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장 교리토성 성격에 대한 검토

        이일갑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lso called the Goeupseong Fortress of Kijang.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 masonry based type stamped earthen fortress of Pyeongsan, which was constructed between hill and flatland. The shape of the plane surface is elliptical. The fortress is about 1600m long, making it the longest within the Busan area. In particular, the fortress is slightly longer than other fortifications because its military importance, such as protecting a large population, the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defense against Japanese raiders and etc were reflected in this fortification.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and mountain fortress of Kijang demonstrates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a governing fortress and a masonry fortress that was obviously intended for protection and shelter. Among construction methods of earthen fortifications,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the body of which has been confirmed was constructed by the carving method, is estimated to be the most ancient among the earthen fortifications within the Busan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built very long ago due to the perpendicular style of the inner walls. Among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body of the fortress, intervals of stones, which played the role of the cornerstone of the crossbeam, were confirmed to be about 390~400cm. The cornerstone installation was a popular construction method of the Koryo Dynasty, where cornerstones, such as Gangwha Middle Fortress (within 4m), Jeju Hangpaduseong Fortress (3m), Hoam earthen fortification of Chungju, Masan Hoewonhyeon Fortress(3.8m) and etc were installed with equal interval measur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t least after the middle of the 8thcentury,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of Kijang and KijangHyu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cent archaeological surveys and literature research, it can be known that the Kijang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nd managed during the 8thtothe14century,undergoingtheprocessfromnon-masonry stylobate type to masonry stylobate type.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underwent continuous change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roughout the Koryo Dynast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a governing fortress and the military defense fortress installed at Ancient Mountain Fortress were transferred remains of historic interest. 교리토성은 일명 기장 고읍성으로 불리운다. 교리토성은 구릉과 평지를 이어 축조한 평산성의 석축기단형 판축토성이다. 평면형태는 타원형을 띤다. 성둘레는 약 1600m로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길다. 특히 성둘레가 여타 토성에 비해 조금 더 긴 것은 인구 및 행정구역 위상과 대왜구방어 등에 따른 군사적 중요성이 반영된 성둘레라 할 수 있겠다. 교리토성과 기장산성은 배후에 입보농성형 내지 피난성 성격이 짙은 석축산성과 결합된 치소성으로 상호보완 관계를 보이고 있다. 토성 축조수법 가운데 삭토법에 의한 체성부 축조가 확인된 교리토성 초축 성벽이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고식으로 추정되고 있다. 교리토성 내벽은 수직식으로 시기적으로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체성부 축조수법 가운데 영정주를 놓는 초석 역할을 하였던 석재들의 간격은 약 390~400cm 정도로 확인된다. 이 초석 설치는 강화중성(4m내외), 제주 항파두리성(3m), 충주 호암토성, 마산 회원현성(3.8m) 등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려시대 유행한 토성 축조수법이다. 따라서 교리토성 초축은 기장산성과 기장현 설치를 고려하면 적어도 8세기 중반 이후에 축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장 교리토성은 최근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문헌으로 살펴보면, 무석축기단식에서 석축기단식을 거치면서 8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축조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리토성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시대 전 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고대산성에 설치된 치소성과 관방성 역할이 이전(移轉)된 유적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기장 교리토성 성격에 대한 검토

