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문화콘텐츠의 장기 지속을 위한 인력 양성 방안

        김광욱 ( Kwang Wook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0 어문론총 Vol.53 No.-

        Although the term of ``cultural contents`` has been used over 10 years in human studies including Korean literature, there are still many people who ask back what ``cultural contents`` are. Looking back on the point when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s began to be combined, we can find that there was mutual cooperation between academic and industrial circles having expectation that it would help solve each other`s difficulties. In the beginning, academic discussion was mostly the type of reporting case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however, since there was no proper methodology then, it was just basic-step discussion to grope for better methodology by sharing their trial and error through case report. Yet, this was just mere basic-step discussion, but the ultimate goal is to generalize or theorize individual problems found in each case or draw a structural system from it. Now is about the time for us to move our focus of discussion to more macroscopic and structural problems in order to find out ways to produce high-quality cultural contents. If literature does not include cultural contents as its study area temporarily, it is needed to grope for measures to continue the cases to make literature as cultural contents longer. This article has examined what university should do in order to foster an environment that can develop local cultural contents consistently in the industry of cultural contents. Largely, it can be summed up as education, research, and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social entry. This paper suggests several measures such as educational processes to cultivate expert manpower, research to excavate materials to produce high-quality local cultural contents, and cooperative networks between industrial and academic circles to supply export manpower favorably. However, the measured suggested in this paper are based on limited experiences of some universities, so this discussion exhibits a clear limitation. There could be difficulties in applying those measures to other universities as they are for expansion, and sometimes, such consideration itself may not be impossible. This needs to be regarded as trial an error and continue to be modified and complemented for improvement. It is thought that such process itself is the course to establish sustainable infrastructure for local cultural contents. To point out problems in universities, this study chose as the subject of criticism ``the storytelling contest``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a little distant. It is quite a safe method for a university to maintain some distance from a local autonomous entity or a company and shoot an arrow of criticism in the name of commercialism or administrative opportunism. However, to do so, the situation is not very favorable in the inside or outside of universities. The field that can provide substantial support from theoretical perspectives should be aided aggressively. ``Culture`` is not something that can change with an individual or a field but an area requiring far stronger mutual cooperation since ``cultural contents`` ranging over the area of industry. Even though businesse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to revive their local culture seem bureaucratic and ineffective or companies related with cultural contents look tinged with commercialism, it may be the time to regard them considerately as partners generating culture that can give impression and happiness to the public living in this era.

      • KCI등재후보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정책의 추세 분석 - 정부재정을 중심으로 -

        박양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예술경영연구 Vol.0 No.22

        The paper aims to draw implications and provide suggestions of cultural content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overnment finance, which consists of budget and fund. Particularly based on the finance allotted to the cultural content area during the 17 years in Korea from 1997 to 2012, the paper studies the trend of the cultural content policy of the administrations, from Kim Young Sam’s administration, to Kim Dae Jung’s, Rho Moo Hyun’s, and Lee Myung Bak’s administration. Also, the research goes beyond to analyze the financial size of the cultural content,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overall finance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the f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size of the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during the past seventeen years, regardless of administrations. Second,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overall finance of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irregular, rising and falling from year to year and also according to each administration during the period. Based on this analysis, Kim Dae Jung’s administration was the most favorable to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the f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im Dae Jung’s administra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content field the most among the four administrations. The ratio, on the average, declined in Rho’s government, while it has been gradually recovering in Lee’s government. Fourth, these analyses showed that the cultural content policy distinctively varies from administration to administration. Through these four findings, it became clear that even though the size of the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has been increasing, it does not mean that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overall finance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ratio of cultural content-related finance to the f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imultaneously increase. Some suggestion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increasing the amount of finance portioned to the cultural content field for promotio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Second,the Content Promotion Fund should be newly established under the Content Promotion Law. Third, the present system of government finance which consists of general budget accounts, special budget accounts and fund should be reestablished under the unified finance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ent Promotion Law and the abolition of special budget accounts. 본 연구는 지난 1997년부터 2012년까지 16년 동안의 한국의 문화콘텐츠 재정(예산과 기금)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 정책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문화콘텐츠 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과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기준 곧 문화콘텐츠 재정의 절대규모와 그 추세, 정부전체 재정 대비 문화콘텐츠 재정의 규모와 비율 그리고 그 추세, 문화체육관광부 재정 대비 문화콘텐츠 재정의 규모와 비율 그리고 그 추세를 통계적으로 정리한 다음 이 재정통계를 바탕으로 연도별 및 각 정부별 문화콘텐츠 정책을 문화정책기조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재정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콘텐츠 재정의 절대 규모는 지난 16년 동안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에 관계없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둘째, 정부전체 재정 대비 문화콘텐츠 재정의 규모와 비율 측면에서 보면 연도별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였다. 전체 정부 안에서 문화콘텐츠의 위상을 가장 정립시킨 정부는 국민의 정부였다. 셋째, 문화체육관광부 재정 대비 문화 콘텐츠 재정의 규모와 비율 측면에서 보면 전반적으로 국민의 정부에서 가장 중시되었고, 참여정부에서 전반적으로 그 비율이 하락했다가 이명박 정부 들어서서 서서히 회복되고 있다. 넷째, 문화콘텐츠 재정이 절대 규모 측면에서 증가하고 있다 하더라도 문화체육관광부 내에서의 점유율은 물론 정부 전체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율과는 그 추세가 다른 양상을 띤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문화콘텐츠 관련 재정규모는 연도별로 부침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정부(정권)에 따라 우선순위가 구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 또는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부는 정책기조에 맞게 문화콘텐츠산업 진흥을 위해 더 많은 재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콘텐츠진흥기금을 설치하여 지속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큰 의미가 없어진 특별회계를 없애고 대신 전술한 콘텐츠진흥기금을 설치하는 등 통합예산관리를 위한 통합재정의 운영 취지에 맞게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기금 간의 역할 분담을 분명히 하고 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만 신종교의 문화콘텐츠 고찰 -자제기금회, 유심성교 그리고 일관도의 문화사업을 중심으로-

