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베이징시의 지역문화와 도시경쟁력

        오혜정 釜山外國語大學校國際通商硏究所 2021 國際經營論集 Vol.34 No.-

        ‘Culture City’ means a city that creates cultural phenomenon and effects based on its own various culture, and continues its development and growth. The goal of 'Culture City' is to booster each city's total competitiveness and raise its brand image based on the city's own various cultural resources. In this study, 'Culture City, Beijing' is examined in three divisions such as ‘culture + culture policy’, ‘culture + performing arts’ and ‘culture + time-honoured bran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a can suggest phas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culture + culture policy’ and help Beijing raise its city competitiveness and city brand image. Second, in division of ‘culture + performing arts’, China can foster the industry cluster related to the specific arts field, and achieve creative reconstruction of local culture. Finally, in the division of ‘culture + time-honoured brand’, the time-honoured brand, which symbolizes city of Beijing, will act as the city's culture and raise the economic and cultural value through coordination of tradition and innovation. ‘Culture + culture policy’, ‘culture + performing arts’ and ‘culture + time-honoured brand’, suggested in this study, are not only core key words for Beijing's growth to a culture city, but also can be applied to future studies of more city examples. Key Words: Culture City, 老字号 (Lǎozìhao, "time-honoured brand"), culture industry cluster, culture policy, city brand ‘문화도시’란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에서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 현상 및 효과가 창출되어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이루어가는 도시를 의미하며, 각 지역별로 보유한 다양한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도시의 종합 경쟁력을 높여 도시브랜드를 상승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문화정책’, ‘문화+공연예술’ ,‘문화+전통 브랜드’ 등의 세 가지 부분을 통해 문화도시 베이징에 대해 살펴보았고,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은 ‘문화+정책’과 을 바탕으로 문화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단계적 발전전략을 제시하여 도시경쟁력과 도시브랜드를 높여갈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문화+공연예술’에서는 특정 예술 분야와의 관련 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지역문화의 창조적 재구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전통브랜드’를 통해 전통브랜드가 해당 도시의 도시문화가 될 뿐만 아니라 전통과 혁신의 조화를 통한 경제·문화적 가치를 높여갈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문화정책’, ‘문화+공연예술’ ,‘문화+전통 브랜드’ 는 베이징시를 문화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핵심 키워드로 이후 더 많은 도시의 사례를 연구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문화도시, 라오쯔하오, 문화산업클러스터, 문화정책, 도시브랜드

      • KCI등재후보

        문화도시론의 발전과 도시문화에 대한 연구

        원도연(Won Do-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3

        2000년대 이후 문화도시론은 한국 도시발전의 중심 트랜드였다. 산업적 발전의 길이 제한된 많은 도시들이 문화도시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근본적으로 문화도시는 도시의 문화적 기능과 경관을 발전시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적 발전을 통해 도시의 문회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도시발전전략은 근본적으로 유럽중심의 모델이다. 유럽은 오랜 역사와 전통, 잘 보존된 문화유산을 갖고 19세기 이후 적극적으로 도시문화산업을 발전시켜왔다. 실제로 유럽의 많은 도시들이 문화도시를 표방하면서 발전했고, 많은 후발국가들의 발전모델이 되었다. 문화도시는 오랜 문화적 축적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생성된다. 문화도시에는 반드시 그 도시만의 고유한 도시문화와 아우라를 필요로 하는 법이다. 그러나 한국의 도시들은 이 점에 있어서 너무 성급하고 결과중심의 발전전략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10여년이 지난 현재도 한국은 성공적인 문화도시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문화도시는 크게 문화유산관광형, 현대적 문화산업개발형, 전통-현대 혼합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문화도시의 성장에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도시문화의 형성이 무척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문화도시를 만들겠다는 도시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도시문화의 유형과 성격을 분명히 이해하고, 그에 걸맞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창조도시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창조도시는 기존 문화도시전략을 넘어서 도시발전의 기반을 창의적인 문화활동에 둔다. 창의성을 가진 사람을 중시하고, 그 사람들로부터 파생하는 다차원적인 생산력이 도시의 산업과 문화를 발전시킨다는 것이다. Since the year 2000, the Culture City-theory has been the central trend for the Korean city development. Many cities with limited industrial development paths started to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culture city. Basically the culture city aims to increase amenity of people's life by developing cultural function and scenery. It also aims to develop cultural industry through cultural development. This strategy for city development is basically Europe based model. Europe with long history, tradition and well-maintained cultural heritage has actively developed city cultural industry since 19th century. In fact, many European cities have developed into culture city and have become the role model for other countries. The Culture City is formed when long period of culture and diverse experiences are accumulated. Furthermore the culture city has to have unique culture and aura of its own. However Korean cities, from this point of view, have promoted result centered and haste development strategy. As a result, although 10 years have passed, Korea is still not able to form successful culture city. The culture cit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types as follow; culture-heritage tourism, culture-industry development and tradition-modern compound. Also in the growth of culture city, formation of city culture through story telling has great importance. In order to have successful city strategy to form culture cit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ty culture has to be understood clearly and the strategy has to be set up accordingly From this perspective, the Creative City Theory which appeared recently is very suggestive. Creative city has foundation of city development on the creative cultural activity which is far more than the existing culture city strategy. Great importance on the people with creativity and multi-dimensional productivity of the city which is derived from these peopl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ity's industry and culture.

