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러 군사관계 20년의 회고와 전망

        심헌용(Sim, Heon Yong) 한림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0 Journal of Siberian and Far Eastern Studies Vol.6 No.1

        On September 30, 1990 in twenty years ago, two ministers of the Foreign Affairs from the Republic of Korea (ROK) and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 in New York, USA “agreed that the diplomatic relationship in the ambassador level were established.” The two countries signed on “the Communiqu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U.S.S.R.” and recovered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hich was disconnected the relationship before then. That day signing on the Communique was the 85 years past after the Korea and Russia were disconnected the diplomatic relationship, it was the right after the Russia-Japan War in 1905, the Japan deprived the diplomatic right from the Great Korea Empire. In this paper, I studi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bout the military relationship which was not smooth between Korea and Russia, and recovered the normal diplomatic relationship in the post-cold war, built and developed proceedings the military relationship through the systematic and all-out of the military relationship. In this article, I explained it as the two phases, ①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ROK-Russia and formative of the military relationship (1991~ 1996), ② The period of the all-out of the military relationship (1996~present). In November 1992, President Yeltsin, Russia visited the ROK and signed on the agreement of the basic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Russia. And so the both countries could execute the concrete cooperative projects under the systematic frame. The two countries agreed to promote the mutual interests through developing the friendly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contribute peace, security, and prosperity in Asia and world mentioned in the full text of the agreement. In addition, two head ministers of the National Defense between the ROK and Russia agreed the MOU related the military relationship for development between the ROK and Russia, and open the military exchanges, too. Although th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relationship was so poor because of the low level systematic and limited exchanges, we can expect that both countries are needed each other. In order to develop the military relationship, I suggest two things. First, the ROK should consider strategically in the long range prospect how can make the relationship with Russia, which is the continental country. Second, military relationship with Russia is stick to depend on the security and diplomacy in the Asia could not independently relationship. I suggest that the two countries mutually understand their strong and weak points, and build their mutual trustworthy, and exchange each other under their rational and profession. In this point, the mutual studies in he field of military and defense studies are the realistic projects which are making a historical cognition through discussion and evaluation on the impending defense issues and existing relationships. Also the cooperative in the defense logistics could proceed in respects on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necessity through the co-usable military technology and arms trade. Third, I insist that the low level systematic and poor exchanges in the mili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Russia, we can overcome it through the activation of networking between the parts of the military relationship. 20년 전인 지난 1990년 9월 30일 한국과 소련 외무부장관은 뉴욕 에서 “ ......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기로 결정하였다.” 양국은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대한민국과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연방 간의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 코뮤니케」에 서명함으로써 그동안 단절되었던 외교관계를 복원하였다. 1905년 러일전쟁 직후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앗아감으로써 한국과 러시아의 외교관계가 끊긴 지 85년 만이다. 결코 순탄치 않았던 양국 군사관계의 역사성을 살펴보고 탈 냉전기 양국 외교관계가 정상화되고 군사관계가 형성 되고 발전한 과정을 군사관계의 제도화나 교류의 전면화를 계기로 하여 ① 한·소 국교수립과 군사관계 형성기(1991~1996), ② 한·러 군사교류의 전면화기(1996~현재)로 나누어 설명해 보았다. 1992년 11월 러시아 옐친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하여 「한·러 기본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한·러 양국은 구체적인 협력 사업을 제도적 틀 속에서 전개할 수 있게 되었다. 양국은 전문에서 우호협력관계를 발전시켜 상호 국익을 증진하고 아태 지역 및 세계의 평화, 안보 그리고 번영에 이바지한다고 합의하였다. 더불어 양국 군수뇌부인 국방장관은「한·러 국방부 간 관계발전을 위한 군사 교류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군사교류의 물꼬를 터놓았다. 비록 양국 군사관계가 낮은 제도화와 제한된 교류로 인해 발전은 미미하지만 여전히 상대국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전망을 가질 수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첫째, 한국은 대륙국가 러시아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략적 고민을 해야 할것, 둘째, 러시아와의 군사외교는 비록 동북아 평화와 안보모색이라는 안보외교에 종속되어 독자성을 모색하기가 쉽지 않지만, 상대국에 대한 장단점을 상호이해하면서 신뢰를 구축하고 합리성과 전문 성에 입각한 교류를 추진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점에서 군사·국방학술 분야의 공동연구는 기존 관계사와 현행 국방 현안에 대한 쟁점토의 내지 평가를 도출함으로써 공동의 역사인식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현실성 있는 사업이다. 여기에 군수방산 분야의 협력은 상호 유용한 군사기술 및 무기교류를 상호이해와 필요성 관점에서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제도화나 정례화의 정도와 수준이 낮은 양국 군사외교는 군사 부문 간의 네트워크 활성 화로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麗末 日本通信使의 使行과 送詩