        쩡쯔밍 ( Chih-ming Cheng ),이경원 ( Gyung-won Lee ),이수현 ( Su-hyun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18 신종교연구 Vol.39 No.-

        문화콘텐츠라는 용어가 한국사회에서 등장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특히 종교문화콘텐츠는 오늘날 문화콘텐츠 조사 및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핵심분야가 되었다. 이에 신종교문화콘텐츠 연구도 그 관심과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동안 학회에서 논의되어 온 한국 신종교의 문화콘텐츠 연구에 힘입어 그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 차원에서 가까운 외국의 사례를 조사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고는 대만 신종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되 특히 그 사회사업의 현황을 개괄하고 문화사업의 영역에서 나타난 문화콘텐츠의 측면을 다루고자 한다. 그 사례가 되는 종교는 자제기금회와 유심성교 그리고 일관도이다. 이 세가지 신종교의 경우 사회적으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의 요소들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자제기금회의 경우 활발한 구호사업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특히 인문사업의 분야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축적하고 있다. 자선인문, 의료인문, 교육인문의 3대분야에서 그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유심성교는 종교활동 이외에도 예술과 문학을 중시하여 인간 본성의 진선미를 드러내고자 한다. 유심방송국, 출판사, 문화원, 합창단, 역경대학 등의 활동에서 많은 콘텐츠를 축적하고 있다. 일관도의 문화콘텐츠는 사회사업의 역사를 기반으로 탄생하였으며 현대 정보통신문명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미디어콘텐츠들이 생산되었다. 특히 전국 각지에서 운용하고 있는 일관도 전문 서점에서는 각종 CD, DVD, VCD, 경전해설서, 일관도 교리서 등을 디지털로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처럼 대만 신종교가 보여주는 활발한 사회활동과 문화콘텐츠는 한국 신종교연구자에게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Official use of the word ‘Cultural Contents’ (referring to creative works as a whole in use as digital content) in Korean society is a fairly recent development. ‘Cultural Contents of Religions’ became especially necessary in the field of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today. Furthermore the cultural contents of new religions also need more interest and various research. Encouraged by the results of research in Korean new religious cultural contents, we tried to expand the research area of cultural contents into foreign countries and collect several of their cases. In this paper we will focus on several Taiwanese new religions and introduce their social works in addition to their cultural works constituting their cultural contents. The main cases are Tzuchi, Weixin and Ikuandao. The content will be composed of current prominent records of these new religions in Taiwanese society. In the case of Tzuchi, they are accumulating cultural contents since they have expanded their relief works. They distinguish themselves in the fields of charitable humanity, medical humanity, and educational humanity. Weixin is trying to manifest human nature in truth, goodness, and beauty through taking a serious involvement in art and literature besides religious works. They accumulate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works of Weixin’s own broadcasting organization, publications, Institute of Culture, choral groups, Yijing college. IKuan-Dao cultural contents have been created based on various social works. Further, various media contents accompanying the development of a contemporary IT civilization have been produced. There are also many bookstores that specialize in IKuan-Dao and they sell many items like CD, DVD, VCD, books of scripture interpretation, and text books. All previous facts of energetic Taiwanese new religious movements are worthy of note to Korean researchers.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작학적 관점에서

