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공화주의에 대한 헌법적 고찰

        신용인(Shin, yong-i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28 No.3

        우리 헌법은 제1조 제1항에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민주공화국은 대한민국이라는 정치공동체의 국가형태로서 헌법의 본질적 내용을 이룬다. 그러나 민주공화국의 구체적 의미와 내용에 대해서는 견해가 분분하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구한말 ‘민주’와 ‘공화’의 개념을 처음 수용할 때 민주공화국을 군주국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그 의미를 협소하게 이해했다. 임시정부 시기에는 민주공화국 개념이 정치적균권, 경제적 균부, 교육적 균지를 내용으로 하는 삼균주의를 이념적 기반으로 하는 나라를 뜻하는 차원으로 확장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민주공화국의 ‘민주’는 정체를 ‘공화’는 국체를 규정한 것이라고 풀이하는 것이 주류 견해였고, 인민민주주의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권력분립이 강조되었다. 유신헌법시대에는 민주공화국이 국가기강과 도의의 확립, 멸사봉공의 정신, 그리고 국민적 단결이 요구되는 개념으로 변질되었다. 그 후 2000년대에 들어서게 되자 공화 개념을 중심으로 민주공화국의 의미를 새롭게 규명해 보려고 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민주공화국이란 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양대 이념으로 하는 국가로 본다. 즉 민주주의란 정치형태로서의 국민주권과 정치이념으로서의 인간의 존엄을 본질로 하는 이념으로, 공화주의란 법치, 비지배 자유, 시민적 덕성등 공화적 요소의 구현을 통해 인간의 존엄을 실현하려는 이념으로 각각 정의한 다음, 민주공화주의란 법치, 비지배 자유, 시민적 덕성을 바탕으로 국민주권을 올바르게 실현함으로써 헌법상의 최고이념인 인간의 존엄을 구현하고자 하는 이념이라고 통합적인 정의를 시도했다. 한편, 우리 헌법상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는 헌법 제1조 제1항 및 민주공화주의와 조화롭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 하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서의 자유는 간섭의 배제를 뜻하는 소극적 자유나 자기실현을 뜻하는 적극적 자유가 아니라 공화주의에서 말하는 비지배 자유라고 보고,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또는 민주적 기본질서라는 용어는 모두 공화민주적 기본질서로 바꾸는 것이 헌법의 체계성에 합치된다고 본다. 우리 헌법상 민주공화주의의 기본요소로는 정치적 기본권의 보장, 국민주권, 선거제도, 의회제도, 복수정당제도, 권력분립, 사법권의 독립, 지방자치제도 등을 들 수 있다. Article 1,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at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e idea of democratic republic forms the core content of the Constitution, but different views have been presented about its concrete concept and meaning. Historically, when the concept of the democratic and the republican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it was understood as the opposite of a monarchy. In the era of the Interim Government, its concept was extended to refer to a state with Three Principles of Equality (which indicates a state based on political equality, economic equality, and educational equality). After Liberation of Korea in 1945, ‘democratic’ of the democratic republic mainly referred to a political system while ‘republic’ referred to a national system. At this period, a democratic republic was contrasted with a people’s democracy, with emphasis on division of powers. In the era of Yushin Dictatorship, the concept of the democratic republic turned into a governance tool, demanding law and order, national solidarity, among others. In 2000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meaning of a democratic republic in terms of the concept of a republic. This study views a democratic republic as a state built on the two ideologies, democracy and republicanism; democracy is the ideology in which national sovereignty is an essential political system and human dignity is an essential political philosophy. Republicanism is the ideology which accomplishes human dignity through rule of law, freedom as non-domination, and civil moral character. Democratic republicanism is the ideology which accomplishes human dignity (the highest value of the Constitution) through realiz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with implementation of rule of law, freedom as non-domination, and civil moral character. In addition, the meaning of freedom in the principles of freedom and democracy in the Constitution should be translated in harmony with the democratic republicanism. The freedom is not a passive freedom nor a positive freedom, but freedom as non-domination. The constitutional law shoul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ideology of the Democratic Republic and for the basic conditions of democratic republicanism. Elements of the democratic republic in our constitution are guaranteed political rights, national sovereignty, electoral system, parliamentary system, plural political party system, check and balance of powers, local autonomy system, judicial independence, and others.

