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민지(Kim, Min-j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경험을 국가적 정체성과 종교적 정체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경험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경험은 1단계: 부여된 정체성, 2단계: 정체성 갈등, 3단계: 정체성 선택과 그 결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는 부모와의 긍정적 관계와 또래 친구의 지지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일 축복 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은 국가적 정체성과 종교적 정체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다문화정책의 발전적 논의를 위해 첫째,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학교에서 진행되는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이 상호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하며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배려와 존중의 다문화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연구를 위해서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t cultur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blessed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and categorizes their experiences into international identity and religious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cultur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blessed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divided into stage 1: given identity, stage 2: identity conflict, and stage 3: identity selection and its results. Secondly, the children’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support from their peers had a crucial effect in their cultural identity formation. Thirdly, their cultural identity was found to be organically connected to their international identity and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will be necessary to have developmental discussions on multi-cultural policies: firstl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carried out in school for the proper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ust become mutually harmonious. Secondly, a multi-cultural policy promoting respect and regard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needed. Thirdly, research on religious identity must be vitalized to enable elaborate studies of cultural identity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정체성(文化正體性) 확립을 위한 연구(硏究)

        이윤희 ( Yun Hee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21세기를 지배하는 화두는 `문화`임을 세계의 많은 지식인들이 대체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연구자는 앞서 「문화정체성 형성요인에 관한 논구」에 이어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를 주제로 설정하였다. 정체성의 개념 변천에서는 `identity`의 정의와 특징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문명의 충돌`을 예견하였던 헌팅턴의 주장을 도입하여 문화정체성이 왜 필요한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에서는 정신적 영역인 아이덴티티 의식의 중요성을 정리하였다.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방안에서는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의 정체성이 보다 창의적이고 민주적이고 자발적인 모습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tried to build up the foundations for inspiring identity of `Culture` which have been agreed as a subject of conversation by the most of intellectuals in the global level. I attempted at first to grasp firmly a definition and character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n to suggest necessary conditions of establishing its identity in order to get rid of a dangerous possibility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foreseen by a worldwide well-known critic of civilizations, Samuel Huntington. We have our uniqu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with cultural diversities and aesthetic values different from other nations. The cultural achievements and inheritances are our national pride and resources. We should keep, develop and let to know the excellent superiority of our cultural inheritances to the world. It is urgently needed a new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for our Korean people in this competitive societies of globalization. The self-awakening of cultural identity should be emphasized as the tasks of building up national identity of culture. We should continue to consolidate our national cultural identity for developing the creative and democratic cultures through open-minded acceptance of other diverse cultures.

      • KCI등재

        다문화시대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

        서은숙(Seo Eun-Suk)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본고는 현대 다문화, 다 가치 사회에서 한류의 정체성과 그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류는 지금으로부터 약 10 여 년 전 시작되었고, 한류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한류는 주로 경제적 가치로 이해되었다. 본고에서는 한류에 대한 연구들에서 한류의 실태와 그 구체적 내용을 정리하였고, 한류를 문화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을 논하였다. 이러한 다문화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 문제이며, 한국 문화 정체성의 기반에는 다시 인문학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 점에서 한류를 현재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대안과 인문학 위기에 대한 문제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문화정체성, 아시아 문화공동체 네트워크 형성 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여, 한류의 전개, 한류의 정체성-유교 문화, 풍류정신, 한류의 발전 방향-문화콘텐츠 개발 등을 논의하였다.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류의 정체성에는 仁과 和 그리고 風流精神(대조화) 등으로 볼 수 있고, 이를 현대 사회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류 발전의 방향에는, 첫째, 인문학이 한국 문화의 기반이 되는 철학, 윤리, 문학, 역사 등을 다루며, 한국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는 이러한 인문학적인 배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그것을 발전시키는데 있을 것이라는 의미에서 인문학 부흥의 필요성, 둘째,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 연구, 셋째, 열려있는 한국문화콘텐츠의 개발, 넷째, 문화콘텐츠 교과목의 개설, 다섯째, 문화 원형으로서의 다양한 한류 콘텐츠 개발 - 유교 사상, 학자 및 선비의 일대기, 향교, 서원 등의 유교문화재, 복식, 건축, 음식 등의 생활 문화, 음악, 미술 등의 예술 분야 등의 디지털 복원- 등이다. I studied on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in a multi-cultural society. Korean-Wave arose about 10 years ago and researches interpreted it as a economic value. Based on many studies and researches of Korean-Wave, I summarized thoroughly about actual condition and concrete contents of Korean-Wave. And I discussed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I understood Korean-Wave as a altern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 solution to establish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a formation of network between Korean culture's identity and Asian community. Based on my understanding, I discussed about Korean-Wave's development, identity(Confucian culture, and Pungnew), and direction, as well as cultivation of cultural contents. As a cultural universality, Korean-Wave's identity includes benevolence(仁), harmony(和) and elegance(風流精神, the great harmony) and these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society. Firstly,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lise in development of Humanities. Relating to the crisis of Humanities since 2006, I think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re also problems to the Korean culture's establishment of its identity. Because the base of Korean culture is Humanities which studies philosophy, ethics, literature and history. In order to establish Korean culture's identity, the understanding of Humanities' background and its development is needed. Secondly, to develop Hallu, we cultivate Hallu as a Korean cultual archetype. Korean-Wave should be not only understood as a economic value but also interpreted as a cultural concept. As one of cultural archetypes, Korean culture, especially Confucian thoughts and Pungnew,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much more in the fields of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 KCI등재

