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와 인권 – 기후인권의 헌법적 보장에 대한 시론적 고찰 –

        이재희 한국헌법학회 2023 憲法學硏究 Vol.29 No.3

        기후변화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난과는 구별된다. 인위적인 온실가스배출작용에 의하여 야기・촉진되는 것이고, 온실가스배출감축 및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인위적 노력에 의하여 완화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단순히 자연재난과 같이 취급될 것은 아니고 기후변화 피해에 대한 국가 및 국제사회의 책임이 인정된다. 국외의 기후변화 소송 과정에서 특히 우리의 법제에서 보건대, 새로운 권리보호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는데, 예컨대 이시적(intertemporal) 자유권 보장, 사생활 및 가족생활 존중권 등을 들 수 있다. 우리의 기후소송의 관점에서 이러한 권리 주장이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인지 향후 기후변화에 대한 사법적 대응의 관점에서 법리적 검토가 필요한 것이지만, 그에 앞서 기후변화 위기로 야기되는 인권문제에 어떠한 특수성이 있고 이에 따라 인권침해에 대한 국가책임 주장이 수용되도록 요청되는 것인지에 대하여 전체적인 관점에서 조망해볼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는 단순히 환경문제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개인들의 삶의 본질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기후재난에 의해 즉각적으로, 또는 기후변화의 누적된 영향에 의해 장기적으로, 인권으로 보장받는 개인의 권리들을 위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후변화위험은 일시적 위험을 넘어서 점증하고 상존하는 위험이기 때문에, 기후변화 위험으로 인하여 개인의 삶이 위협받는 것에 대하여 국가의 보호가 요청된다. 기후변화가 인권에 미치는 해악에 대하여 기후인권의 관점에서 접근하여야 하고, 기후변화를 방지하여 인권의 보장수준을 유지할 국가의 의무가 있다고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기후인권을 국내사법절차를 통해 보장하기 위하여 헌법소송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할 때, 헌법에 직접 규정된 것은 아니지만 헌법해석을 통해 기후인권 보장을 위한 국가의 의무를 도출하여 국가의 의무 이행에 대하여 심사해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로부터 보장되어야 할 기후인권의 내용들은 우리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생명권,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권, 인간의 존엄과 가치, 일반적 행동의 자유권, 환경권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기본권의 내용 해석을 통해 기후인권으로 보호될 필요가 있는 권리의 내용, 주체를 확장하여 현재의 기후위기 상황에 의하여 요청되는 새로운 인권으로서 기후인권의 내용을 포괄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경권의 적극적 해석으로의 전환도 검토될 필요가 있다. 헌법 제10조에 따라,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지는 것이며, 생명・신체의 보호와 같은 중요한 기본권적 법익 침해에 대하여 국가가 보호할 의무가 인정된다. 이는 국가가 아닌 제3자에 의해 유발된 침해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헌법 제35조 제1항의 환경권에는 국가와 국민의 환경보전을 위해 노력할 의무도 규정하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환경권 침해에 대하여 국가가 적극적으로 기본권보호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인위적으로 유발되는 기후변화에 의한 환경권 침해에 대하여서도 적용할 수 있다. 국가는 기후변화를 유발하거나 기후변화유발행위를 허가하는 등의 작용으로써 환경권을 침해하지 않고 존중・보호해야 하는 것이고, 나아가 기후변화로부터 기후환경을 적극적으로 보호 ... Climate change is distinct from natural disasters. It is caused by man-made carbon emissions,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mitigated by man-made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es. Therefore, the damage caused by climate change should not be treated like a natural disaster. Government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held accountable for the damage caused by climate change. Also, climate change is not just an environmental problem. Climate change affects essential aspects of individuals' lives. Individual rights can be immediately jeopardized by climate disasters and threatened in the long term by the cumulativ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these risks of climate change are more than temporary, they are increasing and ever-present risks. This is why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to protect individuals from the dangers of climate change arises. To prevent the harms of climate change, we need to start the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ensuring climate rights. I would like to explain that states have an obligation to prevent climate change and to maintain a level of human rights. In order for climate rights to be guaranteed through domestic judicial procedures, the possibility of guaranteeing them through constitutional litigation should be examined. The content of climate rights is not directly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However, I argue that by interpreting the Korean Constitution, we can derive from the Constitution the obligations of the state to guarantee climate human rights, and then examine whether the state has properly fulfilled its obligations to guarantee climate rights. The climate human rights that are required to be protected from the risks of climate change can be specifically described as the fundamental rights under our Constitution: the right to life, the right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dignity and worth of the human person, the right to freedom of action in general, and the right to the environment. In addition,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of the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content and subject of the rights to be protected by the climate right should be expan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compass the contents of climate human rights as a new human right requested to respond to the current climate crisis situation.