      • KCI등재

        성남시의 문화정책 현황과 과제

        윤우준(Yoon Woo J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6 아시아문화연구 Vol.10 No.-

        Since it is culture that is a topic for the 21st century, every city in the world shares advocacy for making itself city of culture. Whatever such advocacy by cities implies, nowadays it becomes the most popular slogan and cities competitively propose and formulate a variety of programs and plans for its fulfillment. The reason of advocacy for making culture city by cities is that cityscape is one of the firsthand indices representing the culture, identity and opulence of city residents and, in global paradigm for the 21<SUP>st</SUP> century, a city as such comes to be recognized as a brand. In other words, culture of a city becomes one of the most pivotal factors making up competitiveness of the city. Local governments or municipalities have already made out specified action plans for making culture city which is being acknowledged as a crux of urban competitiveness. Similarly, Seongnam city enormously proposes a variety of culture policies, orienting toward a culture city. Nonetheless, it seems necessary for the city to put a lot of effort in setting the basic direction of its culture policies. Mostly, culture policies by Seongnam city work around the establishment of large-scale hardware without well-defined objectives and hollow, event-like programs. Because such policies are mostly implemented on beneficent basis, city residents remain as mere objects or spectators, not subjects or participants. For the rebirth of Seongnam city as a culture city of genuine value, its culture policies premise clear understanding of its specific historical background and current problems as well. The most urgent problems that Seongnam city now ha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dissemination of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its residen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former negative image of the city as a poor region and the conflict resolutions between residents living at old and new downtown; establishment of the city identity which can be shared among its residents and satisfaction of their cultural needs; and development and commercial use of a variety of cultural assets. For success in its culture policies, Seongnam city should need radical reconsideration and well-placed implementation process of such policies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First of all, the municipality should build cooperative network with the experts and relevant organizations from diverse fields and be well equipped with administrative leadership and planning capacity based on such network. Basically, Seongnam city is required to inquire and develop those cultural-historic assets and narratives that help the city identify and establish its historical root and cultural identity and make use of such assets and narratives in educational facilities for cultural experience, tourism and cultural industry, enhancement of the city image, activation of various city festivals, and so on. It is expected that such policies enable the municipality to earn financial advantages as well as provide a breeding ground for the city that is necessary to lead its residents into a sense of cultural homogeneity and change and improve their life into more cultural one. In short, based on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bovementioned fundamental cultural and historic assets, Seongnam city should consider outcomes from relevant academic fields including urban planning and conduct coordination and consultation with them in order to formulate comprehensive, integrated medium-and long-term plans for culture city that present persuasive and specified future vision of the city for the 21st century. Only if above processes precede, Senognam city will be able to grow to a city of culture in a real sense, a state that is the very essence of urban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Kyungwon University is the best partner for Seongnam city in its progress into culture city. Though Kyungwon University is the only a big, well-established university rooted in the Seongnam city, it has