        文化正體性 확립을 위한 硏究

        이윤희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21세기를 지배하는 화두는 ‘문화’임을 세계의 많은 지식인들이 대채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연구자는 앞서 「문화정체성 형성요인에 관한 논구」에 이어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를 주제로 설정하였다. 정체성의 개념 변천에서는 ‘identity’의 정의와 특징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문명의 충돌’을 예견하였던 헌팅턴의 주장을 도입하여 문화정체성이 왜 필요한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에서는 정신적 영역인 아이덴티티 의식의 중요성을 정리하였다.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방안에서는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의 정체성이 보다 창의적이고 민주적이고 자발적인 모습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tried to build up the foundations for inspiring identity of 'Culture' which have been agreed as a subject of conversation by the most of intellectuals in the global level. I attempted at first to grasp firmly a definition and character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n to suggest necessary conditions of establishing its identity in order to get rid of a dangerous possibility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foreseen by a worldwide well-known critic of civilizations, Samuel Huntington. We have our uniqu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with cultural diversities and aesthetic values different from other nations. The cultural achievements and inheritances are our national pride and resources. We should keep, develop and let to know the excellent superiority of our cultural inheritances to the world. It is urgently needed a new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for our Korean people in this competitive societies of globalization. The self-awakening of cultural identity should be emphasized as the tasks of building up national identity of culture. We should continue to consolidate our national cultural identity for developing the creative and democratic cultures through open-minded acceptance of other diverse cultures.

      • KCI등재

        문화중국의 타자, 중국 소수민족의 정체성

        임춘성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0 中國現代文學 Vol.0 No.54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identity of Chinese minor ethnic as the other of culture China. The identity of Chinese minor ethnic is consisted of the relation with Han ethnic. Han ethnic(漢族), which occupied 94% of population, and Chinese nation(中華國族) and China(state) are the ‘Other’ that have named and summoned the minor ethnic. In fact, 55 minor ethnics were historically distinguished by Han ethnic―Chinese nation―China. The Chinese minor ethnic has the plural identities. One is in conflict with Han ethnic identity, the other is included in Chinese nation's identity. The problem is, Chinese nation's identity is mainly consisted of Han ethnic identity, as a result the minor ethnic identity is located on the periphery of Chinese nation's identity. Therefore, in the view of nation-state, minor ethnic identity is the ultimate target of integration. In this spot, there are two kinds of nation, the political nation and the cultural nation. In the political nation, the nation claims to be neutral about the right, power and culture of all ethnics, try to make enormous whole which compromise all. On the contrary, the cultural nation is consisted of the people with the same language, life style, history, hometown, enhance the power of the ethnic myth. Two kinds of nation is contradictory. Because the real politics oppress the cultural nation and support the political nation, there has been a long-standing conflict between Han ethnic and minor ethnics. For the sake of investigation into the minor ethnic identity, we have to make a vision of ‘culture China’ which oppress the political nation and support the cultural nation and dissolve the mechanism of marginalization and othernization. This study is a part of “Identity of Ethnic Minority and Cultural Politics Represented in Chinese Ethnic Minority Films in Post-socialism China”.

