they had the reality-oriented way of thinking and fragmentary view on human. Therefore, the initial Chinese Buddhism sector attempted to solve the issues on the subject of justice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spirit existing after the death as borrowing the spirit concept unique to China. This idea of imperishable spirit that introduces the mentality[spirit] existing beyond the extinction of body[form] has made theoretical systematization during the time of Lushan Huiyuan(廬山 慧遠) and this is clearly displayed through writings of 「SSa-mun-bul-gyeong-wang-ja-ron(沙門不敬王者論)」, 「Myeong-bo-eng-ron(明報應論)」 and so forth. The idea of imperishable spirit that he presented works as the theoretical base of protecting Buddhism in resisting to the opinion of anti-Buddhists at the time, and it laid the foundation to have Buddhism to settle in the Chinese ideology sector at the time. Such idea of imperishable spirit defined by Huiyuan could be described under the segmented system through the application of affection and consciousness as more progressed form-spirit idea beyond simple contrast for spirit and form. At this time, flow of affection is applicable reason for spirit to have form as the innate presence as well as the reason for change in all objects that it is understood as the subject to overcome for Huiyuan as presenting for non-production to inquire and nirvana to unyielding. And, the extinction of such flow, namely, the stopping of affection means to march forward to the extremity of invariability as ultimate nirvana, and it is expanded to the view of practice of empirical acquisition through the Chanting Buddha-samadhi of 『Pratyutpanna-buddha-sammukhavasthita-samadhi-sutra(般舟三昧經)』 a to Huiyuan. Therefore, this article is aimed at confirming the issue of affection, namely, flow that consistently penetrate while it introduces the Buddhism idea of Huiyuan is allocated in the middle of his form-spirit idea and view of practice, and the extinction of such flow, or so-called affection would be the ultimate point of his Buddhism idea. And, such extinction of affection (flow) would be realizable by empirical experience through the Samadhi, and it is purported to disclose the consistency with its Buddhist prayer view of practice. 불교는 기원 전후 중국에 전래된 이래로 중국 고유의 문화·사회적 구조와 사유체계에 맞게 변용을 거듭하며 토착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양상 가운데 윤회와 인과응보사상은 현실중심적 사고방식과 단멸적 인간관을 가진 당시의 중국인들에게 무엇보다도 이질적이고 생경한 사상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초기 중국 불교계는 중국 고유의 영혼 개념을 차용, 죽음 이후에도 존속하는 神의 가능성을 상정하여 보응의 주체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바 있다. 육체[形]의 소멸을 넘어 존속하는 정신[神]을 상정하는 이 神不滅 사상은 廬山 慧遠에 이르러 그 이론적 체계화를 이루었으며, 이는 윤회와 보응을 설명하는 효율적인 근거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이는 당시 배불론자들의 견해에 대항하는 호불적 논거로서, 불교가 기존의 중국사상계에 토착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틀이 되었다. 이때 혜원이 정립한 신불멸론은 神과 形의 단순한 대비를 넘는 보다 진보된 형신관으로, 情과 識 등의 작용을 통한 세분화된 기제 속에 설명된다. 여기서 情이라는 流動은 神이 形을 稟賦 받게 하는 원인이자 만물의 변화원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無生을 궁구하고 열반을 불변으로 상정한 혜원에게 있어 극복해야만 하는 대상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러한 流動의 소멸, 곧 情의 그침은 궁극적으로 열반이라는 불변의 지극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됨을 뜻하며, 이는 혜원에게 『般舟三昧經』의 염불삼매를 통한 실체적 취득의 수행관으로 확대된다. 이에 본고는 혜원의 불교사상을 개괄하는 가운데, 그를 일관되게 관통하는 流動 즉 情의 문제가 그의 형신관과 수행관의 정중앙에 안배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이 情이라 일컬어지는 流動의 소멸이 곧 그의 불교사상의 궁극점임을 살핀다. 그리고 이러한 情(流動)의 소멸이, 삼매를 통한 실제적 체득을 이야기 하는 그의 염불수행관과도 일치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