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이주민과의 직접 접촉 경험과 다문화 수용성 - 간접 접촉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남보영(Nam, Boyoung),홍이준(Hong, I J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3

        국내 체류 외국인이 양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에 대한 포용적 인식과 태도의 중요성도 함께 강조되고 있다. 다문화 교육을 접할 기회가 부족한 기성 성인들의 경우, 외국이주민과의 직접 접촉 경험 및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이 이들의 다문화 수용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를 활용하여 외국이주민과의 직·간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직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에 의해 조절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직·간접 접촉의 유형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영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직접 접촉은 친밀한 접촉과 피상적인 접촉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은 긍정적인 모습, 피해를 당하는 모습, 위협적인 모습, 공익광고 및 홍보영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가지 형태의 직접 접촉 경험(친밀한 접촉, 피상적 접촉) 모두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친밀한 접촉이 피상적인 접촉보다 다문화 수용성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가지고 있었다.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의 경우, 대중매체 속 긍정적인 외국이주민, 피해를 당하는 외국이주민은 다문화 수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대중매체 속 위협적인 외국이주민은 다문화 수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공익광고 및 홍보영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외국이 주민과의 직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 경험이 많을수록 피상적 직접 접촉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친밀한 직접 접촉의 경우에는 간접 접촉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중매체가 외국이주민의 삶과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대중에게 제공함으로써 다문화 수용성 향상에 있어서 피상적 직접 접촉이 가지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 종합하여 본 연구는 일반 국민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외국이주민과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직접 접촉의 기회를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외국이주민의 삶의 경험을 다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전달함으로써 피상적 직접 접촉의 한계를 보완하고 기성 성인들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가 가능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contact (via media) with immigrants on adult citizens’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and explored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direct contact an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as moderated by indirect contac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data (N =3,961) from the 2018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Acceptance in Korea, which investigated adult citizens’ experiences with immigrants and attitudes toward immigrants and multiculturalism. Direct contact with immigrants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superficial contact and intimate contact. Indirect contact was defined as exposure to immigrants through the media, and media exposure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favorable images of immigrants, victimized images of immigrants, threatening images of immigrants, and sketchy images of immigrants through advertisements. The main effect of each type of contact was examin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rect conta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direct contact an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as explor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intimate-direct contact and superficial-direct contac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such that the more the direct contact, the higher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but intimate-direct contact had a greater impact than superficial contact. However, the main effect of indirect contact varied by the type of indirect contact (i.e., exposure to images of immigrants via media). Exposure to favorable or victimized images of immigr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hile exposure to threatening images of immigrants had a negative effect. More interestingly, the effect of superficial-direct contact on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a few types of indirect contact. However, the effect of intimate-direct contact was not moderated by any types of indirect conta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both direct and indirect contact in promoting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more importantly, show that indirect contact through the media can substitute for adult individuals’ limited direct experiences with immigrants and help them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immigrants.

      • KCI등재

        감염자 접촉추적 시스템 구축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및 법적 대응방안 – 코로나19 사태로 불거진 감염자 접촉추적 기술을 중심으로 –

