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장 수준에서 영화에 대한 기대불일치가 흥행에 미치는 영향

        이유석(You Seok Lee),김상훈(Sang Hoon Kim)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1

        영화는 대표적인 경험재로서 소비자의 만족을 결정하는 데에 기대불일치가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영화산업에 기대불일치 이론을 적용한 연구가 많지 않았고, 그마저도 대부분 설문이나 실험을 바탕으로 진행된 것들이었다.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연구에 국한되었던 기대불일치 이론을 시장 수준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영화 시장 수준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대불일치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기업이 개봉 전 시장의 기대 수준을 높이는데 지나치게 집중하는 근시안적인 마케팅에서 벗어나 시장의 기대불일치 수준을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이상적인 흥행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핵심 개념은 개봉 전 기대수준과 개봉 후 기대불일치로 전자는 개봉 첫 주 예매율로 후자는 관객 평점 변화와 좌석 점유율 변화로 측정하였다. 최종 흥행 성적은 영화의 상대적 규모를 감안하여 절대적인 관객수나 매출액이 아닌 투자수익률로 측정하였다. 개별 영화의 주별 시장점유율이 감소하는 속도를 지수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기대불일치가 클수록 시장점유율 감소율이 커지면서 최종적으로 투자수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경로분석의 외생변수를 선택하기 위해 단계선택법을 적용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개봉 전 기대수준을 높이는 데에는 스타 파워와 12세 관람가 변수가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봉 전 기대수준은 분명 최종 흥행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개봉 후 기대불일치는 시장점유율 감소율을 높여 결과적으로 최종 흥행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개봉 전 기대수준이 높을수록 개봉 후 기대불일치가 크다는 가설이 지지되면서 기존의 개인 수준에서의 기대불일치 이론을 시장 수준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개봉 전 기대수준이 최종 흥행 성적에 미치는 영향보다 개봉 후 기대불일치가 최종 흥행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과, 개봉 전 기대수준을 높이는 전략이 간접적으로는 기대불일치를 크게 하여 최종 흥행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대불일치 이론을 영화의 시장 수준에 적용함으로써 기대불일치 이론을 확장하였을 뿐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았던 개봉 첫 주말 예매율, 좌석 점유율, 투자수익률 등의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영화 흥행 요인에 대한 연구의 폭을 확대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영화 관련 실무자들에게 영화의 기대관리(expectation management)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to market level data. This theory to date been predominantly tested through surveys or experiments. In terms of consumer satisfaction, the concept of expectation disconfirmation has a huge impact on the movie industry, which is a classic example of experience goods. In addition, since the movie industry collects box office data in real time and opens most of them to public, the movie industry is the best option to apply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at the market level.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which examines the application of expectation discontinuation theory to the movie industry. Many practitioners who specialize in movie marketing have also neglected expectation management and tend to focus on maximizing expectation levels before a movie is released As a result, many movies have failed at the box office because of rapid, negative word-of-mouth caused by the overwhelming expectation disconfirmation of moviegoers. This research attempts to offer insights by applying th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to the movie industry and argues that movie companies should break from the convention of increasing pre-release market expectations and efficiently manage post-release market expectation disconfirmation with the aim of achieving ideal box office records. The main variables of this research are pre-release expectation and post-releas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Pre-release expectation is measured by the first week`s ticket reservation rate while post-releas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is measured by the downgrade of consumer`s evaluation and the downgrade of occupied seat rate. The final performance of a movie is measured by the return on investment (ROI) instead of the total number of viewers or the total revenue, considering that the total cost of movies is varied. This research estimates the decrease rate of a movie`s weekly market share by assuming that the product life cycle of a movie is very close to the exponential decay model. This decrease rate is affected by the post-releas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and in tur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ROI.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simultaneously this research adopts path analysis. To select exogenous variables for the path analysis, step wise regression is conducted. This research shows that ``star power`` and the Parental Guidance (PG)-12 rat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release expectation. The effects of the pre-release expectation and the post-releas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of the final performance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Concretely, the post-releas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increases the decrease rate of market share, and this decrease rate in turn reduces the ROI. Since the hypothesis that the post-releas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may increase when the post-release expectation grows is supporte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can be applied to market level research. Moreover, this research h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post-releas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on the final performance exceeds that of pre-release expectations and that a higher pre-release expectation causes more post-releas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which means that final performance may decrease indirect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by applying the theory to market level data. Further, this research makes a valuable contribution and enlarges the field of movie marketing by including some rarely used variables such as the first week ticket reservation rate, the occupied seat rate, and the ROI. Finally, results from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present marketing strategy of concentrating the majority of marketing resources on the right-before-release period to increase market expectations should be reconsi

