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콘텐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코드 분석 연구

        이찬욱(Lee Chan Wook),이채영(Lee Chae 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3

        문화콘텐츠 개별 작품에 대한 대중의 흥미와 관심은 단순하게 수치화된 산업계의 수익 결과만으로는 온전한 파악이 불가능하며, 그 결과에 내재된 심층적인 부분을 고려할 때에야 가능하다. 이러한 심층적인 부분은 곧 한 국가의 문화적 무의식 ― 생활습관, 행위의 규범, 판단의 기준, 느낌, 직관, 가치관 등 여러 문화적 요소들의 상호 작용 ― 이라 할 수 있는 문화코드(Culture Code)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처럼 문화콘텐츠 산업 연구는 문화코드 분석과 필연적으로 결부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한국이라는 지역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21세기는 글로벌, 글로컬 시대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만큼 문화콘텐츠 제작ㆍ유통ㆍ판매ㆍ소비의 과정이 국경을 넘어 다양한 국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세계 시장 진출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할 때에, 한국의 문화코드 분석뿐만이 아니라, 세계 각국의 문화코드를 파악하는 작업은 한국 문화콘텐츠 기획ㆍ제작ㆍ유통과 관련된 전 산업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무궁무진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에서 개별 문화콘텐츠 작품을 기반으로 한 문화코드 분석에 대한 논의는 있어 왔으나, 이를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과 관련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의의 대상을 영상콘텐츠로 한정하고, 먼저 문화코드를 어떠한 방식으로 파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서사 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독자적인 분석 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분석 방식을 한국의 영상콘텐츠, 그리고 문화 산업 교류가 활발한 미국ㆍ일본ㆍ중국의 영상콘텐츠에 대입하여 문화코드 분석 과정의 실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어 이러한 분석 방식이 적용된 문화코드 분석ㆍ추출 시스템 설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영상콘텐츠 기반 문화코드 분석ㆍ추출 시스템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문화콘텐츠 산업 전반에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문화코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에 따른 개별 영상콘텐츠 작품의 수요도를 고려하는 것은, 앞으로의 영상콘텐츠 제작과 해외 시장 진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및 실패를 최소화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public interests on individual cultural contents solely by looking at revenues or other figures provided by the industry. A deeper understanding c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underlying factors of cultural conten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se underlying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Culture Code”, which refers to an interaction of a range of behaviors, lifestyles, evaluation standards, emotions, instincts, values and other cultural elements that naturally define a nation’s culture.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is closely linked with cultural code analysis, and the focus of this field of research should not be limited to Korea. The 21st century is known as a global and “glocal” era in which production, distribution, sales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re expanding beyond national boundaries. Likewise, market penetration of cultural contents is likely to broaden even mor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is global trend, analyzing both Korean and other nations’ culture codes is critical in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ing and distributing Korean contents. Moreover, this method of analysis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ways. Although discussions regarding culture code analysis based on individual cultural contents have been common, discussions regarding the general application of the analysis is not the case. This study focuses on i) setting video contents as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and ii) the methods by which culture codes can be analyzed. Thus, traditional narrative theories were critically examined and an independent system of analysis was developed. This method was applied to Korean video contents and tho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where cultural exchanges are actively taking place. The purpose of applying such method was to understand each country’s processes of culture code analysis. A system of analysis and extraction was developed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on which the previously mentioned method was appli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ystem need to be utilized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n addition to this process, considering the consumer demand on video contents in various areas will minimize errors and fallibilities that can occur in content production and overseas market penetration.