        송한샘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9

        이 글의 목적은 ‘문화콘텐츠’라는 용어의 개념에 대한 보편적이며 통시적인 정의를 내리는 것이다. 최근 담론에서 문화콘텐츠는 ‘4차 산업혁명’에 그 자리를 내어준 듯하다. 문화콘텐츠라는 용어가 온전한 개념적 정립 없이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편입되고 있는 것이다. 이대로라면 문화콘텐츠라는 용어는 대기 중에 녹아 사라질지 모른다. 문화콘텐츠의 보편적 통시적 개념 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얘기이다. 문화콘텐츠의 기원에 대한 단초는 고대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축제에서 찾아진다. 이 축제에서는 신화를 개작한 이야기를 즐겼으며, 디오니소스에게 ‘디티람브’라는 합창곡을 바쳤다. 이는 그리스 고전시대의 비극으로 진화하였다. 융은 조상들이 수만 년 동안 살아오면서 반복하여 겪은 원천적인 경험들이 인간 정신의 구조적 요소로 고착되어 집단 무의식을 통해 유전된다고 하고, 그것이 신화, 종교, 꿈, 환상 또는 문학에 상징적인 형태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보편적인 인물상, 전형적인 행동 방식, 보편적 이미지 등은 단지 문학의 전통적 수법이나 도구일 뿐 아니라 인류의 깊은 심리 속에 뿌리박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를 초월하여 독자에게 강한 정서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 문화콘텐츠에도 이 같은 원형이 내재하며, 그것으로부터 많은 개체들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고대 희랍 비극의 특질은 현대 문화콘텐츠에도 그대로 전승되어 오고 있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제작학의 대표작인 『시학』은 주로 비극을 다룬다. 희랍 비극의 황금시대로부터 2500년이 지난 지금도 희랍 비극과 동일한 구조의 작품이 발견되고, 그것이 수신자들의 내면에 동질의 정서적 울림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현대 매체의 비극, 나아가 문화콘텐츠의 창작에도 『시학』의 덕목을 반영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이 제작하는 사물에는 ‘질료인’, ‘형상인’, ‘목적인’, ‘운동인’이라는 ‘네 가지 원인’이 반드시 존재하며, 이들은 상호 관계 속에서 하나로 합쳐져 작동한다. 이 글에서는 문화콘텐츠의 본질을 아리스토텔레스 제작학 이론 중 ‘네 가지 원인’과 『시학』의 비극 이론의 관점에서 포착할 수 있다고 보고 문화콘텐츠의 대표적 양태를 ‘여섯 가지 형성소’(질료인), ‘형상과 미디어’(형상인), ‘본질적 기능’(목적인), ‘제작자’(운동인)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비극의 여섯 가지 형성소–플롯·성격·사고력·언어 표현·노래·시각적 장치-는 오늘날의 문화콘텐츠에도 질료로 내재한다. 또한 문화콘텐츠는 인간의 기본적인 다섯 가지 감각의 대상이며, 미디어에 따라 ‘가능태로서 내적 구조화된 질료’ 즉 ‘2차적 질료’로서 다시 시각·청각·시청각·통감각적 텍스트의 네 가지 양태를 띄게 된다. 문화콘텐츠의 본질적 기능은 ‘대중의 내면에 감정을 생성하는 것’, ‘대중의 정신 체계에 기억 장치가 되는 것’, ‘대중의 내면에 인간성을 환기하는 것’의 세 가지이며 이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수사학』에서 강조되는 파토스, 로고스, 에토스의 세 측면에 각각 상응한다. 한편, 문화콘텐츠의 ‘운동인’으로서, ‘제작자’는 기획·제작·창작자는 물론 그 외연을 확장하여 이용자까지 포함한다. ‘제작자’는 인문학적 사고력을 원천으로 문화기술을 도입·적용·개발하도록 하며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term ‘cultural contents’ universally and diachronically. In the latest discourse, cultural content appears to have given way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erm ‘cultural contents’ is being incorporated into the new paradig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out proper conceptual establishment. At this rate, the term cultural contents may melt into the air. In other word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universal, diachronic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The inception of the term derives from Dionysia, the festival in ancient Greece to honor the god Dionysus. During the festival, people enjoyed stories on the adaptations of the myth of Dionysus, the god of wine and fertility, and offered the god the chorus, ‘dithyramb,’ which developed into Greek tragedy. As C. G Jung asserted, the repetition of experience over generations ultimately formed the human mind and became hereditary through a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at was projected symbolically in myths, religion, dream, fantasy and literature. Building on Jung, the universal character, traditional action, and the universal image in narrative literature are not merely literature’s traditional function, but they are also deeply embedded in the psychology of humanities. It transcends in a way that instigates a strong emotional reaction of the receiver. Likewise, the same can be applied to modern cultural contents. In this context, I argue that Greek tragedies’ elements are prominent in modern cultural contents. In Poetics, Aristotle explores Greek tragedy, and even after 2,500 years since its golden age, modern works resemble the traditional framework that arouses a collective emotion. Therefore, when creating cultural contents, the tragedy of modern communication comes into play and the elements of Poetics can be applied to modern audiences. According to Aristotle, there are four causes of being: material cause, formal cause, final cause, and efficient cause. These elem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conflate in consilience. The essence of cultural contents is deciphered through Aristotle’s Poietike theory, four causes of being, and consequently divided into “six formative elements,” “form and media,” “essential function,” and “a producer.”The six formative elements of Tragedy, plot, character, thought, diction, melody and spectacle, exist in cultural contents of today. Moreover, cultural contents reflect the five senses, and on top of that, as secondary matter, it is subdivided into visual, auditory, audiovisual, and ‘sensus communis’ text. The essential function of cultural contents is to “instigate emotion among the public,” “provide collective memory,” and “arouse humanity.” The elements parallel pathos, logos and ethos, which Aristotle emphasizes in both Poetics and Rhetoric. Meanwhile, as ‘efficient cause’ for cultural contents, ‘producer’ contained users by expanding its extension as well as planner, producer, and creator. The ‘producer’ shall develop cultural contents by introducing, applying, and developing cultural technologies based on humanistic thought abilities and by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 I assert that cultural contents are representations of human actions that can be deciphered through the human mind only, created with knowledge in humanities and cultural technology and through reconciliation to generate emotion, provide collective memory, and arouse humanity among the public.

