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사)의 세계 시간과 지금·여기의 문화연구 -2010년대 이후 한국문학 발(發) ‘냉전문화’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장세진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With the reference of global Cold War research, this article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Cultural Studies of Cold War which have been produced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field since 2010 and to predict the direction of future tasks while describing its unique characteristics.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t the global level in the early 1990s, Cold War Studies in Western academia has shifted to Cold War History research. Unlike previous Cold War Studies, Cold War history research have two distinctive features. First, ‘the Regional Turn’ was made to describe the third world as the main character in the center of the two major power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Second, ‘the Cultural Turn’, which focuses on the practice of various subjects beyond foreign and military policies between countries, was also carried out. It seems that, as a divided country in the third world, Korea has got ahead of the perspectives of global Cold War History Research. The accept of Cultural Studies, however, in Cold War agenda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research field has a strange time lag about 10 years. This delay was largely due to the features of post colonialism, which has been the main driver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since the late 1990s. The postcolonialism introduced in Korea was mainly focused on the continuity of colonial symbolic heritage rather than after liberation. Ideologically, it was a major feature of national criticism. Ideologically, it was mainly oriented for the critic of modern nation state. Research on Cold War culture from Korean literature, which started belatedly in the late 2000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trends. First, it is a study of the movement due to the collapse of Jaanese empire and Cold/Hot War, Second, ia historical and contextual Cold War Culture studies combined with knowledge and scholarly learning, which is also an attribute of “Cultural Turn”, and Third, a new trend of Cold War culture combined with governmentality and popular culture. Since Korea’s “decolonization” period was exactly coincided with the period of violent national state formation, it seems clear that the Cold War cultural research, which has been driven by criticism of the nation state, has achieved considerable results. However,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also true that it was difficult to inspire the imagination of post division or unification. At this time of the new Cold War, institutionalization of peaceful inter-Korean relations is more urgent than ever, and political and “existential” imagination beyond the long-standing status quo of division seems to be essential for future Cold War cultural research in Korea. 이 글의 목적은 새계적 냉전연구의 흐름 속에서 2010년 이후 한국문학 발(發) 냉전문화 연구의 경향을 비판적으로 되돌아보고 그 독특한 특징을 기술하는 가운데 향후 과제의 방향을 전망해 보려는 것이다. 1990년대 초반 글로벌 차원의 냉전이 종식된 이래, 서구 학계에서 냉전연구는 냉전사 연구로 전환되었다. 기존의 냉전연구와 달리, 냉전사 연구는 두 가지 특징을 지니는데, 첫째 미국과 소련의 양대 강국 중심에서 제3세계를 주인공으로 기술하는 지역적 전환(global turn)이 이루어졌다. 들째, 국가 간 외교·군사 정책을 넘어서서 다양한 행위 주체들의 실천에 주목하는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 역시 함께 진행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경우 제3세계 분단국가로서 세계적 냉전사 연구의 흐름을 일정 부분 선취한 측면이 있지만, 문화연구와 냉전 아젠다와의 결합만큼은 세계 냉전사의 흐름과 10년 가량의 기묘한 시차가 있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시차는 1990년대 후반 이래 한국문학계의 주된 동력이었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성격에 기인한 바가 컸는데, 한국에 도입된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특징은 해방 이후보다는 주로 식민지 시기의 상징적 유산의 연속성에 대해 보다 집중했으며, 이데올로기적으로는 국민국가 비판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2000년대 후반 뒤늦게 시동이 걸린 한국문학 발 냉전문화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경향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첫째, 일본 제국의 붕괴와 냉전/열전으로 인한 이동, 즉 탈식민 디아스포라에 관한 연구 둘째, ‘문화적 전환’의 한 속성이기도 한 지식·학술과 결합한 역사주의적이고 맥락주의적인 냉전문화 연구, 셋째, 통치성 및 대중문화와 결합한 새로운 경향의 냉전문화 연구가 그것이다. 한국의 ‘탈식민’ 시기가 정확히 폭력적인 국민국가 형성기와 맞물려 있었던 까닭에, 국민국가 비판을 동력으로 한 그동안의 냉전문화 연구가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던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관점에서는 탈분단 혹은 통일에 관한 상상이 고무되기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다. 신냉전이 본격화되려는 이즈음, 평화적 남북관계의 제도화는 실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며, 분단이라는 오랜 현상유지를 넘어서는 정치적이고도 ‘실존적인’ 상상력이 향후 냉전문화 연구에 긴요해 보인다.