        김송옥 한국헌법학회 2023 憲法學硏究 Vol.29 No.4

        세계보건기구(WHO)는 2023년 5월 5일, 코로나19가 더 이상 ‘국제적으로 우려할만한 공중보건 비상사태’가 아니라고 발표했다. 한국 정부 역시 같은 달 11일, 코로나19 종식(엔데믹)을 선언했다. 3년을 넘긴 코로나19 비상체제가 막을 내리고 이제 7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바로 지금이 지난 3여년 간의 경험을 되짚어보고, 국가 방역체계에 대한 종합적 평가가 필요한 시기이다. 즉, 현재의 방역체계가 어느 정도 감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에 기여했느냐에 대한 효율성 평가와 더불어 그러한 체계를 뒷받침하고 있는 규범체계가 얼마나 헌법합치적인가에 대한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코로나19라는 비상상황이 유지된 3년이라는 시간 동안 정부의 방역시스템은 많은 실험과 비판 속에 변화했고, 이에 따라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도 수차례의 개정이 이어졌다. 본 고에서는 감염병예방법이 담고 있고 변화를 겪은 많은 제도 중 감염자 접촉추적 시스템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감염자 접촉추적 시스템이란 감염자와의 접촉자를 식별하여 감염 여부 등을 확인하고 격리함으로써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위한 총체적인 관리체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접촉추적은 역학조사의 일환으로 오랫동안 행해져 왔다. 주로 감염자에게 누구를 언제 얼마동안 만났는지 탐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을 뿐이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접촉추적 방식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제고하고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해주었다. 기술의 힘을 보탠 감염자 접촉추적 시스템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 바, 첫째는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식으로서 GPS 신호를 기반으로 한 위치정보 및 출입국 기록, 신용카드 사용내역 등을 토대로 감염자의 동선을 추적하고 방문기록과의 결합을 통해 접촉자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유럽이나 미국에서 활용한 방식으로 블루투스 기반의 감염자 접촉추적 기술을 활용하여 접촉자를 확인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폰 앱과 블루투스를 활용해 접촉자의 정보를 저장해 놓았다가, 후에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으면 그 저장된 접촉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에 의할 때 접촉자 확인 및 식별에 정부의 개입 여부를 기준으로 중앙집중형과 분산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2가지의 감염자 접촉추적 시스템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감염자 접촉추적 시스템을 최종 점검하고자 한다. 우선 한국의 감염자 접촉추적 시스템은 국가에 의한 광범위한 개인정보의 처리를 수반한다. 질병관리청의 정보처리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개인정보가 통합되고 분석된다. 그렇지만 투명하지 않은 정보처리를 통해 개인정보보호권이 형해화될 위험이 있다. 이는 과잉금지의 원칙과 투명성의 원칙에 대한 중대한 위반을 구성한다. 반면 앱과 블루투스를 통한 접촉추적 방식은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위치정보의 수집을 배제함으로써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수단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바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부터 시작되고, 그 성공 여부 역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달려 있다. 개인정보 보호 등에 있어서 신뢰할 수 있는 앱이어야 한다는 것은 이 방식이 제대로 가동하기 위한 기본전제인 것이다. 어떠한 감염자 접촉추적 시스템이건 접촉추적의 과정에서 필히 다양한 개인정보의 처리가 수반되기... On May 5, 2023,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nnounced that COVID-19 was no longer a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lso declared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11th of the same month. After more than three years, the COVID-19 crisis is over. Now is the time to look back on the experience of the past three years and make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national system for prevention of epidemics. In other words, the assessments a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system in preventing and controll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to evaluat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legal basis underlying the system. During the three years of the COVID-19 emergency, the government’s system for prevention of epidemics has evolved after much experience and criticisms, and Infectious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Act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In this article, I will focus on contact tracing system among the many systems contained in the Act. First of all, the contact tracing has been practiced for a long time as part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However, advances in technology have made contact tracing more efficient, faster, and more accurate. Technology-Assisted Contact-Tracing systems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types: the first is the method used in South Korea, which tracks the movement of infected people through location data based on GPS signals, immigration records, credit card usages and etc. and combines them with visitation records to identify contacts. The second is the method used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o identify contacts by utilizing Bluetooth-based Technology-Assisted Contact-Tracing, which is based on storing contact information using a smart phone app and Bluetooth, and then send a warning message to the stored contacts if they are tested positive for corona. Thi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types based on whether the government is involved in ve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ntact. In this paper, I compare and analyze the two contact tracing systems to finally check the contact tracing system in Korea. First of all, South Korea’s contact tracing system involves the processing of a wide range of personal data by the state. Various personal data is integrated and analyzed through the KCDC’s data processing system.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the right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may be eroded through non-transparent data processing. This constitutes a serious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On the other hand, contact tracing system via apps and Bluetoot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 privacy-friendly method that minimizes government intervention and excludes the collection of location data. However, this approach starts wit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its success depends on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e basic premise for this method to work is that the app must be trustworthy in terms of privacy protection. In any contact tracing system, the process of contact tracing necessarily involves the processing of various personal data, so the principles relating to processing of personal data must be strictly observed. This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e design of the system.