      • KCI등재후보

        문화 버라이어티 KBS ‘1박2일’ 성격 분석

        김관섭(Kim, Kwan Seob)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8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와 인문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 방송미디어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됐다.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 문화소재,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의 논리적 확립과 방송콘텐츠 예능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방송소재로써의 문화소재 적용 방법론 제시를 목적으로 했다. KBS 해피선데이 ‘1박2일’은 대한민국 방방곡곡을 출연자들이 여행하면서 겪는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시각에서 ‘대한민국 방방곡곡’은 문화유산이 소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실제로 ‘1박2일’은 10년 동안 문화소재의 수용에 있어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 연구에서의 항목별 분석을 통해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설정의 근거가 된다. 그리고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 표준 설정에 기준으로 작동한다. ‘1박2일’ 10년이 이 연구의 주된 대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KBS 1박2일의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해, 방송콘텐츠 예능장르에서의 ‘문화 버라이어티’의 개념 설정과 방향성을 탐구하고, ‘문화 버라이어티’의 가능성을 통한 의미와 가치를 제시해 ‘문화 버라이어티’의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다. 인문학의 구체적 결과물로써, 방송콘텐츠의 내용물로써 문화소재는 적극 수용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방송미디어를 창구로 인문학은 대중과 소통해야 한다. 방송콘텐츠 홍수 속에 인문학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는 시대에 어떠한 문화소재를 어떻게 방송콘텐츠에 수용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 방송콘텐츠 제작방법론 정립과 더불어 인문학에서의 방송소재에 대한 연구와 비평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그 해답을 구해가는 과정이다. 맥락의 중심에 문화소재가 있고, 문화콘텐츠가 있고, 방송콘텐츠가 있다. 세 가지 개념을 통해 KBS ‘1박2일’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비평하고 ‘문화 버라이어티’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것은 방송콘텐츠의 공공재로서의 가치실현과 소재개발의 다양성을 담보하는 것이기도 하다. 문화소재 수용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정립과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표준 설정은 문화콘텐츠학과 방송콘텐츠 현장이 상호작용하며 양립하는 소통의 방안이다. The study began with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ing content and humanities, and on the social function of broadcasting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culture materials, and culture variety logically and to present the method of applying cultural materials as broadcasting material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program. KBS Happy Sunday ‘One night two days(1박2일)’ consists of episodes that performers experience travelling through all over the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study, ‘every corner of Korea’ means that cultural heritage can work as a material. Actually, ‘One night two days’ showed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cultural material for 10 years, and became the basis of setting up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rough analysis by items. It also works as the criteria in setting up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production. This is why 10 years of ‘One night two days’ are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ualization and direction of ‘culture variety’ in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genre by analyzing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by presenting the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possibility of ‘culture variety’. Cultural materials should be actively accepted as broadcasting contents and as a concrete result of humanities. In conclusion, humanities shoul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the window of broadcast media. It is very important how to accept what kind of cultural material in broadcasting contents in the era where the role of humanities is emerging in the flood of broadcasting content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research and criticize the broadcasting materials in humanities, together with establishing the method of producing broadcast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process of seeking the answer. At the center of context, there are cultural materials, cultural contents, and broadcasting content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were analyzed and criticized through the three concepts, attempting to present the direction as ‘cultural variety’. It is also to realize the value of broadcasting contents as public goods, and to guarantee the diversity of material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at accepts cultural materials, and setting up the criteria of producing ‘culture variety’ are a measure of communication in which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broadcasting contents field are interacted and compatible.

