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학습인 다산 정약용의 다산정신에 관한 탐색 —다산학의 실천적 관점을 중심으로

        진규동,강찬석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3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Dasan spirits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ing Dasanhak(Dasan studies) which appeared as a creative studies supposing theoretical critiques systematically about overall new Confucianism(Jujahak) based on Silhak(kind of pragmatism). Dasan Jeong Yak Yong(1762~1836) was a enthusiastic self directed lifelong learner who strived to solve social dilemmas in 17~18c Chosun dynasty. Bibliographical hermeneut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for this study. Specifically critical incident technique(CIT) was used additionally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Materials for enducing Dasan spirit were self-written grave record, letters from exile, Dasanhak dictionary, Dasanhak studying, introduction to Dasanhak.. Categorization and coding processes were reviewed from 6 doctoral experts. As results, the core spirit of Dasan spirits was ‘owner spirit(ownership, Juin Jeongsin)’. Dasan spirit based on creating social values was ‘the spirit combining communication, cleanness, fairness, inquiry, creation and reform elements emerging from ownership and patriotic people loving mind’. From this study we could acquire the lessons that self improving through kyounghak and governing people or job performance through kyoungsehak should be done together to attain a more sustainable social values balancing morals and physicals, furthermore to cope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인 다산 정약용(1762~1836)이 17ㆍ18세기 조선사회의 사회적 모순에 대해 실학사상을 바탕으로 주자학 전반에 대한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대안을 제기하여 독창적 학문 영역으로 태동한 다산학에 대한 실천적 관점에서 다산정신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론은 전체적으로 문헌해석학적 질적연구방법론을 사용했다. 다산정신을 도출하기 위한 자료는 다산의 자서전격인 자찬묘지명,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그리고 ‘다산학사전’과 14명의 전문가가 쓴 다산의 경학과 경세학에 대한 ‘다산학 공부’, 다산학 연구의 개척자 이을호가 쓴 ‘다산학 입문’이다. 위 자료에서 키워드를 뽑아 3차례의 범주화 과정을 통해 핵심정신을 도출했다. 범주화 한 내용은 연구자 두사람 외 6명의 전문가의 검토를 거쳤다. 그 결과 다산정신의 핵심정신은 ‘주인정신’이었다. 그리고 사회적 가치창출을 위한 다산정신은 ‘다산학에 기반한 주인정신과 위국애민정신에서 드러난 “소통, 청렴, 공정, 탐구, 창조, 개혁정신”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산학의 두 축인 경학과 경세학에서 다산이 주장한 수신(修身)하고 치민(治民)함으로써 도덕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시대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고, 방대한 다산학으로 부터 그 정수인 다산정신을 도출하여 다산정신을 현대적 용어로 보다 쉽게 현실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4차 산업혁명시대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다산의 면역학적 타자로서의 헤겔-현암 이을호의 헤겔 이해-

        박병기 범한철학회 2018 汎韓哲學 Vol.89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이을호가 다산 정약용의 묘합의 원리를 변증법과 면역학적으로 대립시키고 있다는 전제 아래 그 구도가 어떻게 변해 가는지를 해명함으로써 이을호 사상의 발전궤적과 그 학문적 태도 변화를 드러내는 한편 1960~80년대 서구사상을 방어하는 위치에 있던 한국학자가 헤겔과 변증법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을호의 사상은 면역학적 구도의 변화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된다. 이을호는 1930년대 중반 한방의학부흥을 주장하면서 일본이 등에 업고 들어 온 서양의학을 방어하기 위해 그 파편인 종합의학을 자기에 투입하여 사상의학을 항체로 형성한다. 그는 50년대 중반에는 철학으로 전향하여 헤겔 변증법을 다산경학과 음양설, 한사상의 동종의 면역학적 타자로 설정하여 서구의 근대적인 것을 방어하기 위해 그것의 파편(변증법)을 자기에 투입하여 그것과 동종관계에 있는 항체(묘합의 원리, 한사상)를 형성한다. 80년대에 들어 그는 공산주의 이념의 철학적 바탕으로 간주하는 변증법을 상극의 논리로 규정하여 그것을 타자로 설정하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항체(삼회귀일 사상)를 강화하여 자기를 보존하려 한다. 면역학적 관점이 변경됨에 따라 이을호의 헤겔과 변증법에 대한 이해도 달라진다. 80년대 이전 그는 변증법을 정・반・합이라는 원칙에 의해 부단히 지양 발전하는 과정으로 규정하고 합에 이르러 통일되고 조화된 장이 영원히 지속된다고 해석한다. 80년대 이후에는 변증법을 정・반・합으로 이해하면서도 종합의 단계가 종국적이 아니라 그 안에서 새로운 부정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부정의 부정이 영원히 지속되는 사고방식, 상극의 논리로 해석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Lee Eulho's thought and the changes in his academic attitude by explaining how the composition is changed under the presupposition that Lee is confronted with the dialectic and immunological principles of Dasan Jung Yagyong. I would like to find out how Korean scholars who were in positions to defend thought have understood Hegel and dialectics. His idea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mmunological composition. In the mid-1930s, Lee claimed the medical science of revival, and in order to defend the Western medicine that came back to Japan, he put the synthetic medicine, which is fragments, into his self, and he formed medical science into antibodies. In the mid-1950s, he turned to philosophy and set up Hegel's dialectic method as a homogenous immunologic typist in the field of Yin-Yang theory, Dasanhak, and Hansasang. In order to defend modernity in the West, he put its fragments into Self. In the 1980s, he attempted to preserve Self by defining dialectic, the philosophical basis of communism, as the logic of antagonism, setting it as the other, and strengthening the antibody to overcome it. As the immunological view changes, so does understanding of Hegel and dialectics of Lee. Before the 1980s, he interpreted dialecticism as a process of constantly evolving the contradictory conflict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sis", "anti-thesis", and "synthesis". After the 1980s, although the dialectic is understood as "thesis", "anti-thesis", and "synthesis", but the stage of synthesis is not the end but the new negation in it.