      • KCI우수등재

        문화콘텐츠비평: 콘텐츠 액티비즘의 가능성

        임대근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3

        This study examines the position of 'criticism' in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First, it showed that the concept of 'contents' that emerged along with the phenomenon of cultural contents has historical inevitability. 'Contents' is regarded as a term and concept 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discourse that had discussed literary art in the 20th century. That is, 'contents' appears after concepts such as work, text, intertextuality, and para-text. Furthermore, when we summarize the critical perspective of literary art in the 20th century as textualisim and contextualism, the contents should be regarded as a combination of two, and should be perceived as a complex of text and context. In addition, it emphasized the need for criticism in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It will be possible to criticize the object that was alienated in the context of the 20th century. It argues that technical criticism, policy criticism, and industry criticism should be performed in the name of cultural contents criticism. Such criticism shows potential as content activism. In order to construct cultural contents criticism as contents activism, it is necessary to set contemporary, problem consciousness and reality diagnosis, setting of subject position, and the limited goal. The method can be implemented in trans-media critique.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순환 구조 안에 ‘비평’의 위치를 살펴본다. 우선 문화콘텐츠라는 현상의 등장과 더불어 출현한 ‘콘텐츠’ 개념이 역사적 필연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콘텐츠’는 20세기 문학예술을 논의해왔던 담론의 확장 결과에 따라 출현한 용어이자 개념으로 간주하였다. 즉 ‘콘텐츠’는 작품(work), 텍스트(text),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파라텍스트(para-text) 등의 개념에 뒤이어 출현한 것이다. 나아가 20세기 문학예술의 비평 관점을 텍스트주의(textualisim)과 맥락주의(contextualism)으로 정리할 때, 콘텐츠는 둘을 아우를 수 있는 개념으로서 텍스트와 콘텍스트의 복합체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나아가 문화콘텐츠의 순환 구조 속에서 비평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그것은 20세기적 맥락에서 소외됐던 대상에 대한 비평 행위로 가능하다고 보았다. 기술비평, 정책비평, 산업비평 등이 문화콘텐츠 비평의 이름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비평은 콘텐츠 액티비즘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준다. 문화콘텐츠비평이 콘텐츠 액티비즘으로서 구성도기 위해서는 동시대성, 문제의식과 현실 진단, 주체위치의 설정, 제한된 목표의 설정이 필요하다. 그 방법은 트랜스미디어 비평으로 구현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문화콘텐츠 교육의 방향과 방법

        신광철(Shin Kwangcheol)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0

        한국교회는 선교 초기부터 문화를 선도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한국교회의 문화적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교회의 문화적 역량을 재기획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기독교문화콘텐츠학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기독교문화콘텐츠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맥락을 고찰하는 한편, 기독교문화콘텐츠학의 프로그램과 커리큘럼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육 체계와 관련해서는 전통적 신학(순수기독교학)과 기독교문화콘텐츠학(응용기독교학)의 복수 전공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커리큘럼과 관련해서는 기독교문화학, 기독교문화콘텐츠 장르, 기독교문화콘텐츠 기획 및 제작, 기독교문화콘텐츠 경영 등 4개의 영역을 제시하였으며, 4년간의 커리큘럼 모델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기독교문화콘텐츠학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의 실행은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 전문가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교회내적 필요에 부응하는 전문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시도는 ‘교회와 문화’, 그리고 ‘기독교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쌍방향적 소통에 기여할 것이다. Korean Church has guided culture part of Korea from Missions early. However, a criticism is recently raised that the cultural influence of Korean Church is getting weakened. Consequently, a voice that Korean Church has to recover the cultural influence gets power, and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plan. In this essay, I considered why Christian culture contents is necessary and carried out a research on program and curriculum of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 suggested a double major system of traditional theology and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n the part of education system. I proposed four fields of study composed of Christian culture studies, Christian culture contents genre, Christian culture contents planning & production, and Christian culture contents management, and besides, a concrete curriculum model of four years in the part of curriculum. To practice the program and curriculum of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s expected to satisfy the need for training efficient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of Christian culture contents. This attempt seems to contribute to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church and culture’, and ‘Christian culture and culture contents’.

