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낚시어선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낚시어선 관련자 인식도를 중심으로

        한원근,장덕종 한국해양경찰학회 2023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3 No.4

        최근 수년간 낚시 이용객과 낚시어선의 급증은 동시에 안전사고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에서는 낚시어선의 안전사고를 절감하고자 선장의 승선경력 요건과 안전요원 승선 추가 등 낚시어선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낚시어선은 다중이용 선박임에도 선박안전관리 측면에서 기준이 완화되어있는 「어선법」을 적용받고 있기에 낚시어선에 대한적극적인 안전관리를 시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낚시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실효성 있는 낚시어선 안전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낚시어선 사업진입을 현행 신고제에서 면허제로 변경하여여객선이나 유·도선 수준의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현행 낚시어선의 승선인원 산정방식을 유·도선 등의 다중이용선박에 준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박 간의 과도한 경쟁의 해결 방안으로 지역별 낚시어선 허가정수를 마련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낚시어선의 안전운영 측면에서는 선장의 휴식시간 보장을 위한 낚시어선 휴식일제 도입과 낚시 이용객들의 기본교육 시행을 제도화할 것을 제안한다. The sharp increase in fishing users and fishing boats in recent years is acting as a factor in increasing safety accidents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safety accidents on fishing boats, the government continue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of fishing boats, such as adding to the various fishing rules. However, even though the current fishing boat is a multi-use ships, there is a limit in implementing the active safety management for fishing boats because applied the「 Fishing Vessels A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ntry into the fishing boat business from the current reporting system to the license system to prepare safety standards at the level of passenger ships or excursion ship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fixed number of persons on board for general fishing boats applied to current fishing boats in accordance with multi-use ships such as guided and excursion ships. In addition, to prevent excessive competition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fishing boats,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nd operate a limited number of fishing boats permitted in each region. In terms of safe operation of fishing boat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fishing boat rest system to ensure the captain's rest time, and to make it mandatory to provide minimum basic safety education for fishing users.

      • KCI등재

        우리나라 연근해 어선도감 발간을 위한 연구

        정성재,김인옥,박창두,배봉성,김성훈,정금철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19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5 No.4

        This study describes how the illustration book of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ing boats was published. The illustration book provides information on fisheries which need boats for their fishing operation. The book contains 25 fishing boats belonging to 15 offshore fisheries and six boats belonging to five coastal fisheries totalling 31 boats belonging to 20 kinds of fisheries. Until now, no books were available in Korea on fishing boats which provided illustrated descriptions of their use in fishing. We carried out field and literature surveys of fishing boats for three years (2016-2018) and the results were compiled into three-dimensional modeling images with schematic drawings of fishing boats, along with text explanations. The particulars and technical drawings of lines, general arrangement (GA), fishing gears and methods are collected and summarized. All fishing boats are modeled with 3D color graphics. The particulars and names of the main items of the fishing equipment are presented besides structural parts. In addition the fishing gear, fishing season and grounds, number of crews and target species for each boat are correctly described. The illustration book of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ing boats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fishing techniques in Korea and will assist in developing new types of fishing boats. 우리나라의 어업기술은 연근해 어업뿐만 아니라 원양어업에서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어선의 선형과 의장품 및 구조 등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가 부족한 상황으로 업종별 어선의 형태, 어로 장비의 배치, 어구의 형태 등이 종합적으로 포함된‘어선도감’발간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었다. 어선도감 발간과 보급은 어선어업의 경쟁력 강화 및 안전조업 지원을 위하여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어선의 성능개선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어선어업이 이루어지는 어업현장에서 어선과 어구, 어로장비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어선도감 제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망라하여 어선도감 발간을 추진하였다. 본 연구는 국립수산과학원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연근해 어선의 실태조사로 제작된‘우리나라 연근해 어선도감’발간을 다루고 있다. 어선도감은 연근해 어선 20종 31척의 3차원 컬러모델링 그림, 어선의 특징과 제원 설명, 어로장비의 명칭 및 어선 내부의 구획배치, 선체와 장비 사진 및 해상조업 모식도로 구성하여 발간하였다.

