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時代 湖南儒學의 전개 양상과 의의

        朴鶴來(Park Hak-rae)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본고는 호남유학에 대한 선행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호남 유학의 전개양상과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고, 지방분권화 시대에 있어 호남지역 유학사상의 의미 및 현재적 의의를 제시하여 향후 과제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호남유학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호유학이나 영남유학에 비해 그 독자적 영역이나 의미에 대해 소홀히 취급한 감이 없지 않았다. 그 이유는 대체적으로 조선 성리학을 이해할 때 주로 李滉와 李珥를 중심으로 그 학맥과 理氣論의 경향, 그리고 지역과 정치적 입장이 결합되는 구도 하에서 크게 기호와 영남으로 나누어 이해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17세기 이후 노론 정국 하에서 정치·사상계가 학맥을 바탕으로 지방이 결합하는 현상이 뚜렷해진 시기에는 어느 정도 타당한 점이 있지만, 그 이전 시기나 19세기 이후에까지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호남유학이라는 명칭을 통해 퇴계학파나 율곡학파처럼 학문적 동질성을 공유하면서 지역적 기반을 함께하는 학파가 있었는가를 究明하는 것이 아니라, 호남이라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되었던 유학사상의 맥락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한국사상 흐름 전반에 걸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의미를 갖는가를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호남 유학의 사적인 흐름을 통해 호남 유학의 특징적 면모를 사림정신 발현과 실천적 의리정신의 표출, 다양한 학파의 공존과 대립, 개혁지향의 실천적 학문관, 문학적 풍모와 예술정신의 발현, 소통과 개방의 학문관 등으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 특징적 면모는 호남유학에만 드러나는 면모는 아니지만, 호남유학에서 드러난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고, 이것은 결국 호남 지역의 문화를 특징짓고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시키며, 동시에 지역민의 동질적 유대감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였다고 판단하였다. 호남 유학에 대한 관심은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호남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열과 관련이 깊다. 호남 유학을 비롯한 호남학에 대한 연구는 초보 단계이기는 하지만, 일련의 학계와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으로 볼 때 보다 진전된 형태로 드러날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새로운 학문의 틀을 만드는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과제인 만큼 연구방법론을 비롯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basing on the results of earlier researches on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is trying to find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Moreover, the further study task will be revealed by showing the meaning of the Confucian thoughts in the times of decentralization. In the mean time, the academic circle had little attention to the realm and the meaning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comparing to the other Confucian thoughts such as the Kiho region and the Yeongnam region Confucian thoughts. This phenomenon derived from the academic circle’s structure of understanding on the Chosun neo-Confucianism which is regionally understood such as the Kiho school and the Yeongnam school. And this understanding is influenced by the division of the Yi-hwang and Yi-i schools, the influence of li-qi theory, and the composition of the mixture of political situation with the regions. However, this understanding only relevant from the 17th century to 18th century under the ruling of Noron Party when the political and the ideological circles consolidated regionally by academic schools. Accordingly, rather than finding the regional Confucian school - such as the Teo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which had homogeneity in academics - by naming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the context and identity of Confucian thoughts in the Honam province will be confirmed and what kind of impact affected to the whole current of Korean thoughts by the Homan Confucian thoughts and its meaning and significance will be found in this study. By studying the history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it was summed up that the Homan Confucian thoughts had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manifestation of the spirit of Sarim, the expression of practical principle of righteousness, the coexistence and antagonism among various schools, innovative and practical academic view, the manifestation of literary appearances and artistic spirits, communicative and opened academic attitude. It is concluded that these distinctive traits, which were not the only traits of the Honam Confucianism though, featured the Honam culture, confirmed the regional identity, and simultaneously aroused the sense of bond of its people. It is deeply related with the scholars active interest on the Honam study that the interests on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Not only the Honam study but also the study on Honam confucian thoughts are in the initial stage, the future of these studies are promising thanks to the interests and concerns of academic circles and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it is required that the various perspective and dimensions on research methodology in framing new Honam study which is an experimental and creative task.