      • KCI등재

        집단 갈등 문제에 대비한 집단 간 간접 접촉 방법의 통합적 적용

        이봉민 ( Bong Min Lee ) 한국법교육학회 2012 법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집단 갈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집단 간 접촉 방법들을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를 검토하고 그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 다원화시대에 인종 및 문화적 차이, 다양한 가치간과 이해관계의 대립으로 인해 집단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시민교육에서는 이러한 집단 갈등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해 관심을 갖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단 간 접촉 이론은 집단 간 편견을 줄이고 집단 관계를 개선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다양한 형태의 접촉 방법들은 분절적으로 연구되고 적용되어 왔을 뿐, 상호 보완 가능성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았다. 이에 직접및 간접 형태의 집단 간 접촉이 갖는 공통점과 차이를 확인하고, 통합적으로 활용 가능한지살펴보았다. 먼저 접촉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접촉 상황을 좀 더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상황으로 구성하고 구체적이며 맥락적으로 정교화시켜 제시할 필요가 있다.이 과정에서 상상 접촉 및 대리 접촉과 의사사회 접촉을 상황에 맞게 조합하여 활용함으로 써 각 접촉 방법이 갖고 있는 장단점을 상호 보완시켜 집단 관계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을것이다. This article present the possibility for a integrated application of various forms in intergroup contact to improve the intergroup conflicts. Intergroup contact theory has provided a variety of effective ways in which intergroup contacts can reduce prejudice and improve intergroup relations. But, as the various forms of intergroup contact has been studied and applied in the field, their interconnection has been the main focus of attention. This article accounts for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the dynamcs of various(direct and indirect) intergroup contacts. We als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application in indirect contacts. For the maximally effective strategies in the application of indirect contact, the scenario need to be elaborate specifically and contextually. That imagined contact is integrated with vicarious contact and parasocial contact provides effective strategies for improving intergroup relations and conflicts.

      • KCI등재

        게슈탈트치료의 기독교상담적 적용 - ‘접촉’을 중심으로 -

        박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본 논문의 목적은 게슈탈트치료의 ‘접촉’ 개념을 기독교상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기독교상담에서 내담자와 하나님과의 접촉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 이와 관련된 적용 영역을 살펴보았다. 서론에서는 게슈탈트치 료에서 말하는 ‘접촉’ 개념을 성경에서는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성부 하 나님, 성자 예수님, 성령 하나님의 접촉 양식을 살펴보았다. 성부 하나님은 흙으로 아 담을 빚으시면서 최초의 인간과 접촉하셨으며, 성자 예수님은 인간의 몸으로 이 땅에 오셔서 수많은 사람과 접촉하면서 복음을 전하시고, 병든 자들을 고치셨다. 성령 하나 님은 각 사람의 마음에 충만하게 임하시는 접촉을 통해 변화된 삶을 살게 했다. 본론 에서는 ‘접촉’의 기능과, 접촉의 종류를 언급했으며, 접촉의 차원에는 감각적 차원, 신 체적 차원, 감정적 차원, 언어적 차원, 명상적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또한 접 촉의 방해요인 등을 기독교상담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살펴보았는데, 게슈탈트치 료에서 접촉의 방해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내사, 투사, 융합, 반전, 자의식 등을 언급 한 후 기독교상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했다. 게슈탈트치료는 접촉을 통하여 신 체적, 심리적, 관계적 영역의 회복을 강조하고 있는데, 영적인 접촉은 크게 강조되지 않고 있다. 기독교상담에서 접촉의 치료적 효과는 육체적 치유와 심리적인 치유 더 나아가 영적인 치유와 더불어 인격적인 변화와 성장이라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연구 자는 게슈탈트치료의 ‘접촉’ 개념을 기독교상담의 영적인 영역에서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study how to apply the concept of contact in Gestalt therapy to christian counseling. Thinking that counselees' contact with God is very important in christian counseling, the researcher explored the related areas of application. In the introduction, the researcher studied how the concept of contact in Gestalt therapy is expressed in the Holy Bible and explored modes of contact with God the father, Jesus the son and the Holy Spirit. God the father created Adam from clay and ca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man; Jesus the son came to this earth as a human being, preached the gospel and healed the sick coming into contact with many men. The Holy Spirit allowed humans to lead their changed lives by coming contact with them fully present in the mind of each human. In the main subject, the researcher explored how to apply the functions, kinds, of contact, etc. to christian counseling. The dimension of contact was divided into sensory dimension, physical dimension, emotional dimension, linguistic dimension, and meditative dimension After mentioning introjection, projection, confluence, retroflection, deflection which were thought to be the obstructions of contact in Gestalt therapy,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applicability to christian counseling. While Gestalt therapy emphasizes the recovery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areas based on contact, it does not spiritual ones. In Christian counsel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contact is seen as personal change and growth along with physical healing, psychological healing, and spiritual healing.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thought that the concept of contact in Gestalt therapy is fully applicable to the spiritual areas of christian counseling.