      • KCI등재

        문화콘텐츠 학의 이념과 방향

        이기상(Lee, Ki-Sang)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3

        ‘문화콘텐츠’는 우리의 문화적 상황에서 탄생한 개념이다. 우리는 우리가 만든 ‘문화콘텐츠’라는 개념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 한다. 이론적 근거를 대고 그것이 학문으로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서양의 이론적 주장들을 따라가며 그것을 소개하는 방식으로는 문화콘텐츠 학을 정립할 수 없다. 우리는 우리 나름의 동서양의 시각을 아우르는 통합적 이론을 제시해야 한다. 이런 문제의식 아래 나는 ‘콘텐츠’, ‘문화’,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 학’을 새롭게 정의하려 시도한다. 먼저 나는 콘텐츠를 “인간이 자연과 사회 속에서 사람과 사물과 교류하고 소통하며 나누는 온갖 거리이다.”라고 정의해 본다. 그리고 문화를 간략하게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문화란 사이-존재로서의 인간이 자연 속에서 기호와 상징을 사용해 다른 존재하는 것들과 맺는 자유로운 소통과 그 산물”이다. 한마디로 문화는 소통이며 콘텐츠는 [그러한 소통의] 소통거리이다. 그렇다면 ‘문화콘텐츠’는 “인간이 문화적 존재로서 보다 나은 삶을 위해 기호와 상징을 사용해 사색하며 다른 사람과 교류하고 사물[사건]과 소통하며 자기를 표현하는 가운데 생겨나는 온갖 거리”라고 말할 수 있다. 한마디로 “문화콘텐츠는 문화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지어내고 꾸며낸바[것과 일] 모든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문화콘텐츠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인 ‘문화콘텐츠 학’이 갖는 독특함을 정리하였다. 문화콘텐츠 학은 그야말로 낱말 그대로의 의미에서 ‘통합(通合)학문’이다. 문화콘텐츠 학은 기존의 개별학문과 학문의 분류를 뛰어넘어 분과의 벽을 투과하여 모든 분과의 모든 전문가와 일반인들과 모든 정보와 지식에 대해 생각하고 표현하며, 소통하고 교류하며, 매개하고 전달하며, 기획하고 연결하며, 기억하고 재현하며, 짓고 꾸미며, 놀고 즐기며, 변형하고 변환하며, 싣고 담으며, 유통하고 확산시키며 문화적 존재로서 활동하는 행위와 그 산물에 대해 이론적으로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문화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직접 연관된 인문학, 미학, 사회학, 기술공학, 교육학, 경영학 등의 학문 분야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학제간의 ‘사이 학문’이다. The notion ‘cultural contents’ comes from the cultural situation of Korea. We should therefore be responsible for the notion that we created. We shoul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and demonstrate that it is a feasible academic field. We cannot do this by simply following and introducing Western theoretical arguments. It is to be suggested that a unified theory of the Eastern-Western perspectives needs to be established in the cultural contents studies. Upon the recognition of these issues, I try to define the notions ? ‘contents’, ‘culture’,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studies’ in a new light. First of all, I define ‘contents’ as “all things that are shared and communicated among human beings in society and nature.” I define ‘culture’ as “free communications and their products of human beings as ‘Inter-esse (sai-jonjae)’ who communicate with other beings using signs and symbols.” Namely, ‘culture’ is human communication, and ‘contents’ is what is being communicated. ‘Cultural contents’ then could be defined as “all things created for their better lives and the expressions of themselves by human beings as cultural beings using signs and symbols in the course of their communications with other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In a nutshell, ‘cultural contents’ is “everything (things and events) that is created by human beings as cultural beings.” Finally, I address the peculiarity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as an academic field which studies cultural contents. In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s, cultural contents studies is a combined academic field. It crosses over and pierces into the boundaries between traditional academic fields and it studies theoretically and systematically all the activities as cultural beings and their products of experts and non-experts from all fields ? what is thought and expressed; communicated and exchanged; mediated and conveyed; planned and connected; remembered and represented; built and decorated; played and enjoyed; transformed and converted; carried and filled; and circulated and disseminated. It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of study or ‘Inter-studies (sai-hakmun)’ in the sense that all the academic fields that are directly relevant to human beings as cultural beings. Namely, humanities, aesthetics, sociology, engineering, educational studies, and management studies are closely connected under the cultural contents studies.

      • KCI등재

        한국가톨릭문화콘텐츠 가치체계의 수립 방안 연구

        최영실(Choi, Young Si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88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uture task of contents of development and research based on Catholic spirituality inherent to Korea by suggesting a standard value system necessary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Korean Catholic cultural contents and aspect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firstly compares the changing environment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abroad and searches the necessary condition of an infrastructure for the continuity and self-reliance of a cultural industry. In addition to this, it concludes that the major reasons for the phenomenon that religion-themed cultural industry ends up being a single shot are due to the inundation of the subjects intertwined with religion,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 short outlook centered on marketability and the lack of clear religious philosophy; having these reality settled, the study found the crucial need for establishing a value system of religion cultural contents and scrutinized the standard for this. To do so, it investigated the status quo of the religious cultural industry centered on religionism, popularity and publicness that have been commonly suggested as the prerequisites for developing religious cultural contents by exploiting and analyzing the precedent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in the Korean religious sector. For the precedent cases, this has chosen the Temple Stay of Korean Buddhism, Holy Land Experience of American Christianity and Myungrye Holy Land of Korean Catholic. Then it compared and analyzed how the religionism, popularity, publicness were performed in actual contents service and brought sensation.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benchmarking factors by categorizing the types of precedent cases based on the religionism, popularity, and publicness and proposed the implication for value system of Korean Catholic cultural contents. The reason this study has its research subject not limited to Catholic but expands its cases to the digital humanities abroad and the cases of neighboring religions is because the religious cultural industry commencing the Korean Catholic cultural contents basically needs to concord with the era in which it is involved in and the call from the society; thus to efficiently grasp the future prospective, Korean Catholic cultural contents should take an action by scrutinizing the status quo of neighboring and oversea religions equipped with the same condition of the epoch.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콘텐츠학(學)의 도입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림대학을 중심으로

