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성연속착용 콘택트렌즈의 착용 실태

        김민정(Minjung Kim),김효진(Hyojin Kim),김수영(Su-Young Kim),주천기(Choun-Ki Joo) 대한검안학회 2005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4 No.1

        목적: 연성연속착용 콘택트렌즈의 착용실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연성연속착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60명 12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시의 시력과 세극등 현미경검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하루 평균 착용시간과 교체주기, 렌즈중심안정과 렌즈의 움직임 렌즈의 이상을 포함하는 렌즈 피팅상태를 평가 하였다. 결과: 연속착용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시력은 92.5%에서 0.8이상을 보였고 피팅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68.3%가 하루에 9시간 이상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평균 교체주기는 9개월에서 12개월 사이 교체가 55%였다. 결론: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위한 하루 평균 착용시간과 교제주기, 콘택트렌즈에 의한 부작용과 합병증에 관한 교육과 더불어 콘택트렌즈 관리법에 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이며 정기적인 안과 검진에 관한 안내도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investigate the wear status of soft continuous wear contact lens. Methods: In 120 eyes of 60 patients who soft continuous wear contact lens wearer. We survey corrected visual acuity with contact lens, wearing hour in a day, lens replacement period and wearing period of corrent lens using slit lamp exam and questionnaire and we evaluate contact lens fitting include movement of lens, centration, and defect of lens. Results: Corrected visual acuity of soft continuous wear contact lens wearer better than 0.8 were 92.5% and contact lens fitting showed good position. 68.3% of wearer more than 9 hours wearing in a day, average of lens replacement period were 9months to 12months in 55%. Conclusions: We think necessary contact lens wearing hour in a day, lens replacement period, side effect and complication of contact lenses, contact lens supervision special teaching and periodical ophthalmoic examination for contact lens weare.

      • KCI등재

        Comparing Visual Acuity and Frontal Area Topography in Prescription of Spherical and Toric Soft Contact Lens