      • KCI등재

        대한민국 건국헌법의 역사적 기원 (1898-1919)

        서희경(Hee Kyung Suh) 한국정치학회 2006 한국정치학회보 Vol.40 No.5

        이 연구는 1948년 대한민국 건국헌법의 역사적 기원을 고찰하기 위한 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1898년 만민공동회 활동과 1919년의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이라는 세 정치적 사건을 중심으로‘민주공화’정체에 대한 인식을 추적하고, 이러한 역사적 경험 속에서 탄생된 헌법 및 규약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헌법 및 규약들은 건국헌법의 이념(idea)과 원칙(principle), 그리고 구조(framework)의 측면에서 연속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898년의 만민공동회는 한국 민주공화주의적 정치운동의 기원이었다. 만민공동회에서 의결된「헌의6조」는 형식상 전제황권을 수용하고 있으나, 그 내용은 군주권을 제한하여, 인민과 함께 협의하여 정치를 행해야 한다는 공화제적 정신을 함축하고 있었다. 그러나 1899년 8월「대한국국제」의 반포는「헌의6조」의‘군민공치’지향에서‘전제군주제’로의 반전을 의미했는데, 이는 왕과 인민이 맺은 사회계약을 파기한 것이었다. 이후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등이 추구했던 민주공화적 민권 의식과 정치적 에너지의 상실은 곧, 을사보호조약이라는 역사상 초유의 정치적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둘째, 1907년 고종황제퇴위 사건을 계기로「헌의6조」이래의 입헌군주제 지향은 거의 사라졌다. 이는 전제군주제에 저항했던 세력에게는 선호할만한 일이었으나, 국가주권의 상실을 대가로 얻은 것이었다. 군주권의 상실이라는 역사적 환경은‘민주공화’와‘입헌정치’라는 헌법의 기본원칙과 정신에 대한 풍부한 논의를 전개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했다. 그 내용은 정치는 더 이상 사유물이 아닌 공적인 것이라는 인식, 그리고 이를 공공화하기 위한 입헌의 지향, 그리고 이를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대의정치제도의 모색과 참여 등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적 지향은 곧 일본의 보호국 질서에 적응하려는 민권운동세력의 정치적 진출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셋째, 1910년 한일합방 이후의 정체 인식은 1917년「대동단결선언」을 계기로 보다 분명해졌다. 복벽주의를 종결하고, 민주공화정체 수립을 공식화했기 때문이다. 이 선언에서는 황제주권의 포기가 곧 국민주권의 상실이 아니며, 민권론자들이 주창했던‘천부인권론에 근거한 주권’에 대한 이해에서 나아가‘민족국가의 고유한 것으로의 주권’즉 국가주권의‘우선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넷째, 1919년의 3.1운동은 정치적으로 제국주의와 군주정치를 부정하고, 독립에 기초한 공화정을 제시하였으며, 사회적으로는 신분제도(계급)을 부정하고, 평등에 기초한 민주정을 지지했다. 이러한 이상과 이념은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의해 해석되고, 헌법에 규정함으로써 한 국가의 기본 원칙으로 공식화되었다. 민주공화국에 대한 광범위한 사회적 합의는 1898년 만민공동회의 정치적 지향 이래, 반전을 거듭하면서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것이며,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헌법에서 완결되었다. 다섯째, 대한민국임시정부 헌법은 이념, 기본원칙, 구조 등에서 건국헌법의 시원적 성격을 지녔다. 대한민국임시정부 헌법의 3.1운동 정신, 민주공화국, 국민(인민)주권, 기본권 보장, 권력분립 등 기본원칙들은 모두 건국헌법에 수용되었다. 1919년 이래, 이러한 기본원칙은 거대한 시대적 조류로 전환되었으며, 1948년 헌법제정시기에 신생 대한민국이 이러한 원칙을 취한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었다.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1948 Founding Constitutional Law in Korea. It will specifically trace the understanding of ‘democratic republicanism’experienced through three political events in modern Korea, that is, the 1898 General People’s Assembly (Manmingongdonghoe),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se events influenced the enactment of the Founding Constitution, ideologically or substantively. The creation of the Founding Constitution and its articles were examined through these historical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will show the continuity of the ideas, principles, and general framework of the Founding Constitution. This paper has five arguments that support this thesis. First, the democratic republican movements of Korea originated from the 1898 General People’s