      • KCI등재후보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의 법적 성질에 관한 소고

        구병문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경희법학 Vol.43 No.2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internet has changed not only the way of thinking but also the way of life. Especially as the information society has proceeded to be transformed to a contents-oriented society from an infra-oriented society, the demand of many kinds of digital contents like movie contents, music contents etc. has rapidly increased and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in mass-market also has prevailed. What is more, the thing which was regarded as only the accumulation of data until now, is treated as precious goods on the mass-market after the digitalization of it. Digital contents can be reproduced equally in quality and unlimitedly in quantity. They also can be transferred simultaneously anywhere and everywhere through the internet. That causes them to be vulnerable to the copyright infringement rather than any other things on the market. In this situation, it really makes a sense that digital contents providers reject the system of 'sale' like the sale of books, records, etc. in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but adopt the system of 'contract' for licensing of digital contents to effectively protect the digital contents by themselves. But licensing the digital contents has brought about new serious troubles, being caused from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ntents license contracts. At the same time, it has also increased the necessity of protecting consumers in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For example, there are the fundamental problems, which are caused from license contract itself, like what the meaning of digital contents license contract in a legal aspect is, how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ontents and the media, storing them, what the legal status of digital contents transferee is and how the consumer can be protected in relation to the transferee's right etc. There are also unique problems, which are caused from the conflict between copyright act and license contract, like making copyright act invalid through a license agreement or imposing the restriction on users' right which copyright act gives them. And there are consumer protection problems like warranty or self-help provisions on click-on or shrink-wrap license, which digital contents providers offer unilaterally. But the law and regulation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in Korea are oriented to tangible things, so it makes serious troubles to regulate digital contents as intangible things. In the near future, we need to amend the civil law or make a new law relating to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because the present law and regulation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in Korea are just oriented to tangible things and cannot protect the digital contents as intangible things effectively. For that, we must review the legal nature of digital contents license above all things.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internet has changed not only the way of thinking but also the way of life. Especially as the information society has proceeded to be transformed to a contents-oriented society from an infra-oriented society, the demand of many kinds of digital contents like movie contents, music contents etc. has rapidly increased and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in mass-market also has prevailed. What is more, the thing which was regarded as only the accumulation of data until now, is treated as precious goods on the mass-market after the digitalization of it. Digital contents can be reproduced equally in quality and unlimitedly in quantity. They also can be transferred simultaneously anywhere and everywhere through the internet. That causes them to be vulnerable to the copyright infringement rather than any other things on the market. In this situation, it really makes a sense that digital contents providers reject the system of 'sale' like the sale of books, records, etc. in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but adopt the system of 'contract' for licensing of digital contents to effectively protect the digital contents by themselves. But licensing the digital contents has brought about new serious troubles, being caused from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ntents license contracts. At the same time, it has also increased the necessity of protecting consumers in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For example, there are the fundamental problems, which are caused from license contract itself, like what the meaning of digital contents license contract in a legal aspect is, how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ontents and the media, storing them, what the legal status of digital contents transferee is and how the consumer can be protected in relation to the transferee's right etc. There are also unique problems, which are caused from the conflict between copyright act and license contract, like making copyright act invalid through a license agreement or imposing the restriction on users' right which copyright act gives them. And there are consumer protection problems like warranty or self-help provisions on click-on or shrink-wrap license, which digital contents providers offer unilaterally. But the law and regulation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in Korea are oriented to tangible things, so it makes serious troubles to regulate digital contents as intangible things. In the near future, we need to amend the civil law or make a new law relating to digital contents transactions, because the present law and regulation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in Korea are just oriented to tangible things and cannot protect the digital contents as intangible things effectively. For that, we must review the legal nature of digital contents license above all things.

      • KCI등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그 경계를 허물다-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맹영일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8