      • KCI등재

        탈냉전의 사유와 냉전의 이면 - 장세진, 『숨겨진 미래』(푸른역사, 2018)

        황병주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5 No.-

        This thesis aims to review Hidden Future with sub title genealogy of post cold war imagnation. This book try to reveal and rethink strata of cold war and post cold war in Korea. The author analyze many intellectuals from such as the middle-of-the-roaders in directly after liberation to Ham sukheon in 1970s. Cold war means long term peaceful coexistence as well as political, military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capitalist bloc and socialist bloc. There are several wars such as Korean war and Vietnam war but there is no war between USA and USSR in cold war period. Coexistence’s nick name is economy war. Two big countries try to prove their superiority with the superior production power. In this context, cold war era is a period of grand industrialization in northeast Asia. Market is a ideological symbol of cold war. Market economy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capitalism against planned economy of socialism. Liberal project based on market economy is a basic grammar of cold war. In the case of South Korea, ‘cold war liberalism’, combined political oppression and freedom of market, began to be formed There are many attempts to criticize cold war. Unification is one of them and most important symbol of post cold war because of cold war in Korea is based on divided Korea. The joint communique of 4 July 1972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have influenced so many intellectuals. But if the scheme which unification is post cold war is intermingled with nationalism it is difficult to deviate from the danger of nation-centrism. It would be a deja-vu that the scheme which establishing nation state is postcolonialism. 『숨겨진 미래』는 한국사회가 경험한 냉전의 여러 지층들을 들춰내어 다시금 재사유하고자 한다. 특히 냉전의 극성기에 진행된 탈냉전의 흔적을 찾아내어 그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다. 해방 공간의 중간파로부터 1970년대 함석헌의 평화 인식에 이르기까지 탈냉전을 위한 지식인들의 고민과 실천을 파악하고자 했다. 냉전은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대립이자 장기간의 평화공존을 의미하기도 한다. 한국과 베트남 등지에서 열전이 전개되기도 했지만 세계적 규모의 열전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대체로 미국과 소련은 평화공존의 길을 택했다. 평화공존의 다른 이름은 경제전쟁이었다. 미국과 소련은 자신들의 체제가 더 우월하다는 점을 경제적 생산력의 확충으로 증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1960∼1970년대 동북아시아는 거대한 산업화의 시기이기도 했다. 시장 자체가 일종의 냉전의 이데올로기적 대결장이기도 했다. 시장경제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특화된 형태로 재현되었고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대립항처럼 여겨졌다. 시장경제에 기반한 자유주의적 기획이 냉전의 기본 문법이 되었고 한국의 경우 정치적 부자유와 시장의 자유가 결합된 냉전 자유주의가 나타났다. 탈냉전의 유력한 시도 중의 하나는 통일이었다. 북한을 적으로 상정한 냉전 구도였기에 남북의 통일은 탈냉전의 가장 강력한 상징이었다. 많은 지식인들이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에 자극받아 통일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러나 탈냉전이 곧 통일이라는 단순 도식이 민족주의와 결합하게 된다면 국가와 민족 중심의 회로를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이는 탈식민화가 곧 민족국가 수립이라는 민족주의 도식을 반복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 : 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이봉범 ( Lee Bong-beo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오영진의 삶과 예술은 냉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미소분할 점령 하 남북한 모두에서 민족국가(문화)건설에 실천적으로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 경계를 넘나든 국제적 냉전경험을 바탕으로 문화냉전 전을 수행한 대표적인 지식인이다. 북한에서 조선민주당과 평양문협을 거점으로 한 민족문화건설이 좌절된 후 월남하여 대한영화사, 문총, 한국문화연구소 등을 기반으로 단정수립 후 격화된 남한사회의 ‘내부 냉전’의 중심에서 반공 분단국가 강화를 선도했다. 한국전쟁 기간에도 월남지식인들이란 특수집단을 기반으로 문총북한지부 결성 및 기관지 『주간문학예술』발간, 중앙문화사 창설 등 문예조직과 미디어의 공고한 연계를 토대로 한 전시 문화전을 주도했다. 조선민주당, 서북청년단, 반공통일연맹 등 월남인반공단체들과의 공조에 힘입은 바 크다. 오영진은 한마디로 숨은 냉전문화기획자 였던 것이다. 그 일련의 과정은 세계냉전과의 접속을 통해 촉진/ 제약된다. 오영진은 가장 앞서 세계자유문화회의, 유네스코 등 전후 문화냉전 전을 수행하고 있던 세계적 냉전문화 기구들과의 협력채널을 개척하여 연대를 모색했다. 이 채널을 통해서 최신의 서구 냉전문화를 수용하여 특유의 냉전문화론을 정립하는 한편 이를 자신이 관장한 미디어를 거점으로 효과적인 인정투쟁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문화 권력을 확보하기에 이른다. 또한 미공보원, 미극작가협회, 아시아재단 등 다양한 경로로 미국과 접속해 물적, 인적, 사상적 후원을 받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문화냉전 전이 가능했다. 이로 볼 때 오영진은 한국의 냉전문화연구의 유효적절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오영진의 냉전문화기획이 가장 돋보인 것은 전향공간에서 그가 기획ㆍ총괄한 한국문화연구소 주최의 종합예술제 개최이다. 이 종합예술제는 문학예술계, 지식인사회 전체를 전향의 한복판으로 끌어들여 문화지식인들의 자진 전향을 독려ㆍ강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지리적, 사상적 남북적대를 확대재생산하는 동시에 지배체제의 우월성을 배타적으로 승인ㆍ공고화 하는데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 분산적으로 진행되던 문화적 내부냉전을 공세적으로 확산시켜 내부평정작업에 크게 기여했던 것이다. 