      • KCI등재

        모바일 패션 쇼핑의 기대 불일치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효정(Kim, Hyo-Jung),나종연(Rha, Jong-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의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인지된 위험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모바일 패션 쇼핑의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기대 불일치 이론을 바탕으로 모바일 쇼핑의 보안 위험, 기능적 위험, 금전적 위험, 충동구매 위험이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력의 관계를 밝히고, 부정적 기대 불일치, 만족도, 그리고 지속 사용 의도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각 영향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성별 집단에 따라 각 변수들 간의 관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에서 패션 상품 구매 경험이 있으며, 부정적 기대 불일치를 경험한 384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19.0와 Amos 21.0을 활용하여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패션 쇼핑의 보안 위험, 기능적 위험, 재무적 위험, 충동구매 위험 모두 부정적 기대 불일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모바일 패션 쇼핑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선행 요인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성 집단의 경우 보안 위험, 기능적 위험, 금전적 위험이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여성 집단에서는 금전적 위험, 충동구매 위험이 부정적 기대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성별에 따라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모바일 쇼핑의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성 집단의 경우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여성 집단에서는 부정적 기대 불일치가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factors influencing expectancy disconfirmation on mobile shopping through its perceived risk, and understand expectancy disconfirmation’s impact on mobile shopping’s satisfaction level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Using expectation-confirmation theory,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mobile shopping’s security risk, functional risk, financial risk, and impulse purchase risk on expectancy disconfirmation and conduct an in-depth verific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ncy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level,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Furthermore,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ach influence factor by gender, multiple group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by gender. To achieve this, 384 consumers with mobile shopping experience who experienced expectancy disconfirmation were surveyed online. Using SPSS 19.0 and Amos 21.0, trust lev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security risk, functional risk, financial risk, and impulse purchase risk of mobile shopping can cause increase in expectancy disconfirmation. Second, expectancy disconfirmation can be the antecedent factor in lowering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Third, factors which influence expectancy disconfirmation were differed by gender. For the male group, security risk, functional risk, and financial risk influenced expectancy disconfirmation, while the female group had financial risk and impulse purchase risk impact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Fourth, influence of expectancy disconfirmation on continued usage intention in mobile shopping was differed by gender. For male group, expectancy disconfirmation had no influence on continued usage intention whereas for female group, expectancy disconfirmation influenced continued usage intention.

      • KCI등재

        기대불일치이론을 적용한 스쿠버다이빙 참가자의 국내투어 지속의도 및 해외투어 전환의도 예측

        소영호 한국사회체육학회 202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9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cuba divers’intentions to continue domestic diving tours and switch to overseas tours by utilizing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Method: A total of 239 scuba diving tour participant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related to predetermined expectations, perceived performance, positiv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intention to continue domestic diving tour, and switch intention to overseas diving tour.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model fit testing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22.0. Results: First, the predetermined expectations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perceived performance. Second, the predetermined expectation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ird,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positiv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satisfaction. Fourth, th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intention to continue domestic diving tour, b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witch intention to overseas diving tour.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erceived performance is enhanced by participants’ predetermined expectations of the scuba diving tour, positiv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is enhanced through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s enhanced through perceived performance and positiv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In addition, satisfaction improves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domestic diving tour.

      • 기대불일치이론을 적용한 부동산 중개플랫폼 정보 만족도에 관한 연구

        현창호 ( Hyun Chang-ho ),김지현 ( Kim Ji-hyun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대 불일치 이론을 적용하여 부동산 중개플랫폼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와 정보를 접한 후 초기 기대감과 얼마나 일치하지 않는지에 따라 소비자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중개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부동산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사전 기대감, 정보 경험 후에 지각된 성과, 기대와 성과를 비교하는 기대 불일치, 소비자 만족감, 그리고 소비자의 이후 행동 의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5점 리커트(Likert) 척도의 설문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여 이중 최종적으로 총 272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법론으로 기대 불일치모형에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받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변수들의 상호관계를 단계적으로 검증하여 변수의 직·간접적 영향력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동산 중개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는 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대 불일치와 만족도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기대는 성과와의 기대 불일치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소비자들이 서비스를 직접 경험하기 전 기대가 만족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준거 기준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과는 기대 불일치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직접적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 불일치는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만족도가 높으면 재방문 또는 추천과 같은 이후 행동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소비자 기대는 만족도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지각된 성과와의 차이인 기대 불일치를 통해 만족도에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대불일치이론이라는 이론적 체제를 활용하여 부동산 중개플랫폼의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와 만족도 간의 역학관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nsumer expectations on satisfaction with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 information, using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 To achieve this, hypotheses were formulated concerning consumers' pre-expectations of real esta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brokerage platform, perceived performances after experiencing the information,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between expectations and performances, consumer satisfaction, and subsequent behavioral intentions. To validate the hypotheses, variable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 total of 272 responses were then analyzed from the dataset constructed through this survey instrument. In this study, we utili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methodology for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Model, to progressively validat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ese variable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expectations of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s positively influence performance, but they do not impact expectancy-dis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expectations indirectly influence satisfaction through the dissonance between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This indicates that consumers' expectations prior to directly experiencing the service act as a criterion in determining satisfaction. Second,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mpact on expectation disconfirmation but did not directly influence satisfaction. Third, expectancy-disconfirmation positively influences satisfaction, and higher satisfaction correlates with positive subsequent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revisiting or recommending the platfor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ile expectations do not have a direct impact on satisfaction, there is an in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through expectancy-discrepancy, representing the variance between perceived outcomes and initial expectations. This study, utiliz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 provides crucial insights into the dynamics between consumer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regarding information on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s.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분석