        엄경흠(Um Gyoung Hue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5 No.-

        고려 말의 여일 관계는 지극히 위태로웠다. 이의 가장 주된 요인은 여원연합군의 정벌과 왜구의 침구다. 당시 몽골에 의해 일본으로 파견되었던 金有成과 郭麟은 구류된 상태에서 일본에서 사망한다. 그리고 恭愍王 때에는 金龍과 金逸을 禁賊使로 보냈는데, 일본 조정은 애매한 태도를 취했으나 실질적인 영향력을 가진 일본 막부와 고려 정부의 협조는 어느 정도 접근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禑王 원년에는 羅興儒를 파견하였고, 3년에는 安吉祥을 보내었으며 같은 해에 鄭夢周를 파견하게 되었다. 그런데 안길상은 병사하였고, 나흥유와 정몽주는 구금되었다가 이후 성공적인 외교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이는 당시 여일관계에 있어서의 사행이 얼마나 어려운 것이었던가를 여실히 보여주는 실례가 될 것이다. 이후 같은 해 10월에는 李子庸과 韓國柱를, 5년에는 尹思忠을 보내어 報聘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려의 일본통신사들은 때로 평화교린의 상황에서 사행을 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대부분 목숨을 담보로 하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작품 속에서 이러한 어려움을 토로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사신들이 보편적으로 표현하는 鄕愁가 대부분의 내용이었다. 여기에서의 향수는 당시 여일관계에 비추어보자면 사행의 부담에서 나온 심리적 요인이 더욱 크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러나 고려 사신들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의연한 태도를 가지고자 노력하였고, 이러한 태도는 그대로 작품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그들을 보내는 送詩의 작가들 또한 일본 사행의 어려움에 대한 표현을 하고는 있으나 직접적인 여일관계의 어려움을 표현하거나 비장한 태도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오히려 그들은 일본통신사들의 외교적 능력을 칭송하고 그들이 반드시 외교적 어려움을 해결하여 평화로운 여일관계를 가져올 것이라는 희망을 표현하는 데 작품의 대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이는 문학이 지향하는 당위적 현실이라고 하겠는데, 외교는 평화교린이 당위적인 것이며, 이를 위한 외교 관계는 전쟁과 같은 무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세 치 혀로 표현되는 대화가 그 중심을 이루며, 이러한 평화교린을 현실로 이끌어올 수 있는 존재가 바로 日本通信使라고 그들 스스로 믿고자 하는 태도인 것이다. Around the end of the dynasty Goryeo was facing great difficulties in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Japan that were caused both by the expeditions against Japan by the allied forces of Goryeo and Yuan China and by Japanese pirates. In those days, the envoys to Japan rarely made diplomatic trips under the condition of peaceful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ing country but mostly had to risk their lives. On occasion, they expressed such difficulties in their literary works. The chief subject they generally expressed is homesickness and that can be interpreted in two ways. One is the emotion to solve the burden they underwent as envoys and the other is common nostalgia for their home country. Taking the then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Japan into consideration, the former is thought to have taken most of the contents. Despite the difficulties of the diplomatic trips at the risk of their death, Goryeo envoys tried to take a firm attitude and that attitude was reflected in their works. Although the writers of farewell poems who sent them off also expressed the difficulties of the envoy trips, they did not describe directly the advers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Japan or show a grim attitude. On the contrary, they mostly praised the envoys to Japan"s diplomatic ability and expressed the hope of their bringing in a peaceful Goryeo and Japan relationship by solving the diplomatic difficulties. This is the inevitable reality literature should pursue and diplomacy must achieve peaceful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e diplomatic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should be built not by wars using armed forces but by dialogs with short tongues. They themselves believed that the envoys to Japan would realize this good-neighbor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中國學界의 高句麗 對外關係史 硏究現況