문화적 헤게모니투쟁의 역동적인 장으로 기능했던 전향공간의 정치적 논리를 기회로 포착해 월남지식인이란 불리한 신원을 역전시키며 문화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하는 놀라운 정치력을 발휘했던 것이다.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는 전향공간에서 자기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게 투사된 텍스트이자 내부냉전에서 승리한 친일문화인들이 냉전진영론에 입각해 한국문화계를 장악하고 구국 또는 애국의 이름으로 문화냉전을 주도하는 주체로 재탄생하는 극적 전환을 암시ㆍ정당화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열전의 와중에서 전개된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은 조직, 미디어의 물적 토대에다가 국방부 정훈국, 미공보원, 아시아재단 등의 후원과 원조까지 받음으로써 더욱 공세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특히 아시아재단과의 긴밀한 유대를 통해 오영진을 정점으로 한 월남예술인 집단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문화제도권으로 안정적인 진입이 가능했고 대공 사상(심리)전, 문화전의 전초가 될 수 있었다.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의 예술적 전략과 논리는 ‘기록주의’이다. 기록주의는 민족현실에 대한 처절한 위기의식의 산물로서, 열전 및 냉전의 한복판에서 존망의 위기에 처한 민족현실의 특수성을 비판정신에 입각하여 리얼하게 형상화하는 정신 내지 방법으로 제기된 것이었다. 기록성에 대한 지향은 당면한 반공 산주의 투쟁의 효과적인 방법적 대안이었으며, 서구 냉전예술과 접속하는 매개 고리로 세계의 초점으로 부상한 민족현실에 대한 기록주의를 통해 문화냉전 전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기 위한 욕망의 발현이기도 했다. 그의 기록주의는 대중계몽성 제고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선전전, 심리전의 유력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또 문학 예술적으로 새로운 기풍을 진작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반공주의와 민주주의의 모순적 결합을 내포한 것이기에 저항적인 담론으로 발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소군정하의 북한』은 기록주의의 전략적 텍스트였다. Oh Young Jin``s life and art are undivided from the cold war. He practically participated in South and North Korea``s nation building, each were under US and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He was also a typical intellectual who performed cultural cold wars with his borderless, international cold war experience. He led to entrench anticommunism(and the divided country, the result of that) in the center of South Korea``s internal cold war that had been intensifi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eparate government.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he also led cultural wars by the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media and the literature organizations of which the group of the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In a word, Oh Young Jin was a hidden cultural cold war planner. The process of that was promoted/limited by the access to the worldwide cold war. The cultural cold war planning by Oh Young Jin reached its peak at his planning of Composite Art Festival held by Korean Culture Institute. This Composite Art Festival bringing literature artists, intellectuals to the center of the conversion, encouraged and forced self conversions of them. So that it spread and reproduced geometric and ideologic hostil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served to recognize exclusively the superiority of South Korean ruling system at the same time. Living Lee Jung Sang his excellency is the text for the strong purpose of proving Oh Young Jin himself in conversion situation, as it implies and justifies the moment pro-Japanese winning the internal cold war was reborn who dominated south Korean cultural fields by logic of ideological blocs and led cultural cold wars in the name of patriotism. Oh Young Jin``s cultural cold wars during the hot war could be pushed forward with material foundations of the institute and media, in addition to the aid from AFIED(Armed Forces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 of Korea defense ministry, the US information service, and Asia foundation. The group of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was able to join stably in Korean nation and orthodox culture by the strong bond with Asia foundation especially, so that it made an outpost for ideological(psychological) and cultural wars to communism. The artistic strategy and logic of Oh Young Jin is ``record priority principle.`` The emphasis on record was a effective method for urgent anti-communism struggle, as a result of ambition to seize the initiative in cultural cold wars. It was also a method of an access to western cold war art that the ``record priority principle`` of Korean national reality which was focussed on globally. North Korea under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is the strategic text on record priority principle.