        김순근(Soon Geun Kim),유미현(Mi Hyun Yoo)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진흥법에 따라 교원자격증 없이 영재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이공계 박사학위 소지 전문교원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해 영재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교과활동 등 5개 영역에 걸쳐 34문항을 개발하여 수도권 소재 K과학영재학교 학생 216명, 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가 높은 반면 역할수행이 낮다고 인식하였으나, 학생은 역할기대가 낮고 기대만큼은 역할수행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역할기대가 역할수행을 25.5% 결정하고 있어 역할기대가 역할수행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의 관계는 3차 다항식 형태의 추세선이 그려지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역할수행이 다시 역할기대를 끌어 올리는 정적 피드백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역할기대가 높은 문항은 역할수행이 낮게 나타나고, 반대로 역할기대가 낮은 문항은 역할수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기대불일치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수의 선행 연구들에서 역할기대에 비해 역할수행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에 대한 합리적인 이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역할기대에 비해 역할수행이 낮다고 하여 실제로 기대만큼 역할수행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에는 보다 신중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gifted scienc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of expert teachers with a doctoral degree who were working in gifted schools without a teaching certificate. For questionnaires, this study developed 34 items across five domains, including subject-related activities,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216 students and 46 teachers at K. Gifted Science School located in the capital area, securing validity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had a high role expectation from the expert teachers with a doctoral degree but perceived a low role performance of them, while the students had a lower role expectation and perceived that they performed the role as expecte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ince the role expectation determined 25.5% of the role performance, it had a relatively big impact on role performance. Second, it turned out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a trend line in a third-degree polynomial form was drawn, and a positive role performance acted as positive feedback, which raised role expectation again. In addition, role performance was lower in the items with high role expectation, while role performance was higher in the items with low role expectation, and this could be explained with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 Through this study, a reasonable theory on the phenomenon in which role performance was lower than role expectation in a number of preceding studies could be suggested. Moreover, it could be found that more caution should be paid to conclude that they did not actually perform the role as expected, even if role performance was lower than role expectation.

