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에서 ‘소비자-학생’ 접근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훈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In these days, the approach to 'consumer(or customer)-student' in university is a leading education policy of a majority of countries. Regrettably, the Korean researchers pay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challenging today's tendency towards conception of consumer-student. For that reason, by examining how the conception of consumer-student can affect th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by examining educational problems underlying premises of consumer-student, I hope to show what are the limits and difficulties of the approach to consumer-student. I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n the second chapter, I explored the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of the approach of consumer-student and the nature of consumer-student. In the third chapter, I discussed what negative consequences the approach could have. The approach results in grade inflation, populism, poor academic standards,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and excessive investm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fourth chapter, I discuss in turn what wrongs is made in the logic premises that justify the approach to consumer-student. Ultimately, the spread of consumerism in university could produce 'pedagogy of discomfort', short-sighted student choice, passive learner, and a decline in educational quality. Therefore, we need to re-change the language of the market, such as consumer, to language of education in the education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로 학생을 규정하는 것이 대학교육에 어떤 문화를 조장하고 있고, 어떤 문제를 야기할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소비자-학생 접근 배경과 소비자-학생이 보이는태도를, 3장에서는 소비자-학생 접근이 대학사회에 어떤 문화를 조장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소비자-학생접근이 야기하는 문제가 무엇일 수 있는지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학생 접근은 교육을 상품이자 개인의 소비 대상으로 규정하는 시장 논리와 총체적 품질 관리 같은경영이론을 교육에 적용하면서 대세로 등장했다. 둘째, 소비자-학생은 자신의 소비자 신분을 권력관계의 이동으로인식하는 한편, 학점, 시간표 같은 요소를 교수와의 흥정이나 타협의 대상으로 여긴다. 셋째, 소비자-학생 접근은학점 부풀리기, 인기 영합주의, 학업과 학문 기준의 저하, 계약관계의 성립, 교육 시설의 치장 같은 문화를 대학사회에 조장해왔다. 넷째, 소비자-학생 접근은 옹호자들의 기대와 달리 교육의 관점에서 다음의 문제를 불러올 수있다. 쉬운 교육은 교육의 본질에 내재된 고통, 괴로움, 불편의 미덕을 제거하며, 불편의 교육을 조장할 수 있다. 자율적인 선택은 시장의 규칙을 모르는 소비자-학생들을 선택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게 할 위험이 있다. 그 선택은또한 근시안적 관점에서 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항상 “옳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들의 선택은 어떤 편향에 기댈수 있다. 소비자로 대접받기를 원하는 소비자-학생의 태도는 학생들의 책임감 부족을 불러오고 그들을 수동적인학습자가 되도록 만든다. 결국, 소비자-학생 개인의 이익과 요구, 선호도에 따른 선택의 결과는 대학 교육의 질 향상에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교육의 질을 단기적인 가시적 성과에 기초하는 것은 오히려 대학 교육의 내실을 다지는데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일부 연구결과는 소비자로 학생을 비유하는 것이 오히려 교육 성과를 떨어뜨릴 수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