        余昊奎 한국고대사학회 2003 韓國古代史硏究 Vol.31 No.-

        The diplomatic relationship the Koguryo dynasty had with other regions throughout the North-Eastern Asian society, is a subject frequently studied by various researchers. Record shows that as the Koguryo dynasty was establishing a huge presence inside the area it opened dialogues with several other nearby countries and political bodies, and that the dynasty skillfully employed various types of diplomatic polic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North-Eastern Asian community. Recently the Chinese scholars seem to be also heavily engaged in studying the history of Koguryo's diplomatic relationships. Yet they do not view the history of the Koguryo dynasty as part of Korean history. In fact, based on their own perspective viewing past dynasties' history as part of the Chinese history due to those past dynasties' geographical locations(which are in most cases currently occupied by the present regime of China), they consider the history of the Koguryo dynasty as part of their own Chinese history, They view their own realm as a unified whole, comprised of various multi-national entities, which makes the founders of the Koguryo dynasty being one of many minor nationalities inside the Chinese domain, and Koguryo itself as a mere local entity subjected to the superior authority of the Chinese empires. According to this kind of logic,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the Chinese empires can no longer be considered 'diplomatic' on Koguryo's part at all. It falsely becomes a Chinese domestic issue. But the Chinese scholars have often had to tamper with the historical records in order to suit their own claims. And acts like these surely border on distortion of historical truth. In order to counteract such perversive actions, we need not only to closely monitor the Chinese-based researches, but also to reinforce our studies over the history of Koguryo's diplomatic relationships.

      • KCI등재

        한․중관계의 정상화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모색

        광슈위(Xiuyu Fang),주밍아이(Mingai zhu)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2

        중국은 지리적으로 한반도와 가장 가까이 인접해 있는 국가로서 예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과 한반도 사이 문화교류와 협력의 관계는 약 3천 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서냉전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한국과 중국 사이에는 근 40여 년 동안이나 모든 공식적인 외교관계와 교류가 중단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적대관계에 처해 있던 한?중관계는 점차 개선되기 시작하였으며 1992년 수교를 계기로 양국의 관계는 비약적인 진전을 이루었다. 전 세계적인 범위의 냉전이 종식되고 글로벌 지구촌으로 발전하는 현 시점에서 한국과 중국 양국 사이의 교류와 협력은 날로 확대되고 있으며 그 영향력도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모든 국가 간의 관계가 그러하듯 한국과 중국 양국 간 관계발전 과정에도 적지 않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중 외교관계 정상화 이전의 한국의 대 중국외교정책과 중국의 대 한국외교정책 및 그 변화 과정을 고찰해 보고 아울러 양국 외교관계 정상화를 실현할 수 있었던 원인을 규명한 후, 정상화 이후 양국 간 우호 협력의 외교관계의 성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동시에 양국 간 현재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짚어본 후 그 원인도 규명할 것이다. 끝으로 향후 협력과 평화적 발전의 새로운 한?중관계의 설정을 위한 건설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China, as the nation which is the most contiguous from the Korean Peninsula geographically, has been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since the ancient years. The cultural exchanges and cooprativ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have a nealy 3000-year-long history. As a result of the Cold War between East and West after the World War II, all the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and intercommunic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discontinued by opposition of ideology for nearly 40 years. However, Korean-Sino relationship of hostility has started being improved gradually since 1970s. The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 attempted to reconcile with escaping from the yoke of ideology gradually, and accomplished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Currently, the whole world having been developing into a globe village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exchanges and cooper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expanded day by day, and the influence also is becoming larger and larger. Nevertheless, many problems are exposed in the developmnetal process of Korean-Sino relationship just as any relationship of nations is. For that reason, this paper gives an investigation on the foreign policy for China of Korea, foreign policy for Korea of China and respective changing process before the normalization of Korean-Sino diplomatic relationship. In this process, after clarifying the reason for the reach of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this paper also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chievement of Korean-Sino diplomatic relationship after normalization. Meanwhile, after showing current problems between two countries, this paper tries to decribe the reason for them. Finally, this paper explores construtive solutions to a new Korean-Sino relationship of cooperation and peaceful develoment in future.