      • KCI등재

        인적과실에 기인한 낚시어선 해양사고에 관한 연구

        이명규,요시모토 코지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4

        Recently, the number of fisherman using fishing boats has increased dramatically. Along with this phenomenon, marine accidents caused by fishing vessel have also increased, causing valuable lives as well as property damage. Therefore, related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Fisheries and the Korea Coast Guard have prepared and implemented various improvement measures to alleviate maritime accidents caused by fishing boats. Still, the number of large and small marine accidents caused by fishing boats has not decreased much. Therefore, it is deemed that effective measures should be designed to minimize the damage to lives, while more practical reduction measures for maritime accidents on fishing boats should be devised. Based on this problem recognition the study analyzed 44 judgments from Maritime Safety Tribunals from 2014 to 2019 classified as collisions and stranding accidents, particularly among maritime accidents involving fishing boats. The above process has shown that: First, collision and stranding accidents of fishing boats caused more than 19 percent of injuries in both types. Therefore, it has been sufficiently proven that reducing the occurrence of collision and stranding more than any other type of incident is a shortcut to reducing damage to human life on fishing boats. Second, marine accidents of fishing boats occurred largely unrelated to marine weather situations such as waves, weather, visibility, and wind force. Therefore, in considering the causes of marine accidents caused by fishing boats, the marine climate environment cannot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and so it is right to find the causes in other factors when it comes to this field. Third, human error by fishing boat operators (i.e. captains) such as negligence of look-out and improper manoeuvre served as a decisive factor in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marine accidents on fishing boats.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discover the causes of human error caused by the operator and to seek a solution. To summarize above, among the types of marine accidents on fishing boats, it is the collision and stranding that have a deep connection with human error, and the maritime weather situation is not so relevant that it should be excluded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discovery of the cause, and the collision and stranding are mainly due to the negligence of look-out and improper manoeuvre of the fishing vessel operator. In the end, the foremost measure to reduce maritime accidents by fishing boats is none other than to prevent or minimize human error caused by fishing boat operators. Based on the above problems, three measures are proposed to prevent or minimize the occurrence of maritime accidents caused by human error by fishing boat operators. First,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urrent Ship Personnel Act, the system that allows small ship operators to obtain a license to operate a small boat without any service carrier and become a captain of a fishing vessel should be fundamentally abolished. Second, in order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potential maritime accidents caused by the phenomenon of operating and fishing by the captain alone, at least 13 fishermen are allowed to board, the crew is required to perform crewmember duties to substantially assist the captain's operation, and this crew is also required to license the operator of small ships as the captain. Third, increase the time of professional training for fishing from the current four hours to eight hours and include radar education to prevent collisions and stranding accidents, among which the education is entrusted to a judge advocate with sufficient service carrier as a judge, inspector or inquiry counsel of the Maritime Safety Tribunal. 최근에 이를수록 낚시어선을 이용한 낚시인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수반하여 낚시어선에 의한 각종의 해양사고도 또한 증가하여 귀중한 인명은 물론 재산상의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 등의 관계기관에서는 그때마다 낚시어선에 의한 해양사고를 경감하기 위한 다양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또 이행해 왔다. 그럼에도 여전히 낚시어선에 의한 크고 작은 해양사고는 그다지 줄어들고 있지 아니하다. 따라서 낚시어선 해양사고의 보다 실질적인 저감 방안을 마련하되, 그 이상적인 목표는 다름 아닌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인식에 기초하여, 2014년부터 2019년까지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서 중에서 특히 낚시어선과 관련된 해양사고 중 충돌과 좌초사고로 분류되는 44건의 재결서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낚시어선의 해양사고 중 충돌과 좌초사고는 두 유형 모두에서 최소 19% 이상의 부상자를 발생시켰다. 따라서 다른 어떤 유형의 사건보다 충돌과 좌초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 곧 낚시어선 해양사고를 줄이는 지름길임이 충분히 증명되었다. 둘째, 낚시어선의 해양사고는 파고, 날씨, 시정, 풍속과 같은 해양기상 상황과는 대체로 무관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낚시어선에 의한 해양사고의 발생원인의 고찰에 있어서 해양기상 환경은 중점적인 고려대상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 관한 한 다른 요인에서 그 원인을 찾는 것이 옳다. 셋째, 경계의 소홀(태만)과 운항부적절(항법미적용)과 같은 낚시어선 운항자(즉 선장)에 의한 인적과실이 낚시어선 해양사고의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위와 같은 고찰결과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는 낚시어선 운항자의 인적과실에 기인한 충돌 및 좌초와 같이 특히 인명 피해와 관계가 깊은 해양사고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행의 「선박직원법」의 개정을 통하여 승무경력이 전혀 없이도 소형선박조종사면허를 취득하여 낚시어선 운항자가 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는 제도를 근본적으로 폐지하여야 한다. 둘째, 최소 13명 이상의 낚시인이 승선할 수 있는 낚시어선을 선장 혼자 운항, 조업하는 현상에 따른 해양사고의 잠재적 발생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장의 운항과 조업업무를 실질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선원 1명의 승무를 의무화하고 이 선원도 또한 선장처럼 소형선박조종사면허의 소지를 강제한다. 셋째, 낚시전문교육의 시간을 현행 4시간에서 8시간으로 늘리고 그 내용 중에 충돌과 좌초사고의 방지를 위한 레이다교육 및 충돌 및 좌초사고의 사례연구를 포함시키되, 그 교육은 해양안전심판원의 심판관, 조사관 또는 선장으로서의 경력이 있는 심판변론인에게 위탁한다.