        Recently,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has been rapidly growing. With increasing exports of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social interest regarding a wide variety of fields comprising the content business such as planning, making, and producing of content also are increa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ccompanied by this tre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ttempting to strengthen its academic status through the fusion work with various cultural content. Today, academic boundaries are becoming meaningles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This is becaus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being broken. First, the trend of the fusion pattern was identified by analyzing research papers on their fus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papers related 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rends. One is a study that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 throug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other is the study of works that mak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o cultural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ctive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through this. Of course, there are also problems that appear in their fusion. The things that are intended to be made into cultural content are focused on specific genres and works. To escape this situation, diversit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s required. There is also a tendency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 remain a simple source of cultural content. To resolve this problem, researcher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ust understand cultural conten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fu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th cultural content.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의 기획, 제작, 생산 등 콘텐츠산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고전문학도 마찬가지이다. 고전문학은 문화콘텐츠의 원천소스로서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고전문학도 다양한 문화콘텐츠와의 융합작업을 통해 고전문학의 학문적 위상을 강화하고자 한다.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는 학문적 경계가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는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융합 양상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관련 논문을 확인한 결과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고전문학을 통한 문화콘텐츠화의 가능성을 논의한 연구이다. 둘째는 고전문학을 문화콘텐츠화 한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고전문학이 원천소스로서 문화콘텐츠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는 나타나는 문제점도 있다. 문화콘텐츠화의 대상이 특정 장르와 작품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의 다양성이 더욱 요구된다. 또한 고전문학이 문화콘텐츠의 단순한 공급처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자들이 문화콘텐츠를 이해하고,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 KCI등재

        종교문화콘텐츠의 진단과 대중화

        김진형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이 논의는 종교문화콘텐츠의 현재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대중화 전략을구상하는 것이 핵심이다. 구체적으로는 종교문화콘텐츠 연구사례에 나타난 종교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의미와 한계를 파악한 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종교문화콘텐츠의 새로운인식과 개념, 접근의 관점과 방향을 도출하고, 나아가 대중화 전략을 구상하는 데까지이르고자 하는 작업이다. 먼저, 종교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의미를 학술적·활용적 측면에서 파악했다. 우선학술적 측면에서는 제 연구분야들이 ‘관심주제’를 유사하게 설정하고 있었다. 관심주제는 1) 응용학문적 접근방안 모색, 2) 문화원형 활용, 3) 관광 연계였다. 여기서 알 수 있는점은, 종교문화콘텐츠가 응용학문적 대상이라는 것, 종교문화의 원형이 가공되었을 때비로소 종교문화콘텐츠가 된다는 것, 종교문화콘텐츠의 가장 익숙한 실현방법을 관광콘텐츠화로 본다는 것이었다. 활용적 측면에서 종교문화콘텐츠는 ‘창출의 지점’들을 유사하게 설정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창출지점은 1)의례, 2) 포교, 3) 공공재, 4) 대중화였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종교문화콘텐츠는 신앙인과 일반대중 모두를 위한 것, 종교문화콘텐츠는 종교단체주도의 결과물과 콘텐츠산업계 주도의 결과물로 구분된다는 것, 종교문화의 저변 확대와 대중화를 위한 코어종교문화콘텐츠 육성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통시적 인식을 통해 종교문화콘텐츠의 개념을 정의했다. 종교문화콘텐츠를 ‘문화가 매체에 담긴 결과물’이라는 광의적 개념을 적용하면, 통시적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종교문화콘텐츠의 인식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에 입각해 종교문화콘텐츠 개념을 ‘인간사회에서 문화적 또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종교문화에 관한 서사·문학·예술적 텍스트를 매체에 담아낸 결과물’로 정의했다. 다음으로, 역사적 측면에서 종교문화콘텐츠의 유형적 확대과정을 파악했다. 먼저선사시대는 종교축제콘텐츠가 성립된 시기, 상고시대는 종교축제콘텐츠 기반 위에 종교공연콘텐츠와 종교교육콘텐츠가 성립된 시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고시대에 구축된 종교문화콘텐츠 전승형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근대에 와서는 이러한전승형태에 종교전시콘텐츠가 더해졌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기존의 ‘신앙 목적의 종교문화콘텐츠’가 유지되는 가운데 ‘산업 목적의 종교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유형들이 새롭게 형성되어 대중을 위한 상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그 가운데 종교적 역사성과 맥락을가진 유형인 종교축제, 종교공연, 종교교육, 종교전시는 ‘종교란 무엇인가’를 오랜 옛날부터 지금까지 체계적·역동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메타종교문화콘텐츠 유형이라 할 수있다. 마지막으로, 종교문화콘텐츠의 대중적 저변 확대를 위한 ‘세계종교문화축제 발전 3 대 전략’을 수립했다. ‘제1전략’으로 종교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지향하는 비전 선포, ‘제2 전략’으로 개방형 방식의 축제조직 확대 재편, ‘제3전략’으로 MSMU화를 통한 메타종교문화콘텐츠 실현이 그것이다. 이 3대 전략이 성공적으로 적용된다면, 세계종교문화축제가 한국 종교문화콘텐츠 대중화에 획기적으로 기여하는 명실상부한 코어종교문화콘텐츠로서 위상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e c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religions in Korea today and to devise a strategy for its popularization. Specifically, it set out to examine the meanings and the bounds of the cultural contents in religions. I use the case studies and with them I try to define “the cultural contents” in religion in terms of how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nt and its concepts, and methods of approach and finally design of its popularization strategies. First, I examined and captured the universal meanings of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in the academic and the practical use. In the academic aspect, the similar topics of approaches are set, which are included 1) the applied science-based approaches, 2) the referring to archetypes of culture, and 3) connected to tourism with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here are intertwined with the applied science, the archetypes of religious culture and the tourist content. In the practical utilization, this cultural contents start with the similar points of creation, which are specifically 1) ceremonies, 2) propagation, 3) public goods, and 4) popularization. Here, this contents are both for the believers and the general public, and its contents are divided into the products led by religious groups and those led by the industrials, and accordingly there is no interest in the promotion of the cor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which are to expand the religious culture ground and popularize it. I defined the concept of this cultural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achronic awareness. If this contents are contained in media, it can enable the diachronic awareness in the cultural contents and thus expand its conscious domain. Based on this, I defined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s the products of narrative, literary, and artistic texts, being put in the media to create the culture and the economic values. In the historical aspect, during the prehistoric time the religious festival content was established, and the ancient times can be set as a period when religious performance and education content was set up along with the religious festival. In Korea, from ancient period to Joseon dynasty,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continued to transmit. At the modern times, the religious exhibition are added to these transmission content. Today, the old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re still retained with the faith and the industrial goals have been newly created and sold as the products for the public. Of them, the religious festival, performance, education and exhibition represent meta-religious cultural contents, providing the systematic and the dynamic interpretations about "what is religion". Finally, I set three major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global religious culture festivals to expand the popular base of religious cultural contents. Strategy 1 is to proclaim a vision oriented toward religiosity and popularity all together. Strategy 2 is to expand and reorganize the festival in an open form. Strategy 3 is to realize meta-religious cultural contents through MSMU. If these three major strategies are applied successfully, the global religious culture festivals will establish their status as the cor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making a groundbreaking contribution to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religious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콘텐츠산업의 문화정책적 의미와 지평의 탐색