      • KCI등재

        儒家學者姜公輔的思想

        하성헌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Gang Gong Bo was a Vietnamese in Dang Dynasty. He was an excellent the prime minister at Hyun Jong in Dang Dynasty. He built a creative theory which combined governing thoughts and political thoughts based on Confucian thoughts. His political philosophy was an unified thoughts of the royalty to the emperor and the ideas of patriotism which was rooted in Confucianism. Gang Gong Bo’s political thoughts included the theory of moderation(中道). He emphasized the common people centered thoughts. His thoughts can contribute to build modern society. His thoughts can provide a new resource in building a new civilization and social reconcili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I want to excavate in Gang Gong Bo’s thoughts the resources which can be utilized to develop modern society. 강공보는 당나라 때의 베트남인이다. 그는 당 현종의 재상을 역임하여 당조 명상으로 칭해지고 있다. 그는 유학사상을 토대로 경세사상과 정치철학에 있어 독창적인 이론체계를 세웠다. 그의 정치철학은 유가의 임금에 대한 충성과 애국에 대한 이념을 하나의 통일체적인 사상으로 확립하였다. 강공보의 정치철학사상은 중도설中道說을 포괄하고 있다. ‘법선왕설法先王說’, ‘민본사상民本思想’, ‘의식이 족하고 예의를 세워야 하며’, ‘생태윤리의식’ 등을 중시하였다. 그 가운데 가장 가치가 있는 것은 바로 민본사상이다. 그의 민본사상은 개조와 전환 그리고 창신을 통해 현대사회에 유익한 모범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의 사상은 오늘날 인류의 정신문명건설과 사회화해를 건립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사상자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의 사상 가운데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부분을 개발하고 연구하여, 현대사회에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고유사상과 유교(儒敎)의 습합(習合) -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를 중심으로 -

        이상성 ( Lee Sang-s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4

        한국은 한국고유의 사상을 가진 나라이다. 역사가 시작된 이래 한국이라는 지형 안에서 한국인에 의해 형성되어온 고유한 사상이 바로 한국고유사상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한국인의 삶의 원천으로서 일상생활에 다양하게 작용하여 왔다. 한국고유사상의 특질로는 첫째, 신이한 영묘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민족의 시원인 단군신화에서부터 비롯되어 한국고대사회와 당시 사람들에게 깊이 스며들었다. 신이함은 비합리적 요소가 아니다. 하늘로부터 비롯된 높고 고귀한 정신이며, 이성만으로 설명 안되는 정신적 특성이다. 고대로부터 내려온 신시적 영명함은 한국적 고유 정신의 핵심이다. 다음으로, 일체적 공존성을 들 수 있다. 한국인들은 일찍부터 ‘한민족’이라는 일체감 속에서 한마음으로 살아왔다. 고대부터 하나의 민족이라는 의식 속에서 공동체를 가꾸며 삶을 영위해 왔다. 이러한 한국고유사상은 외래사상을 수용하는 바탕이 되었다. 그것은 특히 유교사상을 수용하여 생활 속에 녹여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고대 한국인들은 고유한 사상적 특징을 바탕으로 외래사상인 유교를 수용했다. 그런 과정에서는 크게 세 가지 특성을 보였다. 첫째, 유교를 자기 자신의 신념에 의해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생활 속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둘째, 유교를 현실에 맞게 변용하고 실정에 맞도록 적용하거나 실천하였다. 셋째, 유교를 수용하되 다른 외래사상과의 공존과 조화를 도모하는 형식을 띠었다. 그리하여 한국인들은 한국고유사상이라는 특수성 속에서 유교라는 보편성을 띤 외래사상을 원만하게 수용하였으며, 한국적 특색을 지닌 한국유교로 발전시키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런 모든 과정을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Korea is a country which has its own indigenous thoughts. Ever since the beginning of its history, there have been some indigenous thoughts developed by Koreans within the terrain of Korea, which can be defined as indigenous Korean thoughts. They have been diversely affecting Korean’s daily life, as the essence of their live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indigenous Korean thoughts is their mysterious and marvelous mysticalness. This characteristic started from the Dangun mythology, the origin of Korean people, and has been deeply infused into the ancient Korean society and people around that time. Mysticalness is not an irrational element. It is a high and sublime belief derived from the Sky and a spiritual trait that cannot be explained only through rationality. The theocratic mysticality or clarity which has been handed down from the ancient times is the essence of the indigenous Korean thought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ir compatibility that allows coexistence. Since early times, Koreans have been living their lives together within the sense of unity that they are ‘the Korean race.’ That is, they have been lead a communal life with the sense of one race, while cultivating their communities. These indigenous Korean thoughts have become a foundation to accept the foreign thoughts. Particularly,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thoughts of Confucianism and making them infused into the daily life. Ancient Koreans have accepted Confucianism, the foreign though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digenous thoughts. During this process, there have been three major characteristics as well. Firstly, they intended to independently adopt Confucianism based according to their own faith and belief, and then to implement it in their lives. Secondly, they adapted and transformed Confucianism to be true to reality and applied them or put them into action in a practical way. Thirdly, they had a format of accepting Confucianism yet promoting coexistence and harmony with other foreign thoughts as well. Accordingly, Koreans have smoothly accepted the foreign thoughts called Confucianism which possessed universality within the frame of particularity of indigenous Korean thoughts, establishing the foundation to develop them into Korean Confucianism with unique Korean characteristics. This dissertation studies these whole process with the focus on Samguk Yusa: Heritage of the Three Kingdoms and Samguk Sagi: History of Three Kingdoms.