        정수연 ( Soo Yun Ch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21세기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시대이다. 무형의 아이디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산업이 매우 중요해졌다. 문화콘텐츠 산업은 원소스 멀티유즈 특성 때문에 하나의 제대로 된 소스만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부가가치와 이윤을 창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인간의 감성, 상상력, 창의력을 新 성장 동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고 세계 각국은 막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시대에서 대림대학은 현행 교양 과정에 편성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관련 교과목을 발판으로 새로운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히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문화콘텐츠學의 도입 타당성에 대해를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의 문화콘텐츠學은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매체의 지속적 출현으로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면서 빠른 속도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들을 중심으로 발전해나가고 있고 기존 학문의 활용론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물질적인 가치를 최우선적으로 하며 문화콘텐츠의 전 분야를 폭넓게 이해하고 기획, 개발, 제작, 판매 등 전문지식 습득과 현장 경험으로 실무적인 능력까지 갖추도록 방향을 잡고 있고 이러한 것들이 가능한 한국문화콘텐츠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림대학은 현행의 문화콘텐츠 과정을 전반적으로 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확대 및 개편해야 하는 필요성이 매우 크다. 대림대학의 발전과 이미지 고양을 위한 과정으로 내부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문화콘텐츠를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해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를 對人과 對社會의 네트워크 창구의 역할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미 대림대학에는 문화콘텐츠 과정의 설립 인프라가 상당한 규모로 구축되어 있고 문화콘텐츠 분야가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미래의 희망직업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므로 국제적인 경쟁력 강화에 문화콘텐츠는 상당히 효과적이다. 특히, 안양을 중심으로 서울 및 수도권의 문화콘텐츠 관련 기업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교류할 수 있으므로 문화적인 기회 제공과 취업 연결에 유리하며 충분한 부가가치 형성과 학교 內 전공 교과 과정 각각의 융합과 통합을 위한 중핵(重核)의 역할도 가능하다. 즉, 문화콘텐츠 과정은 다양한 학제 간 통합으로 실무교육 성과를 100%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분야에 관련해 정부의 특성화 대학 선정 등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림대학은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이 주는 이익과 혜택을 제공받고 공유하면서 나름대로의 이익과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 따라서 대림대학이 문화콘텐츠學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밑바탕을 잘 마련해야 하고 직업 전문 교육의 메카로 최근의 트렌드 변화를 무리 없이 소화하는 여력이 매우 중요하다. 대림대학의 문화콘텐츠學의 도입은 타당한 의무이자 사명이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산업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시급히 양성해야 하는 것이 무한한 책임이다. 그러므로 대림대학은 문화콘텐츠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와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최상의 조건에서 문화콘텐츠 학과 개설 또는 교양과정 內 문화콘텐츠 과정의 활성화 추진 그리고 기존 학과와의 상호 협력 연계 전공 설치라는 3가지 현실적인 대안에서 가장 현명한 선택을 반드시 해야 한다. 한국은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이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21세기 한국 경제를 이끌어 나갈 주력산업으로 급성장하면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시장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반면에 전문 인력과 교육기관도 미비하고 부족한 실정이다. 대림대학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3가지 대안 중 우선적으로 학과 개설을 선택하여 본격적으로 제대로 된 문화콘텐츠學을 교육하고 제대로 된 교육기관으로서 확고한 비전으로 교수진을 확보해서 문화콘텐츠의 각 분야별로 전문 인력을 양성해서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 학과 개설이 불가피한 경우 2가지 대안에서 현명한 차선의 선택을 해서 적극적으로 추진해내가야 한다. 그것이 대림대학의 방향성이자 목표의식이다.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idea of intangible cultural content and knowledge-based industry has become very important. One Source Multi Use cultural content industry because of the nature of a source only if the right value and enormous wealth in different areas are not profitable. And human emotion, imagination, creativity and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 new 新 growth and around the world without a huge investment and is willing to support. DAELIM University College in an era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current general education courses are organized in a culture of content-related course as a springboard to establish a new development plan to respond proactively has become an urgent necessity. In this regard,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feasibility studies have to worry about the need to see you. Latest in the Digital Age of Culture Content continual emergence of new media content,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emphasized dramatically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mainly related subjects through them and study in the application of existing capitalist society, the highest value of the material shipped As the culture content in all areas of broad understanding and planning, development, production, sal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field with practical skills to equip the direction of holding, and these things are possible Korea Culture and Content industries to lead core workforce is focused on. Cultural content related subjects in school a total of 28 departments and 27 colleges gyeongmin College, Shingu College, Chang`an College, Hallym Mary College, etc. In this respect, the current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urse content reflects the general trend in society towards the need for expansion and reform is very high. DAELIM University College for the development and image enhancement process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internal cultural content and the ways and means to utilize the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society towards people with a network to enable the role of office shall be. The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ntent courses already established a substantial infrastructure is built to scale, and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the future hope of favor as a profession is very high, so tha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quite effective on the cultural content. In particular, by Anyang and Seoul and the metropolitan center of culture-related businesses can interact and work closely with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cultural connections, and sufficient added value to the formation of glass and majors in school for each core of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role is also available. In other words, a variety of interdisciplinary courses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100% hands-on training can improve performance. And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zation of the government the opportunity to obtain college selection and the core industries of the country, so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provide benefits under a profit sharing and creating their own interests and employment should be. Therefore, two Culture Cont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effectively implemented by introducing a systematic basis in order to prepare well and vocational education as a mecca of the latest trends that have the ability to digest a smooth change is very important.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e Content of the introduction of the duty and mission is a valid. And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adapt to the urgent need to train professional staff is responsible for that space. Therefore, the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activation DAELIM University College profit to enable value-added and in excellent condition and cultural content, open or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active promotion of cultural content, process and cooperation with existing Department of linking the three kinds of major installation at a realistic alternative should be the wisest choice. Korea recently developed cultural content industry with digital technology will lead the 21st century economy, major industries in Korea, while fast-growing demand for cultural content and have greatly increased the size of the market. In contrast, the lack of professional staff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re insuffici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Given these realities, the three kinds of alternatives to select the first department to open in earnest with the right training Culture Cont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a clear vision to make the cultural content of professors specializing in each field staff positive and led the country to get out of the core industries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Open University in the inevitable alternative to the two kinds of wise and actively pursue the next best option is to go done. DAELIM University College It is the sense of the direction and goal.