Assembly. Though the six Articles of the Charter(Huhny Yukjo), petitioned by the Assembly, embodied absolute monarchism in formality, it intended to limit the power of the monarchy in essence. It proposed that the monarch reign together with active deliberation with the people, that would be the essential spirit of republicanism. But, King Kojong rejected it and promulgated the Royal Constitution of the Great Kingdom of Korea(Daehankuk kukje) on August 1899. That signified the nullification of ‘politics through deliberation between the monarchcy and people’(Kunmingongchee, 君民共治). This destroyed the social contract between monarch and people. Thereafter, Korean lost the political ideal and aspirations for democratic republicanism promoted by the Independence Club and the General People’s Assembly. Thus, this result in the Ulsa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the first and only political situation that had never occurred in Korean history. Secondly, King Kojong’s abdication in 1907 signified the end of the constitutional monarchy, which was the idea advocated in Huhny Yukjo. The opponent of absolute monarchy preferred to abolish the constitutional monarchy. But it resulted in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For all that, when the monarchy was wiped out, the opportunity to be able think more freely between two opposing political ideals, namely ‘constitutional monarchy’and ‘democratic republicanism’. The controversy over these two ideals led to recognize that politics was no longer the private but the public. It encouraged political activity to veer toward the establishment of a constitutional government and democratic representative political system. But, ironically, this political progression had adjusted to the Japanese protectorate order due in part to Korean advocators of people’s rights recognizing Japan imperialism as the worthy companion that rid Korea of the monarchty. Thirdly, Korean understood the modern political ideas clearly after 1910, the year of the Japanese annexation. In 1917, famous Korean patriots declared Declaration of the Grand Solidarity of Korean People(Daedongdankeolseonun). They advocared in a formal sense popular sovereignty and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republican system, officially. It was the end of the restoration trial of the monarchy(復?主義). And, they asserted that the forfeiture of the monarchical sovereignty would not be the eventual loss of popular sovereignty. Moreover, they criticized that Korean advocators of people’s rights agreed to Japanese colonial rule with reference to only popular sovereignty. Instead, they stressed the primacy of national sovereignty. Fourthly,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negated both imperialism and monarchism. This movement aimed for a democratic republic on the basis of independence. And it refuted the class system while supporting human equality. These ideals were brought into to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KPG constitution was a reservoir where these glorious democratic and popular heritage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were