      • KCI등재

        사회 : 사회사상의 연구영역과 유학 사회사상의 서술문제

        이영찬(Lee Young-Chan) 한국국학진흥원 2003 국학연구 Vol.3 No.-

        본 논문은 『한국 유학사상 대계』 중 『유학 사회사상』의 집필 영역 및 방향과 서술상의 문제를 논의한 글이다. 연구는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① 『대계』류에서 유교 사회사상을 다룬 선행 연구들을 검토해 본 결과 연구대상이나 관점이 매우 제한되어 있었다. 오히려 사회철학 혹은 사회학적 관점에서 나온 단독 저서들에서 유희 사회사상을 서술하는 범례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았다. ② 한국 유학 사회사상의 기술을 위한 입각점을 사회학에서 찾고 사회사상의 성격을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로, 그리고 사회사상의 학문적 위상을 철학과 문학사이, 이론과 실천 사이에 위치시켰다. ③ 한국 유학사회사상의 고유한 연구분야로 사회학의 연구분야에 입각하여 사회관, 사회변동 사상, 사회불평등 사상, 성의 사회사상, 가족 사회 사상, 사회문제 사상, 인성과 사회화 사상, 일탈과 통제 사상, 사회발전 사상, 미래사회 사상 등을 제시했다. ④ 유학 사회사상 기술 방향에 대해 다음 몇 가지를 제안했다. 첫째, 분야별, 주제별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유학 사회사상은 유학의 논리로 설명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사상은 현재를 위한 사상일 필요가 있다. ⑤ 마지막으로 유학 사회사상 연구와 서술상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토론에서 지적된 문제점에 대한 짧은 해명으로 논의를 마무리했다. In this treatise, the sphere, course, and issues of description of the Confucian social thoughts, which is a section of the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are discussed. The subject comprises; ① According to the studies on former researches on Confucian social thoughts in the 『outlines』show limited points of view. Rather, more examples cloud be found in the writings of social philosophy and sociology. ② The standpoint of describing Korean Confucian social thoughts were placed in the sociolog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thoughts were classified into ideology and utopia, and placed the scientific status of social thoughts between the philosophy and literature, theory and practice. ③ As for the characteristic field in Korean Confucian social thought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sociology, such items were discussed as the view of society, thoughts on social changes, social inequality thoughts, social thoughts on sex, social thoughts on family system, thoughts on social problems, human nature and socialized thoughts, thoughts on deviation and control, thoughts on social progress, thoughts on future society. ④ A few basic directions of describing the Confucian social thoughts; firstly, the study should b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e areas and themes. Secondly, Confucian social thoughts should be discussed in the logic of Confucianism. Thirdly, social thoughts should be a present oriented one. ⑤ Finally, limits in the study and description of Confucian social thoughts were presented, then finished with brief explanations for the issues discussed in the forum.

