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형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 시 나선 칼날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김성태(Seong-Tae Kim),김범수(Bum-Soo Kim),신승엽(Seungyup Shin),박진규(Jinkyu Park),선형민(Hyung Min S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9 No.2

        목적: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치료한 전자간 골절 환자에 대하여 수술 후 나선 칼날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1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전자간 골절에 대하여 제2형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수술 받은 1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나선 칼날의 활강 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환자의 성별, 나이, 금속정의 경간각, 후내측 골편의 개수와 가로 길이, 정상 측 고관절 골다공증 정도, 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분류법, 첨단 정점 거리, 나선 나사날의 대퇴 골두에서의 위치, 근위 골편이 원위 대퇴골의 골수강내 감입되도록 골절 정복이 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활강 정도를 조사하여 나선 나사날 활강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무엇인지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후내측 골편의 가로 길이, 골절의 정복상태가 수술 후 나선 칼날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자간 골절의 수술 후 나선 칼날의 과도한 활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근위 골편의 원위 골편의 골수강내 감입 상태로의 정복을 피하여야 하며 후내측 골편의 가로 길이가 큰 경우 골편을 고정하거나 재활 시에 체중 부하를 늦게 시키는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after surgery with the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II (PFNA II)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7 and January 2022, the degree of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was measured in 178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with PFNA II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Sever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the patients sex, age, neck shaft angle of the nail, number and horizontal length of the posteromedial bone fragment, degree of osteoporosis in the normal hip, 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classification, tip apex distance, position of the spiral blade in the femoral head, and the reduction status of whether the proximal bone fragment had been adequately reduced into the intramedullary canal of the distal femur. These facto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o determine their impact on th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Results: The transverse size of the bone fragment and the reduction state of the frac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after surgery. Conclusion: Inadequate reduction of the proximal bone fragment inside the distal intramedullary cavity must be avoided to prevent excessiv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follow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 surgery. In addition, in cases where the transverse size of the posteromedial bone fragment is substantia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ither fixing the posteromedial fragment or delaying weightbearing during rehabilitation.

      • KCI등재

        ITST 골수강내 정을 이용한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서 대전자부 분쇄 유무에 따른 치료 결과 비교

        송경섭 ( Kyung Sub Song ),이상호 ( Sang Ho Lee ),정성훈 ( Seong Hun Jeong ),이수건 ( Su Keon Lee ),홍성하 ( Sung Ha Hong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1

        목적: 골수강내 정을 이용한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 시 대전자부 분쇄 유무에 따른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ITST 골수강내 정으로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치료받고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210예 중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대전자부 분쇄(골절선이 두 개 이상)가 있는 군(88예), 없는 군(122예)으로 나누어 이 두 군의 치료 결과를 임상적 그리고 방사선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시기는 분쇄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각각 15.2주, 14.7주가 걸렸고 지연 나사의 활강은 각각 8.8 mm, 7.2 mm였다. 대퇴골 경간각 변화는 각각 4.2o, 4.1o로 측정되었고 첨단-정점 거리는 각각 17.4 mm, 16.4 mm였다. 합병증은 두 군 모두 4예였다. 임상적 결과로 Skovron 기능적 회복 지수 평가표에서 두 군 간에 73.7%, 76.5%로 유사한 하락을 보였다. 방사선 및 임상적 결과에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대전자부 분쇄 유무는 ITST 골수강내 정을 이용한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서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urpose: To evaluate whether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of treatment with intertrochanteric/subtrochanteric (ITST) nail o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are combined with comminution of the greater trochanter or not.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results on 210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grouped 88 patients with comminution of greater trochanter [GT] and 122 patients without comminution of GT) treated with ITST nail from January 2007 to October 2011, which was to be followed-up for more than 12 months. Results: The mean union time was 15.2 weeks in the study group (combined with comminution of GT). The mean union time was 14.7 weeks in control group (no comminution of GT). The lag screw sliding was 8.7 mm in the study group and 7.2 mm in the control group. Changes of neck-shaft angle was 4.2o in study group and 4.1o in control group. Tip-apex distance was 17.4 mm in study group and 16.4 mm in control group. The complications were 4 cases in each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linical results checked by Skovron recovery scores decreased similarly in both groups, 73.7% in study group and 76.5% in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s according to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Conclusion: The comminution of great trochanter does not affect on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when using the ITST nail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 KCI등재