      • KCI등재

        지역문화실태조사 자료를 통한 1차 문화도시 사업 성과 분석

        노수경(Nho, SooKyoung)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4

        ‘문화도시 사업’은 도시의 문화계획을 통한 사회발전 프로젝트로 「지역문화진흥법」에 근거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법정 ‘문화도시’를 지정하는 정책을 말한다. 이 사업은 지역의 창의성과 책임성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출발하는 문화정책을 지원한다. 기존의 정부주도 공모사업이 대규모 시설을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문화도시 사업은 문화적 소프트파워(인력, 콘텐츠)가 사회발전과 연계되는 도시 문화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둔다. 2022년 현재 문화도시사업은 4년차에 접어들었고, 1차 문화도시 본 도시 지정(2019년 12월)을 기준으로는 본 사업만 만 3년을 채운 셈이다. 문화도시 사업이 본 도시 지정부터 5년 동안 국비, 지방비 매칭으로 추진되는 것을 감안할 때 1차 문화도시들은 사업의 중반을 지났기에 이 사업의 성과를 돌아보는 시기가 되었다. 개별 문화도시 사업은 「지역문화진흥법」 제14조에 근거하여 문화도시심의위원회에서 지방자치단체의 문화도시 조성에 대한 심의 및 추진실적을 심사하고 있으나, 이는 조성계획에 대한 이행실적이므로 정책 전반과 지방자치단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계획에 대한 이행과 실적에 대한 모니터링은 가능하나 정책 사업이 지역에 미친 영향 차원에서 성과를 분석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도시 사업이 지역 문화역량 향상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여 문화도시 정책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지역문화진흥법」이 지역 간의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지역의 특색 있는 고유문화를 발전시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고, 문화도시 사업은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추진되는 대표적인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 사업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중장기 계획을 기반으로 예산이 투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책 사업의 성과가 지자체에 실제 체감되고 있는지를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유추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조사 및 생산하는 ‘지역문화실태조사’를 분석한다. 주 연구 대상은 1차 문화도시로 지정된 7개 지방자치단체다. 세부 지역은 부천시, 서귀포시, 부산 영도구, 원주시, 천안시, 청주시, 포항시이다. ‘지역문화실태조사’는 2017년 기준(2018년 발행), 2020년 기준(2022년 발행)을 살펴 비교한다. 이를 통해 문화도시 사업이 지역의 문화 역량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7개 도시의 변화 추이에 따라 정책사업의 주요 성과가 무엇인지에 대해 제언하고 향후 사업방향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바란다. The ‘Culture City Project’ is a social development project through the city’s cultural plan, based on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is refers to the policy for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designate a statutory cultural city. This project supports cultural policies that originate from the region based on the creativ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region. Whereas the existing government-led public offering business focused on the creation of large-scale facilities, the cultural city project differentiates it from the existing businesses in that it supports the creation of an urban cultural ecosystem in which cultural soft power (manpower, content) is linked to social development. As of 2022, the Cultural City project has been the fourth year, and based on the 1st designation of the main cultural city (December 2019), this project alone has been full of 3 yea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ultural city project is promoted by matching government and local funds for 5 years from the designation of the main city, the first cultural cities have passed the middle of the project, so it is time to look back on the achievements of this project. In the case of individual cultural city projects, the Cultural City Deliberation Committee examines the deliberation and implementation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s on the creation of a cultural city based on Article 14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ere is a limit to reviewing the impact on local governments. That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plan and monitor the performance, but there is a limit to analyzing the performance in terms of the impact of the policy project on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cultural city policy project b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cultural city project on the improvement of local cultural capacity.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by bridging the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and developing a unique culture unique to the region. This is because the budget is being injected based on the mid- to long-term plan to make it possible as a policy project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t is intended to infer whether the performance of the policy project is effectively carrying out for local government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earch method analyzes the ‘Regional Cultural Status Survey’ surveyed and produc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main research subjects are 7 local governments designated as primary cultural cities. The designated regions for this study are Bucheon-si, Seogwipo-si, Busan Yeongdo-gu, Wonju-si, Cheonan-si, Cheongju-si, and Pohang-si. The ‘Regional Culture Survey’ compares the 2017 standards (published in 2018) and the 2020 standards (issued in 2022).Wit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cultural city projec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business direction by suggesting what kind of influence the cultural city project has on the cultural capacity change of the region and the major achievements of the policy project according to the change trend of the seven cities.