      • KCI등재

        현암 이을호의 『맹자』 번역학과 해석학― 현암 다산학의 일 국면

        함영대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다산학 Vol.- No.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yeonam Lee Eul-ho’s basic perspective on Mencius mainly with Hangeul Mencius, one of the early research results out of Tasanhak, and also Hyeonam Gyeonghak’s characteristic aspects found in Hangeul Mencius. The perspective over Lee Eul-ho(1910~1998)’s studies, particularly the thoughts of Dasan Gyeonghak that forms the core, is so-called ‘rhetorical(洙泗學的) Gyeonghak’ which is regarded to break through Chu-tzu Gyeonghak and restore the world of Confucius and Mencius. His Dasan Gyeonghak Research is a masterpiece that reflects on the trends of Dasanhak research centered around Gyeongsehak then and has a firm position about studying Gyeonghak preferentially to Gyeongsehak. Yet, one more thing that is noteworthy here is that Hyeonam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he paid attention to Gyeonghak earlier than any other initial Silhak researcher and pioneered the field of Dasan Gyeonghak and also had interest in translating Confucian scriptures before anyone else and reflected the contents of Dasan Gyeonghak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is reveals his advanced viewpoint in his time both in specialized research and in the popularization of Gyeonghak research, too. Hangeul Mencius that has the primary form is what translates Confucian scriptures into Korean grounded on his firm awareness over the text of Mencius pointing out the fact that translation is what matters when people try to understand Oriental classics, and the outcome of it can be rated highly even now. The vivid translation that is based on easy Korean and bold enough to be like colloquial language but never damages the meaning of original text gives considerable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popularization of scriptures’. Also, in the situation that Chu-tzu’s analysis was prevalent then, he reflected Tasan’s analytical viewpoint quite much and allowed us to understand Confucian scriptures familiarly in our own ways, and this is what reflects the result of Tasan’s research and also reveals the original contents of Confucius and Mencius Confucianism pursued by Tasan. It is also not irrelevant to the aspects of practical ethics which Hyeonam intended to adhere to about Confucianism. In this sense, Hyeonam Lee Eul-ho’s Hangeul Mencius can be evaluated as a work where his communion with the subjects of research, Confucianism and Dasan, is naturally melted in the transl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이 논문은 현암 이을호의 다산학 가운데 초기 연구성과인 『한글 맹자』를 중심으로 그의 맹자학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과 『한글 맹자』에서 보여준 현암 경학의 특징적 국면을 제시한 것이다. 이을호(1910~1998)의 학문, 특히 그 중추를 이루는 다산경학사상에 대한 관점은 주자 경학을 돌파하여 공맹의 세계를 복원해내었다는 이른바 ‘수사학적 경학洙泗學的 經學’이다. 그의 『다산경학연구』는 당시 경세학 위주로 진행되던 다산학 연구의 방향을 반성하며 경세학에 앞서 경학이 연구되어야 한다는 확고한 시각을 반영한 수작이다. 그런데 한 가지 더 주목할 것은 현암이 초기 실학의 연구자 가운데 선구적으로 경학에 주의하여 다산경학의 방면을 개척한 측면과 아울러 유교 경전의 번역에 진작 관심을 가지면서 그 번역과정에서 다산 경학의 내용을 반영했다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학술사적 의미가 있다는 점이다. 이는 전문연구와 경학연구의 대중화 방면에서 모두 시대를 앞선 시야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 초기적 형태를 보여주는 『한글 맹자』는 『맹자』라는 텍스트에 대한 확고한 인식을 바탕으로 동양고전에 대한 대중적 이해의 관건이 번역에 있음을 지적하며 우리말로 유교경전을 번역한 것인데 지금까지도 그 성과는 높게 평가할 만하다. 쉬운 우리말로 과감할 정도로 구어에 가깝게 번역하면서도 원문이 지닌 의미는 손상하지 않는 생생한 번역은 ‘경전의 대중화’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시사점을 준다. 또한 주자의 해석이 주류적인 상황에서 다산의 해석적 시야를 적지 않게 반영하여 유교 졍전의 이해를 우리식으로 좀 더 가깝게 실감하도록 한 것은 다산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것임과 동시에 다산이 지향했던 공맹 유교 본래의 내용을 드러나게 한 것이다. 그것은 동시에 현암이 유학에 대해 취하고자 한 실천윤리적 측면과도 무관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현암 이을호의 『한글 맹자』는 유학과 다산이라는 연구 대상에 대한 교감이 유교 경전의 번역에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저작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학의 기원으로서 조선서학의 의의