      •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강안학(江岸學)과 고령(高靈) 유학(儒學)에 대한 시론(試論)

        정우락 ( Woo Lak Jeong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본고는 고령 유학의 전반적 성격과 특징, 그리고 전망을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낙동강 연안에 위치한 고령의 지리적 특수성에 입각하여 `江岸學`이라는 새로운 가설을 통해 영남 유학의 성격을 시론으로 살핀 다음, 거기에 입각하여 고령 유학의 특징을 구명하는 것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퇴계학과 남명학을 중심으로 영남학을 읽던 기존의 관점을 극복하는 측면에서, 나아가 한강이나 금강 등 전국적 범위의 강안학을 고령지역에 적용시키고 있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의를 확보하고 있다. `江岸`이라는 용어는 영남지역의 詩歌문학적 특성을 살피면서 제출되어 낙동강 연안을 중심으로 유학사상사를 새롭게 이해하자는 쪽으로 확대 적용되었다. 즉 강좌의 退溪學派와 강우의 南冥學派로 양분되던 영남학을 강안지역의 寒旅學派를 다시 설정하여 소통과 화합의 영남학을 구축하자는 것이었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이 용어가 탄생한 것이니, 강안학은 16세기 이후라는 시간적 범위, 상주에서 창원에 이르는 공간적 범위, 유학사상이라는 학문적 범위를 포괄한 개념이다. 이 개념을 더욱 확장하여 강을 중심으로 한 한국학 전반을 새롭게 이해하는 구도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강안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의 성리학이 유입되었고 이후 사림파가 성장하였다. 길재나 김숙자와 김종직, 그리고 김굉필이 강안 지역에 거점을 마련하고 활동하였다는 사실은 이를 증명하기에 족하다. 고령지역은 김숙자가 현감직을 수행하면서 초기 사림이 뿌리 내리기 시작했고 김종직의 후손이 살면서 사림파 着根의 한 표본이 되었다. 강안학의 특징은 기호학과 영남학, 혹은 퇴계학과 남명학의 會通性, 박학에 바탕 한 실천정신을 지닌 實用性,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담보된 獨創性을 들 수 있다. 강안지역에 위치한 고령지역은 이 같은 강안학의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도 고령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회통성의 경우 고령 유학은 畿嶺學의 회통성보다 退南學의 회통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며, 퇴남학의 회통성에서도 남명학 쪽으로 다소 경사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남명학의 저류와 그 발전적 면모를 통해 고령 유학의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용주의에 입각한 실천정신은 역사에 대한 관심과 의병활동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고령 유학이 지닌 최대의 특징이다. 그리고 독창성은 朴而章의 양명학 수용 가능성과 서양철학 도입을 통한 李寅梓의 유교개혁사상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사정을 고려하며 고령 유학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면, 고령지역의 강안학적 특수성을 살리면서도, 회통성과 실용성, 그리고 독창성이 역동적 상생관계를 구축하며 새로운 시대를 위한 응전력을 키워나가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and then prospected its future. First of all,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Yeongnam Confucian thoughts through a new hypothesis called `Ganganhak`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oryeong which is located along the shores of the Nakdong River. On the basis of this, the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This process is significant in that it escaped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understand Yeongnam Confucian thoughts based on Toegyehak and Nammyeonghak and that it applied Ganganhak, that covers the entire nation including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to Goryeong region. The term `Gangan`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features of poetry literature of Yeongnam region and then employed to renew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n the region around the Nakdong river. That is, `Gangan` was used to recreate Yeongnamhak, which had been divided into Toegye school on the left side of the Nakdong river and Nammyeong school on the right side of the river, into Hanryeo school in the regions around rivers to build communicative and cooperative Yeongnamhak. Given that the term Gangan emerged under the awareness of such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Ganganhak is Confucian thoughts created in the area from Sangju to Changwon in the 16th century. If Ganganhak is further expanded, it may develop into a concept that renew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tudies based on rivers. It was through regions around the rivers that Korean Confucianism was imported, and later Sarim faction also grew up. This is proved by the fact that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and Kim Goeng-pilpursued their studies and carried out academic activities in the regions around the rivers. Sarim faction emerged in Goryeong region while Kim Suk-ja was the country magistrate called `Hyeongam` of Goryeong. Later, Sarim faction took root in Goryeong due to the efforts of Kim Jong-jik`s descendants who settled down in the region. Ganganhak is characterized by the conciliation of Gihohak and Yeongnamhak or Toegyehak and Nammyeonghak, practicality based on wide knowledge, and creativity based on the new perception of the world. Goryeong region located around the river wa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Ganganhak and had its own geographical peculiarities. As for the conciliation,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ere more conciliated with Toenamhak than with Giryeonghak. Especially it was more conciliated with Nammyeonghak, a part of Toenamhak. Therefore, the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can be examined though the development of Nammyeonghak. Practical mind based on practicality were embodied into interests in history and Uibyeong`s activities, which are the biggest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th regard to creativity, Park, I-jang`s possibility of accepting Wang Yang-ming School and Lee In-jae`s Confucian reform though the instruction of Western philosophy can be discussed. Given all this, it is expected that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ll develop further in the future by maintain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Goryeong region and building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its features, conciliation, practicality and creativity.