      • KCI등재

        都市文化의 해석과 미술

        윤범모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조물주는 인간을 낳고 인간은 도시를 낳았다는 표현은 그만큼 도시(문화)에 대한 상징성을 강력하게 한 표현이다. 지구촌 시대의 도시화 현상은 날로 가속도를 보여 농촌의 空洞化현상까지 대두될 정도로 사회문제가 되었다. 근대성은 도시문화와 더불어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했고, 도시라는 새로운 시각현실 은 그대로 미술과 건축분야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현대미술은 도시에서 형성되고 성장하면서 존재감 을 각인시키고 있다. 한국에서 도시문화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때는 1920-30년대이다. 일제 강점기의 식민지 도시 로 출발했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문제점을 간과할 수 없다. 도시는 소비문화를 낳았고, 소비문화의 총체 는 백화점으로 상징되었다. 당대 문학에서 백화점 풍경이 즐겨 다뤄진 것은 시각현실의 변화와 맞물리는현상이다. 도시는 곡선의 자연을 직선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직선의 구체적인 산물은 바로 도로였다. 일제는 식민통치의 편리성 때문에 도로망 건설에 열중했다. 신작로라고 일컬어졌던 도로 건설은 새로운 풍경이었고, 도시는 도로를 중심으로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1920-30년대의 도로망 건설은 곧 교통망으로 연결되었고, 이는 관광산업의 진흥을 불러왔다. 여행문화는 절경과 같은 자연이나 문화유산의 현장을 인파로 붐비게 했다. 명승지 중심의 관광문화는 미술 소재의 개발이라는 점에서도 새로운 경지를 안게 했다. 1920-30년대의 관광문화는 풍경에 대한 새로운 주목을 갖게 했지만 도시문화를 미술에 본격적으로 반영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였다. 관점과 해석이란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도시문화의 활발한 전개와 미술적 해석은 별개의 문제이다. 이는 마치 역사를 특정한 史觀에 의해 해석하고 기술하는 것과 맥락을 함께 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도시문화의 미술적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도시(문화)라는 소재의 해석 혹은 비판적 접근은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본격화되었다. 현실과 발언 동인 중심의 본격적‘도시 탐구’는 도시문화의 실체를 새로운 각도에서 해석하게 하는 촉매역할을 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한국의 경우 도시문화의 형성은 1920-30년대에 비롯되었으나, 도시문화를 미술가들 이 본격적으로 해석하여 작품화하기 시작한 것은 현실과 발언 동인이 활동하던 1980년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은 時差의 결과는 당대 현실과 거리를 두고 미술작업을 하던 전통시대의 보수적 시각과 연결 된다. 달리 표현하여 리얼리즘 미술의 부진함은 곧 도시문화를 적극적으로 미술에 수용하지 않았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하지만 1980년대의 사회환경은 변했고, 특히 미술계 환경도 변화를 촉구했다. 도시는 이제 욕망의 집산지이면서 피할 수 없는 하나의 자연으로 위치지어졌다. 미술은 이같은 새로운 변화에 즉자적으로 반응하면서 시각현실의 조형화에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현대 사회에서 도시는 또 하나의 자연이었던 것이다. The expression that God created man and man made a city is a significant symbolic articulation as to city (culture). In the age of global village, urbanization gathered speed every day to the extent that it became a social issue coming to the fore as deposition phenomenon in a farm village. Modernity started to held sway along with city culture and the city as new visual reality had huge influence on art and architecture as it is. Contemporary art imprints a sense of existence as it forms and grows in the city. Not until 1920s-30s that the city culture began to shape in Korea. Given that it started as a colonial c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re were problems in its way. A city generated consumerism and a department store was a collective symbol of consumption culture. The fact that department store scene was frequently appeared in the literature of that time is interlinked to the transformation of visual reality. The city began to change curve lines of nature into straight ones. The road is a concrete product of that straight line. Due to the convenience in colonial ruling, Japan was impassioned in constructing network of roads. So-called newly constructed road was new scenery and the city started to show the look of transformation centering on roads. The construction of network of roads in 1920s-30s was tied to a traffic network bringing promotion of tourism. The sites of magnificent view or cultural heritage were crowded as a result of traveling culture. Focused on scenic spots, tourist culture opened up a new realm of development of subject matter for art. Although the tourist culture of 1920s-30s made pay new attention to scenery, it was too early to reflect city culture onto art. A critical approach to the subject matter of city (culture) was formed only in 1980s. Earnest ‘city exploration’by the member of Hyunsil and Baleon was a catalyst in understanding the truth of city culture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o come to the point, the formation of city culture in the case of Korea has started in 1920s -30s but it was not until 1980s that artists began to investigate and employ city culture in their works, same period when Hyunsil and Baleon was active. The result of time difference like this is related to the conservative perspectives of traditional age when people worked at a distance from the reality. In other words, weakness of realist art is in keeping with the fact that it did not take an active part in conveying city culture on a picture plane. But the conditions of society have changed and especially the art world urged to change. Now the city is positioned as a trading center of desire and a certain nature which is inevitable. Reacting immediately to the new transformation as such, the art demonstrated different aspects of figuration of visual reality. After all, the city is another form of nature in modern society.

