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김호진 ( Ho-jin Kim ),신재권 ( Jae-kwon Shin ),이철호 ( Cheol-ho Lee ),윤충원 ( Chung-weon 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금수산 일대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 보전과 관리의 기초자료제공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6년 6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식물사회학적으로 식생조사를 하였으며, 41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식생유형분류, 중요치, 일치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산림식생 분석결과, 신갈나무군락군에서 군락단위로 층층나무군락, 밤나무군락(식생단위 3), 굴참나무군락(식생단위 4), 신갈나무전형군락(식생단위 5)으로 분류되었으며, 층층나무군락은 느릅나무군(식생단위 1)과 담쟁이덩굴군(식생단위 2)으로 세분되었다. 평균상대중요치는 식생단위 1에서 물푸레나무 14.9%, 산뽕나무 8.7%, 고로쇠나무 8.3% 순으로 나타났고, 식생단위 2는 일본잎갈나무 23.2%, 층층나무 20.1%, 담쟁이덩굴 6.5%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단위 3은 신갈나무 15.8%, 밤나무 13.4%, 물푸레나무 9.8% 순으로 나타났고, 식생단위 4는 신갈나무 26.6%, 굴참나무 20.8%, 소나무 16.6% 순으로 나타났으며, 식생단위 5는 신갈나무 48.3%, 쪽동백나무 7.5%, 물푸레나무 5.3% 순으로 나타났다. 일치법 분석의 결과로서 식생단위는 해발 700m, 경사 20°, 지형은 사면중, 암석노출도 20%, 출현종수 30종, 교목층 식피율 80%, 교목층 수고 20m를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금수산 일대의 생태학적이고 지속가능한 산림식생관리를 위해서는 분류되어진 식생단위에 따라 차별화된 관리방법의 도출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eumsusan belong to Woraksan National Park for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f ecological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by 41 plots from June to November in 2016 using Z-M phytosociology method, which was analyzed with vegetation types, mean importance value and coincidence method. As the result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including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Castanea crenata community(Vegetation unit 3), Quercus variabilis community(Vegetation unit 4) and Q. mongolica community(Vegetation unit 5). C. controversa communit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group(Vegetation unit 1)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group(Vegetation unit 2). Mean importance percentage of vegetation unit 1 was showing Fraxinus rhynchophylla 14.9%, Morus bombycis 8.7% and Acer pictum subsp. mono 8.3%, that of unit 2 was Larix kaempferi 23.2%, C. controversa 20.1% and P. tricuspidata 6.5%, that of unit 3 was Q. mongolica 15.8%, C. crenata 13.4% and F. rhynchophylla 9.8%, that of unit 4 was Q. mongolica 26.6%, Q. variabilis 20.8% and Pinus densiflora 16.7%, that of unit 5 was Q. mongolica 48.3%, Styrax obassia 7.5%, F. rhynchophylla 5.3% in the order, respectively. Each vegetation unit was classified with dependance on environmental factors as 700m of altitude, 20° of slope degree, middle slope of topography, 20% of bare rock, 30 taxa of present species, 80% of tree layer coverage rate and 20m of tree layer height. In conclusion, it was preferentially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peculiar and specific management methods with vegetation unit classified above should be needed for ecological and sustainable forest vegetation management.

      • KCI등재

        호흡생리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무용 호흡표기법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김향선(Hyaung Sun Kim),김유진(Yu Jin Kim),임학선(Hak Sun Lim),정선해(Sun Hae Jung),안의수(Eue Soo Ann)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8 No.-

        본 연구는 한국춤의 논리적 이해를 돕는 춤이론과 훈련법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를 위한 것으로, 대상자는 본 연구의 대상 춤인 태극구조 기본춤의 고안자로부터 직접 사사(師事)를 받은 무용수로서 태극구조 기본춤의 호흡을 가장 잘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무용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호흡분석에 따른 호흡표기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호흡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써미스트(Thermister)가 장착된 마스크와 휴대용 가스분석기(Meta max3B, 독일)를 등에 착용하고 태극구조 기본춤의 12단계 중 2단계에 해당하는 무용동작들을 3회반복하게 하여 이때의 호흡을 측정하여 호흡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치백분율은 평균값이 84.5%, 최소값은 75.6% 최대값은 95.1%로 나타났으며, Kappa치는 평균값이 .798, 최소값이 .687 최대값이 .933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호흡유형을 들숨, 날숨, 멈춤으로 분류한 세 유형 중에서는, 날숨의 유형에서 그 일치율이 91.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들숨의 유형이 83.3%, 멈춤이 71.4%의 평균값을 보여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춤의 전반적인 호흡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호흡표기의 활용이 매우 타당성 있는 방법임을 시사해 주는 결과라 하겠다. The present study is a methodological study on a dancing theory and a training method assisting logical understanding of Korean dance. The selected subject was a dancer who directly studied under the originator of the Taegeuk-form ground dance, the object dance of the present study, capable of understanding breathing for the Taegeuk-form ground dance and performing accordingly. The breathing pattern was analyzed by asking the subject to perform dance moves three times pertaining to the second level out of twelve levels of the Taegeuk-form ground dance. The breathing pattern was analyzed from a dancer wearing a mask with thermister and portable gas analyzer (Meta max3B, Germany) to validate the dance notation based on the breathing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study, coincidence percentages showed the mean value of 84.5%, the minimum value of 75.6%, and the maximum value of 95.1%, while Kappa values show the mean value of .798, the minimum value of .687, and the maximum value of .933, thus proving a very high coincidence level in overall. As for three breathing types classified as inhaling, exhaling, and pausing, exhaling showed the highest coincidence rate of 91.7%, followed by 83.3% for inhaling, and the mean value of 71.4% for pausing, thus proving a very high coincidence level in overall. The outcome clearly implied that utilization of breathing notation helping understand the overall breathing structure for Korean dance could be a very valid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