        이기현(Lee, Keehyun)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2

        이 연구는 콘텐츠산업에 대한 그동안의 산업정책적 접근을 넘어서서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콘텐츠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담보하기 위해 필요한 문화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콘텐츠의 공적 재화와 사적 재화, 그리고 혼합재적 특징을 논의함으로써 콘텐츠의 본질적인 특성을 규명하고, 콘텐츠의 공공성 차원에도 주목한다. 둘째, 콘텐츠의 사회문화적 가치에 대한 재인식을 위해 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관계성을 강조하고, 이와 더불어 콘텐츠산업이 문화예술의 영역과는 어떤 접점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콘텐츠의 미래발전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 문화정책을 위해 어떤 정책적인 지향점과 시각을 견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해보기로 한다. 콘텐츠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은 궁극적으로 콘텐츠 향유를 통한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미래지향적 접근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콘텐츠의 사회문화적 가치 재인식, 문화예술과의 관계 재정립, 문화매개자에 대한 관심, 한류의 패러다임 전환 등에 대한 논의를 통해 콘텐츠 문화정책의 새로운 가치지향을 모색한다.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 cultural policy approach, beyond the industrial policy approach, that is necessary to insure a sustainable growth of the content industry in the future. First, it discuss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contents by focusing on public goods, private goods, and mixed commodity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nd also pays attention to publicness dimension of contents. Secondly, we emphasize the social relations that appear i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contents in order to re-recognize the socio-cultural values of contents. In addition, we proceed discussions about how the content industry is in relation with the field of art. Finally, we examine what policy orientations and perspectives should be maintained for a new content culture polic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ntents. Policy efforts to develop the content industry should ultimately lead to a future-oriented approach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content enjoyment. In conclusion, we will seek new value orientations of content culture policy through discussions on re-recognition of socio-cultural values of contents, reestablishment of relations with arts, interest in cultural mediators, and paradigm shift of Korean Wave.