      • KCI등재

        낚시어선의 안전에 관한 소고 :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을 중심으로

        이창희(Chang-Hee Lee) 한국해사법학회 2021 해사법연구 Vol.33 No.3

        낚시어선 제도는 어촌관광의 활성화 및 어가소득의 증대 등을 위하여 1995년에 만든 제도이다. 그러나 원래의 목적과는 달리 ‘낚시어선업’에만 종사하는 낚시어선이 늘어나 현재는 하나의 레저산업으로 변형되고 있다. 해양안전심판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낚시어선에서 발생한 사고는 모두 1,215건으로 나타났으며 이 기간 중 낚시어선에서 발생한 사망 실종자 수는 24명, 부상자는 120명으로 나타났다. 현재 낚시어선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는 충돌, 좌초, 전복, 침몰, 화재, 기관손상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5년에 발생한 낚시어선 전복사고 의 경우 낚시어선이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출항한 후 전복되어 승선인원 총 21명중 낚시승객 3명만 구조되고 선장을 포함한 18명은 사망 또는 실종되었다. 또한 2019년에 발생한 낚시어선의 충돌사고에서는 낚시어선이 다른 선박과 충돌한 후 전복되어 승선인원 14명 모두가 물에 빠져 한겨울 바닷물에 노출되어 5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또한 일부 선장들은 영업구역 위반 등을 숨기기 위해 의도적으로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를 꺼서 조난시 수색구조에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했다. 낚시어선은 여객선, 유선 및 도선 등과 함께 다중이용선박으로서 일반인 승객들의 안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이 매년 발행하는 재결사례집 에 실린 지난 5년간의 낚시어선 관련 사고들을 분석하여 각 원인별로 관련 사고를 방지 혹은 저감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낚시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낚시어선 선장들에 대한 “낚시어선 전문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뿐만 아니라 낚시어선의 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이나 일부 관련 법규정의 개정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charter fishing boat business was legalized in 1995 to revitalize fishing trip and to increase income of fishing village. However, contrary to its original purpose, the number of fishing boats engaged only in the “charter fishing boat business” has increased, and is now transforming into a kind of leisure industr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from the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 a total of 1,215 accidents occurred in charter fishing boats over the five years from 2016 to 2020, during which the number of deaths and missing people in charter fishing boats’ accident was 24, and 120 were injured. Currently, marine accidents occurring in charter fishing boats are appearing in various aspects such as collision, stranded, capsizing, sinking, fire, and engine damage. In the case of a capsizing accident of charter fishing boat in 2015, the fishing boat departed the port despite the heavy weather, and the boat was capsized after leaving the port, saving only 3 of the 21 fishing passengers, and 18 including the captain, were dead or missing. In 2019, a charter fishing boat collided with another ship and was capsized, causing all 14 people to fall into the water and were exposed to cold seawater in the winter, killing five people. And it wss found that some captains intentionally turned off the “Ship Location Transmitters Equipmen”(V-Pass) to hide violations of business areas, causing difficulties in searching and rescue in case of distress. Charter fishing boats, along with passenger ships, excursion ship and ferry boats, are public-use ship and need institutional devices for the safety of fishing passengers. In this study, the accidents related to charter fishing boats over the past five years includeded in the “Annual Judgement Casebook” published by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were analyzed to research measures to prevent or reduce accidents. And it was concluded that improvement of “annual professional education for charter fishing boat’s proprietors and crew” is necessary.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system or to revise som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safety of charter fishing boats.

