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눈꺼풀 작용에 따른 RGP 콘택트렌즈의 운동 모델

        김대수,김대현,이혜정,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8 대한시과학회지 Vol.10 No.1

        목적: 콘택트렌즈 착용시 렌즈가 각막에 부착된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콘택트렌즈 운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중 순목에 수반되는 렌즈의 움직임은 각막에 산소 공급 뿐 아니라 안정된 교정시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방법: 순목시 콘택트렌즈의 위치 이동은 눈꺼풀이 렌즈를 누르는 압력, 안쪽 눈꺼풀과 콘택트렌즈 사이의 미끄럼 마찰, 순목에 소요되는 시간, 눈꺼풀이 움직이는 최대 수직거리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순목 직후의 콘택트렌즈 위치는 이러한 순목 관련 요소와 함수관계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결과: 눈꺼풀과 렌즈의 마찰력이 관여하는 눈꺼풀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고, 순목시 콘택트렌즈의 직경, 순목시간, 눈꺼풀의 압력 등의 변수에 따른 콘택트렌즈 위치 및 콘택트렌즈 착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측할 수 있는 뉴턴의 운동 방정식 모델을 수립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운동방정식 모델을 측정 가능한 변수인 순목 속도와 눈꺼풀 두께를 이용한 선행된 임상연구와 비교한 결과 좋은 일치를 보여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While wearing RGP contact lens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forces acting on the hard contact lens fitted on the cornea. Lens movement accompanied by blinking is very important in the respect of oxygen supply to the cornea as well as correction of visual acuity. Methods: Contact lens displacement is relevant with blinking such as the pressure where the eyelid presses the lens, sliding friction between the internal eyelid and contact lens, blinking time, maximum vertical distance between upper and lower eyelids etc. Therefore, displacement after blinking is like to have a functional relation with them. Results: We proposed a mathematical model and its numerical solution program to explain an eyelid movement concerning with a sliding friction between eyelid and contact lens, to predict a displacement of contact lens after blinking by contact lens diameter, blinking time, eyelid pressure etc. or to occur a problem while wearing contact lenses. Conclusion: We confirmed its validity because it shows a good agreement with former clinical studies using blinking velocity and eyelid thickness which can be measured.

      • 눈꺼풀 작용에 따른 RGP 콘택트렌즈의 운동 모델

        김대수,김대현,이혜정,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8 대한시과학회지 Vol.10 No.1

        Purpose : While wearing RGP contact lens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forces acting on the hard contact lens fitted on the cornea. Lens movement accompanied by blinking is very important in the respect of oxygen supply to the cornea as well as correction of visual acuity. Methods : Contact lens displacement is relevant with blinking such as the pressure where the eyelid presses the lens, sliding friction between the internal eyelid and contact lens, blinking time, maximum vertical distance between upper and lower eyelids etc. Therefore, displacement after blinking is like to have a functional relation with them. Results : We proposed a mathematical model and its numerical solution program to explain an eyelid movement concerning with a sliding friction between eyelid and contact lens, to predict a displacement of contact lens after blinking by contact lens diameter, blinking time, eyelid pressure etc. or to occur a problem while wearing contact lenses. Conclusion : We confirmed its validity because it shows a good agreement with former clinical studies using blinking velocity and eyelid thickness which can be measured. 목 적: 콘택트렌즈 착용시 렌즈가 각막에 부착된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콘 택트렌즈 운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중 순목에 수반되는 렌즈의 움직임은 각막에 산 소 공급 뿐 아니라 안정된 교정시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방 법: 순목시 콘택트렌즈의 위치 이동은 눈꺼풀이 렌즈를 누르는 압력, 안쪽 눈꺼풀과 콘택트렌즈 사이의 미끄럼 마찰, 순목에 소요되는 시간, 눈꺼풀이 움직이는 최대 수직거리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순목 직후의 콘택트렌즈 위치는 이러한 순목 관련 요소와 함수관계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결 과: 눈꺼풀과 렌즈의 마찰력이 관여하는 눈꺼풀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고, 순목시 콘 택트렌즈의 직경, 순목시간, 눈꺼풀의 압력 등의 변수에 따른 콘택트렌즈 위치 및 콘택트렌 즈 착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측할 수 있는 뉴턴의 운동 방정식 모델을 수립하였다. 결 론: 본 연구의 운동방정식 모델을 측정 가능한 변수인 순목 속도와 눈꺼풀 두께를 이 용한 선행된 임상연구와 비교한 결과 좋은 일치를 보여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온열마사지가 눈꺼풀의 온도 및 눈물막 파괴시간에 미치는 효과