        이향만 ( Hyang Man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3

        한국학의 세계화는 궁극적으로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자긍심을 북돋워주는 한국학의 핵심 아젠다를 개발하고, 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새로운 한국학 분야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학의 세계화란 한국학을 중국학이나 일본학과 같이 하나의 독립된 문화학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그 학문적 위상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90년대에 이르러 한국학의 세계화에 대하여 여러 분과에서 학자들이 다양한 시각을 갖고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세계화를 크게 외치는 것만큼 민족적이고, 지역적인 면모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본래 이러한 한국학의 세계화를 향한 움직임은 이미 “조선학” 개념에 내재되어 있었다. 조선학에 대한 관심은 1930년대 주권을 강탈당한 민족으로서 3?1운동을 통한 정치적 저항이 실패로 끝나면서 그 문화적 역량이 조선학 학술운동으로 전개되면서 나타났다. 조선학 운동은 민족학의 범주에서 머물지 않고 조선학에서 보편학문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이 과정에서 학자들은 보편학으로서 조선학의 뿌리를 학문의 보편적 성격과 실증성을 지향하는 다산학에 두게 되었다. 실로 서학의 유입을 통하여 조선유학에 형이상학과 형이하학의 두 측면에 도전과 응전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조선의 심학전통은 서학의 형이상학을 해석하는 고유한 학적 바탕이 되었다. 본고는 근대 조선학문의 성격을 밝히고 조선서학이 문화학으로서 조선학으로 나아가는 유동적인 과정학으로서 보편적 요소를 갖추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또한 이로부터 한국학의 가능성과 의의를 밝히고 있다. The Aims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s to develop Korean Studies abroad and to encourage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pride, and to define the sphere of Korean Studies. In addition,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ntends to improve Korean Studies` international status as an independent Culturology like Sinology and Japanology. In 1990`s many scholars put a lot of efforts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and critical approaches, but the results were not up to par. In many ways the movement toward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was already inherent in the concept, namely Chosun Studies. The interest towards Chosun Studies appeared in 1930`s which was reflected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cultural competency as the people raised their voice against colonial rule, though the March First mass political resistance movement ended in failure. Chosun Studies` movement unfolded with the possibility of a universal science without confining only in the category of Ethnology. In this process the Korean scholars found the root of Chosun Studies in Dasanhak (茶山學) to re-orient the universal nature of the study. Indeed, through the influx of Western Learning Chosun Confucianism had to accep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studying metaphysics and natural sciences. The tradition of Chosun philosophy of mind underlays the interpretation of these two aspects.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nature of modern Chosun Studies, and considers Chosun`s Western Learning not only as a Culturology but as a liberal Process Studies. Also, from this point of view point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future prospects, possibilities and significance of Korean Studies.

      •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 운동과 ‘실학자(實學者) 정다산(丁茶山)’의 재발견

        최재목(Choi Jae-Mok)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Dasan Jeong Yak-yong in 1930"s japanese imperialism era of modern korea. In 1935,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Dasan Jeong Yak-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ong won and Su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Dasan Jeong Yak-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