      • 연안 낚시어선 안전사고 및 안전문제에 대한 考察

        이대행(Lee Dae Hae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18 안전문화연구 Vol.- No.2

        해상에서의 낚시어선 안전사고는 지난 2015년 9월 추자도 낚시어선(돌고래호, 9.77톤) 전복사고 이후 현재까지 해경이 일률적으로 일임을 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2017년 12월 3일 안타깝게 영흥도 낚시어선 전복사고로 15명이 사망하여 국민들로부터 낚시어선 안전사고가 최대 관심사로 집중되고 있다. 해양안전사고에 낚시어선업자와 낚시이용객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많은 교육과 계몽운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안타까운 희생자가 발생했다. 우리나라는 유난히 다른 나라에 비교해서 해상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듯하다. 그리고 늘 초동대응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 해양안전사고가 발생하면 후진국 같은 느낌마저 든다. 한국은 과연 해양안전에 관해서 후진국인가? 근대사 이후 우리나라는 짧은 현대화 과정에서 고속압축성장에 따른 안전시스템이 뒤따르지 못한 느낌도 든다. 대표적인 해양사고로 서해훼리호 침몰(1993년, 292명 사망), 서해기름유출사건(허베이스피릿, 2007년, 1만 2547 kl원유유출), 세월호침몰사고(2014년, 295명 사망), 추자도낚시어선사고(2015년, 18명 사망)에 이르기 까지 해상에서 사고가 한 번 발생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해양에서의 안전점검과 구조와 더불어 사고 후 사고에 대한 수사까지 전부 해양경찰이 담당하고 있다. 해양경찰의 임무는 굉장히 광범위하다. 대표적으로 열거하자면 해양주권수호, 해양재난안전관리, 해양교통질서, 해양범죄수사, 해양오염예방·방재와 더불어 북방한계선(NLL)의 해상경계, 특정해역에서의 우리어선의 피랍·피습 방지, 중국과 일본과의 잠정조치수역과 중간수역의 관할해역 다툼 및 불법조업어선에 대한 단속을 하는 등 강대국들의 틈에서 어렵고도 복잡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해경은 인력이 부족한 가운데에서 낚시어선의 안전점검까지 수행하고 있다. 선진국과 후진국의 차이가 있다면 과학적으로 업무를 분산하는‘분할된 안전업무시스템’이다. 현재의 시스템은 해경에게 너무 큰 짐을 지게하는 것이며, 이는 해상재난의 악순환이 될 수밖에 없다. 관계부처와 지자체는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이는 마치 풍선효과(Ballon Effect)1)와 같이 새로운 문제가 이슈화 되면 새롭게 고민해야하는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다. 현재 낚시어선에 대한 관련법「낚시 관리 및 육성법(2015.1.1.)」의 순수목적은 어민들의 소득증대를 위한 입법 취지로 상당히 좋았으나, 오히려 어민들의 소득은 증대 되지 못한 결과를 낳았다. 낚시어업으로 업태를 변경하는 낚시어선들만 증가하여 작년 기준 낚시 이용객 수가 벌써 300만 명이 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상에서 계속되는 낚시어선으로 인한 사고는 낚시어선 규제완화와 안전관리라는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낚시어선에 대한 안전책임을 거의 대부분 해양경찰에 모두 맡기는 것이 과연 현실적인가? 라는 의문으로 시작하여 낚시어선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대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Fishing boats on the sea have been on a steady basis since September 2015, following the collapse of a fishing boat (dolphin ho ship, 9.77 tons), and on December 3, 2017, Fifteen people have died and fishing accidents have been the focus of attention from the public people. In spite of the many training and enlightenment campaigns for fishermen and fishing enthusiasts in the marine safety accident, there was another sad victim. Korea seems to have a lot of maritime accident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it seems that there is always a problem in the first responding. If a marine safety accident happens, it feels like a backward country. Korea is indeed a backward country in terms of maritime safety? After the modern history, Korea seems to have failed to follow the safety system due to the rapid compression growth during the short modernization process. West Sea Ferry sinks(1993, 292 deaths), West Sea oil spill incident (Hebei Spirit, 2007, 12,547kl crude oil spill), Sewol Ho sinking accident (2014, 295deaths), fishing boats Accidents (2015, 18 deaths), if an accident occurs at sea, it leads to a major accident. Currently, Korea Coast Guard are in charge of safety inspection and rescue, as well as investigation of accidents after an accident. The mission of Korea Coast Guard is very broad. For example, the maritime boundary, NLL maritime border, prevention of fishing and abduction of our fishing vessels in specific areas, prevention of maritime disasters, maritime traffic regulation, ocean crime investigation, marine pollution prevention and disaster prevention, And interfering with the provisional waters of Japan and the jurisdiction of the intermediate waters and cracking down on illegal fishing boats. Korea Coast Guard are not enough officer to work. Nevertheles also conducting safety checks on fishing boats.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dvanced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it is a divided safety work system that distributes tasks scientifically. The current system is a burden to the Korea Coast Guard, which is a vicious cycle of marine disaster. Relevant departments and municipalities should be seriously concerned. This is a repetition of the difficulty of having to worry about new issues as new problems are brought up like balloon effects. The net purpose of the Act on Fishing Management and Upbringing(2015.1.1.), Which is the current law on fishing boats, was quite good as a legislative motive for increasing income of fishermen, but the income of fishermen was not increased. The number of fishing boats that have changed their status as fishing boats h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fishing passengers has already exceeded 3 million as of last year. In this process, the accident caused by the fishing boats continuing from the sea has been a tugging tighter of fishing boats deregulation and safety management. Is it realistic to leave almost all Korea Coast Guard responsibility for safety of fishing boats? Starting with these questions, we proposed measures to recognize and solv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fishing boats.