        Dyna Locking Trochanter (DLT)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

        김용식 ( Yong Sik Kim ),윤재웅 ( Jae Woong Yoon ),한석구 ( Suk Ku Han ) 대한고관절학회 2010 Hip and Pelvis Vol.22 No.3

        목적: DLT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 전자간 골절 치료 후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관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DLT 금속정을 이용하여 수술한 대퇴 전자간 골절환자 43명 중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6명(남자 10예, 여자 26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76.4세 (65~90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13.4개월(9~21개월)이었다. 최종 방사선 추시상 대퇴 경간각과 지연나사의 활강거리, 술 중 합병증, 수술 경과시간, 술 후 실혈량, 및 고정실패 빈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대퇴 경간각은 평균 131.1˚, 지연나사의 활강거리는 평균 3.6 mm이었으며 원위 교합나사 삽입과정 및 금속정 삽입 과정 중 각각 1예(총 2 예, 5.6%)에서 대퇴간부 골절이 발생하였고 대퇴 경부 스트레스성 골절이 1예 발생하였다. 1예에서 심부감염이 발생하여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1예에서 내반변형이 관찰되어 총 2예(5.6%)에서 고정실패가 발생하였다. 결론: DLT 금속정을 이용한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 치료에서 만족할 만한 방사선적 결과 및 고정실패 빈도가 관찰되어 유용한 내고정물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using a Dyna locking trochanteric (DLT) nail.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8 to February 2009, 36 patients (10 males and 26 females) who had at least 6 months follow-up among 43 patients were included in our study.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76.4 years (range: 65~90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3.4 months (range: 9~21 months). We evaluated the radiological results such as the neck-shaft angle and the sliding length of the lag screw at last follow-up and the clinical results such as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the operation time, the postoperative blood loss and the incidence of fixation failure. Results: The average neck-shaft angle at last follow-up was 131.1 degrees and the average sliding length of lag screw was 3.6 mm. Two cases (5.6%) of femoral shaft fracture during the insertion of a lag screw or nail happened and one case of stress fracture of the femoral neck occurred. Two cases of fixation failure developed due to deep infection or varus angulation. Conclusion: Fixation using a DLT nail can be a good option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 KCI등재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

        김종원 ( Jong Won Kim ),박현수 ( Hyun Soo Park ),장영수 ( Young Soo Jang ),최재혁 ( Jae Hyuk Choi ),배성주 ( Sung Ju Bae ),배찬일 ( Chan Il Bae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4

        목 적: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 전자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5월부터 2010년 8월까지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하여 고정한 환자 41예를 대상으로 수술시간, 출혈량, 보행능력의 회복정도, T-score, tip apex distance (TAD), Blade의 활강거리, 대퇴 경간각 및 합병증 등을 평가하였다. 결 과: 수술 시간은 평균 51분이었으며, 출혈량은 평균 350 ml였다. 술 후 평균 7.2일에 보행기를 이용한 보행이 가능하였고, 32예(79%)에서 수상 전 보행 상태를 회복할 수 있었다. 평균 T-score는 -3.3이었으며, TAD는 평균 12.3 mm (8.6∼27 mm)였다. 35예(85%)에서 만족할 만한 골절 정복을 얻을 수 있었다. Blade의 평균 활강은 3.3 mm였으며, 대퇴 경간각은 평균 2.6도 내반 전위를 보였다. 1예에서 결핵균 감염으로 인한 불유합이 발생하였다. 결 론: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수술법은 수술 시간이 짧고 술 후 환자의 보행 능력이 양호하며 합병증도 적어 유용한 치료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treat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 with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PFNA on 41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patients from May 2008, to August 2010. We analyzed the operation time, blood loss, recovery of ambulatory function, T-score, the tip apex distance (TAD), the sliding distance of the blade, neck-shaft angle,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51 minutes and the mean amount of blood loss was 350 ml. The time to ambulation averaged 7.2 days. Thirty-two cases (79%) recovered their previous walking status at 6 months after operation. The average T-score was 3.3 and TAD was 12.3 mm (8.6∼27 mm). 35 cases (87%) achieved acceptable reduction. The average amount of PFNA blade sliding was 3.3 mm. The neck-shaft angle was changed 2.6 degrees varus displacement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as one case of nonunion due to tuberculosis infe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PFNA is a useful and reliable choice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 KCI등재