        문정인,김기홍,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yelid temperature measurement when using eye massager.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d the short-term effect of time on tear film stability. Methods : 3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dry eye group and a normal eye group based on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survey score (15 dry eye group, 15 normal eye group). For warm massager, OA-MA011 (OA, Seoul, Korea), OA-MA 030 (OA, Seoul, Korea), DP-EM50 (Caremedi, Hanam, Korea) were used, and the A400 camera was used to 1, 3, 5, 10, and 15 minutes after wearing, and the average value was recorded after measurement at 5, 10, and 15 minutes after removal. And Keratography 5 m (OCULUS, Wetzlar, Germany) was used to measure the tear film break up time (TBUT) before and 15 minutes after wearing the massager and compare and analyze them. Results : It was confirmed when wearing it Warm eye massager for 15min the eyelid temperature was measured at 39.77±0.69℃ in the dry eye group and 39.57±0.77℃ in the normal eye group the eyelid temperature in dry and normal ey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worn for 5 min or more (p=0.033). That the tear break-up time was improved compared to before wearing but fell short of the normal range and it was statistically effective in dry eye (p=0.041), but not statistically effective in the normal eye group(p=0.084). Conclusion : In this study, wearing an eye massager for more than 5min can affect the eyelid temperature, TMH (Tear Meniscus Height) was high, and TBUT (Tear Break Up Time) improved stability compared to before wearing, but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each device were confirmed. Therefore, when using a massager with a heating function, it is considered that a sufficient wearing time should be performed in a sufficient condition. 목적 : 온열 안구 마사지기 사용 시 실시간으로 눈꺼풀 온도 및 눈물막 파괴 시간을 측정하여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은 성인 30명 (23.7±2.60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OSDI설문지 점수에 따라 건성안 그룹과 정상안 그룹으로 나누었다(건성안 15명, 정상안 15명). 온열 안구 마사지기는 OA-MA011(OA, Seoul, Korea), OA-MA 030(OA, Seoul, Korea), DP-EM50(Caremedi, Hanam, Korea)를 사용하였고, A400 열화상카메라(FLIR, Wilsonville, Clackamas County USA) 사용하여 착용 전과 후 1, 3, 5, 10, 15분 측정하고, 탈거 후 5, 10, 15분 시간별로 측정 후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Kekatography 5 m(OCULUS, Wetzlar, Germany)를사용하여 마사지기 착용하기 전과 착용 15분 뒤에 눈물막 파괴 시간을 측정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5분 착용 시 눈꺼풀 온도는 건성안 그룹은 39.77±0.69℃, 정상안 그룹은 39.57±0.77℃ 측정되었으며, 눈꺼풀 온도 측정 시 건성안, 정상안 그룹 모두 5분 이상 착용 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33). 눈물막 파괴시간은 착용하기 전보다는 향상이 있었지만 정상범위에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건성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지만(p=0.041) 정상안 그룹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84). 결론 :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개선 방법으로 안구마사지기를 사용했을 때 10분 이상 착용 시 눈꺼풀 높은 온도에서 유지가 되었고 눈물막 파괴 시간은 15분 이상 착용 및 온도 40℃ 유지 시 눈물막 파괴 시간에 영향을 줄 수있었다. 따라서 온열 기능의 마사지기를 사용 시 정확한 사용 방법과 눈꺼풀 온도가 유지되며 착용 시간은 충분한상태에서 진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 KCI등재

        대표적인 눈꺼풀질환의 종류와 치료

        이경욱 대한의사협회 2017 대한의사협회지 Vol.60 No.9

        The eyelids can be affected by various congenital, acquired, infectious, inflammatory, neoplastic, and traumatic conditions. The eyelid is not simply made up of skin, but is a complex anatomical structure. The various structures that support and protect the eyeball are gathered together in narrow spaces. Therefore, the disorders that can occur in the eyelids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s affected. The eyeball can be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by each of these disorders. Thus, each eyelid disorder occurs within the frame of the corresponding anatomical structure, and must be precisely understood and treated accordingly.

      • KCI등재
      • KCI등재

        성형안과에서 다루는 질환의 범위

        나태윤 대한의사협회 2017 대한의사협회지 Vol.60 No.9

        Most people think that ophthalmology only treat diseases of the eyeball, but there are also many diseases of the accessory organs around the eyeball. Oculoplasty is a field of ophthalmology that deals with diseases of the eyelids, lacrimal system, and orbit. These accessory organs play important roles in protecting the eyes and supporting their function. Sometimes, diseases of these organs cause cosmetic problems, as well as functional problems. In the past, this field was considered rather indifferently and was not well recognized, so the treatment of these diseases was not specialized. However, concomitantly with recent improvements in quality of life and the increased desire of patients for these diseases to be treated, the importance of this field is increasing and many oculoplastic specialists are being trained. In the oculoplastic field, wide range of diseases are treated. In this report, the author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the most important and common oculoplastic diseases.