        Seon-A Jeon,In-Chul Jeon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1

        목적 : 본 연구는 각막난시가 있는 대상자에게 등가구면콘택트렌즈, 토릭콘택트렌즈를 처방하였을 때 시력과 각막지형도에서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자는 안질환이 없고 자각식 굴절검사를 통해 도출된 난시량이 –0.75 D 이상 –2.00 D 미만인 성인 남녀 20명(22.4±2.0세), 39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번째로 토포그래피를 이용해 나안의 각막지형도를 측정하고 등가구면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와 토릭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각 각막지형도와 시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 각막지형도를 Bogan 등7)의 5가지 분류법에 따라 원형(Round), 타원형(Oval), 대칭성 나 비형(Symmetric bow tie), 비대칭성 나비형(Asymmetric bow tie), 부정형(Irregular)의 5가지 형태로 나누었다. 등가구면 콘택트렌즈와 토릭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검사한 시력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고 빈도분석을 통해 구면콘택트렌즈와 토릭콘택트렌즈간 Bogan등의 분류법에 따른 형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는 C사의 somofilcon A재질의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나안에서 각각 원형 2.6%, 타원형 61.5%, 대칭성 나비형 33.3%, 비대칭성 나비형 2.7%의 비율을 보였고 구면콘택트렌즈 처방시에는 원형 2.6%, 타원형 48.7%, 대칭성 나비형 28.2%, 비대칭성 나비형 12.8%, 부정형 7.7%, 토릭콘택트렌즈 처방 시에는 원형 53.8%, 타원형 20.5%, 대칭성 나비형 7.7%, 비대칭성 나비형 5.1%, 부정형 12.8% 의 비율로 나타났다. 시력은 구면콘택트렌즈에서 평균 0.80±0.06(p<0.050), 토릭콘택트렌즈에서 평균 1.00±0.08(p<0.050) 으로 측정되었다. 결론 : 난시안에 등가구면 굴절력이 가입된 구면콘택트렌즈보다 토릭콘택트렌즈 착용 시 시력이 평균 0.2만큼의 큰 차이를 보이며 시력이 더 향상되었다. 각막지형도에서는 토릭콘택트렌즈에서 원형의 형태가 구면콘택트렌즈보다 월등히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난시안을 정확하게 교정하기 위해서는 등가구면콘택트렌즈보다 토릭콘택 트렌즈 처방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e the differences in visual acuity and corneal topography when prescribing equivalent contact lenses and toric contact lenses to subjects with corneal astigmatism. Methods : 39 eyes of 20 adults (22.4±2.0 years old) with astigmatism of –0.75 D to less than –2.00 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irst, we measured the corneal topography of the naked eye using topography (Tophography, CT-1000, Shin Nippon, Japan) and compared the corneal topography and visual acuity with the equivalent contact lens wear and toric contact lenses, respectively. Secondly, the topography of the cornea was classified into 5 types such as round, oval, symmetric bow tie, asymmetric bow tie, and irregular according to five classification methods such as Bogan et al. We measured the visual acuity of the equivalent contact lens and the toric contact lens using the corresponding sample t test. The frequency analysis showed how the shape of the spherical contact lens and the toric contact lens vari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such as Bogan. In this study, contact lens made of somofilcon A material of company C was used. Results : There were 2.6% round, 61.5% oval, 33.3% symmetric bow tie, 2.7% asymmetric bow tie in the naked eyes. and 2.6% round, 48.7% oval, 28.2% symmetric bow tie, 12.9% asymmetric bow tie, 7.7% irregular in the equivalent contact lenses. 53.8% round, 20.5% oval, 7.7% symmetric bow tie, 5.1% asymmetric bow tie and 12.8% irregular shape appeared in the toric contact lenses. Visual acuity was 0.80±0.06(p<0.050) in the spherical contact lens, 1.00±0.08(p<0.050) in the toric contact lens. Conclusion : Visual acuity improved significantly when the toric contact lens was worn by an average of 0.2, compared with spherical contact lens with equivalent refractive power in astigmatism. In the corneal topography, the shape of the toric contact len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spherical contact lens. In order to correct astigmatism accurately, it 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prescribed as a toric contact lens rather than spherical contact lens.

      • KCI등재

        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와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 시 시력과 전면부 지형도 비교