      • KCI등재

        소아기호증자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사례분석 -일명 ‘어금니 아빠’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최용성,곽대훈 한국범죄심리학회 2019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사춘기 이전의 아동(일반적으로 13세 이하)을 상대로 성적행위를 실행한 일명 ‘어금니 아빠’ 이영학의 판결자료를 기반으로, MTC: CM3의 (Ⅰ)축인 아동에 대한 심리적 고착화 정도 여부와 (Ⅱ)축인 아동과의 심리적 접촉빈도 여부에 따른 분류유형을 적용하여, “소아기호증자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사례분석-일명 ‘어금니 아빠’ 살인사건을 중심으로-”을 진행하였다. 이 유형을 적용한 결과, 그 정신장애를 가진 일반적 소아기호증자는 DSM-5에서 정의한 소아기호증의 세 가지 진단기준과 기존 MTC 분류유형의 세 가지 변경사항에 의해 높은 고착(Ⅰ축)-높은 접촉(Ⅱ축) 소아기호증자와 낮은 고착(Ⅰ축)-낮은 접촉(Ⅱ축) 소아기호증자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또한 (Ⅱ)축인 소아기호증자의 심리적 접촉빈도유형에 의해 (Ⅰ)축인 소아기호증자의 심리적 고착화 정도유형이 달라지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MTC: CM3분류유형의 (Ⅰ)축인 높은 고착-낮은 사회적 능력(유형1), 높은 고착-높은 사회적 능력(유형2), 낮은 고착-낮은 사회적 능력(유형3), 낮은 고착-높은 사회적 능력(유형4) 소아기호증자의 네 가지 심리적 고착화 정도를 기준으로 ‘이영학’의 판결자료를 비교·분석한 뒤, (Ⅱ)축인 높은 접촉-대인적 접촉(유형1), 높은 접촉-자기애 접촉(유형2), 낮은 접촉-낮은 신체적 손상-착취적인 비가학적(유형3), 낮은 접촉-낮은 신체적 손상-억제적인 가학적(유형4), 낮은 접촉-높은 신체적 손상-공격적인 비가학적(유형5), 낮은 접촉-높은 신체적 손상-공격적인 가학적(유형6)의 여섯 가지 소아기호증자 접촉빈도 유형을 적용하여, 그 (Ⅰ)축에 각각 해당하는 소아기호증자의 심리적 접촉빈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DSM-5에서 정의한 소아기호증의 진단기준에 ‘일부’ 포함하는 MTC: CM3의 (Ⅰ)축인 낮은 고착-높은 사회적 능력(유형4)-(Ⅱ)축인 낮은 접촉-높은 신체적 손상-공격적인 가학적(유형6)의 소아기호증자 유형에는 ‘이영학’이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아동에 대해 강한 성적폭행과 성적협박 또는 성적약취가 반복적으로 동반되는 등의 ‘단순한’ 유형의 소아기호증자에 해당이 되었다. 특히, ‘이영학’은 반사회적 성격으로 인한 일탈적 행위발생이 원인이 되어 자신의 잠재된 성적 충동을 외부에 표출하는 Sexual Psychopath Addiction(성적 사이코패스 중독) 소아기호증자에 해당되었다. 따라서 이영학은 아동에 대해 ‘약한’ 성적관심(아동에 대한 ‘성적고착화’ 정도)을 가지는 반사회성 성적장애자로 책임능력이 ‘인정’되 형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자에 해당하므로, 그 범죄적 억제를 제거할 수 있는 물리적 예방조치정책을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pedophilia by applying classification types depending on the level of psychological fixation to children representing (I) axis of MTC: CM3 and frequency of psychological contact with children representing (II) axis of MTC: CM3 based on court ruling on so called ‘molar teeth father’ murder case who raped a minor (aged thirteen or fewer). When applying above mentioned type,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pedophilia