      • KCI등재

        문화콘텐츠學의 도입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림대학을 중심으로 ―

        정수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21세기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시대이다. 무형의 아이디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산업이 매우 중요해졌다. 문화콘텐츠 산업은 원소스 멀티유즈 특성 때문에 하나의 제대로 된 소스만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부가가치와 이윤을 창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인간의 감성, 상상력, 창의력을 新 성장 동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고 세계 각국은 막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시대에서 대림대학은 현행 교양 과정에 편성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관련 교과목을 발판으로 새로운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히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문화콘텐츠學의 도입 타당성에 대해를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의 문화콘텐츠學은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매체의 지속적 출현으로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면서 빠른 속도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들을 중심으로 발전해나가고 있고 기존 학문의 활용론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물질적인 가치를 최우선적으로 하며 문화콘텐츠의 전 분야를 폭넓게 이해하고 기획, 개발, 제작, 판매 등 전문지식 습득과 현장 경험으로 실무적인 능력까지 갖추도록 방향을 잡고 있고 이러한 것들이 가능한 한국문화콘텐츠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림대학은 현행의 문화콘텐츠 과정을 전반적으로 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확대 및 개편해야 하는 필요성이 매우 크다. 대림대학의 발전과 이미지 고양을 위한 과정으로 내부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문화콘텐츠를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해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를 對人과 對社會의 네트워크 창구의 역할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미 대림대학에는 문화콘텐츠 과정의 설립 인프라가 상당한 규모로 구축되어 있고 문화콘텐츠 분야가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미래의 희망직업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므로 국제적인 경쟁력 강화에 문화콘텐츠는 상당히 효과적이다. 특히, 안양을 중심으로 서울 및 수도권의 문화콘텐츠 관련 기업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교류할 수 있으므로 문화적인 기회 제공과 취업 연결에 유리하며 충분한 부가가치 형성과 학교 內 전공 교과 과정 각각의 융합과 통합을 위한 중핵(重核)의 역할도 가능하다. 즉, 문화콘텐츠 과정은 다양한 학제 간 통합으로 실무교육 성과를 100%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분야에 관련해 정부의 특성화 대학 선정 등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림대학은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이 주는 이익과 혜택을 제공받고 공유하면서 나름대로의 이익과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 따라서 대림대학이 문화콘텐츠學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밑바탕을 잘 마련해야 하고 직업 전문 교육의 메카로 최근의 트렌드 변화를 무리 없이 소화하는 여력이 매우 중요하다. 대림대학의 문화콘텐츠學의 도입은 타당한 의무이자 사명이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산업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시급히 양성해야 하는 것이 무한한 책임이다. 그러므로 대림대학은 문화콘텐츠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와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최상의 조건에서 문화콘텐츠 학과 개설 또는 교양과정 內 문화콘텐츠 과정의 활성화 추진 그리고 기존 학과와의 상호 협력 연계 전공 설치라는 3가지 현실적인 대 ...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idea of ​​intangible cultural content and knowledge-based industry has become very important. One Source Multi Use cultural content industry because of the nature of a source only if the right value and enormous wealth in different areas are not profitable. And human emotion, imagination, creativity and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 new 新 growth and around the world without a huge investment and is willing to support. DAELIM University College in an era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current general education courses are organized in a culture of content-related course as a springboard to establish a new development plan to respond proactively has become an urgent necessity. In this regard,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feasibility studies have to worry about the need to see you. Latest in the Digital Age of Culture Content continual emergence of new media content,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emphasized dramatically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mainly related subjects through them and study in the application of existing capitalist society, the highest value of the material shipped As the culture content in all areas of broad understanding and planning, development, production, sal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field with practical skills to equip the direction of holding, and these things are possible Korea Culture and Content industries to lead core workforce is focused on. Cultural content related subjects in school a total of 28 departments and 27 colleges gyeongmin College, Shingu College, Chang'an College, Hallym Mary College, etc. In this respect, the current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urse content reflects the general trend in society towards the need for expansion and reform is very high. DAELIM University College for the development and image enhancement process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internal cultural content and the ways and means to utilize the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society towards people with a network to enable the role of office shall be. The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ntent courses already established a substantial infrastructure is built to scale, and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the future hope of favor as a profession is very high, so tha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quite effective on the cultural content. In particular, by Anyang and Seoul and the metropolitan center of culture-related businesses can interact and work closely with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cultural connections, and sufficient added value to the formation of glass and majors in school for each core of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role is also available. In other words, a variety of interdisciplinary courses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100% hands-on training can improve performance. And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zation of the government the opportunity to obtain college selection and the core industries of the country, so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provide benefits under a profit sharing and creating their own interests and employment should be. Therefore, two Culture Cont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effectively implemented by introducing a systematic basis in order to prepare well and vocational education as a mecca of the latest trends that have the ability to digest a smooth change is very important.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e Content of the introduction of the duty and mission is a valid. And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adapt to the urgent need to train professional staff is responsible for that space. Therefore, the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activation DAELIM University College profit to enable value-added and in excellent condition and cultural content, open or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active promotion of cultural content, proces...