        전선아,전인철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e the differences in visual acuity and corneal topography when prescribing equivalent contact lenses and toric contact lenses to subjects with corneal astigmatism. Methods : 39 eyes of 20 adults (22.4±2.0 years old) with astigmatism of –0.75 D to less than –2.00 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irst, we measured the corneal topography of the naked eye using topography (Tophography, CT-1000, Shin Nippon, Japan) and compared the corneal topography and visual acuity with the equivalent contact lens wear and toric contact lenses, respectively. Secondly, the topography of the cornea was classified into 5 types such as round, oval, symmetric bow tie, asymmetric bow tie, and irregular according to five classification methods such as Bogan et al. We measured the visual acuity of the equivalent contact lens and the toric contact lens using the corresponding sample t test. The frequency analysis showed how the shape of the spherical contact lens and the toric contact lens vari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such as Bogan. In this study, contact lens made of somofilcon A material of company C was used. Results : There were 2.6% round, 61.5% oval, 33.3% symmetric bow tie, 2.7% asymmetric bow tie in the naked eyes. and 2.6% round, 48.7% oval, 28.2% symmetric bow tie, 12.9% asymmetric bow tie, 7.7% irregular in the equivalent contact lenses. 53.8% round, 20.5% oval, 7.7% symmetric bow tie, 5.1% asymmetric bow tie and 12.8% irregular shape appeared in the toric contact lenses. Visual acuity was 0.80±0.06(p<0.050) in the spherical contact lens, 1.00±0.08(p<0.050) in the toric contact lens. Conclusion : Visual acuity improved significantly when the toric contact lens was worn by an average of 0.2, compared with spherical contact lens with equivalent refractive power in astigmatism. In the corneal topography, the shape of the toric contact len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spherical contact lens. In order to correct astigmatism accurately, it 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prescribed as a toric contact lens rather than spherical contact lens. 목적 : 본 연구는 각막난시가 있는 대상자에게 등가구면콘택트렌즈, 토릭콘택트렌즈를 처방하였을 때 시력과 각막지형도에서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자는 안질환이 없고 자각식 굴절검사를 통해 도출된 난시량이 –0.75 D 이상 –2.00 D 미만인 성인남녀 20명(22.4±2.0세), 39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번째로 토포그래피를 이용해 나안의 각막지형도를 측정하고 등가구면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와 토릭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각 각막지형도와 시력을 측정하여비교하였다. 두 번째로 각막지형도를 Bogan 등7)의 5가지 분류법에 따라 원형(Round), 타원형(Oval), 대칭성 나비형(Symmetric bow tie), 비대칭성 나비형(Asymmetric bow tie), 부정형(Irregular)의 5가지 형태로 나누었다. 등가구면 콘택트렌즈와 토릭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검사한 시력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고 빈도분석을 통해 구면콘택트렌즈와 토릭콘택트렌즈간 Bogan등의 분류법에 따른 형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는 C사의 somofilcon A재질의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나안에서 각각 원형 2.6%, 타원형 61.5%, 대칭성 나비형 33.3%, 비대칭성 나비형 2.7%의 비율을 보였고 구면콘택트렌즈 처방시에는 원형 2.6%, 타원형 48.7%, 대칭성 나비형 28.2%, 비대칭성 나비형 12.8%, 부정형 7.7%, 토릭콘택트렌즈 처방 시에는 원형 53.8%, 타원형 20.5%, 대칭성 나비형 7.7%, 비대칭성 나비형 5.1%, 부정형 12.8% 의 비율로 나타났다. 시력은 구면콘택트렌즈에서 평균 0.80±0.06(p<0.050), 토릭콘택트렌즈에서 평균 1.00±0.08(p<0.050) 으로 측정되었다. 결론 : 난시안에 등가구면 굴절력이 가입된 구면콘택트렌즈보다 토릭콘택트렌즈 착용 시 시력이 평균 0.2만큼의큰 차이를 보이며 시력이 더 향상되었다. 각막지형도에서는 토릭콘택트렌즈에서 원형의 형태가 구면콘택트렌즈보다 월등히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난시안을 정확하게 교정하기 위해서는 등가구면콘택트렌즈보다 토릭콘택트렌즈 처방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처방의 원·근거리 대비시력 비교

        박경희,이철우,유근창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4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stant and near visual contrast acuity for myopic astigmatism among toric soft contact lenses, glasses and spherical equivalent (S + C / 2) contact lens. Methods: Experiments were measured for 22people (aged 20s-30s) Cyliner power is ranged from -0.75D to -1.75D. After wearing J's contact lens made ASD design and C's contact lens made Wide Ballast Band design both toric soft contact lens and spherical equivalent soft contact lens, distant and near acuity were measured. Result: Toric soft contact lens, glasses and spherical equivalent contact len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distance. Visual acuity from the two lenses, regardless of contrast, glasses, toric and spherical equivalent soft contact lens were highly measured in order. Spherical equivalent soft contact lens and toric soft contact lens as comparison of high contrast and low contrast acu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contrast acuity of Wide Ballast Band desig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s low contrast acuity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Myopic astigmatism in soft contact lens prescription may be affected by visual life style and full explanation to the patient is required and manufactures seem to consider toric stabilization owing to producing in different ways. 목 적: 근시성 직난시안의 안경처방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 및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처방(S+C/2)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대비시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난시도가 -0.75D이상 -1.75D이하인 만 20~32세의 성인 남녀 22명을 대상으로 ASD디자인인 J사의 재질 etafilcon A렌즈와 Wide Ballast Band디자인인 C사 재질 ocufilcon D렌즈의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대비시력을 검사하였다. 결 과: 원거리 고대비시력은 두 렌즈 모두에서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안경과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 순으로 시력이 좋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거리는 두 렌즈 모두에서 고대비와 저대비시력이 안경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 처방 순으로 시력이 높았다.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를 비교한 결과 AS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Wide Ballast Ban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저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근시성 직난시안에게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을 대신하여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로 처방하는 경우 렌즈디자인에 따른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이 다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굴절검사가 추가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A Study on Contact Lens Wear Status of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Subjects