        이일갑 ( Lee Il-gab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교리토성은 일명 기장 고읍성으로 불리운다. 교리토성은 구릉과 평지를 이어 축조한 평산성의 석축기단형 판축토성이다. 평면형태는 타원형을 띤다. 성둘레는 약 1600m로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길다. 특히 성둘레가 여타 토성에 비해 조금 더 긴 것은 인구 및 행정구역위상과 대왜구방어 등에 따른 군사적 중요성이 반영된 성둘레라 할 수 있겠다. 교리토성과 기장산성은 배후에 입보농성형 내지 피난성 성격이 짙은 석축산성과 결합된 치소성으로 상호보완 관계를 보이고 있다. 토성 축조수법 가운데 삭토법에 의한 체성부 축조가 확인된 교리토성 초축 성벽이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고식으로 추정되고 있다. 교리토성 내벽은 수직식으로 시기적으로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체성부 축조수법 가운데 영정주를 놓는 초석 역할을 하였던 석재들의 간격은 약 390~400cm 정도로 확인된다. 이 초석 설치는 강화중성(4m내외), 제주 항파두리성(3m), 충주 호암토성, 마산 회원현성(3.8m) 등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려시대 유행한 토성 축조수법이다. 따라서 교리토성 초축은 기장산성과 기장현 설치를 고려하면 적어도 8세기 중반 이후에 축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장 교리토성은 최근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문헌으로 살펴보면, 무석축기단식에서 석축기단식을 거치면서 8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축조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리토성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시대 전 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고대산성에 설치된 치소성과 관방성 역할이 이전(移轉)된 유적임을 알 수 있다.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lso called the Goeupseong Fortress of Kijang.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 masonry based type stamped earthen fortress of Pyeongsan, which was constructed between hill and flatland. The shape of the plane surface is elliptical. The fortress is about 1600m long, making it the longest within the Busan area. In particular, the fortress is slightly longer than other fortifications because its military importance, such as protecting a large population, the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defense against Japanese raiders and etc were reflected in this fortification.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and mountain fortress of Kijang demonstrates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a governing fortress and a masonry fortress that was obviously intended for protection and shelter. Among construction methods of earthen fortifications,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the body of which has been confirmed was constructed by the carving method, is estimated to be the most ancient among the earthen fortifications within the Busan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built very long ago due to the perpendicular style of the inner walls. Among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body of the fortress, intervals of stones, which played the role of the cornerstone of the crossbeam, were confirmed to be about 390~400cm. The cornerstone installation was a popular construction method of the Koryo Dynasty, where cornerstones, such as Gangwha Middle Fortress (within 4m), Jeju Hangpaduseong Fortress (3m), Hoam earthen fortification of Chungju, Masan Hoewonhyeon Fortress(3.8m) and etc were installed with equal interval measur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t least after the middle of the 8thcentury,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of Kijang and KijangHyu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cent archaeological surveys and literature research, it can be known that the Kijang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nd managed during the 8thtothe14century,undergoingtheprocessfromnon-masonry stylobate type to masonry stylobate type.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underwent continuous change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roughout the Koryo Dynast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a governing fortress and the military defense fortress installed at Ancient Mountain Fortress were transferred remains of historic interest.

      • KCI등재

        상주 이부곡토성 유적의보존 및 활용방안

        장충희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6 No.2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to preserve and use the Yibugok earthen fortification ruin in Sangju, which has recently been actively investigated and researched. Now that the coronavirus pandemic has become a reality, a utilization plan using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regional revitaliza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ical value of the Sangju Yibugok earthen fortificati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value of the fortification was reviewed in recent archaeological achievements along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and distortion in its utilization was avoided. Next,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he demand class and local residents, the subject of utilization, was conducted with visitor statistics and surveys. This is because empathy fo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y the demand class and local residents, who are the main agents of uti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use of cultural asset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presented above, the use cases of ancient fortification ruins were examined in the last chapter 4, and a utilization plan for the fortification was presented focusing on empath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historical value of the use of the fortification ruins, the empathy of the demand class, and the public.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in Sangju, a high-risk area due to population decline, various measures must be proposed, and establishing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at the center of Sabeolguk and enhancing its image through various utilization measures can be one of the alternatives.