      • KCI등재

        한·중 수교 18주년 평가와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분석

        김주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국가안보와 전략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political, economic, military, and security aspects over the past 18 years andanalyse the main factors of change in the relationship and in developmental directions.On August 24th, 1992, South Korea and China decided to liquidate the ideological relations of the cold war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normal diplomaticrelations and for their practical interests in politics. As new diplomatic relations havedeveloped in the northeast, the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havegradually changed into a relationship of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from acooperative relationship. Second, in economic aspects, South Korea has kept economic growth up through economic trade with China for 18 years and the economic influence of the Unites States and Japan as friendly nations has declined slowly. Third, in the military and security areas, South Korea’s cease-fire system has been a barrier to the development of the two nations and North Korean nuclear ability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o consi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n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Fourth, i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exchanges and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increased in personal and material aspects and exchange and cooperative relations contain common cultural values as part of a Confucian-Sinosphere and in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factors in the relationships,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al conditions, the political influence of each nation, the divided stat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nternational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re categorized into main factors. South Korea and China should focus on practical ideas of political cooperation rather than the ideological ideas in the 21st-century Northeast Asian Cooperation Initiative and our economic cooperation should seek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based on our real economic conditions. In respect to cooperative relations in the military and security areas, the divided system and North Korea’s nuclear issues should be reconsidered as common problems and our practical ability to change into a peaceful system and specific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m. Our future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 should respect the cultures of each nation and be active in the establishment of a Northeast Community based on bonds of sympathy as a Confucian-Sinosphere. 이 논문은 1992년 한중수교 이후 18년 동안의 정치적·경제적·군사안보적·사회문화적 관계를 부문별로 평가하고, 양국관계의 주요 변화요인과 향후 발전방향을 분석·전망하고 있다. 1992년 8월 24일 한국과 중국은 탈냉전의 시대적 변화로 인하여 첫째, 정치적으로는과거 냉전기 이념적 관계를 청산하고 양국의 자국실리를 위해 국교정상화를 추진하였다. 이렇게 변화된 한중관계는 동북아질서에서 새로운 외교패턴으로 발전하여 양국관계는 ‘전면적 협력관계’에서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로 성숙되어 왔다. 둘째, 경제적인 면에서 한국은 한중수교 18년 동안 중국과의 경제교역을 통해 경제적성장세를 지속하였으며, 반면에 전통적 우방국가인 미국과 일본의 경제적 영향력은 서서히 쇠퇴하였다. 셋째, 군사안보적인 면에서 볼 때, 한반도의 정전체제는 한국과 중국의 발전에 있어서 장애요소였으며 북핵문제는 북중관계와 남북관계에서 항상 배제할 수 없는 주요현안이었다. 넷째, 사회문화적인 면에서 양국의 교류협력관계는 인적·물적 모든 면에서 양적팽창을 보여 왔으며, 이러한 교류협력관계 이면에는 한자유교문화권이라는공통된 문화적 가치와 역사적 환경 요소가 내포돼 있었다. 한중관계의 변화요인은 여러 가지로 나열할 수 있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국제정세의 변화, 자국의 정치적 영향력, 한반도분단체제, 한중 간 국제교류 등은 양국관계를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한국과 중국은 21세기 동북아시대를 맞이하여 향후 양국의 정치적 협력관계를 이념보다는 실용적 개념에 가중치를 두고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경제적 협력은 양국의 경제적 입장과 현실에 기반하여 공존공영하는 방향으로 경제적 교류를 강화해 나가야한다. 군사안보적 협력관계는 한반도분단체제와 북핵문제를 한국과 중국의 공통된 현실문제로 재인식하고, 이를 평화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실천능력과 구체적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한중의 미래 사회문화적관계는 ‘한자유교문화권’이라는 공감대를 토양으로 양국이 동북아 문화유산에 대한 상호존중과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는 동북아공동협력체 결성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중 수교 20년, 인문학 교류의 의미와 과제