        Hye-Won Park,Tae-Hun Kim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Vol.19 No.1

        목적: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의 실태를 조사하고 수술 후 각막 곡률과 국내 유통 중인 콘택트렌즈의 직경과 베이스 커브를 분석하였다. 방법: 각막굴절교정수술을 한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콘택트렌즈 착용 실태를 분석하고, 각막굴절교정수술자의 각막 곡률을 측정 하였다. 국내 유통되는 37개 업체에 328종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베이스커브와 렌즈 직경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거나 착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16.5%로 나타났으며, 착용목적으로는 미용목적이 81.4%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콘택트렌즈 구입 장소는 안경원이 86%였으며, 88.4%가 미용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구입 시 수술 사실을 58.1%가 알리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5.1%가 어떠한 검사도 하지 않고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 시 불편사항은 39.5%가 건조함, 18.6%가 렌즈의 움직임으로 불편하다고 답하였으며, 충혈 14%, 눈물 흘림 4.7%, 통증 2.3% 순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자 중 25.7%가 계속해서 착용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수술 후 flat한 각막 곡률의 평균은 8.41±0.31mm, steep한 각막곡률의 평균은 8.21±0.34mm 로 평편하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콘택트렌즈의 베이스 커브는 8.6mm 70.7%, 직 경은 14.0mm 41.2%, 14.2mm 35.1%로 가장 많았으며 피팅할 렌즈의 종류가 한정적이다. 결론: 시력교정을 위해 각막굴절교정수술을 하였지만 미용적인 목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수술 후 각막은 편평하게 변화했으며 착용하게 될 렌즈의 종류가 한정적으로 자세한 검사나 부작용 에 대한 설명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status of contact lens wearers and the base curve and the diameter of soft contact lenses were identified through investigation. Methods: A survey on contact lens wearing situation with 261 individuals experienced corneal refractive surgery was analyzed. cornea's curvature of after Corneal refractive correction surgery Subjects was measured. The base curves and lens diameters of the 328 types of contact lenses of 37 companies in Korea were analyzed. Result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it was shown that 16.5% of those were wearing or experience contact lens, and in the purpose of wearing a cosmetic reason was the highest accounting for 81.4%. 86% of people chose an optical shop to purchase contact lenses, and 88.4% of them were wearing cosmetic contact lenses. 58.1% of those who experience a refractive surgery did not inform their history when purchasing contact lenses, and also 65.1% of them bought them without any examination. While wearing contact lens, they answered about uncomfortable details, such as dryness(39.5%), lens movements(18.6%), redness(14%), tears(4.7%) and pain(2.3%). People who want to continuously wear contact lens appeared 25.7%. The average of the average of the flat corneal curvature after surgery was 8.41±0.31mm, steep corneal curvature was found altered comfortable flat with 8.21±0.34mm. On the Korean domestic market, 8.6mm(70.7%) in the base curve of contact lenses, and 14.0mm(41.2%) and 14.2mm(35.1%) in diameter were most distributed, representing that the sort of contact lens for fitting was limited. Conclusions: Despite corneal refractive surgery for a vision correction, people were wearing contact lens just for cosmetic purposes. It was appeared that the types of lens were limitative, and detail examination or the information on a side effect was insufficient.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for that.