      • KCI등재

        강릉(江陵) “전예국고성(傳濊國古城)”의 시론적(試論的) 검토

        심재연(Sim Jae yoa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4

        “강릉 예국설”은 문헌 연구자들이 처음 제기하였지만 구체적인 고고학적 검토나 사서(史書)에 기록된 “전예국고성(傳濊國古城)”에 대한 논의는 진행되지 않았다. “전예국고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김흥술이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지적도의 분석을 통하여 강릉읍성과 “전예국고성”의 위치를 비정한 것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암묵적으로 “강릉 예국설”을 뒷받침하던 토성의 위치를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후 진전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2013년 “전예국고성”의 축조시기에 대한 새로운 견해들이 제기되었다. 이 제견해들은 적어도 “전예국고성”의 축조시기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소급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미공개 문서들이 공개되어 “전예국고성”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서벽이 강릉 읍성과 공유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철도부지 일부가 “전예국고성”의 서벽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전예국고성” 서쪽지역에서 이루어진 발굴조사 내용의 검토와 “전예국고성” 내부 사찰유적의 분포를 통하여 “전예국고성”의 축조시기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소급할 수 없다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The Gangreung Ye-guk hypothesis was first proposed by historians of historical documents. However, there has been no specific discussion on the existence of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In regards to this, Kim Heung-sul first speculated the location of Gangreung eup-seong castle and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based on his analysis of the land survey map crea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ra. It produced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earthen fortifications that had implicitly supported Gangreung Ye-guk hypothesis. However, since then, the research did not progress further and the discussion remained stagnant. However, in 2013, new interpretations on the time of building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se interpretations, the time of building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cannot go back earlier than the Three Kingdom period. Then, National Museum of Korea released unidentified drawings and field trip reports through prints and web sit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se documents showed that the guideline to Gangreung eup-seong castle and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proposed by Arimitsu Kyoichi were in fact valid. In addition, it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researches done by Kim Heung-sul. Meanwhile, the review of archeological researches done around the old city area of Gangreung in the outskirt of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temple-related relics around it were confirmed to be traceable to before the Three Kingdom period and the Unified Shilla period.

      • KCI등재후보

        상주 사벌지역의 공간구조 변화

        박달석 ( Park Dah-seok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2 한국불교사연구 Vol.22 No.-

        본고는 상주 사벌지역에 위치한 이부곡토성과 병풍산성 그리고 그주변 고고유적의 기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지역 정치체의 형성과 변천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를 논의한 글이다. 이부곡토성이 위치한사벌지역은 자연지형, 농업생산력, 교통로 등의 배경으로 고대로부터 이 일대의 중심지로 이용되었고, 엄암리토광묘를 조성한 집단을중심으로 지역 정치체가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 중심지는 ‘성(城)’의존재 유무를 떠나 이부곡토성이 위치한 곳이며, 그 주변에 분묘공간, 주거공간으로 구분되는 공간구조를 구성하였다. 이후 5세기 무렵 신라가 상주 사벌지역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기존재지세력의 중심부에 군사와 행정을 총괄하는 이부곡토성을 축성함으로써 지배자 집단의 통치공간·지배거점으로 활용하였고, 새로운 분묘공간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치소성(治所城)의 축조는 신라가영역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역에 진출하면서 군사거점을 구축, 다시 새로운 지역으로의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 삼았으며, 사방의 교통로를 따라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일정한 영역을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5세기 후반 접경지를 중심으로 강력한 적과대치하기 위해 방어력이 향상된 군사 거점이 요구되었고, 이는 석축산성의 축조로 이어졌다. 또한 이미 확보한 안정화된 영역에서도군사적 방어 및 행정적 운영 체계의 재편 등에 따른 축성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이는 병풍산성의 축성 배경으로 판단하였다. 종합하면, 사벌지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접근성이 양호한 이부곡토성은 행정적 기능이, 그 배후에 해당하는 상주분지 동쪽 경계에서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병풍산성은 군사적 기능이 좀 더 우세한 성(城)으로, 양자가 보완 관계를 이루며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사벌지역의 운영·관리의 중심으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사벌지역은 687년(신문왕 7) 무렵, 기존 주치(州治)였던 산성(이부곡토성·병풍산성)이 아닌 평지(분지형 입지조건을 갖춘 현 상주시 중심부)에 이방구획(里坊區劃)된 핵심구역과 주변부, 그 배후에 자산산성이 어우러진 공간구조로 변화하였다. 즉, 지역의 공간구조는 정치체의 형성과 변천에 따라 어느 시점부터 파괴되고, 각 시대의 공간구성방식이 구현되었을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historical sites of Ebugok earthen fortification, Byeongpung fortress, and nearby ruins in Sabeol district. Sabeol district was a political center, considering the natural topography,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raffic benefits. A group who built Eomamri tumuli might took control of Sabeol district. The center of Sabeol district was the place near from Ebugok earthen fortification with or without exist of fortification. And The spatial structure was made up apart from a grave space and a residential space. After the 5th century, the ruling group built Ebugok earthen fortification for their governing base and built a new grave space. Silla built fortifications in other regions to get a foothold in ruling there. and building fortifications led to building fortress in frontier. Not only that, but building fortifications went on in place where was stabilized in ruling. That might be reason why Byeongpung fortress was built. To sum up, Ebugok earthen fortification where has a benefit of traffic took administrative functions and Byeongpung fortress took military functions. Meanwhile, the political capital of Sabeol district moved to flatland(the present downtown of Sangju). The moved center had the spatial system of ‘ri-bang section’(里坊區劃) in main area and built Jasan fortress at the rear. In other words, Spatial structure system in region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the political establishment.