      • KCI등재

        江岸學과 高靈 儒學에 대한 試論

        정우락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and then prospected its future. First of all,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Yeongnam Confucian thoughts through a new hypothesis called ‘Ganganhak’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oryeong which is located along the shores of the Nakdong River. On the basis of this, the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This process is significant in that it escaped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understand Yeongnam Confucian thoughts based on Toegyehak and Nammyeonghak and that it applied Ganganhak, that covers the entire nation including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to Goryeong region. The term ‘Gangan’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features of poetry literature of Yeongnam region and then employed to renew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n the region around the Nakdong river. That is, ‘Gangan’ was used to recreate Yeongnamhak, which had been divided into Toegye school on the left side of the Nakdong river and Nammyeong school on the right side of the river, into Hanryeo school in the regions around rivers to build communicative and cooperative Yeongnamhak. Given that the term Gangan emerged under the awareness of such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Ganganhak is Confucian thoughts created in the area from Sangju to Changwon in the 16th century. If Ganganhak is further expanded, it may develop into a concept that renew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tudies based on rivers. It was through regions around the rivers that Korean Confucianism was imported, and later Sarim faction also grew up. This is proved by the fact that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and Kim Goeng-pil pursued their studies and carried out academic activities in the regions around the rivers. Sarim faction emerged in Goryeong region while Kim Suk-ja was the country magistrate called 'Hyeongam' of Goryeong. Later, Sarim faction took root in Goryeong due to the efforts of Kim Jong-jik's descendants who settled down in the region. Ganganhak is characterized by the conciliation of Gihohak and Yeongnamhak or Toegyehak and Nammyeonghak, practicality based on wide knowledge, and creativity based on the new perception of the world. Goryeong region located around the river wa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Ganganhak and had its own geographical peculiarities. As for the conciliation,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ere more conciliated with Toenamhak than with Giryeonghak. Especially it was more conciliated with Nammyeonghak, a part of Toenamhak. Therefore, the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can be examined though the development of Nammyeonghak. Practical mind based on practicality were embodied into interests in history and Uibyeong's activities, which are the biggest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th regard to creativity, Park, I-jang's possibility of accepting Wang Yang-ming School and Lee In-jae's Confucian reform though the instruction of Western philosophy can be discussed. Given all this, it is expected that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ll develop further in the future by maintain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Goryeong region and building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its features, conciliation, practicality and creativity. 본고는 고령 유학의 전반적 성격과 특징, 그리고 전망을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낙동강 연안에 위치한 고령의 지리적 특수성에 입각하여 ‘江岸學’이라는 새로운 가설을 통해 영남 유학의 성격을 시론으로 살핀 다음, 거기에 입각하여 고령 유학의 특징을 구명하는 것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퇴계학과 남명학을 중심으로 영남학을 읽던 기존의 관점을 극복하는 측면에서, 나아가 한강이나 금강 등 전국적 범위의 강안학을 고령지역에 적용시키고 있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의를 확보하고 있다. ‘江岸’이라는 용어는 영남지역의 詩歌문학적 특성을 살피면서 제출되어 낙동강 연안을 중심으로 유학사상사를 새롭게 이해하자는 쪽으로 확대 적용되었다. 즉 강좌의 退溪學派와 강우의 南冥學派로 양분되던 영남학을 강안지역의 寒旅學派를 다시 설정하여 소통과 화합의 영남학을 구축하자는 것이었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이 용어가 탄생한 것이니, 강안학은 16세기 이후라는 시간적 범위, 상주에서 창원에 이르는 공간적 범위, 유학사상이라는 학문적 범위를 포괄한 개념이다. 이 개념을 더욱 확장하여 강을 중심으로 한 한국학 전반을 새롭게 이해하는 구도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강안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의 성리학이 유입되었고 이후 사림파가 성장하였다. 길재나 김숙자와 김종직, 그리고 김굉필이 강안 지역에 거점을 마련하고 활동하였다는 사실은 이를 증명하기에 족하다. 고령지역은 김숙자가 현감직을 수행하면서 초기 사림이 뿌리 내리기 시작했고 김종직의 후손이 살면서 사림파 着根의 한 표본이 되었다. 강안학의 특징은 기호학과 영남학, 혹은 퇴계학과 남명학의 會通性, 박학에 바탕 한 실천정신을 지닌 實用性,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담보된 獨創性을 들 수 있다. 강안지역에 위치한 고령지역은 이 같은 강안학의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도 고령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회통성의 경우 고령 유학은 畿嶺學의 회통성보다 退南學의 회통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며, 퇴남학의 회통성에서도 남명학 쪽으로 다소 경사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남명학의 저류와 그 발전적 면모를 통해 고령 유학의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용주의에 입각한 실천정신은 역사에 대한 관심과 의병활동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고령 유학이 지닌 최대의 특징이다. 그리고 독창성은 朴而章의 양명학 수용 가능성과 서양철학 도입을 통한 李寅梓의 유교개혁사상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사정을 고려하며 고령 유학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면, 고령지역의 강안학적 특수성을 살리면서도, 회통성과 실용성, 그리고 독창성이 역동적 상생관계를 구축하며 새로운 시대를 위한 응전력을 키워나가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예술 : 한국유학사상대계에서 음악사상분야 서술의 문제점과 대안

