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olitics of Social Pacts on Income Security in Digital Economies: Is Government's Role Significant?

        안종순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1

        Aware of a negative link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labour market flexibilization in digital economies, the study explores the role of government in pacts’ negotiations on income securit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16 ICTWSS international political dataset, the study finds that the governments have played a key role in pacts' negotiations, either through direct, heavy participation or at least as an actor of tripartite negotiations, particularly in the corporatist and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s. Also, the experiences of Germany and the Netherlands with relatively low income inequality despite high shares of flexible employment, point to the increasing state role. The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given the trend of shrinking union power as economies become increasingly digital and firms' profits grow, the government's role will likely also increase to adjust imbalances of power between social partners.

      • KCI등재

        The Politics of Social Pacts on Income Security in Digital Economies : Is Government's Role Significant?

        Ahn, Jong-Soon(안종순)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디지털 경제에서 소득 불평등과 노동시장유연화 사이의 부정적인 연관성이 있음에 주목하고, 소득보장 관련 사회적 타협에 있어 정부의 역할에 대해 탐색하였다. 2016년 ICTWSS 국제정치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정부가 조합주의 복지국가 및 사회민주주의 복지국가에서 특히 직접적이고 압제적인 참여를 통해 또는 적어도 삼자협의체의 한 행위자로 참여해, 사회적 협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노동시장유연화 정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소득 불평등이 상대적으로 낮은 독일과 네덜란드의 경험에서도 국가의 역할이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노동조합의 힘이 감소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디지털경제가 더욱 심화될수록 기업의 이익이 커짐에 따라 사회 파트너들 간의 권력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해 정부의 역할 또한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 Aware of a negative link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labour market flexibilization in digital economies, the study explores the role of government in pacts’ negotiations on income securit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16 ICTWSS international political dataset, the study finds that the governments have played a key role in pacts" negotiations, either through direct, heavy participation or at least as an actor of tripartite negotiations, particularly in the corporatist and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s. Also, the experiences of Germany and the Netherlands with relatively low income inequality despite high shares of flexible employment, point to the increasing state role. The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given the trend of shrinking union power as economies become increasingly digital and firms" profits grow, the government"s role will likely also increase to adjust imbalances of power between social partners.

      • KCI등재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을 위한 논의 및 방안 탐색

        박하나 ( Hana Park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디지털 산업과 경제의 확대, 아동·청소년의 디지털 경제활동 증가, 사회과 경제 교과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 연계 필요성에 따라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경제 환경 변화와 특성, 소비자, 기업과 노동자, 정부, 시민공동체 등 경제행위자로서 필요한 능력과 역할을 살펴보는 등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이론적 논의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디지털 경제 시민성을 개념화하였으며, ‘개인과 집단이 디지털 경제에 참여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안전하고 능동적으로 사용하며, 시민으로서 비판적이고 책임감 있게 행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의 목표 및 디지털 경제 시민성의 세 가지 범주(디지털 경제의 안전과 웰빙, 디지털 경제에의 참여, 경제 정보/미디어 리터러시)를 도출하였다. 셋째,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의 구체적 주제 및 내용요소를 단계별로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의 현장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제교육 전문가 교사들을 대상으로 서면검토 절차를 거쳤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의 방향으로서 가치(자유, 자율, 신뢰, 존중, 연대, 정의)에 기반한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의 ‘디지털 기초 소양 교육’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디지털 리러터시 함양을 위한 사회과 경제 교과 연계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plans in accordance with the need to link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with social studies and economics subjects. To this end, theoretical discuss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including examining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economy environment and the capabilities and roles required as economic actors such as consumers, companies, workers, governments, and civic communities. As a result, first,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was conceptualized as ‘the ability of individuals and groups to safely and actively use digital technologies to participate in the digital economy and to act critically and responsibly as citizens’. Second, the goals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and three categories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safety and well-being in the digital economy, participation in the digital economy, and economic information/media literacy) were derived. Third, specific topics and content elements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were proposed step by step. Lastly,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based on values (freedom, autonomy, trust, respect, solidarity, and justice) was suggested as a direction for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