      • KCI등재

        해양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어촌 문화관광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부산 청사포 지역의 어촌경관을 중심으로-

        예산홍,조정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Marine 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tourism in fishing villages, and tourism activities are the best means of expressing marine culture. Cheongsapo is an important fishing industry development area in Busan with rich marine culture and resources, but the distinctive marine cultural factors and cultural spatial characteristics are not ful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fishing villa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t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fishing village landscape by confirming that the use of cultural space content and value discovery are vital factors for sustainable fishing village development. (Research method) Previous studies on the basic theory of marine culture and fishing village resource utilization were review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fishing village cultural space contents by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and cultural spatial contents. After identifying the marine cultural elements and tourism development model of fishing village, and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the target site, Cheongsapo in Busan,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previous research analysis model,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cultural tourism us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Cheongsapo was present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10 fishing village cultural spaces selected, correlation and differentiation were found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space content and the development image of the fishing villages' goals. The core of the regenera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fishing villages is to rediscover the values and create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cultural space content and to creat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these characteristics of marine cultural contents, it was confirmed that local cultural tourism can be promoted, regional visits can be expanded by creating demand for tourists, the brand value of Cheongsapo, the target site, and the promotion of fishing villages can be realized. (Conclusion) The use of marine cultural resources can be realized when organizing fishing village cultural space contents composed on fishing village landscape elements. First, it is required to transfer the spatial contents of the fishing village landscape that maximizes the artistry and creativity of a single architectural landscape.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spatial contents of the fishing village cultural landscape applying communication, conservation, education, and intera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experience and leisure in the productive landscape of fishing villages. Fourth, living and ecological landscapes of fishing villages that reflect connectivity and conservation should be constructed.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of fishing villages b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tourism demand and expansion of regional visits of Cheongsapo in Busan and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s to utilize the cultural value of the fishing village landscape. (연구배경 및 목적) 해양 문화는 어촌 관광의 중요한 부분이며 관광 활동은 해양 문화를 표현하기에 가장 좋은 수단이다. 청사포는 부산의 중요한 어업 발전 지역으로 해양 문화와 해양 자원이 풍부하지만, 어촌의 개발과 이용에서 뚜렷한 해양 문화 요소및 문화 공간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촌 조성계획에서 문화공간 콘텐츠 활용과 가치 발견이지속 가능한 어촌 발전을 위한 활성화 요소임을 확인하여 어촌경관 설립시 고려해야할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해양 문화 및 어촌자원 활용의 기초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경관 요소와 문화공간 콘텐츠의 특성을 추출하여 어촌문화공간 콘텐츠에 대한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국가별 어촌이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어촌 해양문화요소, 어촌관광 개발모델, 문화경관 특색 등을 파악하고 선행연구분석모델 분석사례를 인용하여 대상지인 부산 청사포를 분석하였으며, 청사포의 특성과 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선정된 10개의 어촌문화공간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문화공간 내용의 특성과 어촌목표의 발전 이미지 사이에 상관성과 차별성이 발견되었다. 어촌의 문화경관 재생의 핵심은 문화공간 콘텐츠를 통해 장소적 가치를 새롭게 발굴하고 지역적 특색을 만드는 것이다. 해양문화콘텐츠의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지역 문화관광을 촉진하고, 관광객의 수요 창출을 통한 지역 방문량 확대, 대상지인 청사포의 브랜드가치 제고, 어촌진흥을 실현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해양문화자원의 활용은 어촌경관요소를 중심으로 어촌문화공간 콘텐츠를 조직할 때 실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단일적인 건축경관을 예술성과 창작성을 극대화한 어촌경관공간콘텐츠 전승이 요구된다. 둘째, 소통성, 보존성, 교육성, 상호작용을 적용한 어촌문화경관공간 콘텐츠 구현이 필요하다. 셋째, 체험성과 여가성이 어촌의 생산적 경관에 반영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계성과 보존성이 반영된 어촌의 생활경관과 생태경관이 조성되어야 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부산 청사포의 관광수요 창출과 지역 방문 확대에 기여하는 동시에 어촌경관의 문화적 가치를 활용할 수 있는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어촌의 지역 경쟁력이 상승되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