      • KCI등재

        만경강 및 동진강 유역 고대 성곽의 변천

        박영민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8

        본 논문은 전라북도 만경강 및 동진강 유역에 분포하는 고대 성곽의 분포와 입지, 축조기법의 변천 과정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만경강 및 동진강은 전라북도 서부 평야지역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하천이며, 약 67개소에 고대 성곽이 분포하고 있다. 만경강 유역 성곽은 만경강 유역 가운데 만경강과 소양천이 합류하는 충적지 주변 일대에서 처음으로 백제 성곽이 축성되었고, 사비도읍기 무렵에는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어 지역 지배의 거점 성곽으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만경강 유역 백제의 성곽은 최대 둘레가 1,000m 내외이며, 성곽 주변의 평지나 교통로로부터 20분 이내의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입지하고 있다. 반면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성곽의 규모도 커지고 험준한 산봉을 배경으로 축성된 산성이 새롭게 등장한다. 이는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와 보다 세밀한 지역 지배가 가능했기 때문일 것으로 여겨진다. 만경강 및 동진강 유역 고대 성곽은 백제와 통일신라시대를 거치며 구조 및 축조기법이 크게 변화한다. 만경강 및 동진강 유역 백제 성곽은 토성과 석성으로 구분된다. 토성은 영정주를 활용한 판축토성이 축조되는데, 완주 배매산성이 대표적이다. 완주 배매산성은 체성부 축조기법 및 성토재, 내부 건물지 구조 등이 당진 성산성과 매우 유사해 백제 중앙집단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석성은 정읍 고사부리성과 같은 정교한 석축성이 있는 반면, 익산토성과 같이 비교적 거칠게 다듬은 성벽을 토축시설과 함께 축성하는 축성법이 공존한다. 만경강 및 동진강 유역의 토성은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와 성벽 내부에 2열의 석축열이 포함되는 새로운 축성법이 도입된다. 토성의 하단부나 체성부에 기단석열이나 석축열을 부가하는 축성기법은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까지 꾸준히 이어진다. 통일신라시대 석성은 외벽을 크고 정교한 석재로 축조하는 기법이 새롭게 등장하는데, 전주 서고산성과 동고산성이 대표적이다. 만경강 및 동진강 유역의 고대 성곽은 백제와 통일신라시대를 거치며 각 지역 및 지형에 맞게 변형되어 축성되었다. 그 가운데 토축의 체성부에 석축열을 덧붙이는 속성은 후백제 성곽과 조선시대 전기의 읍성 축조 방식에도 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location, and change of construction techniques of ancient fortifications distributed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s in Jeollabuk-do.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are rivers that penetrate the center of the western plains of Jeollabuk-do, and ancient Fortifications are distributed in about 67 places. The Fortifications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was built for the first time around the alluvial area where Mangyeongg River and Soyangcheon Stream merge among the Mangyeong River basin, and it is estimated that it spread to the surrounding area by the Sabi Capital Era and was used as a base fortress for regional control. The Fortifications of Baekje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has a maximum circumference of about 1,000m, and is located within 20 minutes of the flatland or traffic route around the Fortifica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size of the Fortifications grew and a Fortifications built against the backdrop of rugged mountain peaks emerged.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more detailed regional control was possibl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cient fortifications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 undergo significant changes in structure and construction techniques through the Baekje and Unified Silla periods. Baekje fortifications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 are divided into earthen fortifications and ston fortifications, For earthen fortifications, Stamped earthen fortifications is built, and Baemae Mountain fortifications in Wanju is a representative example. Baemae Mountain fortifications in Wanju is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entral group of Baekje because its construction techniques, construction materials, and internal building site structure are very similar to Seongsan fortifications in Dangjin. While Baekje ston fortifications has sophisticated stone fortifications such as Gosaburi fortifications in Jeong-eup, there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builds relatively rough walls such as Iksan earthen fortress along with soil facilities. Earthen fortifications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 entered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a new construction method was introduced that included two rows of stone accumulation inside the wall.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adding base stone or stone storage to the lower part of earthen fortifications or the body part continues steadily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o the Goryeo Dynasty.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 new technique of constructing the outer wall with large and sophisticated stone materials emerged in ston fortifications, and Jeonju Seogo Mountain Fortifications and Donggo Mountain Fortifications are representative. The ancient fortifications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 were transformed and built according to each region and topography through the Baekje and Unified Silla periods. Among them, it is believed that the property of adding stone accumulation heat to the body part of the earth's construction had an effect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Hubaekje fortress and the Eupseong Fortres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KCI등재