      • KCI등재

        문화표상에 나타난 문화적 정체성의 경쟁:오끼나와 슈리성의 사례

        김창민 ( Chang Mi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6 No.-

        이 글은 오끼나와인들의 문화적 정체성 변화와 경쟁 과정을 슈리성이라는 문화 표상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끼나와는 1409년 류큐왕국의 설립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외세의 지배를 받아왔다. 이 과정에서 오끼나와의 문화적 정체성은 유동성을 보여왔다. 특히, 류큐처분 이후 오끼나와는 류큐왕국으로서의 정체성과 일본으로서 정체성 사이의 경쟁을 경험하였으며, 1945년부터 1972년 사이에는 류큐와 미국 그리고 일본 사이에서 문화적 정체성의 경쟁과 혼란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1972년 일본으로 ‘복귀’된 이후에도 여전히 일본과 류큐사이에 정체성 경쟁을 경험하고 있다. 이런 정체성의 변화와 경쟁은 슈리성을 통하여 표출되었다. 오끼나와를 지배한 세력들은 자신의 지배를 확인하며 피지배지역으로서 오끼나와를 정체화 하기 위하여 슈리성 복원을 주도하였다. 소실과 파괴로 점철된 슈리성 복원의 역사는 이런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오끼나와인들은 외세의 이러한 정체성 만들기를 수용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이들은 오히려 복원된 슈리성을 류큐문화의 대표적 표상으로 의미 부여를 함으로써 자신들을 류큐문화 담지자(擔持者)로서 정체화 한 것이다. 결국 슈리성은 외세에 의해 규정되어진 정체성과 오끼나와인들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정체성이 경쟁하고 타협하는 현장인 셈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nge and competition of cultural identities of Okinawan people through Shuri-jo as a most important cultural representation of Okinawa. Okinawan people have been under the control of external power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Ryukyu Kingdom. In this process, the cultural identity of Okinawan people has been unstable. Particularly, after the fall of the Ryukyu Kingdom, Okinawan people experienced the competition of a cultural identity between the Ryukyu Kingdom and Japan. Also during the period of the Ryukyu Government (1945~1972), the Okinawan people experienced competition and a confusion of the cultural identity among the Ryukyu Kingd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fter 1972, this competition and confusion of cultural identity has continued. The competition and change of its cultural identity in Okinawa is manifested in Shuri-jo. This external power dominated Okinawa has initiated to restore Shuri-jo in the aim of making the Okinawan identity as a dominated region. The history of Shuri-jo restoration can be understood in this view point. However, the Okinawan people not only accept identity making of external power, but also make their own cultural identity as Ryukyu by providing meaning a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representation of Ryukyu Kingdom to a restored Shuri-jo. As a result, Shuri-jo has been competing and/or negotiating the field of cultural identity.

      • KCI등재

        K-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 및 문화상품 개발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