      • KCI등재

        한국 방송콘텐츠의 태국 진출 및 교류 협력을 위한 방안 연구

        문효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3

        한국의 방송콘텐츠가 지속적으로 해외에 수출되고 있다. 특히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의 인기가 높다. 그리고 수출 지역의 경우, 중국과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 집중되고 있지만, 사드문제로 인한 중국의 한한령(限韓令)은 한국 방송콘텐츠의 중국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다수의 한국 방송콘텐츠 사업자들은 경영 위기에 직면했으며, 중국이 황금알을 낳는 시장이라는 인식에 변화를 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한국 방송콘텐츠의 새로운 수출 시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본 연구는 태국을 그 대안 시장으로 선정해 진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과 태국 간 방송콘텐츠 수출입에 있어 불균형을 보이고 있는 점을 고려해 태국으로의 일방향적 수출에서 오는 현지인의 부정적인 정서를 해소하기 위한 교류, 협력 방안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한국 방송콘텐츠가 태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요인은 한국 드라마의 경우, 드라마 출연배우들의 ‘매력적인 외모’ 때문이라는 응답이,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컨셉과 포맷이 좋아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한국 방송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주로 ‘TV방영을 통해 시청’하고 있었으며, ‘온라인을 통해 유료로 시청했다’와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시청했다’는 응답도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한국 방송콘텐츠 효과의 경우에는 ‘한국 방송콘텐츠 호감도’와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한국에 대한 방문의도’,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의 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한국 방송콘텐츠를 좋아하면 할수록 한국 제품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한국을 방문하고픈 의도와 한국에 대한 국가 호감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are exporting all around world. Especially Korean drama and entertainment contents gain popularity in Asia and the broadcasting contents trade surplus, bolstered by the “Korean wave”, has increased. Recently the contents trade surplu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due to China's economic sanctions so we need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s for the broadcasting contents. There is the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contents in Thailand and Thailand is one of very important country for Korea broadcasting contents export.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export,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broadcasting contents between Korea and Thailand. The analysis on survey data showed that the popularity factors of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are ‘attractive appearance’ and ‘good program concept and format’. And Thailand people watch TV and use Internet(‘paid access on the Internet’, ‘free on the internet’) when they consume the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Lastly the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preferen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orean product purchase intentions, visit intentions on Korea and preference toward Korea.