      • KCI등재후보

        UV-A로 유발된 효소 변성에 대한 콘택트렌즈의 차단 효과

        박미정,이금희,이은경,박상희,김소라,이흠숙 한국안광학회 2008 한국안광학회지 Vol.13 No.4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of UV-A blocking contact lens on eye protection with regular contact lens. Methods: The protective activity of regular contact lens (UV-A blocking: 20%) and UV-A blocking contact lens (UV-A blocking: 85%) on the denaturation of RNase A,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induced UV-A irradiation were compared by 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enzyme solutions were irradiated with UV-A for 1, 3, 6, 24 and 96 hours at the wavelength of 365 nm. Covering area with contact lenses were varied as 50%, 70% and 100%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blocking areas of anterior eye that could be covered with RGP lens, soft contact lens, and eye glasses, respectively. Results: Denaturations of RNase, catalase and SOD were exaggerated when they were exposed to UV-A for a longer period. The denaturation was effectively prevented by UV-A blocking contact lens compared to regular contact lens. The capability of UV-A blocking contact lens was considerably reduced when the covering area with contact lens decreased and exposure time to UV-A extended. Conclusion: Therefore, it would be suggested that wearing contact lens for a long time under sunlight is carefully considered since the activity of UV-A blocking contact lens against UV-A irradiation may not be enough to protect enzymes presented in eyes when exposure time to UV-A increas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UV-A 차단 콘택트렌즈의 UV-A 차단효과를 일반 콘택트렌즈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고자 하 였다. 방법: RNase A, catalase 및 superoxide dismutase(SOD)를 일반 콘택트렌즈(UV-A 차단율 20%) 및 자외선 차 단 콘택트렌즈(UV-A 차단율 85%)로 차단하였을 때의 UV-A에 의한 변성을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법으로 확인 하였다. 효소의 용액은 각각 1, 3, 6, 24 및 96시간 동안 365nm의 UV-A에 노출시켰으며, 콘택트렌즈에 의한 UV-A 차단 범위는 전안구를 덮는 RGP 렌즈, 소프트 콘택트렌즈, 안경의 크기를 계산하여 각각 50%, 70% 및 100%로 변화를 주었다. 결과: RNase A, catalase 및 SOD의 변성은 UV-A에 노출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심하여졌다.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의 자외선 차단 효과는 일반 콘택트렌즈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모든 효소에서 차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콘택트렌즈로 차단된 범위가 줄어들수록 또한 UV-A에 노출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자외선 차단 콘택트 렌즈의 차단 효과는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UV-A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경우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는 안구 내의 존재하는 효소를 보호하는 효과가 미흡할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햇볕 아래에서의 장시간 콘택트렌즈 착용은 충분한 고려를 하여야 할 것으로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

        써클 콘택트렌즈와 동일 재질 소프트 콘택트렌즈의각막에서의 움직임 비교

        김소라,박상희,주선옥,이혜림,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1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y difference caused by pigmentation in the centrations and movement patterns on the cornea between circle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and parameters during lens wearing. Methods: Soft and circle contact lenses with identical material and parameters were applied to twenty eyes with normal tear volume for 3 hrs a day during a total of 5 days and then their lens centrations,the moving distances and rotations by repeat blinking were compared. Results: The lens centration beyond the fitting criteria was shown in initial wears of both soft contact lens and circle contact lens. However, the centration of soft contact lens was changed to the pupil center for being suitable to the fitting criteria with longer weari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decentration of circle contact le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as still presented even with longer wearing time. The moving distances of soft contact lens and circle contact lens decreased with the expand of lens wearing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otal wearing period and daily wearing time. The rotation of circle contact lens by repeat blink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oft contact lens even when the wearing period was extended. Conclusions: We revealed that the lens centration and movement of circle contact lens on cornea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regular soft contact lens resulting in bigger difference with the expand of wearing period in the study.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일 재질 및 렌즈 파라미터를 가진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의 각막에서중심안정위치와 움직임 양상을 비교하여 착색 여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눈물양이 정상인 20안을 대상으로 동일한 재질 및 파라미터의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를 각각 1일에 3시간씩 5일 동안 착용시키면서 각막에서의 중심안정위치와 반복적인 순목 후 콘택트렌즈의 이동거리 및 회전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 모두 착용 초기의 중심안정위치는 피팅 기준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경우는 착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동공 중심으로 모이면서 모든 경우에도 피팅 기준에서 벗어나지 않는 적합한 중심안정위치로 변화되었다. 하지만, 써클 콘택트렌즈는 착용 시간이증가하여도 수평 방향으로의 중심이탈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 모두 반복적인 순목 후 각막에서의 이동거리는 착용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두 콘택트렌즈 간에는 총 착용 기간이나 일일 착용 시간의 증가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복적인 순목에 의한 써클 콘택트렌즈의회전양은 착용기간이 증가하였을 때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있었다. 결론: 써클 콘택트렌즈의 각막에서의 위치 및 움직임은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달라지며 이러한 차이는착용기간이 증가하면 더 커짐을 밝혔다.