      • KCI등재

        3・1운동 이전 민주공화제의 수용과 확산

        장규식(CHANG, Kyu-Sik) 한국사학사학회 201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8

        In Korea, republicanism was accepted narrowly as a system of democratic republic combined with democracy. And its developmen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the nation-state discourses encroach on monarchy gradually rather than accompanying a revolution. The acceptance of democratic republic system in Korea was grounded upon the recognition of nation-state. The Independence Club(Dongnip Hyophoe) has made it possible to imagine a modern nation on the basis of national integration. In this effort, it distinguished the notion of the state from that of the dynasty, by instigating and expanding the slogan of the ’Chung’gun Aeguk’ (a stepping stone to the ideology of loyalty to the dynasty) to the patriotism of the nation state. The debate on republican system was officially bann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Daehan Empire. But with the forced deportation of Emperor Gojong, the issue was reviv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emocratic republic system as the most desirable political system. Nonetheless, the intellectual society advocated a gradual reform and regarded the adoption of democratic republican system as premature. It was no exception to the New People’s Association(Sinminhoe), which had been accepted as a representative of republicanism. The members of the New People’s Association recognized that the task of restoring the national sovereignty would be much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urning into the front line of the movement against the Imperial Regime. 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social evolution doctrine on which they were based, the state of the Daehan Empire had to be preserved as the subject of competition. This deferred plan for republicanism was realized in the discourse on ’New Korea’ initiated by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after the fall of the Daehan empire.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accepted the fall of the Daehan Empire as the beginning of democratic New Korea. Such a discourse led to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doctrines on republican democracy and provisional government construction, and set up New Korea as the subject of survival competition, which could eventually allow the independence movement to be ignited again. 한국에서 공화제는 민주정체와 결합한 민주공화제로 한정되어 받아들여졌 는데, 그 과정이 혁명을 수반하는 대신에 국민국가 담론이 군주제를 단계적으로 잠식해가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는 데 하나의 특징이 있었다. 한국에서 민주공화제 수용의 바탕은 국민국가의 발견을 통해 만들어졌다. 독립협회는 왕조에 대한 충군 개념을 디딤돌 삼아 이를 국민국가에 대한 애국 으로 확장시키는 ‘충군애국’의 구호와 다양한 상징조작을 통해 왕조와 국가를 구분함으로써 국민통합에 기초한 근대 국가를 상상할 수 있게끔 하였다. 이후 대한제국기에 공화제 논의는 금기시되었으나, 고종의 강제 퇴위를 거치며 점차 변화하는 양상을 띠어 군주에 대한 국가의 우위를 내세우는 가운데 민주공화제를 가장 바람직한 정치제도로 보는 논설이 속속 등장하였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당시 지식인 사회의 주류는 민주공화제의 도입을 시기상조로 바라보면서 점진적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러한 경향은 기존에 공화제를 표방한 단체로 받아들여졌던 신민회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었다. 신민회 인사들이 공화제의 실행을 유예한 데는 황실 타도로 운동의 전선을 분산시키기에는 당면한 국권회복의 과제가 너무도 막중하 다는 현실인식 또한 작용하고 있었다. 더불어 그들이 근거했던 사회진화론의 입장에서 볼 때에도 형체만 남아 있을지라도 경쟁 주체로서 대한제국이라는 국가는 보존되어야 했다.이렇게 유예된 공화제 구상은 대한제국의 멸망 이후 미주 한인사회의 ‘정신상 신한국’ 담론을 통해 비로소 그 실체를 드러냈다. 국망의 소식에 접한 미주 한인사회는 형질상 대한제국의 멸망을 정신상 민주주의 신한국의 시작으로 받아들였다. 그 같은 담론은 삼권분립의 미국식 공화제 민주주의 임시정부 건설 론으로 이어져, 새로운 생존경쟁의 주체로서 신한국을 설정한 가운데 독립운 동에 다시 불을 지필 수 있게끔 하였다.

      • KCI등재

        논문 : 독립운동과 민주공화주의 이념

        이상훈 ( Sang Hoon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2 시대와 철학 Vol.23 No.4