        화성 길성리·요리 유적군의 전개과정과 성격

        이혁희 ( Lee Hyeokhee ),김진현 ( Kim Jinhyeon ) 중부고고학회 2024 고고학 Vol.23 No.1

        이 글은 원삼국∼백제 한성기에 해당하는 화성 길성리토성과 요리고분군 주변의 유적 집성과 분석, 단계별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길성리·요리와 양감면 사창리·송산리를 묶어 ‘화성 길성리·요리 유적군’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입지 및 지형을 개관하고, 유적검토에 이어 유적군 내 단계별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단계설정의 기준은 유적군 내 구조 및 공간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적절한 화성 길성리토성의 변화로 삼았으며, 변화와 맞물리는 단계별 유구의 분포 상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1단계는 화성 길성리토성 축성 이전 단계이다. 연구과정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와 낙랑계토기를 새롭게 인식하였다. 이는 성벽축조층에서 수습된 청동반부선금구와 함께, 1단계의 상한이 기원전 2세기까지 소급되었음을 말해준다. 2단계는 화성 길성리토성 축성 이후 단계이다. 2,311m에 달하는 토축성벽이 축조 및 운영된 시기로 4세기 전~중엽으로 추정된다. 성벽의 내부에는 주거지와 수혈의 수량이 증가하며, 굴립주건물지 및 주혈군, 마제형 가마 및 폐기장이 확인되어 1단계에 비해 복합도가 높아진다. 3단계는 화성 길성리토성 폐성 이후 단계로 4세기 중엽 또는 후엽부터 5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기존 성벽 외부로 취락이 확장하고, 요리-사창리-송산리의 능선에서 분묘군이 확인된다. 사창리에서 수습된 진식대금구를 통해 3단계 이른 시점의 분묘군이 추정되며, 이어서 요리·송산리고분군이 조영된다. 특히 4세기 후엽 또는 5세기 전엽의 금동관모 2점과 금동식리가 출토되어 지역 세력의 위상을 알 수 있다. 한편, 3단계에는 유적군의 남쪽으로 화성 소근산성이 축조된다. 이를 통해 4세기 중엽부터 최상위 위신재를 사여 받던 지역집단은, 4세기 후반 또는 5세기 이후 소근산성의 축조를 전후하여 백제의 직접지배권으로 편재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llect, analyze, and study the progress of the development process around Hwaseong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and Yori Ancient Tombs, which correspond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Baekje Hanseong Period. To this end, Gilseongri and Yori(Hyangnameup, Hwaseongsi, Gyeonggido), Sachangri and Songsanri(Yanggammyeon), were combined and set as ‘Sites group of Hwaseong Gilseongri and Yori’. In order to analyze the sites group of Hwaseong Gilseongri and Yori, the location and topography were outlined, and following the review of the sites, the phase change in each stage within the sites group was examined. The criterion for setting the stage was the change in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grasping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space within the sites group. The distribution of the sites in each stage, which coincides with the change in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was presented, and its meaning was considered. The first stage is before the construction of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riangular-shaped rims of pottery and Lelang-type pottery were newly recognized. This suggests that the upper limit of the first stage has been retroactive to at least 2c or B.C. 2c, along with the bronze core part / the head decoration recovered from the fortress construction layer. The second stage i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It is the period when the 2,311m-long earthwork wall was built and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to middle 4c. Inside the wall, the number of dwelling and storage pit increases, and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posthole group, kiln, and rubbish heap are identified, so the higher complexity can be detected compared to the first stage. The third stage is after the closure of Hwaseong Gilseongritoseong Fortification. Even though the earthwork wall was closed after the middle of 4c, the scope of the village is expanded and the outside of the existing wall is developed. It can be seen that it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Baekje Hanseong Period through the cooking tripod, cylinder-shaped pottery stands, and short-necked bottles. In the third stage, tomb groups are identified on the ridges of Yori, Sachangri and Songsanri. The tomb groups in the early stages of the third stage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Jin type metal belt recovered from San 10-1 in Sachangri, followed by the Yori tomb group and Songsanri tomb group. In particular, two gilt-bronze crown hairs and a gilt-bronze Shoes with the 4c posterior or 5c anterior leaves are excavated to reveal the status of local forces. Meanwhile, in the third stage, Hwaseong Sogeunsanseong Fortress was built to the south of sites group of Hwaseong Gilseongri and Yori. Through th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gional group, which had reached its peak enough to receive the highest level of prestige from the middle of 4c, weakened its power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Sogeunsanseong Fortress, and was ubiquitous as Baekje's direct control.