        짧은 측면 금속판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

        김종관 ( Chong Kwan Kim ),진진우 ( Jin Woo Jin ),정성원 ( Sung Won Jung ),곽완섭 ( Wan Sub Kwak ),조제일 ( Jae Il Jo ),김우식 ( Woo Sik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3

        목적: 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2공 측면 금속판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하여 내고정 후 그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 중 8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공 측면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25예를 제1군, 4공 측면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21예를 제2군으로 비교하였다. 평균연령은 70세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13개월이었다. 수술 시간, 피부 절개 길이, 출혈량, 골유합 시기,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와 대퇴골 경간각 변화 및 보행능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제1군에서 평균 50분으로 더 짧았고, 출혈량도 제1군에서 짧았다 (p<0.01). 골유합 시기는 평균 13주로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불유합은 없었다.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는 두 군에서 평균 4.9 mm였다. 보행능력 평가는 Parker와 Palmer의 mobility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수상 전 평균 8.0점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7.2점이었다. 결론: 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2공 측면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식은 기존의 4공 측면 압박 고 나사에 비해 작은 피부 절개, 짧은 수술 시간, 적은 출혈량, 만족스러운 골유합 및 수술 후 환자의 보행 기능의 평가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고위험군 환자에서 유용한 내고정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 2 holes side plate dynamic hip screw for the treatment of 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September 2004, 46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were treated with 2 hole side plate dynamic hip screw (Group 1, 25 cases) or 4 hole side plate dynamic hip screw (Group 2, 21 cases). The mean age of the patient was 70 years, with a mean follow-up duration of 13 months. The time for operation, surgical incision length, blood loss, time for union, the sliding distance, change in the femoral neck-shaft angle and patient`s walking ability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operation time and mean incision length were shortened, and mean blood loss was decreased in Group 1 (p<0.0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union time, the mean change in the femoral neck-shaft angle and the mean sliding distance of the lag screw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mobility score of the Parker and Palmer was 8.0 points before the fracture and 7.2 points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Two-hole side plate dynamic hip screw is a useful device, in terms of the operation time, morbidity of operation site, satisfactory union rate and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tient in treatment of elderly patients with 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 KCI등재

        OTA A2형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활강 고 나사를 이용한 치료 - 위험 인자 분석 -

        이상훈 ( Sang Hoon Lee ),라종득 ( Jong Deuk Rha ),박현수 ( Hyun Soo Park ),장영수 ( Young Soo Jang ),정태원 ( Tae Won Chung ),김경훈 ( Kyung Hoon Kim ),이병훈 ( Byung Hoon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5