      • KCI등재

        냉전연구의 문화적 지역적 전환 문제

        백원담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5 中國現代文學 Vol.0 No.75

        This study focuses on the question of the cultural and spatial turn in Cold War Studies while comparing the achievements of New Cold War History Studies from the West and the newly rising Asian Cold War Studies. These could be classified as comparative socio-cultural historical orientation in Cold War Studies and cultural-political orientation in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reality of Cold War Asia. The US-centered New Cold War History Studies either follows realist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or ends up at the question of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interests even when it tries to understand the Cold War in terms of conflicts of thoughts, political system, and institutions. Although this approach can theorize the question of US-domination, it is unable to tackle the questions of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the dependent countries in systemization of the Cold War such as the overlapping questions of Americanization and Orientalism in construction of national states. The New Cold War Studies from Europe challenges the long-held concept of Cold War Studies as a policy-oriented discipline and advocates broadening of the scope of study to include locally based socio-cultural study of the subject, and building a relationship between Eastern and Western studies of the Cold War. However, it is still uninterested in postwar troubles of Asia produced by Europe’s violent redefinition of the continent in an attempt to re-live its past imperialist glories. Cold War Studies in Asia took off in the 21st century. It is no doubt an outcome of, alongside the rise of Asia as economic powers, the effort to construct postcolonial academic knowledge that challenges the hegemony of US-centered Regional Studies, its revisionist perspective, and absolute superiority in possession of historical records. It is a project to establish an independent and balanced perspective in search of Asia’s own voice. It was inevitable that Cold War Studies in Asia has been positioned outside the rigid academic disciplinarian classification and adopted the flexible form of Cultural Studies. Inter-Asia Cultural Studies Method, conceptualizing the Cold War as the principle of institutio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routinization in nationalization, enables Cold War Studies to reconstruct past and present of Cold War Asia rendering it visible the macro vision of build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national states’ in Asian countries, and the micro vision of Cold War’s internalization at the levels of the conscious, the aesthetic, the everyday, and the cultural. Asian Cold War Studies constitutes the new trend of global regionalization of Cold War Studies, and at the heart of it is New Cold War History Studies from China. It is not surprising because China’s founding as a socialist state brought the Cold War to Asia, and her participation in Korean War became the practical beginning of the systemization of the Cold War. However, the Chinese New Cold War History Studies should step up to the stage in which it overlaps China-centered temporality with Cold War Asia’s multiple temporalities, and attempts to grasp the landscape of countless postcolonial, post-Cold War projects contest and articulate, and newly created and collapsing imaginaries of relationship from the perspective of ‘double marginality.’ Cold War Studies in Korea is at the starting point herald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ld War Studies in February 2015. It opened up new public sphere by raising various questions and presenting diverse positions on the Cold War which is, unlike Europe, still going on in Asia as showed in armistice in Korean peninsula and heightening military tensions and territorial disputes in the Asian pacific region. In cooperation with scholars and research units in Asia as well as other parts of the world, the association plans to archive data on the Asian experience of the Cold War, and Asian subjects’ struggle agai...

      • 유럽 냉전의 개요 -"탈냉전"의 관점에서

        이동기 ( Dong Ki Lee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5 세계정치 Vol.22 No.-

        유럽 냉전은 냉전기 가장 강력한 군사동맹이있던 NATO와WTO의 대결체제로 특징지어졌다. 유럽인들은 냉전 형성과-독일분단을 포함해-강화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미국과 소련의 압박과 규정이 항상 따라 다녔지만, 유럽은 독일분단과 동맹체제 형성과 유지 및 재구축에서 능동적인 인지와 적극적인 실천을 보였다. 그러나 유럽인들의 능동성이 더 적극적으로 발현된 것은 동방정책과 유럽안보협력회의를 통한 데탕트 정치와 아래로부터의 평화운동이었다. 특히 헬싱기-프로세스는 미국과 소련의 지원이나 양해에도 불구하고 무엇보다 유럽 프로젝트였다. N+N국가들의 평화 기교 역할도 유럽 냉전의 특별한 점이었다. 결국, 유럽 냉전의 발전사는 위기나 공포를 넘어 대안적인 평화구상과 현실 적인 평화정치와 구체적인 "탈냉전"의 성취가 함께 따랐다. 그렇기에 유럽 냉전은 열전과 비교되는 ``상상의 전쟁``으로서의 냉전 양상을 보여 줄 뿐 만 아니라 평화의 발전사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한다. 물론, 유럽의 ``탈냉전``이 완성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냉전 극복에는 군사적 대결체제의 해체만이 아니라 이질적인 냉전 경험에 대한 더 많은 소통이 필요하다. The European Cold War was characterized by the confrontation between NATO and Warsaw Pact which constituted the strongest systems of a military alliance during the global Cold War. Europe was most definitely in the shadow of the superpowers. But, the Europeans played also a vital role in the formation and consolidation of the Cold War regime in Europe, accompanied by the division of Germany. Despite the controls and influences of USA and Soviet Union, Europeans in the West and East developed an awareness about their own thinking and practices in config-uring the Cold War Europe. However, the more evident culmination of the active role of Europe in the Cold War was Willy Brandt`s pursuit of Ostpolitik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which represented a strong desire to overcome the rigidities of the bloc system and a challenge to the excesses of bipolarity. In addition, the European neutral and non-aligned states took an active part in the mul-tilateral negotiations that led to developments of the ``European proj-ect`` for peace. They acted as initiators and mediated as coordinator the necessary compromises between East and West. Besides, the European peace movement of the 1980s helped the helped the peace politics continue and formed the foundation for a peaceful end of the Cold War in Europe. In this, the European Cold War was marked not only by the absence of wars. During the epoche of the Cold War, but the Europeans went on creating alternative peace politics ``post-cold war`` efforts and accomplished remarkable achievements. The history of the European Cold War can be more positively reinterpreted as the development history of peace which could go beyond the ``imaginary war``.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the Cold War in Europe didn`t end. To consummate the ``post-cold war`` in Europe, one has to learn learn to communicate rather more on heterogeneous and different life experiences and memories on the Cold War than on dissolution of the dissolution the military con-frontation system.