        이 이 글은 독립운동의 철학, 곧 독립운동의 사상을 민주공화주의 이념과 연관지워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손병희, 한용운, 오세창 등 조선민족대표 33인의 명의로 발표된 기미독립선언문에는 정의와 인도주의 및 자유의 정신 등이 언급되고 있지만 아직 민주공화주의 이념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데 3·1운동에 대한 화답으로 그로부터 불과 몇 달 후에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에 해당하는 ``임시헌장``과 ``임시헌법``에는 민주공화주의가 명문화된다. 이는 사실상 매우 커다란 차이이며, 사상사적 관점에서 설명이 필요한 대목이다. 아마도 기미독립선언문이 천황제를 고수하던 제국주의 일본치하에 있던 국내에서 입안되고 발표된 점과 임정의 헌법들이 해외 독립운동 지역들에서 발표된 것과도 무관하지 않겠지만, 그 이상의 이유가 있다. 민주공화주의 이념이 등장한 것은 단순히 미국독립혁명이나 신해혁명, 바이마르 헌법 등의 외적 영향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라 당대의 국내적 상황 즉, 일제의 강점과 1910년 융희황제(隆熙皇帝: 순종)의 주권 포기 선언이라는 암울한 배경과 나아가 당시의 국제 정세와 흐름을 정확하게 읽고 있던 애국독립지사들의 매우 현명한 주체적, 능동적인 사상적 대응의 일환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독립운동이 민주공화주의 이념을 수용한 이유는 첫째, 국권회복을 위해 망명정부를 수립하려던 움직임마저 여의치 않은 가운데 국권의 계속성과 정통성을 합법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방안이었고, 둘째, 3.1운동을 봉건군주제와 제국주의적 강압에 반대하는 근대적 시민혁명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했기 때문이었으며, 셋째, 국가와 민족중흥의 힘과 가능성을 국민의 내적 역량 속에서 발견하고자 하는 열망이자 노력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한국사의 진정한 근대는 시민혁명으로 발전한 3.1운동으로 완성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hilosoph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y way of research it``s reason to adopt the western democratic republicanism. 3.1 Independence Proclamation which was pressed at Seoul by names of 33 patriotics including ByongHi Son, YongUn Han contained only the clues of democratic republicanism. B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which was established about one month later at Shanghai, China declare the democratic republicanism overtly. It is a big difference to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philosoph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Maybe the reasons why were related that 3.1 Independence Proclamation was held in domestic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was in abroad. But, I think, it goes beyond them. The adoption of democratic republicanism by the Korean patriotics in 1919 was not a simple follow-up the Western advanced countries likewise America, England and the Weimar Republic, or a mere reflection of Chinese Revolution in 1911 which had overthrown the last Manchu Emperor and established the first Republic in China. The democratic republicanism played 3 keyroles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First, it was the only way to justify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circumstanc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o establis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Second, it signified to raise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s a modern civil revolution which had challenged the whole system of Korean feudal society and the imperialistic international political arena. Third, it empowered the ordinary people of Korea who was suffering severe ordeals and torments, as an active agent to make and develop new country in a modern sense. Therefore we can say through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e authentic Modern era opened in Korea.

      • KCI등재

        <기획논문 -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헌법정신> 초기 독립운동과 민주공화주의의 태동

        김정인 ( Kim Jeongi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24 No.-

        조선말기ㆍ대한제국기에서 민주와 공화, 민주공화는 주로 정체의 형태로 주목받던 개념들이었다. 국망을 눈앞에 둔 현실에서 이것들이 서서히 주의이자 신념으로 자리 잡아갔다. 나라를 잃고는 임시정부를 수립하고자 했던 독립운동가들과 나라 잃은 인민은 민주공화주의에 입각한 독립국가의 건설을 꿈꿨다. 그러한 노력의 소중한 성과가 바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민주공화제의 탄생이었다. 본고에서는 조선말기와 대한제국기에 걸쳐 민주와 공화, 민주공화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공화정을 향한 꿈을 키우던 과정과 국망 이후 전개된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신국가 건설의 이념적 기치로 민주공화주의를 채택하는 양상을 살피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초기 독립운동의 산물인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민주공화제의 탄생의 의미를 짚어보고 있다. In the ending days of Joseon and also during the Daehan Empire period, concepts like democracy, republic and democratic republicanism were all perceived as concepts referring to political states. Witnessing the fall of the entire country now as a reality more than imminent, in the minds of the Korean people all these concepts slowly evolved from ideology to conviction. Liberation fighters who were struggling to found a provisional government, and not to mention all Korean people who just lost their homeland, dreamt of establishing an independent country based upon democratic republicanism. The result of such sincere and devoted efforts was no other than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birth of a Korean Democratic Republican state.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concepts like democracy, republic and democratic republicanism spread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Daehan Empire, as well as how the dream for a Republican country grew, and how the efforts to foun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employed Democratic Republicanism as its ideological flag. Also contemplated upon here is the meaning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Democratic Republicanism, which were all accomplished by the efforts of the Korean people displayed in the early phase of the Korean Liberation movement.