        중학교에서의 창의적 재량활동을 통한 한국 문화 정체성 교육의 실제

        유명철,김혜경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2

        This study was advanced based on an actual class with korean cultural identity education through the expanded new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in the seventh education course. To analyze students' demands and responses after the class, questionnaires were used on 121 lst graders at a middle school. In addition, depth interview method and oral questionnaire were used for more accurate contents. The data of teaching method and teacher`s teaching resource was used as data of the study analyzing detailed operating case and literature research. Before observing the status of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education,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at middle school, the aim and content of the discretionary activities, organization management of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studying types methods of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were inquired. Also, the evaluation of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was performed And after defining the "identity",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al identity education was set to present suggestions after analyzing the students' responses when carrying out classes by the demands of the students. In case of the actual classes, classes about our culture which is assigned as world's cultural heritages such as drawing the "tae-guk-gi", experiencing traditional play, tasting our food, "han-gul" love game, etc. considering the time, location and availability of resources to establish korean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 students' various responses. As for the management of the class, the time was coordinated in advance to make it possible for realistic management. In case of group activity, the group was organized beforehand and the students named the group leader and the name of the tea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me related to the methods of study, the teacher`s lesson and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should be used in a diverse manner but we tried to make students' activity the focal center. As stated before, group evaluation and individual evaluation was separated to suit the type of the class, and appropriate reward was presented. Enthusiasm and creativity, preparation and interest level, and attendance of small group activities were subjects of the evaluation. After analyzing the students responses with the class done, making/eating "bi-bim-bapp", traditional play, drawing "tae-guk-gi", "han-gul" love game, our culture that has been assigned as world`s cultural heritage was the order of responses and showed responses that they felt a lot about korean culture identity. And out of the various study methods that were used in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class, the class that students preferred the most was experience learning. This study focused on finding out effective class in the cases of actual classes based on the demandes of the students when performing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education. However, further study to find more effective classes in the actual classes by analyzing teaces demands and we hope for the diverse korean cultural identity education.

      • KCI등재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강화방안 -도시형 한옥마을과 전통마을을 중심으로-

        송영민 ( Youngmin S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장소로서의 공간, 보존해야할 대상으로서의 문화재, 삶의 현장으로서의 전통을 포함하는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지속적인 보존과 활용을 전제로 한다. 문화자원은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주요자원이자 지역발전의 중요수단이 되고 있다. 문화자원 활용공간은 문화재 군락을 중심으로 역사적 전통의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특히 문화자원을 보존하고 활 용하는 거주지역의 주민들에게 문화자원 활용공간은 일상생활과 밀착된 환경이므로 장소와 지역주민, 디자인이 함께 다뤄져야 한다.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형성과 장소가 해석되는 방식을 이해하여 장소 정체성의 유지 및 강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보존과 활용을 통한 장소 정체성의 관점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장소와 장소 정체성의 이해를 통해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형성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먼저 도시형한옥마을과 전통마을의 사례를 토대로 장소형성 과정을 이해하였다. 그런 다음 사례를 종합하여 장소 정체성형성의 배경 및 계기가 되는 요인과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장소의 의미를 분석하여,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시점의 장소 정체성을 진단하고 방향성을 설정하여 장소의 문화적 특성과 가치를 재정립하여야 한다. 둘째, 공공자원의 활용은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로서 장소 정체성을 정립하고 공동체가 그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셋째,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공공디자인은 공동이 소유하는 문화자원과 거주공간으로서의 생활적 요구를 수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공동의 문화적 특성과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공동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자율권을 보장하여야 한다. (결론)위의 연구결과에 따라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공공디자인은 지역주민의 편의를 보장하면서 문화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장소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져야 한다. 이로써 본 연구가 문화자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기초자료가 되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preserve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that involve space as a place, cultural assets as targets of preservation, and traditions. Cultural resources are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image of a city and for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A cultural resources cluster assumes significance and value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which is centered on the community’s cultural assets. In particular, place, regional residents, and design need to be integrated since efficient use of cultural resources creates a space for residents to preserve and utilize them in a way that is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thod and identify the place for using cultural resources to improve place identity. (Method) As previously st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place identity and its continued preservation to utilize cultural resources effectively. The formation process was examined using the examples of an urbanized hanok village and traditional village. Subsequently, the analysis of varied meanings of a place according to its age, background, and formation of identity was conducted, and ways to strengthen cultural identity and space resource utilization were proposed. (Results) Methods to improve place identity and the efficient use of cultural resource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identity of a place in the present and set the direction to reestablish desired characteristics and place value. Second, regarding the usage of public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lace identity by develop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and access to them as the means for enabling community enjoyment. Third, the public’s design preferences for a designated place to use cultural resources should reflect a community’s cultural identity and a respect for residential spaces.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a community to enlarge participation of the locals and secure autonomous rights. (Conclusions)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place designed for public use should utilize cultural resources for the convenience of local residents, with the ultimate goal defined as creation of a new place value resulting from preserving and using cultural resources efficiently. Likewise, this research will hopefully provide base data for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cultural resources and their efficient use.