      • KCI등재

        냉전사 연구의 궤적: 정통주의에서 담론적 전회에 이르기까지

        오경환 ( Oh Kyung-hwa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이 논문은 냉전에 대한 기존의 역사적 접근을 정리하고 최근 대두한 새로운 인식론적 전회(들)을 분석하며 이 특집에 실린 다른 논문과의 연계 속에서 냉전사에 대한 담론적 전회를 모색한다. 지금까지 냉전사 연구는, 그 성과에도 불구하고, 냉전 자체의 설명력의 과도한 활용을 통해 냉전 시기 전개된 다양한 정치적·사회적·문화적 변화를 동어반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냉전사의 기획은 이제 냉전 자체의 재정의를 필요로 하고 있다. 냉전 시기라는 단순한 시대 지정에 의한 기술(記述)과 냉전적 구조라는 환원론적 분석을 넘어 냉전 자체의 역사화와 해체, 재구성이 필요한 지점이다. 냉전의 역사화와 해체적 재구성을 위해서는 국제정치학이 상정한 냉전의 행위 주체, 특히 국민국가를 보다 작은 단위의 실천(practice)로 분절화하고 이들 안에서 다양한 행위 주체성을 발굴해 내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행위 주체성이 추동하는 냉전의 역사화는 이미 진행되어온 냉전사의 “문화적 전회(cultural turn)”와 “전지구적 전회(global turn)”를 더욱 심화시키며 나아가 “담론적 전회(discursive turn)”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냉전 기간 생산되는 지식, 특히 사회과학 지식은 냉전적 상황에 대한 반응만은 아니었다. 이들은 냉전 구조 자체를 강화하거나 재생산하기도 하고, 나아가 냉전적 구조에 균열을 일으키기도 하며, 냉전 이후에도 지속적인 영향력을 가져왔다. 냉전 기간 지식의 진리-주장(truth claims)과 정치가 맺는 복잡한 관계를 탐색하는 것은 냉전의 복잡다단한 구조와 전개를 비-환원적으로 분석하는 단초가 될 것이며 냉전이 우리 시대에 갖는 지속적인 지적 영향력과 함의를 유추할 수 있는 역사적 근거가 될 것이다. 나아가 냉전사의 담론적 전회는 지식 자체 뿐 아니라 지식생산·유통 제도와 기제에 초점을 맞추어 냉전을 분석하여 냉전이라는 역사적 대상 자체가 담론적 구성물(discursive construct)이며 냉전 체제가 생성하는 지식은 냉전에 “관한” 것일 뿐 아니라 냉전 자체를 “구성”하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냉전 당대의 냉전사의 성립과정과 소련 문서고 개방 이후 냉전사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냉전의 사회과학 지식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이 논문은 냉전사의 담론적 전회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at surveying existing literature in Cold War history and analyzing epistemological turns, for the possibility of a discursive turn in Cold War history. Despite its accomplishments, the Cold War history so far cannot escape tautological explanations of a variety of Cold War phenomena through reciting the Cold War. The enterpis of the Cold War history requires a radical redefinition through historicization,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old War, beyond simple description according to chronological designation as well as reductive analysis. The historicization and deconstructive reconstruction of the Cold War re-articulates the nation-states, primary agencies in the Cold War history, into multiple practices and rediscovers a variety of hitherto overlooked agencies. The historicization of the Cold War based on multiple agencies will further the cultural and global turns, while pointing to a possibility of the discursive turn. The knowledge, especially social specific corpus of knowledge, produced in the Cold War was not simple reaction to the Cold War: it also fortified, reproduced or even cause cleavages in the Cold Wat structure, while having lasting impacts in the post-Cold War socie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th-claims of the Cold War knowledge and the Cold War politcis may be the starting point for non-reductive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This discursive turn may also inform us of the fact that the emphasis on the knowledge production and circbulation in the Cold War reveal the very discursive nature of the Cold War itself, testifying that the Cold War knowledge was not only “about” but also “constitutive of” the Cold War itself.