      • KCI등재

        온열마사지기를 이용한 마이보그래피 및 눈물띠 높이 평가

        문정인,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measure and evaluate the meibography and tear meniscus height to the change in eyelid temperature of the warm compression theraphy. Methods : Targeting 3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group into dry eye group and normal eye group based on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survey score (15 for dry eye group, 15 for normal eye group). The warm compression theraphy is used warm eye massger OA-MA011 (OA, Seoul, Korea), OA-MA 030 (OA, Seoul, Korea), DP-EM50 (Caremedi, Hanam, Korea), the eyelid temperature change with wear time for each group. The eyelid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an A400 camera before wear and 15 min while wearing. The meibography and TMH was measured with an Keratograph 5m before and after warm eye massger wearing time 15min. Results : It was confirm when in the dry eye group, the eyelid temperature before wearing is 33.89±0.64℃ and 39.77±0.69℃ after wearing it. The normal eye group is 33.79±0.57℃ before wearing it. It was 39.78±0.57℃ after wearing and was statistically validated in the normal eye group (p=0.024). Meibography was 1.18±0.28 before wearing in the dry eye group, 0.85±0.33 after wearing, 1.04±0.27 before wearing in the normal eye group, and was measured at 0.80±0.32 after wearing and statistically validated in the normal eye group (p=0.030). The TMH was 0.28±0.04 mm before wearing, an increase of about 10.7% to 0.31± 0.06mm after wearing, and the normal eye group was 0.29±0.06mm before wearing, an increase of about 10.3% to 0.32±0.07 mm after wearing. statistically validated in Dry eye group (p=0.030) and normal eye group (p=0.004). Conclusion : If the eyelid temperature rises, it can affect meibography and TM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dry eye are treatable.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wearing method and time and when heat is applied as an improvement method the temperature and method should be set according to the symptoms. 목적 : 눈꺼풀 온도 변화에 따라 마이보그래피와 눈물띠 높이를 측정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은 성인 30명(23.7±2.60세)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룹화를 위해 OSDI 설문지를 통해 건성안그룹과 정상안 그룹으로 나누었다(건성안 15명, 정상안 15명). 눈꺼풀 온도에 변화를 주기 위해 온열 기능 가능한안구 마사지기를 사용하였고 종류는 OA-MA011(OA, Seoul, Korea), OA-MA 030(OA, Seoul, Korea), DP- EM50(Caremedi, Hanam, Korea)를 사용하였고, Keratograph 5m(OCULUS, Wetzlar, Germany)를 사용하여 온열치료 전과 후 눈꺼풀 온도 및 마이보그래피와 눈물띠 높이를 측정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안구 마사지기 온열치료 전과 15분 후 건성안 그룹에서 온열치료 전 눈꺼풀 온도는 33.89±0.64℃이며, 온열치료 후 39.77±0.69℃이다. 정상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 33.79±0.57℃, 온열치료 후 39.78±0.57℃ 측정하였다. 마이보그래피는 건성안 그룹에서 온열치료 전 Grade 1.18±0.28이며, 온열치료 후 Grade 0.85± 0.33이고 정상안 그룹에서 온열치료 전에는 Grade 1.04±0.27이며, 온열치료 후 Grade 0.80±0.32로 측정되었다. 정상안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30). 눈물띠 높이는 건성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0.28±0.04 mm이며, 온열치료 후 0.31±0.06 mm로 약 10.7% 상승하였고 정상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 0.29± 0.06 mm이며 온열치료 후 0.32±0.07 mm로 약 10.3% 상승하였다. 눈물띠 높이는 건성안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확인하였고(p=0.030) 정상안도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확인되었다(p=0.004). 결론 : 온열치료를 위해 안구 마사지기를 사용 시 착용 방법과 눈꺼풀 온도 유지가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온열치료 시간을 최소 10분 이상 하고 반복적인 치료를 해야 건성안 및 마이봄샘 기능 이상에 효과가 있을 거라고사료 된다. 또한 눈물막 개선을 위해 온열 치료 시 횟수와 상관없이 치료 효과가 보였다. 그러므로 온열 치료 시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환자 상태 확인 및 조언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명에 강인한 눈꺼풀 움직임 측정기반 운전자 감시 시스템

        박일권(Ilkwon Park),김광수(Kwangsoo Kim),박상철(Sangcheol Park),변혜란(Hyeran Byun)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3