      • KCI등재

        낚시어선 사고 예방을 위한 해양경찰학적 대응방안

        김종오 한국해양경찰학회 2018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ctual conditions of fishing boats and grope Maritime Police's role for the accident protections. People said that their hobby is fishing get ahead of climbing which last on the first class of hobby in Korea, the fisherman is over 7 million persons and the user of fishing boats is 3.43 million persons in 2017, that is about half of fisherman utilize the fishing boats. The related business as increasing fisherman enjoy prosperous condition, but side effect is presented, illegal act and fishing boat accident broke out and the accident in the sea often showed badly damage. After that time the sinking accident of MV Sewol ferry, Maritime Police Agency is reorganized to Maritime Guard Safety Headquarters(Korea Coast Guard), and the fishing boat accident as the ship name of ‘Dolgorae(the meaning of dolphin)' and ‘Sunchang No. 1' occurred and cause the great sacrifice of life, and the Maritime Police's confrontation is criticized not to be conscientious. In the Law of Fishing Management and Upbringing, there are contents of fishing boat management and the base self government such as city, county, ward have authorities to administrate. Maritime Police have primary responsibilities to prevent of accident and to keep order maintenance in the sea, the cause of fishing boat accident are 95% such as poor maintenance, running carelessness, and the priority of enactments violation was mostly thedisobedience basic safety rules such as not wearing life jacket. Institutional inertia and strict law execution should be supplied, if the basic management of departure and entry in port is accomplished, the fishing boat accident could decrease, because maritime policeman can examine the primary point. Besides,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need to be grant in the field, the manual of crisis correspondence should be developed suitable the maritime situation, and circumstantial training could be achieved to go experience at first hand. To solve danger insensibility, captain and fisherman on the fishing boat need to fulfill the basic safe rules. 이 연구의 목적은 낚시어선 사고의 실태분석과 사고예방을 위한 해양경찰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취미가 낚시라고 응답한 사람이 등산을 제치고 1 위를 차지하였고 2017년 기준으로 700만 명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중에서 낚시어선 이용객 수는 343만 명으로 나타나 낚시 인구 중에서 약 절반 정도는 낚시어선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낚시인구의 증가에 따라 관련 산업은 호황을 누리지만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낚시어선 관련 불법행위와 사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에서의 사고는 커다란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세월호 사고 이후 해양경찰 조직이 해양경비안전본부로 전환되었으며 돌고래호와선창1호의 낚시어선 사고가 발생하여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하였고 대응과정에서 해양경찰의 조치가 부실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문재인 정부 들어 2017년 7월 26일해양경찰청으로 부활되었다. 「낚시관리 및 육성법」에서 낚시어선의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주로시군구의 관리․감독영역이 많다. 그러나 해양경찰은 해양에서 발생하는 사고예방과 질서유지에 일차적 책임이 있다. 낚시어선 사고 원인은 정비불량과 운행부주의가 95%를 넘고, 법규위반 사항은 구명조끼 미착용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 위반이 대부분이다. 관련법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엄정한 법집행을 해야 하며, 항․포구에서 낚시어선의 입출항 관리만 제대로 해도 기본적인 사항을 점검할 수 있어 사고예방에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장에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고 해상상황에 맞는 위기대응 매뉴얼을 개발하여 상황훈련을 체험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위험불감증 해소를위해 선장과 승객 모두 기본수칙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해상집행기관의 불법조업 중국어선에 대한 단속의 실효성 향상 방안 연구