        송지원(Song Ji-won) 한국국학진흥원 2003 국학연구 Vol.3 No.-

        본 연구는 한국유학사상韓國儒學思想 가운데 드러나는 음악사상音樂思想을 어떻게 서술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탐색하는 일종의 제안서이다. 먼저 기존 연구 가운데 부분적이나마 음악사상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업적에 대해 살핀 후 그 문제점을 검토해 보고, 기존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서는 새로운 서술 범위와 방향, 대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유학이 도입된 이후의 한국음악사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면서 유학사상의 관점에서 이룩된 여러 음악서술과 문헌사료들을 검토한다. 또 그 가운데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내용들을 찾아내어 한국유학사상 가운데 음악사상 분야 서술을 위한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해 볼 것이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 우리나라에 유학儒學이 유입된 이후 한국음악의 사상적 기반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학사상儒學思想이 유학사상 안에서 음악적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모색할 수 있는 기회이다. 둘째, 여러 종교적, 사상적 배경에서 복합적으로 이룩된 한국음악의 여러 특징 가운데 특별히 유학적 기반이 무엇인지 밝힐 수 있는 기회이다. 셋째 한국유학사상 가운데 음악사상을 추려냄으로써 통시적으로 큰 맥을 더듬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is paper can be considered as a suggestion searching for the proper way of describing the musical thoughts in the Korean Confucian Thoughts. First, investigating relevant works already made and review its issues, then search for the new scope, direction, and alternatives where no study has ever been carried out yet. The history of Korean music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fucianism in general shall be outlined, by studying musical writings and references drawn up on the basis of the Confucian Thoughts. Also subjects which need to be examined shall be deduc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issues and alternatives of musical thoughts within the Korean Confucian Thoughts. This research has a few significant meanings. Since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 Thoughts to Korea, it had comprised a meaningful portion in the basis of Korean musical thoughts. Firstly, this research shall provide us an opportunity to study how the Confucian Thoughts had realized itself in music. Secondly, it shall also provide us an opportunity to find out the specific Confucian character among the various religious and ideological background of Korean music. Finally, this will also be an opportunity of groping the basic veins of Koran music by sorting musical thoughts out from the Korean Confucian Thoughts.