      • KCI등재

        육계토성의 보존ㆍ정비 및 활용방안

        이종찬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8

        There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Charter in 2020 was a response to the changing conditions surrounding cultural heritage sites, including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the rapid shifts in technology, and it aims to increase public access to heritage sites. The Charter shifts the focus of the current management system from justifying preservation efforts to making cultural heritage more publicly available. This shift reflects the change in the attitude of heritage management, which reached a point where historical sites and artifacts are considered local cultural resources as much as they are objects of preservation. Yukgyetoseong, located along the Imjin River, is an important historic site that expands our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period, and as a historical defense structure, it is integral to Paju's identity as a "city of security." However, the military significance of the location, both historically and current, prevented even the basic survey, much less a discussion about its potential usage. Ironically, it was the flood of the Imjin River in 1996 that allowed researchers to investigate the remains. Following the relocation of the army base, it is now possible to debate the potential value of the Yukgyetoseong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The present study built on existing research and amassed foundational data on the site to offer an additional depth for future research and recommend a sensible improvement that would create an inviting environment for the public to explore the site freely. Therefore, while this proposal still follows the principle of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 it suggests a comprehensive improvement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ation-improvement-use to approach Yukgyeotoseong as a resource. Finally, the plan suggests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historical value of the site through investigation, land acquisition, and foundation repair with minimal disruption to thesite. Furthermore, the plan offers a step-by-step mid-and long-term action plan for increased public access to Yukgyetoseong as the foremost historical resource in the region. The present study ultimatel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Yukgyetoseong to become the leading historic site of military defense and contribute in a small way to the discussion on the possible future use of this historic fortification. 2020년에 새로이 개정된 「문화유산 헌장」에는 삶의 질의 향상과 기술의 변화속도 등달라진 대외환경 요인에 대응하고, 국민 누구나 보편적으로 누릴 수 있는 문화유산을 만들어가겠다는 기대가 담겨 있다. 개정 내용에는 보존의 당위성에 치중해왔던 기존 문화재 행정체계를 개편하고 문화재에 대한 진입 문턱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는의지가 함축되어 있다. 이제 문화유산은 보존의 대상을 넘어서 지역 문화자원으로서의활용가치도 함께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한 것이다. 임진강 유역에 위치한 육계토성은 고대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할 수 있는 유적이면서 ‘안보의 도시’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파주시의 역사적인 관방유산이다. 그러나이곳은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군사적 요충지이기 때문에 그간 유적의 활용가치에 대한문제는 차치하고 조사연구조차 어려운 형편이었다. 그렇지만 아이러니하게도 1996년 임진강 유역의 범람으로 유적의 실체에 보다 다가갈 수 있었고, 이후 군부대는 이전하면서 이제는 지역의 문화자원으로서 활용가치를 논의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 글은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향후 조사연구의 내실을 기하고 시민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탐방여건을 만들기 위한 합리적인 정비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원형 유지’라는 문화재의 기본원칙을 전제하면서도 ‘보존ㆍ정비ㆍ활용’이라는관점에서 육계토성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총체적인 방안을 구상하고자 한다. 이에, 시급성과 실현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단기적으로 유적의 성격 규명 및 훼손 요인을최소화하도록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지역의 대표 역사자원으로써 시민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육계토성이 파주시를 대표하는관방유적으로 도약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고, 나아가 성곽 유적의 가치 활용에 대한고민에 미력하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Study o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Deokjinsanseong Fortress(德津山城)