      • KCI등재

        이승만 정부 초기 자유민주주의론과 냉전담론의 확산

        김봉국(Kim, Bong-Guk)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6

        이 글은 분단정부의 출범과 함께 가속화된 남한의 냉전 반공국가로의 재편과정을 냉전담론과 그것에 밀착된 자유민주주의론의 확산현상에 주목해서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이 글은 ‘냉전’ 개념 자체를 미국과 이승만정권의 당파적 세계인식의 논리와 시각으로 문제시하고, 그것의 정치성과 확산양상을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당대 복수의 진영담론과 反냉전담론이 경쟁・공존했음에도 불구하고 냉전담론이 어떻게 지배와 저항의 메커니즘과 맞물려 확산되었는가를 분석했다. 동시에 이 글은 당대 냉전논리와 시각의 확산을 집권세력에 의한 위에서 아래로의 일방적 선전과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위와 아래가 모두 그것에 긴박되어갔던 양상에 주목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출범 초기 취약한 남한의 체제 및 지배정당성의 확보를 위해 이승만정권의 ‘이데올로기적 담론’으로 기능했던 냉전담론이, 역으로 체제 내 비판세력의 저항논리와 자원으로 전유되었음을 밝혔다. 즉 지배의 자원인 냉전논리와 그것에 밀착된 자유민주주의 이념이 역으로 저항의 논리와 이념으로 전유되어 지배권력을 비판하는 양가적 현상을 발생시켰음을 주장했다. 그리고 바로 이와 같은 지배와 저항의 구조와 맞물린 냉전적 시각과 논리의 순환구조에 의해 남한 내 냉전담론의 사회적 확산이 이루어졌음을 강조했다. 요컨대, 이 글은 이승만 정부 초기 냉전논리와 시각을 기축으로 지배와 저항의 동학이 발생시킨 사회상에 주목해서 냉전담론의 확산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승만 정부 초기 특정 ‘보기의 방식’ 중 하나였던 냉전논리와 시각이 세계인식의 틀로 체제화 되어갔던 과정을 분석했다. 동시에 냉전담론의 확산과정에서 부상한 자유민주주의 이념이 남한의 지배적 가치와 규범으로 자리잡아갔던 양상 역시 검토했다. This study examined South Korean accelerated reconstruction into the Cold War and anticommunist state with the advent of the divided government by focusing on Cold War discourse and diffusion of liberal democracy attached to that. First of all,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Cold War’ as partisan logic and world view of the United States and Rhee Syngman Government, and questioned its politicality and diffusion. And also it analyzed how Cold War discourse got diffused under interlock with dominance-resistance mechanism despite the competition and coexistence of multiple bloc discourses and anti-cold war discourses. In the process, the study reviewed that Cold War logic and the diffusion of such a view was not made by one-sided propaganda or pressure of top-down approach by the governing power, but both top and down got bound with that. The review showed that the Cold War discourse used by Rhee Government as an ‘ideological discourse’ to secure vulnerable South Korean regime and its legitimacy to rule at its beginning, on the contrary, was appropriated as resistance theory and resources of the critical force in the regime. That is, cold war logic and liberal democracy attached to as the resource of dominance was contrarily appropriated as the logic and ideology of resistance which criticized the ruling power, ambivalent phenomenon. The study emphasized that cold war view and circulation structure of logic interlocking with the dominanceresistance mechanism led to social diffusion of Cold War discourse in South Korea. In conclusion, the diffusion of Cold War discourse was examined centering around the social aspect caused by the dominanceresistance dynamics based on the Cold War logic and view in the early period of Rhee Government. Through the review, the study analyzed the process that the theory and view of Cold War as one of specific ‘ways of seeing’ of early Rhee Government got ideologized as the framework for world view. At the same time, the study reviewed how the ideology of liberal democracy emerging during the diffusion of Cold War discourses got settled into the dominant value and norm in South Korea.

      • KCI등재

        ‘탈냉전’ 시대 동아시아 북방학의 가능성

        任佑卿 ( Im Woo-ky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8 No.-

        이른바 세계적 ‘탈냉전’ 시대, 과거로 물러나 버린 ‘냉전’ 시대의 역사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최근 글로벌냉전사 연구가 활발하다. 이들은 냉전의 지역적 다양성과 주변의 행위주체성에 주목하면서 연구패러다임의 ‘지역적 전환’을 꾀하고, 냉전이 개인들의 일상적 문화적 층위에 미친 깊은 영향을 강조하면서 ‘문화적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냉전은 종식되었다’라는 역사적 명제와 ‘냉전은 종식되어야 한다’는 가치 평가적 명제는 거의 모든 분야의 담론에 암묵적 전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냉전’이라는 패러다임 자체는 대결하는 양쪽 진영의 세력이 대등하다는 착시를 초래하고 나아가 냉전 대결의 양방을 양비론적 태도로 접근한다. ‘탈냉전’ 시대 이와 같은 냉전서사는 애초 사회주의적 이념이 자본주의를 극복하려는 아래로부터의 민주적 열망과 연계되어 있음을 간과하게 만들고, 그와 관련된 역사를 정리되어야 할 과거로 치부하거나 아예 역사의 지표 아래로 소거해 버렸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은 1989년 제기되었던 북방관계연구 시론에 주목하고 ‘북방’이라는 개념과 범주에 기대어 실은 패권적 패러다임인 ‘냉전’과 ‘탈냉전’ 패러다임 자체를 심문하고 해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남한의 이북으로서 북방이란 북한을 포함하여 중국, 몽골, 소련 및 동구의 공산권 국가들을 가리킨다. 북방은 사회주의적 이념과 실천의 연쇄, 그리고 상호연대를 통해 구축된 관계적 구성물이었다. 사회주의적 이념과 실천의 연쇄라는 점에서 북방범주는 또한 남한과 일본, 대만, 베트남과 동남아시아의 혁명과 민족해방운동으로 확장된다. 그런 점에서 필자는 동아시아 북방학을 제안한다. 동아시아 북방학은 동아시아라는 지역을 토대로 북방의 트랜스내셔널한 연대의 사상과 실천을 교훈삼아 현실개혁의 동력으로 삼는 학술적 실천이며 지적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As the era of the so-called "post-cold war" has come, historicalization of the "cold war" era, which has already become a past, has been carried out, and research on global cold war history has been active recently. Noting the regional diversity of the Cold War and behavioral subjectivity of the periphery, they are trying to make a "local transformation" of research paradigm and they are trying to seek a "cultural transition" by emphasizing the deep impact the Cold War has had on individuals' daily and cultural strata. However, the historical premise of "The Cold War is over" and the valuation premise of "The Cold War should be over" are implicitly prefixed to discourse in almost every field. In addition, from the very beginning the paradigm of "Cold War" leads to the illusion that the forces of the opposing camps are equal, and furthermore, the two sides of the Cold War confrontation are all bad. Cold War narratives such as this one in the era of the "post-cold war" initially made us forget that socialist ideology was linked to democratic aspirations from below to overcome capitalism, and dismissed the history associated with it as a past that should be sorted out, or even wiped it out below historical indicators. In this regard, this paper notes the theory of Northern Relations Research, which was raised by Sunho Hong in 1989, and argues that the hegemonic paradigms "Cold War" and "Post-Cold War" paradigm itself need to be interrogated and deconstructed by rais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he North”. Here, the “North” means north of South Korea, referring to communist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China, Mongolia,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north was a chain of socialist ideologies and practices, and a relational construct built through mutual solidarity. Given that it is a chain of socialist ideologies and practices, the northern category also extends to revolutions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in South Korea and Japan, Taiwan, Vietnam and Southeast Asia. In this regard, I propose Northern Studies of East Asia.