      • KCI우수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콘텐츠와 문화콘텐츠

        김기덕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2

        It can be said that it was around 2000 that the concept of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emerged in Korean society including the Human Contents of Association. This period was in sync with the atmosphere of the times when digital technology spread on a full scale. The full-scale spread of this digital technology in this period is currently defined as the 3rd industiral revolution. Therefore, the emergence of such terms as contents, cultural contents and human contents and their social utility are closely related to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is relatedness from a perspective of the 'media'. That is, the full-scale spread of digital technology understood as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led to the diffusion of the media as its specific presentation, which is thought to have necessarily resulted in requiring contents contained in the media, and furthermore cultual contents and human contents. This study started by asking a question of 'how contents, cultural contents and human contents emerging i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will take shape if curr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can be said to b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study,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s thought to be the context. Technologies currently presented as the emblem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tually the deepening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ere are arguments that negate its classification. But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simply the extension of digital technology but also its intelligence. The core of intelligence consists in collecting and grasping the user's context and assisting in applying it. Th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the heyday of the contents specialist. If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tract the user's context, the importance of contents will also be presented in planning cultural contents based on it and the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will be made even easier. More ardent discussion over the orient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set the direction for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human contents studies. In addition, the accur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ore of technog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make it easier to create content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produce the more abundant outcome. 한국사회에서 콘텐츠, 문화콘텐츠 개념이 출현한 것은 2,000년이었다. 이 시기는 디지털기술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시대분위기와 맞물려 있었다. 이 시기 이러한 디지털기술의 전면적 확산을 현재 3차 산업혁명이라고 규정한다. 필자는 3차 산업혁명의 핵심을 ‘미디어’의 차원에서 정리하여 보았다. 즉 3차 산업혁명으로 이해되는 디지털기술의 전면적 확산은 그 구체적인 표상으로서 미디어의 확산을 가져왔으며, 그 결과 필연적으로 그 미디어에 담기는 콘텐츠, 더 나아가 문화콘텐츠·인문콘텐츠를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한다. 과연 3차 산업혁명시대에 출현한 콘텐츠,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필자는 그것을 해명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핵심은 컨텍스트(context)라고 보았다. 현재 4차 산업혁명의 표상으로 제시되는 기술들은 실제로는 3차 산업혁명시대 디지털 기술의 심화이다. 따라서 그 구분을 부정하는 주장도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은 단순한 디지털기술의 확장만이 아니라 지능화(intelligence)되었다는 점에 있다. 지능화의 핵심은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수집하고 파악하여, 그것을 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 있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시대는 오히려 콘텐츠전문가의 전성시대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이 이용자의 컨텍스트를 추출해준다면, 그에 기반한 문화콘텐츠 기획에서는 역시 콘텐츠의 중요성이 제기될 것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획이 더 용이해질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러한 이해선상에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인문콘텐츠학회 구성원들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그것은 기술친화적인 연구와 교육으로 압축될 수 있다. 아무쪼록 본 글을 계기로 4차 산업혁명시대 문화콘텐츠의 향방에 대한 보다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서, 문화콘텐츠학에 대한 방향정립과 함께 인문콘텐츠학회가 이 시대 문화콘텐츠산업을 선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방송콘텐츠 개념의 제도적 정립을 위한 시론

        조병한(Byeong-Han Ch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이 논문은 방송콘텐츠의 개념이 제도적으로 정립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한 문제를 살피고, 방송콘텐츠 개념의 범주와 의의를 제시하여 관련한 논의를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콘텐츠 향유 패턴이 점차 파편화됨에 따라, 드라마 · 예능 · 다큐멘터리 등 방송콘텐츠는 전통적인 방송산업의 유통구조를 벗어나 N스크린을 통해 다양하게 향유되며 그 부가가치를 극대화한다. 그러나 법률상 방송콘텐츠의 개념은 방송산업의 전통적인 유통망에 종속되어 있거나, 심지어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방송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방송콘텐츠 개념 정의의 필요성을 원론적 · 법률적 · 산업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살핀 결과, 방송콘텐츠는 방송미디어로부터 독립된 새로운 개념으로 정의될 필요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방송콘텐츠의 개념과 유형 분류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여 방송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방향성을 확인하였고, 방송콘텐츠를 상위범주(교양, 오락)와 하위범주(‘다큐멘터리 · 시사교양 · 교육’, ‘드라마 · 애니메이션 · 예능 · 음악 · 스포츠’)로 구분하여 정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broadcasting contents’ concept, to present the categories and significance of broadcast contents concepts, and to promote discussions on defining broadcasting contents concepts. As the pattern of enjoying contents becomes fragmented, broadcasting contents such as dramas, entertainment, and documentaries are enjoyed in various ways through N-screens, beyo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broadcasting industry. But, the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is subordinate to(or even absent from)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This paper seeks to correct this problem by proposing a new defini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need to define the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in various ways in principle, legal, and industrial aspects, broadcasting contents needed to be defined as a new concept independent of broadcasting media. Based on this,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concept and type of broadcasting contents were reviewed to confirm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broadcasting contents concepts, and to define broadcasting contents into higher categories (liberal arts, entertainment), and lower categories (‘documentaries, current affairs, education’, ‘dramas, animation, music, variety,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