      • KCI등재

        지역민인 지역문화예술 감독의 정체성과 역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사윤택 한국예술경영학회 2019 예술경영연구 Vol.0 No.50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의 제정 이 후, 정부는 지역의 삶을 반하고 지역민의 정서 에 부합하는 지역문화의 방향성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이러한 노력 에 걸맞게, C지역 비엔날레 조직위원회는 이례적으로 비엔날레 예술 감독을 C지역 의 역사성과 생태적, 정서적 특성을 담고 있는 지역 예술인들로 구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C지역의 지역민이자 공예비엔날레 감독으로 임명된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지역민 문화예술 감독의 정체성과 역할에 한 인식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지역민으로 구성된 6명의 지역문화예술 감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으며, 그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지역문화예술 감독으로서의 정체성과 그 역할을 탐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진 자료, 문서, 심층 면담, 회의 자료 등 다 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여, 결정적 사건을 중심으로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의 지역문화예술 감 독의 정체성에 한 생각은 세 가지 방향으로 귀결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참 여자들은 지역 예술가로 구성된 예술 감독 체계가 그 동안 지역 안에서 활동한 자 신들의 정체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보았다. 둘째, 지역문화예술 감독들의 정체성은 다양한 지역의 문화예술 담론이 개발되고 토론됨으로서 지역화 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역할과 맥을 같이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은 일회적이 아닌 지속 적인 지역문화예술에 한 관심과 애정을 지니고 있었고 그것이 그들의 정체성이라 고 인식하였다. 면담에 참여한 감독들은 다양한 지역의 문화예술의 담론이 개발되 고 토론됨으로서 지역화 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정체성과 연계한 연구 참여자가 인식하는 지역문화예술 감독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해를 마감하고 다음 해의 예술 행사를 연계해 구성할 수 있는 안목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기획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과 연계된 사회적, 문 화적 생태 분석에 한 정체성을 도출할 수 있는 학술・연구의 역할을 수행해야한 다. 셋째, 지역 예술인들이 지역을 넘어 세계적인 예술문화와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수 있는 지역문화전문인력 즉, 문화매개자 역할이 요구되어진다. 지역문화예술의 매개자로서 지역민 감독 형태에 한 연구는 지역 예술인의 정체성 수립의 근원을 알게 하고, 지역민이 주체가 되는 문화예술의 방향성에 한 방법론 을 구축하는 일이다. 아울러 바람직한 지역문화의 소통과 의미에 한 성찰을 제공 하고, 지역문화예술 매개자의 양성 시스템에 관한 시사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지속 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After the enactment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in 2014, the government has been continuously trying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local culture that reflects the local life and conforms to the local people's emotions. In response to these efforts, the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C Region Biennale has uniquely formed the Biennale Artistic Director as a local artist who includes the historical, ec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 region. Therefore, I sought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identity and role of the local cultural arts director through the narrat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appointed as the local residents of the C region and the director of the Craft Biennale. For the study, six local cultural arts directo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identity as a local cultural arts director and its role were explored, focusing on their narratives. In this process,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photographs, documents, in - depth interviews, and conference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narrative was analyzed based on deterministic event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idea of the identity of the local cultural arts directors was found to be in three directions. First, it is the view that the symbolic role of the artistic supervisory system of the 10 persons guarantees the identity. Second, the identity of local cultural arts directors was recognized as a role to find ways to be localized by developing and debating cultural and artistic discourses in various regions. Third, the participants had a concern and affection for local cultural arts, not one-time but continuous, and recognized it as their identity. The dire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showed that the discourse of cultural arts in various regions were developed and discussed, and they wanted to find ways to be localized. The roles of local cultural arts directors recognized by research participants in connection with their identity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the subject of systematic and long-term planning that can close the year and connect with the art events of the following year. Second, it should play a role of academic / research that can derive the identity of social and cultural ecological analysis connected with the area. Third, local arts professionals are required to act as cultural brokers, ie local culture professionals, who can create a venue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Research on the form of local government supervision as a mediator of local cultural arts is to find out the origin of the identity of local artists and to establish a methodology for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as a subject of local peopl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continued interest and research in providing a reflection on the communication and meaning of the desirable local culture, and suggesting the system for cultivating local cultural arts intermedi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