      • KCI등재

        냉전과 ‘원숭이’ 표상

        남상욱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사이 Vol.25 No.-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verify aspects of ‘Cultural Cold War' and ‘Culture of Cold War' on focusing the representation of 'monkey' during Cold War. The Cultural Cold War is defined a global and academic cultural strategy designed to confront the enemy and rally our forces amid the logic of division of the Earth, that developed into a movement to stop animal images of enemies developed during World War II and to rally allies by establishing human figures with brains. Rebellion or acquiescence of this cultural Cold War creates a unique culture of the Cold War : Pierre Boulle and Oe Genzaburo summoned the monkey in a form of questioning the shape of the human being forced by the cultural Cold War, but the representation of ‘Monkey’ in “the Planet of the Apes” is performing its function to maintain the presence of the Cold War. The aspects of Cold War culture cannot be fully understood by just demonstrating that it is part of American cultural strategy, or by interpreti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hat have been forgotten as a product of the Cold War. Thus it's more understandable through these two-way attempts. This understanding ultimately leads to the fact that the Cold War is not just a past history, but still remains a problem as one of the cognitive coordinates that divides humans and animals today. 이 글은 냉전기 ‘문화냉전’과 ‘냉전문화’의 양상을, ‘원숭이’ 표상을 통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구를 양분하는 진영 논리 속에서 적과 대립하고 아군을 규합하기 위한 지구적, 학제적 차원의 문화 전략을 ‘문화냉전’으로 부를 수 있다면, ‘문화냉전’은 제2차 세계대전 속에서 전개된 적에 대한 동물 표상을 일단 중지하고, 뇌를 가진 인간의 형상으로 재규정함으로써 아군으로 규합하려고 하는 움직임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문화냉전’에 대한 반발이나, 혹은 묵인이 독특한 냉전의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 피에르 불이나 오에가 문화냉전이 강제하는 ‘인간’의형상을 의문에 부치는 형식으로 ‘원숭이’를 소환했다면, 영화 ≪혹성탈출≫ 속의‘원숭이’ 표상은 그러한 ‘문화냉전’에 동조하거나 묵인함으로써 실은 냉전체재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냉전기 문화의 양상은 미국의 문화전략의 일환임을 실증하는 것만으로도, 혹은 그것을 망각한 채 이루어진 다양한 문화적 행위를 냉전의 산물로서해석해내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규명될 수 없고, 양자를 횡단하는 시도들을 통해서좀 더 제대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냉전이 단순히지나간 역사가 아니라, 오늘날 인간과 동물을 나누는 하나의 인식론적 좌표 중 하나로서 여전히 문제를 남기고 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