were classified into people with high fixation (I axis)-high contact (II axis) and people with low fixation (I axis)-low contact (II axis) based on three diagnosis criteria for pedophilia as defined in DSM-5 and three changed in existing MTC classification types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psychological fixation of people with pedophilia representing I axis depending on psychological contact frequency of people with pedophilia representing II axi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psychological contact frequency of people with pedophilia representing I axis by applying six contact frequency types ; high contact-personal contact (type 1), high contact-self love contact (type 2), low contact-low physical damage – exploitative non sadistic (type 3), low contact- low physical damage –repressive sadistic (type 4), low contact- high physical damage –aggressive non sadistic (type 5), and low contact- high physical damage –aggressive sadistic (type 5) representing II axis after making analysis of a ruling on Lee Yeonghak based on four psychological fixation levels ; high fixation – low social competence (type 1), high fixation – high social competence (type 2), low fixation – low social competence (type 3) and low fixation – high social competence (type 4) representing (I) axis of MTC: CM3 classification types. This study found that Lee Yeonghak falls under low fixation-high social competence (type 4) representing (I) axis of MTC: CM3 as defined in DSM-5 and low contact- high physical damage- aggressive sadistic (type 6) representing (Ⅱ) axis and ‘simple’ type of pedophilia with strong sexual violence, threat or capture towards childre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Lee Yeonghak’ comes under ‘Sexual Psychopath Addiction’ that expresses potential sexual drive caused by antisocial personalit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nforce physical preventive actions towards ‘Lee Yeonghak’ because he falls under a person with antisocial sexual disorder having ‘weak’ sexual interest towards children(level of ‘sexual fixation’ towards children) and effect of punishment is expected and criminal responsibility is recognized.