        목적: OTA A2형 전자간 골절에서 활강 고 나사를 이용한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고정 실패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OTA A2형의 대퇴 전자간 골절을 활강 고 나사를 이용해 수술한 72예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3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소전자부 골편의 정복 여부와 외측 지지대(lateral buttress)의 안정성 여부에 대한 대퇴 경간각의 변화, 활강 거리, 골두내 침범 거리 및 고정 실패 여부, 합병증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53예 중 소전자부 골편을 정복하지 못한 경우는 15예(28.3%)였으며, 외측 지지대의 안정성이 소실된 경우는 35예(66.0%)였다. 고정 실패는 총 8예(15.1%)에서 발생하였으며, 골두 천공이 3예, 금속판의 파절이 1예, 과도한 활강이 4예 있었다. 소전자부 골편의 정복 여부와 외측 지지대의 안정성 여부에 대하여 대퇴 경간각의 변화, 활강 거리, 골두내 침범거리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OTA A2형 대퇴 전자부 골절의 치료시 활강 고 나사를 이용할 경우 고정 실패를 줄이기 위해 소전자부 골편의 정복과 외측 지지대의 안정성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failure of fixation and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after operation with using a sliding hip screw for treating OTA type A2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June 2005,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and the serial radiographs of 53 patients (OTA type A2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who were treated with a 135-degree angled sliding hip screw. We analyzed the change in the neck-shaft angle, the sliding distance and failure of the sliding screw,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lesser trochanteric fragment and the stability of the lateral buttress. Results: Among 53 patients, there were 15 cases (28.3%) of failures to reduce the lesser trochanteric fragment. Losses of the lateral buttress were observed in 35 cases (66.0%). There were 8 cases (15.1%, 8/15) that failed radiologically, including cutting out of the sliding hip screw from a femoral head (3 cases), metal failure (1 case) and excessive sliding (4 case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for the changes of the angle of the neck-shaft, the distance of sliding and the length of penetration of the sliding hip screw,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lesser trochanteric fragment and the stability of the lateral buttress.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eduction of the lesser trochanteric fragment and the stability of lateral buttress when treating OTA type A2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using a sliding hip screw.

      • KCI등재

        ITST 골수강내 정을 이용한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전통적 및 최소 절개 술식의 비교

        김세동 ( Se Dong Kim ),손욱진 ( Oog Jin Sohn ),조재호 ( Jae Ho Cho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게 ITST 골수강내 정을 이용하여 전통적 절개 술식과 최소 절개 술식을 시행한 환자군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06년 7월까지 ITST 골수강내 정으로 대퇴 전자간 골절을 치료받은 환자 중 최소 절개 술식과 전통적 절개 술식을 사용한 각각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 간 수술 시간 및 수혈량, 술 후 VAS 점수를 비교하였다. 방사선적 결과는 정기적으로 시행한 방사선 촬영을 분석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Parker와 Palmer의 보행 점수와 Salvati와 Wilson의 고관절 기능 점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은 전통적 술식에서 87.8분, 최소 절개 술식에서 40.3분이었으며 평균 수혈량은 각각 2.0 pints, 1.1 pints였고 술 후 VAS 점수는 4.2, 3.3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방사선적 결과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상적 결과로 Parker와 Palmer의 보행 점수와 Salvati와 Wilson의 고관절 기능 점수의 하락은 두 군에서 서로 유사하였다. 결론: ITST 골수강내 정으로 대퇴 전자간 골절을 치료 받은 환자에서 전통적 절개 술식에 비해 최소 절개 술식을 시행한 경우 평균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실혈량, 초기 술 후 통증에 대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graphic, clinical results between who had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eated with ITST with a standard or a mini-incision.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each 20 patien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hich were treated with ITST with a standard incision or a mini-incision from June 2004 to July 2006. We compared of mean operative time, transfusion doses and postoperative VAS score between two groups. We evaluated the radiographic results by follow-up radiography and the clinical results with the mobility score of Parker and Palmer and Salvati and Wilson hip function scoring system. Results: Mean operative time, transfusion doses and postoperative VAS score were significantly less in the mini-incision there were 87.8 min., 2.0 pints and 4.2 for the standard group versus 40.3 min., 1.1 pints and 3.3 for the mini group. The radiographic resul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crease of mobility score of Parker and Palmer and Salvati and Wilson hip function scoring system were similar. Conclusion: Mini-incision significantly reduces operative time, transfusion doses and postoperative pain for fixation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eated with ITST.

      • KCI등재

        단 배럴 압박 고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이용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

        김동옥(Dong Ok Kim),정종훈(Jong Hun Jung),윤강섭(Kang Sup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2