        심광주 ( Sim Gwangzhu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6

        城郭은 규모도 크고 복잡하여 축성에 많은 인력과 다양한 기술이 필요한 대형의 複合構造物이다. 토목 건축기술의 차이로 인하여 축성법은 국가마다 달랐으며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되었다. 따라서 정확한 축성법을 알면 성곽의 축성주체와 축성시기를 알 수 있다. 3차까지의 발굴조사 결과 덕진산성의 성벽은 중심부와 내벽은 흙으로 쌓고, 外壁은 돌로 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굴조사단은 고구려가 쌓은 土城을 통일신라가 石城으로 개축하였다는 견해를 제기하였다. 그러나 `安息角`이 유지되어야 하는 토성의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하면, 덕진산성은 土城에서 石城으로 改築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토성과 석성을 결합하여 쌓은 `土芯石築城`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심석축성`은 고구려 성곽의 일반적인 축성법이다. 그러나 덕진산성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의 유물이 주로 출토되었으며, 성돌의 가공수법이나 성벽의 축조방법 등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축성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므로 덕진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고구려와 신라의 축성기술을 융합하여 쌓았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실시된 4차 발굴조사 결과 덕진산성 서쪽 성벽의 통일신라 성벽 안쪽에서 새로운 성벽이 확인되었다. 다듬지 않은 할석을 사용한 面石과 진흙으로 채우면서 쌓은 濕式쌓기, 성벽 안쪽에 土築部를 먼저 조성하고 석축으로 마감하는 방식은 고구려 축성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덕진산성은 고구려가 `토심석축공법`으로 初築하였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덕진산성은 고구려에 의한 초축 이후 통일신라시대에 2차에 걸쳐 대대적인 수축이 이루어졌다. 1차 修築은 장방형으로 가공한 편마암 성돌을 사용하여 석축성벽과 보축성벽을 쌓았다. 이후 정교하게 가공된 화강암 성돌을 사용하여 1차 수축성벽의 바깥쪽에 2차 수축성벽을 덧붙여 쌓았다. 이처럼 덕진산성에서 확인되는 여러 시기의 성벽은 축성주체와 축성시기에 따른 축성기술의 변화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Unlike other historic structures, fortifications are huge and complex, requiring large amount of labor and various construction techniques. Construction technology used for ancient fortifications varied from country to country and has evolved over time. In this context, excavation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understand the technology and figure out when and who built fortifications. After three rounds of excavations at the site of Deokjinsanseong Fortress(德津山城), it was found that the builder banked earth to erect the center and the interior wall, with stones for the exterior wall. Based on the findings, the excavation team suggested that it was initially an earthen fortress established by Goguryeo, and Unified Silla transformed it into a stone-built one. However, taking the structural feature peculiar to an earthen fortress, such as maintaining the “angle of repose,” into consider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builder combined advantages of earthen and stone fortifications in the construction, which denies the team`s suggestion. Although such method is commonly observed in the fortifications of Goguryeo, the findings uncovered at the site of Deokjinsanseong Fortress were of Unified Silla, and the processed stones and the stone wall also attest to the construction methods used in the kingdom. Therefore, it has been considered that Unified Silla might have adopted construction techniques of two kingdoms-Goguryeo and Silla-in erecting the Fortress. However, the excavation team recently discovered another wall inside the one built by Unified Silla at the west side of the fortress in its fourth round of excavation. This wall shows major features of Goguryeo`s construction style: Goguryeo used crushed stones as surface stones, piled them up and then filled the gaps with earth, which is called wet construction, while Unified Silla used processed ones. Moreover, in building the fortress, Goguryeo founded the base inside the wall by banking earth and surrounded it with stones(土芯石築工法). Taking account of these features, Goguryeo is possibly the initial builder of Deokjinsanseong Fortress. Deokjinsanseong Fortress underwent large-scale improvements twice in the period of Unified Silla. In the first improvement, a new stone wall and additions(補築城壁) of gneiss rocks were built. The gneiss rocks were chiseled rectangularly. Later, another wall of elaborately processed granite rocks was attached outside the wall raised in previous improvement. These walls of the Fortress unveil the construction techniques that had been available in different kingdoms and different time periods.