      • KCI등재후보

        박정희의 '민주공화주의'관 변화 연구

        박현모(Park Hyun M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6 No.2

        박정희는 1961년 5.16혁명 직후 최고회의 의장에 취임하면서부터 “민주공화국을 재건”하겠다고 약속했고, “민주공화당”의 대통령후보로서 “공화의 기치”를 내걸었다. 그는 또한 각종 국내외의 연설에서 “민주공화”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내용적으로 공화주의를 지칭하는 언행을 자주 보였다. 이것은 그가 ‘민족주의’라는 사상과 함께 ‘공화주의’ 신념을 가진 정치가로 재평가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이 논문은 ‘공화주의자’로서 박정회의 사상적 측면을 재조명한 것이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1961년 7월부터 1963년 12월까지의 ‘최고회의’ 시기와, 1971년 1월부터 1975년 12월까지의 ‘유신체제 전후시기’의 연설을 비교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그는 집권 초기, 즉 5.16혁명 세력으로서 정당성을 획득하기 이전의 ‘최고회의기’의 연설에서는 ‘민주주의’나 ‘자유민주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거나, 상대적으로 공화주의적 측면을 민족주의보다 강조하는 ‘민족적 공화주의’의 모습을 보였다. 둘째, 경제성장과 새마을운동 등을 통해 국민적 지지를 확보했다고 판단한 1970년대 이후의 ‘대통령시기’의 연설은 민족주의적 측면을 공화주의보다 중시하는 ‘공화적 민족주의’의 양상을 띠었다. 셋째, 이러한 그의 ‘공화주의’ 정치사상은 우리 역사에서 개항기 이후 면면히 계승되어온 ‘공화주의적 흐름’의 한 측면을 보여준 것이면서, 동시에 유신체제에서 드러나듯 공화주의 정치이념이 내포하고 있는 위험성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er korean president Park Chung Hee's political thoughts by the point of a democratic republicanism. The thoughts of president Park were examined in the viewpoint of democracy or nationalism by many scholars. Most people regarded him as a dictator who ruled Korea for 18 years with an iron hand. Park, however, promised to "reconstruct the democratic republican state" when he took office as a chairman of the State Reconstruction Supreme Council(SRSC) in the 3rd July 1961. He also stressed his plan to "build up a abundant republican state in this country" in his nomination acceptance speech at the Democratic Republican Party national convention(1963.8.31). The features of republicanism, according to the recent studies of it(M. Viroli 2006; R. Dahl 1999),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general, the republicans attach importance to a political leader's independent judgment and discretionary powers to increase the public goods, while they detest the degradation of civic virtues by the political parties. They also criticize the inefficiency of congressional politics. After careful scrutinizing his speeches from July 1961 to October 1979, I concluded that Park, on the one hand, expressed and acted according to his republican convi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changes between the period of SRSC(Jul. 1961 - Dec. 1963) and the Yushin Regime before and after(Jan. 1971 - Dec. 1975). He, that is, was 'nationalistic republican' who gave weight to the 'republicanism' than the 'nationalism' in the SRSC period. However, he was changed to the 'republican nationalist' who lay emphasis on the 'nationalism during the latter'.

      • KCI등재

        Demystifying Democratic Autonomy in Charles Brockden Brown’s Wieland

        한광택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decode Charles Brockden Brown’s Wieland, or, The Transformation: An American Tale to shed new light on the author’s profound insights into the politico-ontological paradox of American democracy in the era of nation building. Political readings of Wieland have focused on how Brown criticizes either Federalists or Democratic-Republicans by opting one to criticize the other. This dichotomous interpretation overlooks Brown’s keen awareness of the absence of a key democratic principle: autonomous agency that is presumed to constitute both self-government and national unity. This essay proposes that Brown rejects the two competing political ideologies so as to disclose their common inherent dilemma—the inverted logic of causality, which demystifies the notion of democratic autonomy. For Brown, both the Democratic-Republican adherence to self-governing personhood and the Federalist pursuit of national unity are coupled with a fantastical logic which transforms an absent entity into a substantial one by means of believing a given belief in it. This logic, for Brown, serves to reinforce the interlocking notions of selfhood and nationhood in the building process of American Republic in a fantasmatical way.