      • KCI등재

        콘택트렌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라이소자임과 알부민의 흡착 특성

        성유진,유근창,전진 한국안광학회 2013 한국안광학회지 Vol.18 No.3

        Purpose: Adsorption properties of lysozyme and albumin according to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contact lens classified with the FDA categories and a contact lens fabricated in the laboratory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contact lens were prepared using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TRIM(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in a cast mold. Artificial tears containing lysozyme and albumin were prepared. We measured the amounts of protein adsorbed on the each lenses with varying adsorbed time (48 hour) and the pH range (6, 6.8, 7.4, 8.2, 9) of artificial tear. Amount of the proteins absorbed on the contact lenses were measured by using HPLC. Results: Time to reach the equilibrium of protein adsorption for silicone hydrogel lens was taken longer than hydrogel lens. The amount of adsorbed both lysozyme and albumin at equilibrium were greater for the hydrogel lens than the silicone hydrogel lens, and larger for the ionic lens than the non-ionic lens. Lysozyme was more adsorbed on the higher water content of contact lens, whereas albumin was more adsorbed on the lower water content of contact lens. Only lysozyme was adsorbed on the Group IV hydrogel lens of ionic higher water content. The adsorption of protein on contact lens increased with pH of artificial tears as close to the isoelectric point of each protein. Conclusions: The adsorption amount of lysozyme is more affected by the ionic strength of the contact lens surface than the water content of contact lens. Albumin adsorption is more affected by water content than the ionic strength of the contact lens surface. For the adsorption of proteins on the silicone hydrogel lens, the pore size, determined both by the number of Si atoms and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silicone-containing monomers, as well as the polarity of contact lens should be also considered. 목적: FDA 기준에 의해 분류된 시판용 콘택트렌즈와 실험실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라이소자임과 알부민의 흡착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실험실에서 제조한 렌즈는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TRIM(3-(trimethoxysilyl) propyl methacrylate) 등의 모노머를 사용하였으며 캐스트몰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라이소자임과 알부민을 함유한 인공눈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렌즈에 대해 흡착시간(48시간)과 인공눈물의 pH(pH 6, 6.8, 7.4, 8.2, 9)에 따라 단백질 흡착량 변화를 추적하고, 콘택트렌즈에 흡착된 각각의 단백질은 HPLC 로 정량하였다. 결과: 두 단백질의 흡착에 대한 평형상태 도달하는 시간은 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에서 더 오래 걸렸다. 평형상태에서 두 단백질에 대한 흡착량은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하이드로겔렌즈, 비이온성 렌즈에 비해 이온성 렌즈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함수 렌즈에서는 라이소자임이, 저함수 렌즈에서는 알부민의 흡착량이 많았으며, 이온성 고함수의 Group IV 하이드로겔 렌즈(H4)에서는 라이소자임만이 흡착되었다. 인공눈물의 pH에 따른 두 단백질의 흡착량은 각 단백질의 등전점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였다. 결론: 라이소자임의 흡착량은 콘택트렌즈의 함수율보다는 렌즈 표면의 이온성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알부민은 렌즈 표면의이온성보다 함수율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에서 단백질의 흡착은 콘택트렌즈의 극성뿐만아니라 실리콘 모노머에 포함된 Si 원자수와 그 화학적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세공의 크기 등이 함께 고려되어야한다.