      •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연구

        안성현 한국성곽학회 2012 한국성곽학보 Vol.21 No.-

        본고에서는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 중 시굴 및 발굴조사와 발표자가 지표조사상에서 확인된 성곽을 중심으로 이 시기 토성의 특징과 축조주체 및 목적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제까지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통일신라시대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시기 경남지역은 이전 시기와 달리 왜구의 방어를 중점을 둔 축성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양상은 조선시대까지 변함없이 이어졌다. 통일신라시대 토성의 특징 중 가장 두르러지는 것은 해안가에 집중적인 축성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안정적인 해로의 통제와 대 왜구 방어에 중점을 둔 축성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그리고 토성의 규모는 길이900∼2,000m 사이의 토성들이 바닷가와 내륙 등 다양한 위치에 축조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길이 약 900∼2,000m 사이의 토성들이 주로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들은 모두 내․외벽 기저부에 기단석렬을 배치한 뒤 성벽을 쌓았다. 기단석렬은 평행한 것과 사직선을 이루는 것으로 나누어지지만 시기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는 못한다. 또한 영정주 간격 역시 정형성을 찾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다. 주목되는 점은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영정주를 중심으로 좌․우의 판축토가 동일한 것과 판이하게 다른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판축토가 달라지는 양 끝부분을 한 구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토성벽의 내․외부 퇴적토에서 출토되는 다량의 기와편들은 성벽의 구조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가정하에 4가지 정도의 가능성을 검토해 본 결과 와적여장 및 성벽 상부 덮을 때 사용하는 개와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 토성의 축조주체는 신라사회의 변화 궤를 같이하므로 축조주체 역시 변하였을 것이다. 즉 삼국통일 후에서 9C 전반에서 중반 정도까지는 중앙 정부의 영향력이 강하였다고 생각된다. 그 이후 호족들의 세력이 커지는 9C 후반에서 10C 초반에는 새로운 토성을 축성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존의 토성을 최대한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토성들은 고려시대 초 조운제가 운영되면서 최대한 활용되었으며, 토성이 축조되어 있지 않은 지역은 새로운 축성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해로를 통제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main construction agents and purpose of earthen fortifications 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were confirmed in Gyeongnam region by the presenter through the investigation were examined briefly. The examin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nified Silla period began when Shilla unified three Kingdoms. During this period, fortifications were constructed in Gyeongnam region with intent to defend invasions by Japanese pirates unlike the previous periods, the this aspect had continued until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fortification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that the fortifications were intensively constructed on the coast. The exact reasons are not known, but it is considered to be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sea route and defending invasions by Japanese pirates. And, the earthen fortifications with a size ranged between 900m and 2,000m are found from various locations including the seaside and inland region, and this shows that earthen fortifications with a size ranged between 900m and 2,000m were mainly constructed. And, gidanseokyeol were placed on the base of both inside and outside walls first and then fortification walls were constructed for earthen fortifications constructed in Gyeongnam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Gidanseokyeol are classified into parallel ones and obliquely straight ones, but gidanseokyeol in these fortifications do not reflect this aspect of change actively. And, also intervals between pillars are so diverse so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set pattern. It is noted that, unlike as known previously, some places have panchukto betwee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panchukto and other places have different panchukto betwee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panchukto, and it would be proper to consider the both ends of where different panchukto were used as one section. Provided a large quantity of roof tiles excavated from deposit soils inside and outside of the earthen fortification walls provides a critical clue to reveal the structure of fortification walls, the examination of 4 possibilities confirmed that these roof tiles were used to cover whajeokyeojang and the top of fortification walls. And, the construction of earthen fortifications went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Silla society, so the main agents who constructed the earthen fortifications also might have been changed. That is,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must be powerful from the early 9th century to the mid 9th century after the Shilla unified three Kingdoms. New earthen fortifications might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a period between the late 9th century and early 10th century when local lords became more powerful,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existing earthen fortifications were utilized to the maximum. It seems that these earthen fortifications were utilized to the maximum after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as adopted in early Koryo Dynasty periods, and new fortifications were constructed in regions without earthen fortifications were to control safe sea ro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