        정봉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17 水産海洋敎育硏究 Vol.29 No.6

        China and Japan are neighboring countries. The narrow wat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divided into territorial waters and exclusive economic waters, middle waters and common waters, etc. and It has created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and fishing boats in each country are engaged in fishing in the waters designated by the fishery agreement. However, a great number of chinese fishing boats have moved beyond the fishery agreement area and have searched for a school of fish to the coast of Korea, which is relatively rich in fisheries resources. Many chinese fishing boats are engaged in illegal fishing in the Korean waters based on the Korea-China fishery agreement, exploring the Maritime Enforcement Organization(MEO)'s border activities and illegal fishing in the territorial waters. Therefore, the MEO conduct illegal fishing, inspection and search suspicious chinese boats, illegally and violate marine boats, and MEO strongly regulate, supervise and supervise illegal fishing chinese boat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National Fisheries Supervision(NFS) and the Korea Coast Guard(KCG) when checking and retrieving ships and traps. This is the application of law to the illegal fishing chinese boats, the inspection and retrieval system and the corresponding procedu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the NFS also has a judicial police right, so I would like to apply a lot of laws to the KCG. in addition, the KCG also wishes to broaden the scope of the Maritime Security Law and the application of the Fisheries Law.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detailed plan and trained execution instructions for various situations through integrating and revising the basic rules of inspection and search of MEO. Third, prompt and active response procedures are required under the command of the field commander for illegal chinese fishing boats and then drastic maritime enforcement must be achieved. Fourth, in order to monitor and supervise the wide area and numerous illegal fishing chinese boats, I think it is very necessary to provide material support such as marine police ship & fisheries control ship and personnel support to control and manage them. Fifth, sin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aws of foreign boats illegally operating again, it is urgently required to prepare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with the interest and efforts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legislatures.

      • KCI등재

        어선 선장의 직무상 과실의 범위에 관한 연구 - 선원사고와 관련된 해심의 재결사례를 중심으로 -

        임석원 대한변호사협회 202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9

        어선선장은 어선의 총 책임자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선장으로서 선원법과 해사안전법 및 선박직원법상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의무를 수행해야 하고 이러한 선장의 권한과 선원에 대한 인명구조의무는 강행법규로서 해사공법에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장의 선원의 인명구조의무의 위반과 관련한 해양안전심판원의 행정벌인 선장의 선원의 부상 및 사망사고와 관련한 선장의 직무상 과실의 인정과 그 범위에 관하여 객관적으로 상황에 따라서 판단해야 한다는 추상적인 기준이 있을 뿐이고, 구체적인 해석의 기준이 없어서 선장의 직무상 과실을 인정함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장의 선원구조의무에 대한 해석상의 기준을 잡아보았다. 어선선원의 부상 및 사망사고와 관련한 어선 선장의 직무상 과실범위에 대하여 해석론을 전개하면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하여 판단해야 한다. 우선 어선선장의 직무상 과실에 의한 과실 책임을 묻고 징계하기 위해서는 귀책사유인 결과예견의무와 결과회피의무로 이루어져 있는 직무상 과실이 있어야 하고, 선원의 부상 혹은 사망사고가 선장의 직무상 과실로 인하여 발생하는 양자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선장의 직무상 과실로 인하여 선원의 사망 및 부상이라는 결과가 실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전제로 하되, 실무에서 선원의 사망 및 부상사고가 있으면 선장의 직무상 과실이 추정된다는 점을 인지하면서, 구체적인 직무상 과실의 범위에 대한 해석을 시도해 보았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선원의 사망 및 부상과 선장의 직무상과실의 인과관계는 통상의 경험칙을 기준으로 하는 확률론으로서 해석하는 상당인과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인과관계 유무를 판단한다. 두 번째로, 어선의 수평적 분업의 특징에 의한 어로작업의 특성상 신뢰의 원칙이 적용되어 어선 선장의 직무상 과실이 배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물론 이러한 신뢰의 원칙을 깨트릴 수 있는 사정의 존재, 즉 특수한 사정이나 상황이 판명된 경우임에도 부작위로 일관한 경우는 선장의 직무상 과실을 인정해야 한다. 대상 재결사례에 대한 해석론은 목포해심의 경우는 선장의 직무상 과실이 배제될 가능성이 있고, 부산해심의 경우는 신뢰의 원칙이 깨어짐으로서 선장의 직무상 과실이 인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인천해심의 경우는 역시 신뢰의 원칙에 의거하여 선장의 직무상 과실이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 This study is about range of work negligence of the captain of fishing boat. The captain of fishing boat is the general manager of ship. Therefore, basically, the captain must perform all duties based on seafarers law and maritime safety law, ship officers law. And these duties as both life saving duty and mandatory law are legislated on maritime public law. However, this acceptance of work negligence of fishing boat captain and the scope in relation to life saving duty has only ambiguous standard, deciding by circumstances (case by case), no logical and detailed standards. This study show the standard of interpretation in terms of acceptance of work negligence of fishing boat captain. There must be both the work negligence which consist of both consequence foresight duty and evasion duty, and causation between death or injury of fishing boat seamen and negligence. Also, death or injury of seamen should be caused due to this work negligence. Recognizing predicting work negligence in case of death or injury of seamen if there are these conditions, I did my best to discover the standard of interpretation in terms of work negligence of fishing boat captain. The result are as follows : First, causation between work negligence of captain and death or injury of fishing boat seamen as a probability theory based on ordinary empirical rules, must be decided by adequate causation theory. Second, according to the fishing work trait of the horizontal division of work in fishing boat there is possibility for fishing boat captain to escape from work negligence due to principle of trust. Obviously, in case of special circumstances, for example, cases of application of broken principle of trust, if, despite these special circumstances, the fishing boat captain continues to act by omission, we cannot help accepting the work negligence of fishing boat captain.