        목적: 대퇴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 치료에서 사용된 입박 고니시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대퇴 전자간 불연정성 골절에 대해 임박 고나사에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사용하고 선택적으로 추가적 나사나 강선을 사용한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8개월(범위, 6-61개월)이었고, 골절의 형태는 Jensen 분류를 사용하였다. 후향적으로 골유합, 지연 나사의 활강 거리, 기구고정의 실패 및 임상적 실패의 발생률과 고관절 기능 회복을 평가하였다. 결과: 방사선적 골유합은 평균 16.2주에 얻을 수 있었고, 지연 나사의 활강 거리는 평균8.4㎜이었다. 121에 중 119예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2예의 불유합이 있었다. 5예에서 기구 고정의 실패가 있었고, 8예에서 임상적 실패 소견이 있었다. 94예(78%)에서 수술 전의 보행 능력을 회복하였다. 결론: 대퇴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에서 추가적으로 사용한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은 기구고정의 실패나 과도한 지연 나사의 활강의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며 특히 커다란 전자부후방 골편이나 소전자부 전이 골편 등이 있는 경우에는 환형 강선이나 해면골 나사의 추가적 시용으로 견고한 내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술기로 시료된다. Purpos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dditional fixation using a trochanter stabilizing plate for the case of a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2003 and February 2009, one hundred twenty-one consecutive patients with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treated with CHSs and a TSP with or without additional screws and wiring. The follow up period was an average of twenty-eight months (range: six to sixty-one months). The fractur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Jensen classification.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fracture healing time, the sliding length, the incidence of fixation failure, and clinical failure, and the functional recovery. Results: The mean time to radiologic bony union was 16.2weeks. The average amount of lag screw sliding was 8.4 ㎜. Overall, 119 of 121 patients had bony union and 2 patients showed nonunion. Mechanical failure was noted in 5 patients and 8 patients showed clinical failure. Ninety-four patients (78%) had at least returned to their pre-fracture level of walking ability. Conclusion: Fixation with compression hip screws (CHSs) and a trochanter stabilizing plate (TSP) for treating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seemed to be helpful for decreasing excessive sliding and the rate of fixation failure. Short barrel CHSs and TSP fixation with additional screws and wiring are necessary for treating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and especially for the cases with a large posterior greater trochanteric fragment or a displaced lesser trochanter.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타곤 근위 대퇴정과 압박고 나사를 이용한 치료 결과의 비교

        유기형 ( Kee Hyung Rhyu ),채우영 ( Woo Young Chae ),한계영 ( Kye Young Han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4

        목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로서 타곤 근위 대퇴정 내고정군과 압박고 나사 내고정군 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타곤 근위 대퇴정 또는 압박고 나사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던 대퇴골 전자간 골절 중 6개월이상 추시된 환자를 대상으로, 타곤근위 태퇴정으로 치료한 47례를 제1군, 압박고 나사로 치료한 46례를 제2군으로하여 두 군의 수술시간, 수혈빈도, 통증 분석, 체중부하 시기, 수술후 활동능력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대퇴 경간각의 변화, 대퇴골 간부의 내측 전위, 지연나사의 활강 정도, 유합 시기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임상적으로 수술시간, 수혈빈도, 자가 보행이 가능할 때까지 걸린 시간에 있어 제1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양호한 임상결과를 보였으며, 최종 추시 시 통증 정도, 활동도, 회복 기간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학적 결과에서는 대퇴골 간부의 내측 전위, 지연나사의 골두 천공 및 골절의 불유합 등의 합병증 발생이 타곤 근위 대퇴정을 이용한 내고정군에서 적었다. 결론: 대퇴 근위 전자부 골절에 있어 타곤 근위대퇴정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압박고 나사를 이용한 술식에 비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using compression hip screws with those of using Targon proximal femoral nails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1 to December 2005, we reviewed 93 patients who suffered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they had a minimum follow up for 6 months (47 cases of Targon(R) proximal femoral nail (Group 1) and 46 cases of compression hip screw (Group 2)) Both groups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operation time, the number of transfusions, pain as analyz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timing of maximum tolerable weight-bearing and the complications. Radiological assessment was directed toward the time of boney union, and we also assessed the changes observed betwee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oentgenograms and final follow-up roentgenograms according to various parameters Results: Group 1 had significantly better clinical results for the mean operation time, the number of transfusions and the mean time to self ambulation. Radiologically, there were fewer complications such as a medially displaced femoral shaft, cut out of the lag screw and nonunion in Group1 Conclusion: Better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can be achieved with using Targon proximal femoral nails compared with that of using compression hip screws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