      • SCOPUSSCIEKCI등재

        T-SCAN을 이용한 교정치료후의 교합접촉 변화에 관한 연구

        정기훈,김재덕,김광원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교정치료가 끝난 26명의 환자에서 T-Scan을 이용하여 교정치료직후와 3개월후에 교합접촉의 변화를 구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총접촉수의 변화와 전치부접촉수의 변화, 구치부 접촉수의 변화 및 총접촉되는 치아수와 전치부와 구치부의 접촉되는 치아수의 변화를 비교분석한 바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평균적인 총접촉수의 변화는 교정치료 종료시 11.27개에서 3개월후 13.15개로 증가하였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전치부 접촉수에 있어서는 변화가 없었다. 3. 구치부 접촉수의 변화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1). 총접촉수의 변화는 구치부 접촉수의 변화에 기인하였다. 4. 총접촉치아수에 있어 변화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5. 전치부의 접촉치아수는 약간 증가하기는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6. 구치부 접촉치아수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p<0.05). 7. 초기 치아접촉수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접촉수의 변화량은 약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초기 접촉수가 적을수록 보다 많은 접촉수의 증가가 있었다는 것을 보인다(r=-0.38, p<0.05).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ooth contacts following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Scan system. Occlusal contacts in maximum intercuspation were examined in 26 patients at the end of the active phase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again 3 months into the retention phase to assess the initial posttreatment occlusal changes. The obtain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total number of contacts increased from 11.27 at the end of orthodontic to 13.15 at the follow up visit, which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2. The change of number of contacts on anterior teeth was unchanged. 3. The change of number of contacts on posterior teeth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nat (p<0.01). 4. The change of total number of teeth in contact was significant (p<0.05). 5. The number of ant. teeth in contact was slightly increased, but Which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6. The number of post. teeth in contact significantly increased,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7.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total number of contacts at the end of treatment and the change in the contacts over time. The fewer the number of tooth contact was at the end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greater number of tooth contact increased over time(r=-0.38, p<0.05).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과의 접촉유형과 유형별 접촉빈도가 중학생의 외집단 호감도에 미친 영향 -지식과 자아 내 타자포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이화 ( Yi Hwa J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생과의 직접접촉과 확장접촉을 한 경우와 접촉유형별 접촉빈도 따라 외집단에 대한 태도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와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학생과 직접접촉, 확장접촉, 비접촉한 집단 간 외집단 호감도에 차이에서 직접접촉집단이 비접촉집단에 비하여 외집단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접접촉과 확장접촉이 외집단 호감도에 미친 영향에서 지식과 자아 내 타자포섭(Inclusion of other in the self)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접접촉집단과 확장접촉집단 모두 지식의 매개효과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IOS는 완전 매개하여 외집단 호감도를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접접촉빈도와 확장접촉빈도, 지식과 IOS, 외집단 호감도 간의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접접촉빈도는 IOS를 완전 매개하였고 확장접촉빈도는 지식과 IOS 모두 완전 매개하여 외집단 호감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improvement of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direct contact and extended contact with multi-cultural students in Danwon-gu, Ansan and Seo-gu, Incheon. First, direct contact compared to extended contact and non-contact group showed higher degree of preference on out-group. Second, both direct contact group and extended contact group had no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and full mediating of IOS. Third, direct contact frequency had full mediating effect of IOS and extended contact frequency had full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and IOS.

      • 신체접촉 인식 및 요구에 대한 보육교사의 목소리

        김보미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6 발도르프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보육과정을 실천하는 교사와 국가수준의 보육과정 뿐만 아니라 발도르프교사 교육을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신체접촉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법 및 요구를 분석하여 신체접촉을 활 용한 교육의 질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 충남지역에서 근무하는 보육 교사 각 3명씩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인 귀납적 내용분 석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구문제와 관련된 5개의 주제와 11개의 부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는 (1) 신체접촉에 담긴 생각들, (2)신체접촉에 더하기, (3)신체접촉을 통한 변화, (4)신체접촉의 장벽, (5)신체 접촉의 질적 개선을 위한 지원과 같은 주제 등으로 나타났다. 모든 교사가 신체접촉에 대해 중요하다 고 인식하였으며 접촉을 통한 아이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하지만 발도르프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은 신 체접촉이라는 것이 교사가 영유아를 향한 진정성이 담긴 특별한 행위라고 하였으며, 신체접촉의 장벽 은 교사 스스로의 마음가짐이라고 하였다. 그 만큼 질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실천방법도 연구 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신체접촉과 관련된 교사교육과정 지원이 지향되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plan for qualitative physical contact by analyzing way of doing and requirement about physical contact with teachers who performs childcare program in national level and teacher who experienced Waldorf education. For this, we executed interview with 6 child-care teacher who works in Daejeon Chungnam area, and the study issue related 5 topic and 11 sub-topics were appear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quality analysis of collected material, (1) thoughts contained in physical contact (2) adding to physical contact (3) change through physical contact (4) barrier of physical contact (5) support for qualitative physical contact were deducted. Every teacher recognized physical contact is important and experienced change of children through the contact. However, teachers who experienced Waldorf education said physical contact is special behavior having sincrerity toward infants, and barrier of physical contact is mental attitude of teachers themselves. Through this, we realized practice method continues to develop through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where child-care teacher's physical contact related institute of distance teacher education goes to.