      • KCI등재후보

        불법조업 중국어선 단속에 대한 고찰 : NLL인근수역과 한강하구를 중심으로

        고명석 한국해양경찰학회 2016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6 No.3

        그동안 전통적인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해역은 EEZ와 NLL인근수역에서 이루어졌 다. 그러나 최근 서해 한강하구 중립수역에 진입한 중국어선 불법조업이 크게 문제 되고 있다. NLL인근수역에서 남북한을 넘나들며 불법으로 조업하던 중국어선이 유 엔사 군정위가 관리하는 한강하구 중립수역까지 진출한 것이다. 이에 정부는 민정경 찰(Military Police)을 구성하여 단속활동을 벌이고 있다. NLL인근수역 불법조업 중국어선은 여타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력․집단성이 강하고 불법조업 문제가 남북한 안보문제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한강하구는 유엔사 군정위가 관리하는 중립수역으로서 이 수역의 불법조업은 영해나 배타적 경 제수역에 적용되는 법령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해역을 NLL인근수역과 한강하구 중립수역으로 나누었다. 먼저 NLL의 연혁과 법적 성격을 알아보고 NLL인근수역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어선 의 불법조업에 대한 단속 근거를 찾아보았다. NLL은 1953년 해상 무력충돌 예방을 목적으로 유엔사에서 아군 해․공군의 군사활동 한계선을 일방적으로 설정한 것이 기원이다. NLL의 법적 성격은 군사목적을 위한 해상경계선에 불과하며 인근 수역을 영해로 보기는 어렵다. NLL인근수역 불법조업에 대해서는 서해 5도 영해 안쪽에서 불법 조업한 경우 영해 및 접속수역법을 적용하고, 특정금지구역에서 불법 조업한 경우 EEZ어업법을 적용한다. 또한, 유엔사가 관리하는 한강하구 중립수역의 탄생배경과 법적 성격을 알아보고, 동 해역에서 불법조업 중국어선에 대한 관할권 문제와 적용 법조에 대해 검토해 보 았다. 한강하구는 서해에서 한강으로 연결되는 수로로서 해상경계선인 NLL이 없고 관할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없다. 한강하구의 법적 성격과 관련하여 영해 및 접속수 역법에 영해기점이 없는 현행법상 이 곳을 영해로 볼 수는 없다. 현재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통상기선 방식, 직선기선 방식 중 어느 방식에 의하더라도 중국어선 조업 지는 우리나라 내수에 속한다고 하겠다. 이 해역에서 중국어선 불법조업이라는 평시 적 행위에 대한 행정적인 관할권은 우리나라가 가지며 국내법이 적용된다. 동 해역 에서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수산업법을 적용하여 처벌할 수 있다. 한강하구 불법 중 국어선 근절을 위해서는 기동전단 운영, 서해5도 해경서 신설 등 단속을 강화하는 한편, 요녕성 지방정부와 협력강화, 북한과의 공동 단속 및 단속공무원 사기진작 등 이 필요하다. To date, illegal fishing by Chinese fishing boats has conventionally been conducted in the waters near EEZ and NLL. However, recently, the illegal fishing is being conducted in the Han River estuary in Yellow Sea, causing a big problem. Chinese fishing boats are now expanding their illegal fishing grounds from the NLL area bordering South and North Korea into the Han River estuary, neutral waters, which is controlled by the UNC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Thus, the South Korea government has organized military police to crack down on illegal fishing by chinese fishing boats. The illegal Chinese fishing boats near NLL are more violent and collective compared to other waters, and their illegal fishing issue is likely to expand into the South-North security issue. Because the Han River estuary, which is neutral waters is controlled by UNC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it is limited to apply the laws applicable to territorial waters or EEZ to such illegal fishing. This study divided the research waters into NLL and the neutral Han River estuary. First, NLL was examined in terms of its history and legal characteristics. And the legal grounds for crackdowns on illegal fishing by Chinese boats at NLL were surveyed. NLL was originally established arbitrarily by UNC in 1953 as the military limit line for our navy and air forces activities to prevent marine military collisions. For the legal nature of NLL, it is only a marine border line for military purposes, and is hard to consider as part of territorial waters. Regarding the illegal fishing in NLL waters, the Territorial Sea and Contiguous Zone Act is applied to illegal fishing within the territorial waters of the five islands in Yellow Sea, while applying the EEZ Fishing Act to illegal fishing in the special banning zone. In addition, the neutral Han River estuary waters, controlled by UNC, was surveyed in terms of its creation background and legal nature. The jurisdiction over illegal Chinese fishing boats