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축제의 잠재적 관객개발을 위한 메타버스 축제 특성에 관한 연구

        전윤경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7 No.-

        The festival industry is in crisis due to the recent transition to a "non-face-to-face society." Therefore, in this study, 'possibility' was found in festivals using 'metaverse', a digital technology useful for the composition of 'non-face-to-face society'. In particular, the Metaverse Festival can b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festival industry to a new market.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ustralia's "Splendor," which held the world's first metaverse music festival by implementing all the composition of the music festival on "metaverse". For the case study, we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music festival are applied to the components of the metaverse, focusing on the festival audience experience along with the composition of the festival. Through this, we intend to explore the potential audienc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Jeju festival industry. As a result of the study, "Splendor" is evaluated as an example of an appropriate fu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viewers of the "Music Festiv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In particular,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potential audience" by expanding the real festival to the virtual world beyond the "representative experience" to the audience-viewer. In conclusion,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mportant when planning the metaverse festival are as follows. 1)Plan a festival tha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where "interactive," "action subjectivity," "real-time," "presentness," and "economy" appear, 2) create an economic structure that satisfies all participants-related parties, artists, and organizers. 3) enjoy today's digital culture. 최근 ‘비대면사회’로의 전환으로 축제산업이 위기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사 회’ 구성에 유용한 디지털기술인 ‘메타버스’를 활용한 축제로부터 ‘가능성’을 발견하였 다. 특히 ‘메타버스’ 축제는 축제산업을 새로운 시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축제의 모든 구성을 ‘메타버스’에 구현하여 세계 최초로 메타버스 음악축제를 개최한 호주의 ‘Splendor’에 주목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해 축제의 구성과 함께 축제 관객경험을 중심으로 기존 음악축제의 특징이 메타버스의 구성 요소에 적용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제주축제산업의 잠재적 관객개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Splendor’는 ‘음악축제’의 관객-관람객의 특징과 ‘메타버스’의 특징 요소를 적절히 융합한 사례로 평가된다. 특히 관객-관람객에게 ‘대리경험’을 넘어 실제 축제를 가상세계에 확장시키며 ‘잠재적 관객’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메타버스’ 축제 기획시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요인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상호작용성’ ‘행위주체성’ ‘몰입성’ ‘실시간성’ ‘현전성’ ‘경제성’이 나타나는 메타 버스의 특징을 이해하고 메타버스 구성요소에 각각의 축제가 지닌 ‘고유성’을 적용한 축제 기획, 2)축제의 모든 참여자-관계자, 아티스트, 관객, 주최측 등-에게 만족을 줄수 있는 경제구조 조성, 3)축제를 향유하는 관객과 디지털문화경험에 익숙한 오늘날 관객의 특성을 함께 고려한 기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