      • 유럽문화수도와 문화주도형 도시재생사업 사례 연구 - 글래스고, 이스탄불, 마르세유를 중심으로

        정혜영 유럽문화예술학회 2016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7 No.2

        The object of his study is to ernphasize the irnportance of "Culture" as main power for city growth. For that, this study selects the representative cities which are successful in contribution to the paradigm of city development, and researches the cases of successful culture city project. As the representative projects of culture city, there ar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 which is well known intemationally and Urban Restoration Program driven by the Culture which presents almost whole countries and cities push forward. So, this study is based on precedent studies which two projects provide the new paradigm of city development. The research range is Glasgow of Scotland, Istanbul of Turkey, and Marseille of France among 54 cities appointed European Capital of Culture. These 3 cities are successful cases connected with Urban Restoration Program 따nong European Capital of Culture Cities, especially those are successful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frastructure, the management of cultural programs, and the inducement of tourists. For success factor analysis and case study of those 3 cities'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s and Urban Restoration Programs driven by the Culture, this study researches cultural surroundings, cultural city foundation, and present condition. Accordingl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Gwangju City, 2014 Unesco Media Art Creative City, there are need to study successful cases of European Capital of Culture Cities and Urban Restoration Program driven by the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searches for successful ways of Gwangju as Media Art Creative City.

