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 연구

        이지혜(Lee Jeehae) 세계한국어문학회 2010 세계한국어문학 Vol.3 No.-

        화행(speech act)은 말로써 행동을 이끌어내는 표현들로, 칭찬, 요청, 명령, 제안 등의 기능을 표현한다. 그중에서도 ‘요청’은 우리가 생활함에 있어 무수히 접하는 기본적인 화행이며, 또한 요청화행은 발화 수행력을 지니어 어떠한 행동에서 방해를 받고 싶지 않은 상대의 소극적 체면 욕구(negative face-wants)를 침해하는 화행이라는 점에 근거해 ‘영어권한국어 학습자(4~5급)’가 ‘한국인’과 비교하여 어떠한 요청화행을 구사하고 있는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전까지의 요청화행 관련 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한국인과 학습자집단의 화행을 비교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본고에서는 이제까지의 연구가 ‘주화행’의 범위에서만 이뤄져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각 집단의 ‘주화행과 보조화행’을 범위로 두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래서 담화 완성형 테스트(DCT)를 통해 결과를 수합하고, 수합된 결과는 SPSS의 카이 검증과 다중응답 분석을 통해 주화행, 보조화행의 범위에서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자들이 한국인과 비슷한 양상을 드러내면서도 모어언어, 문화의 영향에 의해 한국인에 비해 변인 ‘친밀도’에 따른 주화행전략 사용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거나 혹은 보조화행의 사용이 한국인에 비해 ‘논리적’인 면에 중심을 두고 있다는 것과 같은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한국인은 비교적 변인 ‘친밀도’에 따라 주화행 전략 사용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보조화행’ 사용에 있어서도 ‘관계’에 기반한 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4~5급)’는 대체적으로 한국인과 비슷한 화행을 구사하나 온전한 ‘한국 문화, 한국어 요청화행’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요청화행의 주화행 전략, 보조화행 전략의 사용에 있어 한국인과 다른 모습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ech act of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concentrating on request acts. The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request speech acts between the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non-native Korean learners of level 4 and 5 from English speaking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the Great Britain.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the need for the research are discussed as well as the methodology and scope of this study. A hypothesis is also presented related to two languages and cultures.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request acts is explained based on theoretical overview and Chapter 3 covers the organization, participant, methodology and analysis of the study. Chapter 4 explores the result of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concerning how Korean native speakers use 'request acts' and how English Korean-learners use 'request acts'. Finally in Chapter 5, cover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is study revealed that most Korean-learners of speakers of English use 'request acts' similarly to Koreans, but due to the differences in cultural and language background, they tend to use 'request acts' differently from Korean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English speaking Korean-learners need to know Korean culture related to 'request acts' and how Koreans thought about themselves and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