      • KCI등재

        청소년 국제교류에서의 접촉 양과 질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4, 5, 6학년을 중심으로

        전윤령,이봉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국제교류에서의 접촉 양과 질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2019년 8월 5일부터 9일까지 강원도 고성에서 열린 제17회 걸스카우트 국제야영에 참가한 초등 4, 5, 6학년 188명을 대상으로 SPSS 23.0을 이용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국제교류에서의 접촉 양과 질이 다문화수용성의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했다. 분석결과 다양성과 관련해서 접촉 변인 중 대화빈도와 접촉 질, 성적이, 관계성과 관련해서는 접촉 질, 대화 목격빈도, 성적이, 그리고 보편성과 관련해서 영향을 미치는 접촉 변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집단 간 우정을 다지는 청소년 국제교류에서의 접촉 양은 접촉 빈도나 접촉 수보다대화 빈도에서 유의미했다. 청소년 국제교류가 긍정적이고, 즐겁고, 협력적이고 필요하고 친밀하고 자발적이라고 평가한 접촉 질은 다양성과 관계성에서 유의미했다. 민간청소년단체의 국제교류활동이 보편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점으로 보아 상위규범의 보편성 함양 방법에 대한 추가적 검토가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ontact. The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for 188 elementary school girls who participated in the 17th Girl Scout International Camping held in Goseong, Gangwon-do from August 5 to 9, 2019 to verify the effect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ontact in international exchanges on International exchang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s a result of analysis, in relation to diversity,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the quality of contact, the quality of contact, the relationship, the quality of contact,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and the contact variables that affect universality were not confirmed. The quantity of contact in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youths who fostered friendship between groups was more significant in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than the frequency of contact or the number of contacts. The quality of contact, which evaluated youth international exchange as positive, enjoyable, cooperative, necessary, intimate and voluntary, was significant in diversity and relationship. Since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of private youth organizations have not influenced universality, further review on how to cultivate universality of upper norms is requi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pecific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multicultural acceptance were presented.

      • KCI등재

        차륜/레일의 구름접촉을 위한 유한요소모델 및 접촉피로 수명평가

        서정원,전현규,배영훈,여인호 한국도시철도학회 2022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10 No.1

        Fatigue damage on the rail surface is caused by repeated rolling contact between the wheel and the rail. Such damage to the rail surface affects ride comfort, noise and driving safety. If proper maintenance is not performed, the rail may break and cause a major accident. It is important to evaluate and predict fatigue damage caused by rolling contact for safety and maintenance of rail. In this paper, a procedure and a finite element model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rolling contact fatigue damage of rail. A submodel technique was used to accurately evaluate the repeated rolling contact and the elasto-plastic behavior of the material. Since the surface of the rail undergoes plastic deformation in rolling contact with the wheel, th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changes, so the contact pressure was obtained through elasto-plastic analysis. From the rolling contact fatigue life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cracks occurred at a depth of 2.4 mm from the rail surface, parallel to the surface and almost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레일 표면의 피로손상은 차륜과 레일의 반복적인 구름접촉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러한 손상은 승차감, 소음 및 주행안전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만일 적합한 유지보수가 수행되지 않으면 레일의 파단이 발생하여 대형사고를 일으킨다. 레일의 안전성 확보와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구름접촉에 의해서 발생하는 피로손상을 평가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레일의 구름접촉피로손상을 평가하기 위한 절차 및 유한요소모델을 개발하였다. 반복적인 구름접촉과 재료의 탄소성 거동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서브모델 기법을 사용하였다. 레일의 표면은 차륜과의 구름접촉으로소성변형이 발생하고, 레일의 접촉면 형상이 변화하므로 탄소성 해석을 통하여 접촉압력을 구하였다. 접촉피로수명평가로부터, 균열은 레일 표면에서 2.4mm 떨어진 깊이에서 표면과 수평이고, 구름방향의 거의 직각인 방향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