      • KCI등재

        스마트 도시 재생에서 독일 문화-창의 경제 정책의 활용 가능성

        민춘기(Min Chun-g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knowledge that although Gwangju is a UNESCO creative city and runs the National Asian Cultural Complex, it still lacks a comprehensive policy to design smart urban regeneration to make the most of these advanta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e-creative economy and industry in Germany and Europe and to provide theories and inform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city regeneration policy in Gwangju, a cultural and creative city. To this end, the study describes the content presented on websites and in reports of the agencies or departments responsible for the relevant policies in the EU and Germany. The culture-creative industry is a diverse industrial sector that has a cultural and economic impact on human life. Its related fields are arts and architecture, Web and graphic design, publishing, games and multimedia, the music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fashion and arts and crafts designing, films,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First, I research the EU cases, such as those related to their cultural awareness, the new European Agenda for Culture, the Creative Europe program, the Culture-Creative Sector (CCS), and the Culture-Creative Industry (CCI) support projects. In the German example, I look at the present state of the culture-creative economic policies, the innovation effect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and the industry-related information of some federal and city states, digitalization, and media education. Finally, I outline the considerations for smart urban regeneration and the guidelines for the culture-creative industrial policy of Gwangju as the Asian Cultural Center part of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In the process of Gwangju’s regeneration as smart city, efforts are urgently needed to recognize the value of culture and creativity and reflect it in its policies. In the process, we will be able to make partial use of the examples offered by the European Union and Germany. Gwangju can be seen as having external requirements, such as the Asian Culture Complex, Media Art Creative City, and AI. Successful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should precede the establishment of a consulting agency for experts in various fields. If the smart urban regeneration is successful, it is expected that Gwangju, which has a weak industrial base, can be reborn as a place where people can lea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rich lives based on culture and creativity. 이 논문은 광주가 유네스코 창의도시이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스마트 도시재생을 디자인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이 아직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독일과 유럽의 문화-창의 경제와 산업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도시이자 창의도시인 광주의 도시재생 정책 수립에 이론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과 독일의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기관이나 부서의 사이트와 보고서 등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문화-창의 산업이란 인간의 삶에 문화적·경제적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산업 부문이며, 관련 분야는 예술과 건축, 웹 및 그래픽 디자인, 출판, 게임 및 멀티미디어, 음악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 예술 공예 및 패션 디자인, 영화, 광고 및 홍보 등이다. 먼저 유럽연합의 사례에서는 유럽인들의 문화에 대한 인식, 새로운 유럽 문화 의제, 창의 유럽 프로그램, 문화-창의부문(CCS) 및 문화창의산업(CCI) 지원 사업, 문화-창의 도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독일의 사례에서는 문화-창의 경제 정책의 현황 및 혁신 효과, 문화-창의 산업의 주요 내용, 연방주와 도시주의 문화-창의 산업 관련 정보, 디지털화, 미디어교육 등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와 유네스코 창의도시인 광주가 스마트 도시 재생을 위해 고려할 사항과 문화-창의 산업 정책의 방향 정립에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광주가 스마트 도시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문화와 창의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이 과정에서 유럽연합과 독일의 사례들을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광주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AI 집적단지 등 외적인 요건은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성공적인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의할 수 있는 기관을 설립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도시 재생에 성공한다면, 산업기반이 취약한 광주가 문화와 창의성을 기반으로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城市文化与文化城市

        王?(WANG Tao),金昌?(KIM Chang-Kyo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6 No.7

        The city is very important in modern people"s life. The development of the city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culture, cultural city is more temperament and charm. City culture has regional and uniqu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s the foundation of urba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owe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we must continue to explore, dynamic diversity, integration and innovation, for this point, South Korea and Busan experience is worth learning from. Busan Experience & Busan mode is the experience and the pattern which make culture and the cultural industry as the leading city development,and means that consider of Busan city evolution, to grasp the city cultural context、 structure、characteristics, and promote the pluralism, integration and innovation of city cultural industry. South Korea and Busan"s cultural consciousness and the nature of the cultural industry"s continued creativity, not only related withe the city"s cultural "field" and other mechanisms, but also related with the "pattern" particularity of Korean society and family structure.

      • KCI등재후보

        창조적 도시문화환경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법 -찰스 랜드리의〈창조도시〉를 중심으로-

        김성호 ( Seong Ho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9 예술과 미디어 Vol.8 No.1