      • KCI등재

        고려시대 유교사의 추이와 개성

        마종락 ( Chong Rak Ma ) 한국중세사학회 2005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18

        In this paper, I devide Goryeo Dynasty into two period-prior and later period-for researching confucian thoughts. Later period is divided three time-military officers controlling period, Yuan interfering period, and the ending period. Dividing in like this, we understand Goryeo politics and stream of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more well. Because in Goryeo Dynasty politics and stream of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are closed together. And confucian thoughts is extended for politics power. I will look for some problems in those periods. In prior time, noble`s literary learning is pervaded. I research it`s character and how it can be. In military officers controlling period, confucian thoughts power is weak. But literary intellectuals act eagerly. I research it`s value and background. In Yuan interfering period, neoconfucianism is received. I research it`s character and how it can be. In ending period, confucian learners pursued reformation eagerly. I research their political actions and thoughts tendency. At that results, I can understand that confucian thoughts is extended for politics power during Goryeo Dynasty. Generally confucian learners is responsible for politics and act so. They think confucian thoughts to be weighty for politics. And they accepted neoconfucianism for more politics power. Now neoconfucianism can be general power discourse and it will be finished to construct Chosun Dynasty.

      • KCI등재

        儒家學者姜公輔的思想

        하성헌 ( He Cheng-xua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강공보는 당나라 때의 베트남인이다. 그는 당 현종의 재상을 역임하여 당조 명상으로 칭해지고 있다. 그는 유학사상을 토대로 경세사상과 정치철학에 있어 독창적인 이론체계를 세웠다. 그의 정치철학은 유가의 임금에 대한 충성과 애국에 대한 이념을 하나의 통일체적인 사상으로 확립하였다. 강공보의 정치철학사상은 중도설中道說을 포괄하고 있다. ‘법선왕설法先王說’, ‘민본사상民本思想’, ‘의식이 족하고 예의를 세워야 하며’, ‘생태윤리의식’ 등을 중시하였다. 그 가운데 가장 가치가 있는 것은 바로 민본사상이다. 그의 민본사상은 개조와 전환 그리고 창신을 통해 현대사회에 유익한 모범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의 사상은 오늘날 인류의 정신문명건설과 사회화해를 건립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사상자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의 사상 가운데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부분을 개발하고 연구하여, 현대사회에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Gang Gong Bo was a Vietnamese in Dang Dynasty. He was an excellent the prime minister at Hyun Jong in Dang Dynasty. He built a creative theory which combined governing thoughts and political thoughts based on Confucian thoughts. His political philosophy was an unified thoughts of the royalty to the emperor and the ideas of patriotism which was rooted in Confucianism. Gang Gong Bo’s political thoughts included the theory of moderation(中道). He emphasized the common people centered thoughts. His thoughts can contribute to build modern society. His thoughts can provide a new resource in building a new civilization and social reconcili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I want to excavate in Gang Gong Bo’s thoughts the resources which can be utilized to develop modern society.

      • KCI등재

        儒家?者姜公?的思想

        何成?(He Cheng-Xua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강공보는 당나라 때의 베트남인이다. 그는 당 현종의 재상을 역임하여 당조 명상으로 칭해지고 있다. 그는 유학사상을 토대로 경세사상과 정치철학에 있어 독창적인 이론체계를 세웠다. 그의 정치철학은 유가의 임금에 대한 충성과 애국에 대한 이념을 하나의 통일체적인 사상으로 확립하였다. 강공보의 정치철학사상은 중도설中道說을 포괄하고 있다. ‘법선왕설法先王說’, ‘민본사상民本思想’, ‘의식이 족하고 예의를 세워야 하며’, ‘생태윤리의식’등을 중시하였다. 그 가운데 가장 가치가 있는 것은 바로 민본사상이다. 그의 민본사상은 개조와 전환 그리고 창신을 통해 현대사회에 유익한 모범이 될 수있다. 이와 같은 그의 사상은 오늘날 인류의 정신문명건설과 사회화해를 건립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사상자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의 사상 가운데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부분을 개발하고 연구하여, 현대사회에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Gang Gong Bo was a Vietnamese in Dang Dynasty. He was an excellent the prime minister at Hyun Jong in Dang Dynasty. He built a creative theory which combined governing thoughts and political thoughts based on Confucian thoughts. His political philosophy was an unified thoughts of the royalty to the emperor and the ideas of patriotism which was rooted in Confucianism. Gang Gong Bo"s political thoughts included the theory of moderation(中道). He emphasized the common people centered thoughts. His thoughts can contribute to build modern society. His thoughts can provide a new resource in building a new civilization and social reconcili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I want to excavate in Gang Gong Bo"s thoughts the resources which can be utilized to develop moder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