        김하림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39 No.-

        2012년으로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국교를 수립한지 20년이 되었다. 1950년에 발발 했던 한국전쟁 이후 무찔러야만 되는 적대적 관계였던 ‘오랑캐 국가 중공’이 1992년 수교 이 후 20년 만에 이제는 한국과 가장 긴밀하게 교류하고 있는 국가가 된 것이다. 수교 20주년을 맞이하여 이제 우리는 한국의 중국관, 중국 인식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그동안의 중국관 이나 중국 인식이 주로 미국이나 일본의 영향이나 자장권에서 이루어진 측면이 적지 않기 때 문에, 이제는 우리의 생존전략 차원에서도, 동아시아의 공생과 번영, 평화를 위해서도 한국의 중국관을 확립할 필요가 있고, 한중교류의 의미와 목적을 성찰할 시점이기도 하다. 한국과 중국의 수교 20주년은 향후 한국과 중국이 어떻게 상호 교류를 더 증진시키고 호혜 평등한 관계 속에서 양국의 발전을 도모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계기를 부여해주었다. 현재까지 는 주로 경제적 교류 중심으로 한중관계를 인식하는 측면이 강했다면, 이제는 새로운 창조적 관계를 모색하고 실천해야 할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단계에 중요한 것은 ‘인문학’의 역할이 라 할 수 있다. 즉 양국의 ‘국가-문화-이데올로기’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의해 재생산되는 모 순, 갈등, 편견의 문제를 극복해야 ‘창조적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생 산되는 문제는 결국 ‘인문학’이 해결해야 할 몫이다. 국가단위가 아닌 ‘인간’의 문제를 고민하 는 것이 ‘인문학’의 근본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In 2012,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ecame 2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After the Korean War in 1950, the South Korea and China which was called ‘barbarians red china’ at that time relations was hostile. Now, they were most closely interact each other for 2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At this point, South Korea is necessary to stand the perception of china and the viewpoint of china those were meanwhile assessed by America or Japan. Now, the South Korea need to establish the viewpoint of China for strategies in terms of theirs survival and for peace, symbiotic relationship, and properties in East Asia. Also, it is time to reflect on the meaning and purpose of the Korea-China exchange. The 2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have offered opportunities how to promote more interaction in the future and to develop in equality and mutual benefit relations between two counties. Until now, the aspects of Korea-China relations was strong to recognized mainly by economic exchanges. Now, this is the point to seek and practice new creative relationship. In this step, the important thing is the roles of ‘humanities’ which means both countries's ‘Country-Culture-Ideology’ system and then this system reproduced contradiction, conflict and prejudice problems. After solves these problems, finally they can be formed creative relationship. The problems that produced by the system need to resolve eventually by the ‘humanities’. This is especially the root of ‘humanities’ imply be concerned about the ‘human’ not the nation.

      • KCI등재

        여말선초의 對明관계와 人臣無外交관념

        임현진(Lim, Hyeon jin)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38

        본고는 여말선초 시기 對明관계를 명대에 이르러 새로이 등장한 一視同仁․人臣無外交라는 외교 관념의 형성 및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명대에는 일시동인적 외교 관념에 의하여 예의를 아는 夷, 즉 제후국을 명의 臣子와 같이 대우하였으며, 명의 人臣인 제후국은 천자의 허락없이 사사로이 외교할 수 없다는 인신무외교 관념에 의하여 그 외교가 제한되었다.(Ⅰ) 고려․조선은 명의 일시동인적 외교 관념에 호응하였는데, 이는 고려가 원 복속기를 거치면서 스스로를 예의를 아는 이적[東人]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한편, 자국의 외교가 천자국인 명에 의해 私交로 규정되어 제재를 받자, 고려․조선은 명의 외교 질서 속에서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특히, 조선 태조는 명의 외교 질서 속에서 자국의 위치를 능동적으로 수정하기 위하여 요동정벌을 시도하였다.(Ⅱ)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Ming dynasty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in terms of the for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iplomatic ideology of “universal benevolence(一視同仁)” and “a vassal can not be diplomatic(人臣無外交)” which was newly introduced in the Ming Dynasty. The Ming Dynasty treated the vassal like servants of the Ming Dynasty according to diplomatic idea of “universal benevolence”. The vassal, a servant of the Ming Dynasty, was restricted in diplomacy by the diplomatic idea of “a vassal can not be diplomatic” that diplomacy could not be done without the permission of Cheonja. However, Goryeo and Joseon responded to the diplomatic idea of “universal benevolence” of the Ming Dynasty.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Goryeo regarded itself as a ijeok(夷狄) of courtesy during the period of Yuan’s intervention in Goryeo. Though, when its diplomacy was sanctioned by the Ming Dynasty, Goryeo and Joseon tried to resolve it in the diplomatic order of the Ming Dynasty. In particular, King Taejo of the Joseon attempted to Liaodong conquest to actively modify his country’s position in the diplomatic order of the Ming Dynasty.

      • KCI등재

        Republic of Korea-Russia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U.S.-Russia Relations

        ( Duckjoon Cha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7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22 No.2

        This paper deals with Seoul-Moscow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Washington- Moscow relationships. To a large extent, Seoul-Moscow ties have been influenced by, and thus synchronized with, Washington-Moscow relationships. However, at times even under the strained relationships between Washington and Moscow,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has been made possible by top policy-makers in both countries. The Kim Dae-jung and Vladimir Putin joint statement on the ABM treaty and the Park Geun-hye and Vladimir Putin agreement on the trilateral cooperation and the RFE development projects are the cases examined here. To minimize such synchronization between two sets of bilateral relationships, this paper suggests some policy options including strengthening the ROK―U.S. alliance, cooperating closely with Moscow on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developing mutual trust through detailed and concrete cooperation projects coupled with the sharing of common visions and friendship by the top leaders of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Republic of Korea-Russia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U.S.-Russia Relations