        근래 들어 세계의 도시들은``문화``가 국가 이미지를 상승시키고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원 임을 인식시켰고 현재 이를 모방하여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노력과 시도를 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지난 2000년 중앙정부의``문화중심도시조성사업``을 시작으로,`` 녹색도시``, `` 서울시 디자인 중심도시``와 광주 광역시의``아시아중심 문화도시``그외 여러 지역에서 ``거리문화도시``, ``녹색문화도시``, ``생태문화도시``등 문화를 표방한 지역의 이미지 향상과 발전을 위한 각 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O세기의 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른 경제 성장은 물 질 풍요의 사회를 이룩하였지만, 21세기의 신경제는 사회적 경제적 회계가치와 함께 환경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적 경제적 요인이 도시의 동역학임이 분명하지만, 도시 는 경제적, 사회적 하드웨어 그 이상의 가치를 담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발전을 위한 일련의 과정(process)이라 할 수 있는 랜드리의《창조도시》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 사하고 있다. 오늘날 도시환경은 국가의 위상과 이미 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때문에 이 연구에서 는 도시발전의 통합적 접근방법을 위해 제시된 올바른 지향점 10가지는 앞으로 우리 도시들이 나아갈 방 향의 중요한 창조성의 과정으로 인식되기를 기대한 다. 1) Recently many cities in the world recognised the ``Culture`` is an important resource as nation`s image higher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up and nowadays many other cities try to imitate various way. In Korea the past year 2000 the central government begin to the projects named ``culture centered city development``and ``Seoul design city``, ``Asia culture city``in Gwangju City and also other region area try ``Street culture city``, ``Environmental culture city``, ``Green culture city``etc, to have region area image higher and develop well. In 20century, economy well growth with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made material richness. however new economy in 21century presents new precious of culture environment with account value of social and economical. This social and economical factor is a certain city`s dynamics. however we also understandings the city have special meaning more then of it. The 《Creative City》by Charles Landry as process to city develop gives many of a previews to us. Nowadays city environment is important space to define nation`s status and image. So, in this research presents for 10 articles with Integrate approach to city development as a process of consequence creativity which will expect to the right direction where our city goes.

      • KCI등재

        도시문화가치 창출을 위한 도시브랜딩 아이덴터티 전략 연구 -인천시 중구 지역 아이덴터티 전략을 중심으로-

        장은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2

        최근에 도시의 문화가치를 발견하는 것이 도시 발전에 핵심 요소로 부각되면서‘문화재생(文化再生)’을 통한 도시문화 창출이 도시브랜드를 확립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였다. 그런데 도시브랜드의 성공 조건으로 단순한 도시문화자원 개발과 홍보, 이벤트 등으로는 도시의 독특한 정체성을 이끌어가는데 한계가 있다. 성공한 도시브랜딩은 그 도시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함이 필요하며, 그 도시를 구성하는 아이덴터티가 유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성과를 이룰 수 있다. 뉴욕에 세계인이 모여드는 이유는 단순히 즐길 것이 많은 식·도·락 문화의 도시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뉴욕 만의 매력적인 삶을 느낄 수 있는 문화의 도시로 인식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문화도시의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낡고 오래됐지만 근대 문화유산과 원도심의 특성이 남아있는 장소의 매력을 살리고, 지역 사회와 거주민 참여에 의한 아이덴터티 브랜딩 전략으로 도시문화를 풍부하게 만들고 삶의 질을 높여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공헌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인천시 중구는 1883년 우리나라 최초의 개항장이었던 지역으로 국내 최초라는 타이틀의 근대 문화유산이 많이 남아 있으나 외부에 차별화된 도시브랜딩 아이덴터티가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중구의 도시문화 창출을 위한 도시브랜딩의 성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구축하여 다른 도시와 차별화된 문화적 역량을 표현하는 아이덴터티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천 중구 지역의 특성 있는 역사·문화·플레이스(Place) 등 핵심자원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국내외 유사한 도시와 차별화된 아이덴터티 전략을 확립하는데 있다. Recently, as discovering the cultural value of a city has emerged as a key element in urban development, the creation of urban culture through 'regeneration of cultur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an urban brand. There are limits to leading the city's unique identity through urban cultural resource development, public relations, and event events. Successful urban branding requires a unique experience that can only be experienced in that city, and the identity that composes the city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organic and continuous progress. The reason why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come to New York is not only because it is recognized as a city of food, food and entertainment, but also as a city of culture where you can feel the charming life of New York. In order to resto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old and old cultural city, the city's attractivenes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urban center remains, and the identity strategy through branding enriches the city culture through community and residents' participation and enriches the quality of life. It contributes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Jung-gu, Incheon, selected as the study site, was the first port of open port in 1883, but there are many modern cultural heritages under the title of the first in Korea. .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urban branding for the creation of urban culture in Jung-gu,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dentity that expresses cultural capabilities differentiated from other cities by building various contents that can experience cultu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identity strategy differentiated from other cities by effectively utilizing contents of core resources such as history, culture, and place in Jung-gu, In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