in these waters and applicable laws were examined. The Han River estuary, a waterway connecting Yellow Sea to Han River, has no marine limit line, NLL, and no clear jurisdiction division. For the legal nature of Han River estuary, this zone cannot be regarded as part of territorial waters under the current Territorial Sea and Contiguous Zone Act which does not set forth the starting point of territorial waters. By any of the currently internationally acknowledged methods - cordon line, normal base line, and straight base line -, the fishing grounds intruded by the illegal Chinese fishing boats belong to South Korea's inner waters. Thus, South Korea has jurisdiction over the usual-time act of illegal fishing by Chinese fishing boats in these waters, which is subject to the domestic laws. Illegal acts in these waters are punishable by the Fishing Industry Act. In order to root out illegal Chinese fishing boats in the Han River estuary, strengthened operation of maneuver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ast guard station in the five islands in Yellow Sea are necessary. On the other hand, enhancing mutual cooperation with the Chinese local government, Liaoning Province and cooperative supervision with North Korea are required. Boosting morale of civil officials in charge of the crackdowns is of importance as well.

      • KCI등재

        국내어선 타면적비 설계현황 분석연구

        김민룡,우동한,임남균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2

        우리나라에 등록 된 선박은 2019년 기준 전체 97,623척이다. 그 중 어선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67%로 65,835척이 등록되어 있다. 어선의 비율만큼이나 해양사고의 빈도수도 높다. 2020년 기준 전체 사고 3,535건 중 2,331건이 어선에서 발생했다. 즉 국내어선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여러 제도적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선의 안전향상을 위한 다양한 부분 중에서 어선과 관련된 국내외 조종성능에 대한 국내외 평가 규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상선에 비하여 설계 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어선의 타면적 설계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조업 중인 153척의 어선 타면적 비율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의 어선이 국제적 기준에 미달하여 타면적을 설계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향후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국내 어선의 조종성능 향상을 위한 타면적 설계 기준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 total of 97,623 ships were registered in Korea in 2019. Among these, 65,835 vessel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67% of the total number of ships, were registered as fishing vessels. As with the proportion of fishing vessels, the frequency of marine accidents is also high. In 2020, 2,331 of 3,535 accidents occurred on fishing vessels. Hence, variou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re required for improving the safety of domestic fishing vessels. In this study, we examin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domestic and foreign control performance related to fishing boat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fishing boats. Additionally, the ratio of the rudder area of 153 fishing boats operating in Korea was investiga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rudder area design of fishing boats whose design standards have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compared to fishing boats. Resultantly, we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most fishing boats were designing rudder areas because they did not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future, these analysis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rudder area design standards for improving the maneuvering performance of domestic fishing bo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