        장덕준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7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22 No.2

        This paper deals with Seoul-Moscow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Washington- Moscow relationships. To a large extent, Seoul-Moscow ties have been influenced by, and thus synchronized with, Washington-Moscow relationships. However, at times even under the strained relationships between Washington and Moscow,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has been made possible by top policy-makers in both countries. The Kim Dae-jung and Vladimir Putin joint statement on the ABM treaty and the Park Geun-hye and Vladimir Putin agreement on the trilateral cooperation and the RFE development projects are the cases examined here. To minimize such synchronization between two sets of bilateral relationships, this paper suggests some policy options including strengthening the ROK—U.S. alliance, cooperating closely with Moscow on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developing mutual trust through detailed and concrete cooperation projects coupled with the sharing of common visions and friendship by the top leaders of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新羅 中代의 동아시아 政策과 對應

        조범환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5

        The policies and actions of the Silla's Middle East Asian countr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The first is the period between the Munmu Kingdom and the Hyoso Kingdom, before King Seongdeok succeeded to the throne, and the second is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Gyeongdeok Kingdom after King Seongdeok succeeded to the throne. Finally, it was the period from the mid-Gyeongdeok Dynasty to the time before King Wonseong, when the late period of Silla Dynasty began. Such timing distinctions are useful framework to explain the East Asian policy of middle period of Silla. This is because diplomatic policy of middle Silla period was closely linked to events that occurred in East Asia at that time. The East Asian policy, which was promoted during the middle of the Silla period and Tang dynasty, maintained as a diplomatic relationship. After the Ahn-sa’s Rebellion, the confrontation and tension between Balhae and Silla changed. On the Korean Peninsula, Tang dynasty showed great dignity in the west, but it gradually weakened with changes in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Balhae and Silla changed from confrontation to exchange, but political confrontations were also existed. Japan tried to pursue an independent world beyond the order of East Asia. They could move away from Silla's interest, but still remained as a subject of commercial exchange. 이 글은 신라 중대의 동아시아 정책과 대응에 대하여 서술한 것이다. 서술한 결과를 정리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성덕왕 이전의 시기에 대외정책은, 특히 당에 대한 정책은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자세로 일관하였다. 신라는 당의 재침을 두려워하였으며 사신을 파견하는 것에 매우 신중한 입장을 취하였다. 반대로 신라의 일본에 대한 정책은 적극적이고 개방적이었다. 이는 후방 세력을 포섭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일본 또한 당의 침공을 두려워하여 신라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 것을 적절하게 이용하였다. 둘째로 성덕왕이 왕위를 계승한 이후 당과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정책을 취하였는데 이는 효소왕 재위 말기에 등장한 발해가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발해의 당 등주 침입으로 말미암아 신라는 군대를 파견하였고 그 결과 당으로부터 패강 이남의 땅을 확실하게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발해와는 적대적인 관계로 변화하였음은 이를 나위가 없다. 이와 같은 친당 및 반발해 정책은 당에서 안사의 난이 일어나기 전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기 신라의 대일정책도 당과 발해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신라는 당을 등에 업고 있었기에 일본에 대하여 군자국의 위상을 드러냈고 그것을 수용하지 못한 일본은 신라와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셋째로 경덕왕대 중반기에 당에서 발생한 안사의 난으로 말미암아 신라는 당의 상황을 예의 주시하는 한편 발해와는 교류를 가지는 정책을 취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발해가 일본과 가까운 관계를 가지게 되자 신라는 일본과는 더욱 멀어지는 상황이 되었고 그에 대한 특별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신라 중대 시기에 추진된 동아시아 정책은 큰 틀에서 보면 당과 조공책봉을 통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발해와는 대립과 긴장 관계를 지속하다가 안사의 난 이후에는 교류를 하는 관계로 바뀌었다.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당나라와 발해로 말미암아 점차 불편한 관계가 되었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해서 볼 때 서쪽에는 당이 위용을 과시하였지만 시간의 변화와 더불어 점차 약화되었고 발해와 대립에서 교류 관계로 바뀌었으나 이후 정치적인 대립도 없지 않았다. 일본은 당에 사신을 파견하면서 동아시아의 질서를 벗어난 독자적인 세계를 추구하고자 하였기에 신라의 관심에서 점차 멀어질 수밖에 없었으나 상업적인 교류의 대상국으로서의 위치는 여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