      • KCI등재

        냉전과 두 개의 중국, 1950~60년대 중국 인식과 중국문학의 수용

        이봉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2

        냉전 종식 후 하나의 중국정책의 영향 속에 취해진 대만과의 단교/중공과의 수교조치는 중국에 대한 접근과 인식태도를 근본적으로 전환시킨 중대사건이었다. 이러한 대전환 이면에는 중국문학에 대한 인식과 수용의 굴곡진 역사가 개재되어 있다. 차오위의「雷雨」수용사가 이를 잘 대변해준다. 냉전기 중국에 대한 접근과 중국문학의 수용은 대만(선택)/중공(배제)의 틀로 단순화되지 않는 복잡성을 지닌다. 마오쩌둥에 대한 지식인사회의 지속적 관심에서 보듯 배제되었다고 여겨진 것이 또 다른 맥락에서 실체적 흐름을 형성하며 중국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개척하고 있었다. 1950~60년대 두 개의 중국에 대한 접근은 냉전의 거시적 규율과 한국의 냉전외교정책에 의해 촉진/제약된다. 1954년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과 1966년 아시아태평양이사회(ASPAC)의 창설로 구체화된 한국주도의 아시아지역구상은 미국의 동아시아전략과의 부정합성으로 군사동맹체의 성격이 탈각되는 대신 아시아국가와의 문화적 교류, 협력관계를 촉진시키는 역설적 계기가 된다. 1950년대 대만과의 문화교류도 주로 APACL을 매개로 선전전 차원에서 시행된 동남아예술사절단 파견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데, 반공과 독재를 근간으로 한 사상적 연대라는 범주를 넘어서지 못했다. 저널리즘을 통해 증식된 중공에 대한 담론도 정보가 차단된 상태에서 심리전에 경사된 미국 정보에 의존한 결과 냉전적 적대를 양산하는데 그친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중국에 대한 접근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데탕트국면의 도래와 박정희정권의 아시아중시 외교정책에 따라 지피지기승공론의 차원에서 중공을 중심 대상으로 한 아시아의 공산주의와 근대화에 대한 연구가 촉진된 것이다. 특히 포드재단, 아시아재단 등 미국 민간재단의 원조에 의해 국제적 냉전네트워크와의 긴밀한 연계 속에 전문적인 중공 연구가 트랜스내셔널한 차원으로 확장되기에 이른다. 대만에 대한 관심은 초점이 경제로 이동하며 대만의 근대화 문제로 집중된다. 이 같은 두 개의 중국에 대한 이해의 지평은 중국문학의 번역과 수용에도 대체로 적용된다. 1950년대 후반 세계문학전집에서 중국문학의 비중은 현저히 낮았고, 중국의 전근대문학이거나 대만작가의 작품이 포함되었을 뿐이다. 당대 상상된 세계문학에서 중국문학은 배제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번역 전체의 지형으로 볼 때 중국문학은 영미문학 다음으로 많았는데, 대부분 중국문학이란 특징 하에 전근대문학, 대만의 무협소설, 일부의 대만 전후문학, 그것도 상당수가 중공과 대만에서 배척된 문학이 번역되는 기형성을 나타낸다. 1950~60년대 외국문학의 번역 및 수용은 냉전검열에 의해 규율되는 일반성을 지니는데, 중국문학의 번역이 가장 불구성을 나타낸 것은 검열의 영향뿐만 아니라 대학제도, 전문학회의 존재와 학술지 발간의 지속성, 대학원을 중심으로 한 학술연구의 재생산기반, 미디어의 관심도 등 제도적 차원의 물적 토대가 허약했던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산물이다. 1960년대 임어당 붐과 루쉰 문학이 냉전반공을 뒷받침하는 사상적, 문화적 자원으로 수용되는 양상도 냉전기 중국문학 수용의 축소, 왜곡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특이하게 냉전기 중국문학의 번역, 수용의 불구성 속에서도 일련의 중국문학사 저술이 하나의 흐름으로 존재한다. 중국신문학에 대한 체계적 서술의 ...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Korean government broke diplomatic relations with Taiwan an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Communist China. These actions transformed Koreans’ attitude toward China fundamentally. Behind these turn, there is a difficult history of acceptance of Chinese literature in Cold War Korea. It is a good example that the acceptance of Cao Yu’s “Thunderstorm” in Cold War Korea. Korean approaches to china and acceptance of Chinese literature in Cold War period can’t be just characterized by a binary structure: selecting Taiwan and excluding Communist China. As Korean intellectuals’ continued interest in Mao Zedong shows, what is officially considered excluded had promoted another way to understand China. In 1950s and 60s Korea, relationship with two Chinas was promoted or, conversely, limited by Korean governments’ Cold War controls and diplomatic policies. It was foundations of Asian People’s Anti-Communist League (APACL) in 1954 and Asian and Pacific Council (ASPAC) in 1966 that materialized Korean governments’ Korean-led Asian regional initiative. Though these organizations couldn't be military alliance such as NATO because it would conflict American East Asian policies, it promoted paradoxically Korean cultural exchanges and cooperations with other Asian countries. In 1950s,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aiwan were mostly taken in form of goodwill missions’ Southeast Asia tour held by APACL, these tours are nothing but a ideological solidarity based on Anti-communism and dictatorship. Korean journalism’s discussions on Communist China also followed Cold War antagonism because their sources was very limited and depended on American materials. However, It began a new phase of Korean approach to China in the 1960s. As détente mood has arrived and Park’s Administration began to implement a more Asia-conscious foreign policies, it improved that studies of Communism and Modernization in Asia, especially Communist China. While American private foundations including Ford and Asia Foundations assist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old war networks, it became to broaden transnationally that area of study on Communist China. Koreans’ main interest about Taiwan was shifted from cultural issues to economic issues, focusing issues of Modernization in Taiwan. These changes on way to understand Two Chinas also work translating and accepting of Chinese literature. There are very little Chinese works in world literature anthologies in the late 1950s, and it were just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or Taiwanese writers’ works in them. Koreans didn't think that Chinese literature have significant for world literature a whole. However, Chinese literature was is second only to Anglo-American works in the number of translations, most of them included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Taiwanese wuxia fictions, and some of Taiwanese post-war literature. many of those translations are the excluded works in both Communist China and Taiwan. In 1950s and 60s, Korean translations and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were generally controlled by Cold War censorship, as well as its lack of academical and journalistic infrastructures: related department in high education system, scholarly societies, and academic journals. In 1960s, Lin Yutang’s and Lu Xun’s works were accepted as ideological and cultural materials which support Cold War Anti-communism. Besides Chinese literature were inevitably translated and got acceptation in Cold War context, a series of histories of Chinese literature were steadily published. These works have merits as systemic approach, but generally give Taiwanese literature legitimacy as a successor to Chinese modern literature. It also shows that the boundaries of Korean understanding Two Chinas was limited by Cold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