      • KCI등재

        개선된 콘택트렌즈용 홀더를 사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

        김태훈,이민제,성아영 대한시과학회 2013 대한시과학회지 Vol.15 No.3

        목 적 : 본 연구는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와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한 개선된 콘택트렌즈 전용홀더를 사용하여 다양한 디옵터와 함수율을 가진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고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 시간경과에 따른 굴절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 법 : 실험에 사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함수율은 각각 38%, 43%, 58%의 렌즈를 사용하였으며, 굴절력에 따라 -3.000D, -7.000D, -10.000D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와 개선된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하여 자동렌즈미터로 굴절력을 측정하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경우 -3.000D는 -3.129D로 측정되었으며, -7.000D는 -7.036D, -10.000D는 -10.266D로 각각 측정되었다. 개선된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경우 -3.000D는 -3.007D로 측정되었으며, -7.000D는 -6.988D, -10.000D는 -9.944D로 각각 측정되었다. 모든 종류의 콘택트렌즈에서 개선된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방법이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방법보다 더 정확한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결 론 :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에 있어 개선된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방법이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방법보다 더 정확한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콘택트렌즈의 굴절력과 함수율이 높을수록 전체적으로 낮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Purpose: In the study, to assess the accuracy for measuring the refractive power of hydrogel contact lenses by conventional contact lens holder and improved contact lens holder that designed to be mounted more easily and reliably the soft contact lens. The accuracy for each sample was also analyzed with water content and diopter categories. And the change in the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elapsed time was examined. Methods: The hydrogel contact lenses used for measurement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n water content (38%, 43%, 58%). Also, three diopter categories of refractive power were used such as -3.000D, -7.000D, -10.000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resul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with conventional contact lens holder and improved contact lens holder using an auto lensmeter. Results: In case of conventional contact lens holder method, the average value of refractive power was -3.129 for -3.000D, -7.036D for -7.000D and -10.266D for -10.000D, respectively. In case of improved contact lens holder method, the average value of refractive power was -3.007 for -3.000D, -6.988D for -7.000D and -9.944D for -10.000D, respectively.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for all diopters was better in improved contact lens holder method than conventional contact lens holder method. Conclusions: The measurement of refractive power of hydrogel contact lens in improved contact lens holder method showed higher accuracy than conventional contact lens holder method. And also, the diopter and water content were higher, it`s meant to be less accuracy.

      • KCI등재

        국내의 저가 컬러 콘택트렌즈가 각막 부종 및 안구 표면 염증에 미치는 영향

        송종석,이화,김정완,장문희,하석규,김효명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12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eap tinted contact lenses on corneal swelling and ocular surface inflammation, compared to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Methods: Forty eyes of 20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groups. Two types of tinted contact lenses, hydrogel lenses, and silicone hydrogel lenses were each applied to 10 rabbit eyes. Corneal thickness and tear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were measured at 1 and 4 days after contact lens wear, and the inflammation of ocular surface was scored at 4 days after contact lens wear. The internal surface of the cheap tinted lens was examin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o compare the surface quality between the tinted and non-tinted area. Results: Although the corneal swelling of the silicone hydrogel len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3 lens groups after contact lens wear (p0.1). Tear LDH activity at 1 and 4 days after contact lens wea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4 groups (p>0.29). The scores of ocular surface inflammation in the 2 tinted contact lens groups were greater than the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lens groups (p=0.03).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vealed the internal surface of the tinted area in the tinted contact lens was coarse and irregular though the surface of the non-tinted area was relatively smooth. Conclusions: Regarding corneal swelling and tear LDH activity, the cheap tinted contact lenses used in Kore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mmon hydrogel contact lenses. However, tinted contact lenses showed a greater tendency to provoke ocular surface inflammation than other lenses. The coarse and irregular surface of the tinted area in the tinted contact lens appears to play a role in provoking severe ocular surface inflam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