      • KCI등재

        한국 진보적 자유주의 전통의 민주적 : 공화주의적 재구성

        장은주(Chang Eun-Joo)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2 사회와 철학 Vol.0 No.23

        이 논문은 한국 자유주의 이념의 문화적-정치적 맥락을 짚어보면서 그 참된 진보적 초점을 분명히 한 뒤, 그것을 '민주적 공화주의'라는 새로운 정치철학적 틀 속에서 재구성해 봄으로써 그 올바른 발전 방향을 가늠해 보려한다. 이를 위해 우선 존 듀이의 자유주의 혁신 시도를 중심으로 어떤 의미에서는 고전적 자유주의와는 전혀 다른 이념이라고 보아야 할 서구 '진보적 자유주의'의 기본 지향을 간단히 살펴본다. 이 자유주의는 경제적 자유주의와는 달리 개인적 자유라는 가치의 정치적 실현을 추구했던 '정치적 자유주의'라는 관점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우리사회에서 자유주의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자유주의를 통상적인 인식틀과는 달리 '메리토크라시'라는 특정한 분배 정의의 이상을 통해 파악해 보자고 제안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서 지배 이데올로기로서의 자유주의가 아닌 <저항적> 자유주의의 경우, 그 기본적인 정치적-도덕적 관심이 '시민적-정치적 자유'에 대한 지향에 있으며 우리 사회에서 자유주의의 진보적 의미 또한 바로 여기에 있음을 주장한다. 여기서 그 지향은 '민주주의적 정의'에 대한 추구라는 차원에서 이해된다. 그러나 동시에 이 논문은 그러한 한국 자유주의의 진보적 의미는 자유주의보다는 필자가 민주적 공화주의라고 이름 붙이려 하는 새로운 정치철학적 틀 속에서 더 잘 포착될 수 있음도 주장하면서, 한국의 진보적 자유주의 전통을 그 틀 속에서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This article shows how the Korean liberalism can be reconstructed in the new political-philosophical frame of 'the democratic republicanism' by focusing on its progressive meaning in the cultural-political context of Korean society. It begins with the short consideration on the liberalism of John Dewey, in order to identify the basic orientation of the progressive liberalism which must be understood as a very different ideology as the classical liberalism. It is in its essence not 'economical liberalism', but 'political liberalism' which focuses on the political realization of individual freedom. It argues, then, we must understand the liberalism in Korean society not through its usual creeds around the liberty of the individual, but through the its specific ideal about the distributive justice, namely, 'meritocracy'. On this basis this article try to show that the fundamental moral-political interest of Korean liberalism, which is not a ideology of dominant groups but can be identified in the long tradition of the resistance movement for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lies in 'civil-political freedom' as the expression of 'democratic justice'. The key argument is here that exactly this is the progressive meaning of the Korean liberalism. But, simultaneously, this article argues that such a progressive meaning of the Korean liberalism can be seized more aptly in the new political-philosophical framework of the democratic republicanism as in the ordinary liberalism of the West.