      • KCI등재

        패션제품의 크로스채널 소비자만족에 대한 연구:기대불일치 이론을 바탕으로

        전상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4

        This study sets a structural model for measuring consumer satisfaction in cross-channel shopping and also verifies the moderating effect of channel migration. The model examines the relationships of three parameters - expectation,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 with both price reduction and risk aversion, the two critical choice motives in cross channel shopping. In the model, expectation and performance indirectly affect satisfaction through disconfirma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cross-channel consumers is higher than that of non cross-channel (single-channel) consumers. Specifically,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e off-on (offline search → online buying) and on-off-on type (online search → offline search → online buying) are the highest amongst all the cross-channel consumer types. However, what is common to the two is that they both search using online channels and buy using offline channels. In the section of the model that outlines the process of how consumer satisfaction in cross-channel shopping is built, the disconfirmation of the choice motives of purchase channels, that is, price reduction and risk aversion, are seen to be critical influencers of satisfaction. Furt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channel migration is accepted as a given. For example, the disconfirmation of risk aversion, in on-off type (online search → offline buying), and the disconfirmation of price reduction, in off-on (offline search → online buying) and on-off-on type (online search → offline search → online buying), critically affect satisfaction.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channel migration is not affec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This study has enhanced the usefulness of th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by extending the theory to cover distribution channel issues, and it proposes customer strategies for improving satisfaction levels in cross-channel shopping for businesses that offer both online and offline channels. 본 연구는 크로스채널 소비자만족의 형성 과정을 기대불일치 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채널이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가 선정한 크로스채널 소비자만족의 기대불일치 구조모형은 채널이동의 핵심적 동기인 가격절감과 위험회피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기대, 성과, 불일치가 각각 배치되고, 기대와 성과는 불일치를 통하여 만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다. 분석 결과, 크로스채널 소비자는 단일채널 소비자에 비하여 만족도가 높고, 특히 오프라인 탐색과 온라인 구매가 결합된 형태의 크로스채널 소비자인 오프온 유형(오프라인 탐색 → 온라인 구매)과 온오프온 유형(온라인 탐색 → 오프라인 탐색 → 온라인 구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크로스채널 소비자만족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구매 채널의 선택 동기에 대한 기대 대비 성과, 즉 불일치가 만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불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채널이동의 조절효과가 지지되었다. 즉, 온오프 유형(온라인 탐색 → 오프라인 구매)은 위험회피 불일치가, 오프온 유형과 온오프온 유형은 가격절감 불일치가 만족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단, 기대와 성과가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채널이동의 조절효과는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대불일치 이론을 유통채널 차원으로 확대․적용하여 이론의 유용성을 높이고, 기업의 유통채널과 고객관리 담당자에게 크로스채널 고객의 만족도 증대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 기대와 연관 검색어의 상호작용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한은경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광고연구 Vol.0 No.116

        The paper considered the related keywords as messages and found the effect of messages. In addition, we expected that consumers’ expectation and the valance of related keywords will have different effects on consumers’ behavior according to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sumers’ expectation and the related keywords on th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signed 2⨯3 factors of consumer expectation degree(high and low) and related keywords types(positive, multiple, negative). We conducted experiment of 605 people. In addition, consumers’ expectation of the brand and related keywords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result. In the case of multiple related keywords, consumers with high expectation showed higher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those who had low expectation. These results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related keywords’effect and management. 본 연구는 연관 검색어를 하나의 메시지로 간주하여 그 메시지 방향성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 기대와 연관 검색어의 방향성이 일치 혹은 불일치에 따라 소비자 행동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기대와 연관 검색어의 상호작용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소비자 기대 수준(높음, 낮음) × 연관 검색어 방향성(긍정, 부정, 양면)으로 구성된 2 × 3 요인 설계로 각 집단 간 실험 설계를 통해 총 605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 정도에 따라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브랜드에 대한 기대가 높은 소비자는 낮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소비자보다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와 연관 검색어는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양면적 연관 검색어의 경우, 낮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소비자는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소비자보다 훨씬 낮은 브랜드태도와 구매 의도를 보였다. 이는 검색 결과에나타난 연관 검색어가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Effects of Expectation-Disconfirmation regarding the Role of Government on Trust in Govern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itizen Participation

        강혜진,박은형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18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3 No.3

        This study draws on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to explore differences between what is expected of the government and perceptions of what the government in fact does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se differences on trust in government. Confirming the applicability of contact theory, this study also reveals the moderating effect of citizen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citizens’ expectations regarding the role of government are not met, the less trust they have in government. The rela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is consistently observed, regardless of ways of measuring trust in government. However,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expectation-disconfirmation and trust in government was moderated by citizens’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기대와 충족 간 차이가 유료방송서비스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 Young Mi Kim ),남상현 ( Sang Hyun Nam ),장병희 ( Byeong Hee Cha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유료방송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용과 충족 이론에 기반하여 유료방송서비스 이용동기가 유료방송서비스의 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모형화하였다. 그리고 기대가치 이론과 기대불일치 이론에 기반하여 이용 전 기대와 이용 후 충족 간 차이가 유료방송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IPTV 및 디지털케이블TV 가입자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한 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대부분의 동기에서 기대와 충족 간 차이가 유료방송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충족수준이 기대수준과 동일하거나 더 클 경우 충족과 기대 간 차이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반면 그 반대의 경우에는 충족과 기대 간 차이가 지속이용의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factors affecting a continuous use of multichannel TV service. Based on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we designed research model which assumes the use motivations multichannel TV service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continuous use of it. And we explored that prior expectation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prior expectation and a gratification affect the continuous use of multichannel TV service applying expectancy-value theory and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The research model was examined by regression analysis in a data of 500 consum-ers of IPTV and digital cable TV who participated in onlin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gratification in most use motivation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ntinuous use of multichannel TV service. 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gratific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continuous use of multichannel TV service when the gratification was higher than the expectation. In the opposite case,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gratification negatively affect the continuous use of multichannel TV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