        본 논문은 지능형 자동차 개발을 위한 주간 및 야간 환경에서 차량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명을 극복하고 운전자 졸음 상태를 단일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통해 감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운전 중 운전자 눈을 감시하여 졸음 상태를 판단하는 시스템에서 눈 검출 및 눈꺼풀 움직임 측정은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비전기반 시스템의 가장 큰 단점인 조명변화를 극복하며 눈 검출 성능을 높이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간단한 조명 보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신뢰성 있는 졸음 판단을 위해 효율적인 눈꺼풀 움직임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안한 방법과 더불어 효율적인 눈 검증 방법으로 단계적 SVM(Cascaded Support Vector Machine)을 적용하였다. 한편,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 측정을 위해 주간 및 야간의 다양한 조명 변화 속에서 주행 중 수집된 운전자 동영상을 사용하였으며 자체 수집된 동영상에 대해 98%이상의 눈 검출 성능 및 신뢰성 있는 눈꺼풀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최종 졸음판단 결과는 수집된 각각의 동영상에 대한 PERCLOS(The percentage of eye-closed time during a period)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 및 우수성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llumination-robust drowsy driver monitoring system with single CCD(Charge Coupled Device) camera for intelligent vehicle in the day and night. For this system that is monitoring driver’s eyes during a driving, the eye detection and the measure of eyelid movement are the important preprocesses. Therefore, we propose efficient illumination compensation algorith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ye detection and also eyelid movement measuring method for efficient drowsy detection in various illumination. For real-time application, Cascaded SVM (Cascaded Support Vector Machine) is applied as an efficient eye verification method in this system. Furthermore, in order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collect video data about drivers under various illuminations in the day and night. Finally, we acquired average eye detection rate of over 98% about these own data, and PERCLOS(The percentage of eye-closed time during a period) are represented as drowsy detection results of the proposed system for the collected video data.

      • KCI등재

        멀티미디어 처리 : 홍채영역에서의 홍채정보 보존율 향상을 위한 새로운 속눈썹 제거 방법

        김성훈 ( Seong Hoon Kim ),한기태 ( Gi Tae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3 No.10

        홍채 인식은 인간의 눈 영상으로부터 고유한 홍채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코드화 하여 비교하는 생체인식 기술로, 이것은 시스템 안에 저장된 다른 홍채들과의 비교기술을 포함한다. 한편, 홍채 영상에서의 속눈썹은 인식률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소인데, 만일 속눈썹이 홍채영역으로부터 정확하게 제거되지 않는다면 속눈썹을 홍채특징으로 인식하거나 홍채특징을 속눈썹으로 인식하는 오인식의 문제가 존재하게 되며, 결국 이 오인식은 홍채정보의 많은 유실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파수 특징 분석에 사용되는 Gabor Filter를 이용한 속눈썹 제거로 홍채정보의 보존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Gabor Filter는 영상의 주파수 분석을 위한 필터 중 하나인데 여기에 각도, 주파수, 가우시안 파라미터 등을 이용한 다양한 홍채영역의 특징들을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다양한 길이와 모양의 속눈썹을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제안한 방법은 GMM 혹은 히스토그램 분석을 이용한 기존 방법보다 홍채영역 데이터 보존율에 있어서 약 4% 정도의 향상이 가능하였다. The iris recognition is a biometrics technology to extract and code an unique iris feature from human eye image. Also, it includes the technology to compare with other`s various iris stored in the system. On the other hand, eyelashes in iris image are a external factor to affect to recognition rate of iris. If eyelashes are not removed exactly from iris area, there are two false recognitions that recognize eyelashes to iris features or iris features to eyelashes. Eventually, these false recognitions bring out a lot of loss in iris informations. In this paper, in order to solve that problems, we removed eyelashes by gabor filter that using for analysis of frequency feature and improve preservation rate of iris informations. By novel method to extract various features on iris area using angle, frequency, and gaussian parameter on gabor filter that is one of the filters for analysing frequency feature for an image, we could remove accurately eyelashes with various lengths and shapes. As the result, proposed method represents that improve about 4% than previous methods using GMM or histogram analysis in iris preservation rate.

      • KCI등재

        고령화에 따른 눈 주변의 변화

        정호경 대한의사협회 2013 대한의사협회지 Vol.56 No.11

        As we face a rapidly aging popul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number of patients with the need to prevent or alleviate periorbital changes due to aging will grow. The periorbital changes that occur with aging comprise a dynamic process involving the aging of facial tissue and bony structures. Epidermal thinning and decreases in collagen cause the skin to lose its elasticity. Loss of fat, coupled with gravity and muscle pull, leads to wrinkling and the formation of dynamic lines. The aging process has also been shown to affect the facial bones. Multiple studies suggest that aging of the orbit and midface bones occurs primarily due to contraction and morphologic changes. This loss of bony volume and projection may contribute to an aged appearance. The effort to understand each patient’s individual involutional changes, which differ by age and gender, is mandatory. Identifying the patient’s personal needs and selecting the appropriate treatment accordingly is crucial for achieving the best outcome both for the clinician and the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