      • KCI등재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Right of Democratic Contestation

        Troy C. Fuhriman(트로이 프리만) 미국헌법학회 2020 美國憲法硏究 Vol.31 No.3

        이 연구는 대표적으로 Pettit과 Mattias Kumm에 의해 설명된 공화주의적 의미에서 민주적 주장권의 이론적측면과 현실 행정 소송을 연결 짓는다. 공화주의로부터 관련된 핵심 요소들을 선정한 후, 그 요소들을 ‘적용 표준’으로 정의하고 민주적 주장권이 행정 소송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적용되었는지 판단할 기반으로 활용할 것이다. ‘적용 표준’은 접근권, 사법의 독립, 절차의 공평함, 그리고 해결의 적당성을 포함한다. ‘적용 표준’에 대한 전반적 분석을 마친 후, 이 글은 미국의 행정 소송이 ‘적용 표준’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살펴본다. 미국의 사법체계의 강점과 약점을 드러내면서도, 민주적 주장권에 모순되는 각 사법체계의 가장 큰 약점에 중점을 맞추려고 한다. 셰브런원칙은 미국의 비결적인 약점으로서 허용될 수 없는 방식으로 청구인을 불리한 위치에 놓으며 행정국가의 억압적 행위를 견제할 수 있는 정당한 절차를 훼손한다. 이외에 다른 강점과 약점을 강조하며 약점을 수정해 나갈 방법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connect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republican-based concept of the right of democratic contestation, particularly as articulated by Philip Pettit and Mattias Kumm, with the real world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fter distilling key theoretical elements of the relevant theories from republican theory, this article proceeds to define them as “Implementing Criteria,” namely Access, Judicial Independence, Procedural Fairness, and Adequacy of Remedies. Then the article explains how the Implementing Criteria are utilized as bases to determine whether the right of democratic contestation is properly implemented in a particular administrative litigation context. After explaining each of the Implementing Criteria generally, this article then looks at how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matches up with such criteria. Whil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American systems are identified, special emphasis is placed on key weaknesses - areas that conflict with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right of democratic contestation. For example, the Chevron doctrine is a key weakness of the American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since it impermissibly stacks the odds against claimants and undermines fundamental notions of fair play necessary to properly check the oppressive behavior of the administrative state. Other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also highlighted and recommendations to correct weaknesses are made.

      • KCI등재

        프랑스 공화국과 공화주의의 탄생: 프랑스혁명 전후 그 구성을 둘러싼 논의들

        홍태영 ( Taiyoung Ho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1 韓國 政治 硏究 Vol.30 No.2

        스키너를 비롯한 현대 공화주의 정치철학자들이 복원한 이탈리아-대서양 공화주의 전통은 시민적 덕성, 법치와 권력분립, 그리고 상업의 발달에 따른 부패에 대한 경계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통과 구별되는 프랑스 공화주의 전통은 절대왕정 시기 군주의 절대 주권 개념과 그 대립항으로서 루소의 인민주권 개념 그리고 프랑스혁명 시기 등장한 인민의 민주주의적 정치 실현과 사회적인 것에 대한 강조를 특징으로 한다. 전자의 흐름은 프랑스에서는 몽테스키외를 통해 자유주의적 공화주의로 표현되었고, 후자는 루소 이래 민주주의적 공화주의 흐름을 만들어냈다. 이 글은 1789년 프랑스혁명의 발발부터 10여 년 동안에 경쟁적으로 등장하였던 이 두 가지 공화주의 흐름이 어떠한 방식으로 공화국과 공화주의를 이해하였고, 그 경쟁 속에서 어떤 공화국을 형성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 두 흐름이 만들어낸 쟁점이 19세기에 어떻게 변형되고 또한 19세기 말 제3공화국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프랑스 공화주의 모델을 형성했는지에 대한 간략한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Italian-Atlantic republican tradition, which rediscover contemporary republican political philosophers like Q. Skinner, P. Petit, emphasizes civic virtues, rule of law, division of powers, and warning of corruption in the commercial society. Distinguished with this tradition, the French republican tradition forms another steam which has characters like French inhered sovereignty,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emphasis on the social, which appeared since the French Revolution. In France, the one was expressed by Montesquieu’s liberal republcanism, the other by Rousseau’s democratic republicanism.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how the revolutionnaries in 1789 Revolution comprehended their republic and the two republicanisms. And we suggest some clues to comprehend which transformations happened around the republican issues in the 19th century and how republican model formed in the 3rd Re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