      • KCI등재

        국가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권원태(Won-Tae Kwon),백희정(Hee-Jeong Baek),최경철(Kyung-Cheol Choi),정효상(Hyo-Sang Chung) 한국기상학회 2005 대기 Vol.15 No.4

        The global mean surface temperature has already increased by 0.6±0.2oC over the last century, and warming in Korea is approximately twice as large as the global average.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has concluded that the majority of warming over the past 50 years could be attributed to human activities (IPCC, 2001a). In addition, the global surface temperature is expected to increase by 1.4 to 5.8oC depending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scenarios during the 21st century.Climate change resulting from increased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has the potential to harm societies and ecosystems. Reductions in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and their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will reduce the degree and likelihood of significant adverse conditions due to the anticipated climate change. Mitigation policy has generally been the primary focus of public attention and policy efforts on climate change. However, some degree of climate change is inevitable due to the combination of continued increases in emissions and the inertia of the global climate system. Adaptation actions and strategies are needed for a complementary approach to mitigation.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currently addresses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negotiations and in future adaptation may be an important element of work under the Kyoto Protocol. There are several on-going programs to develop effective adaptation strategies and their implementation. But in general, many other countries are still on an initiating stage. The climate change science programs of the United States, Japan, England, and Germany are initia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limate change science and adaptation research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improvement on systems in policy and research aspects to effectively perform the necessary functions for development of nation-wide adaptation measures and their implementation. In policy aspect, the Korean Panel on Climate Change (KPCC) is introduced as a coordinating mechanism between government organizations related with climate change science, impact assessment and adaptation. Also in research aspect, there is a strong consensus on the need for construction of a national network on climate change research as trans-disciplinary research network.

      • KCI등재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및 과학 교과서의 기후 변화 교육 내용 분석

        박선영(Sun-Young Park),남영숙(Young-Sook Na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環境 敎育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involved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5th and 6th grades to seek for its directi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elem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have been arranged. Second, the analysis of textbook showed that the section of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is the most prominent and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is the least one. Thus, for systematic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elements of climate change should be reflected evenly, and its contents need to be sorted out for the levels of children. Third, in bo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of 5th and 6th grades by the revised 2007 curriculum, the concepts of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are mixed together, and thus the inadequacy of representing scientific concepts has emerged. Because children may have misconception of climate change, textbook developers should confirm its accurate meanings and ways for expressing it. Four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of 5th and 6th grades presented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as reading, or simply referred to them due to lack of the ground and periods. However, considering the complexity and urgency of climate change, the more ground and periods about it are needed to be assign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it.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on 5th and 6th grades textbook need more accuracy in the methods to form climate literacy of the children, then the textbook will be able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climate change education.

      • KCI등재

        종말 이후와 계속되는 삶-백민석ㆍ김기창ㆍ김초엽의 기후소설에 나타난 종말의 수사학-

        우미영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6 No.-

        Literature, movies, and non-fiction that deal with climate change are climate change texts and are a place where the meaning of climate change is formed and debates about it take place. In this regard, Janet Fischio emphasized the need to examine the aesthetic and narrative forms of climate-related cultural texts. In this paper, with awareness of this problem, three climate novels – Baek Min-seok’s Happy, Apocalypse!, Kim Ki-chang’s Love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and Kim Cho-yeop’s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were analyzed. Their narratives clearly show the post-apocalyptic aspects of the apocalypse and post-apocalypse even among climate narratives. In this paper, we looked at how these novels talk about the apocalypse or its aftermath of climate change. Although climate change is a global phenomenon, it is not uniform at the individual level. The same is true at the level of each country. The response pattern and impact are still different depending on economic conditions. For the economically vulnerable, climate change itself is a violent situation. In particular, in Baek Min-seok’s novel, climate change is a violent reality faced by economically vulnerable classes. His novel shows this through humans and non-humans transformed into helpless monsters. In the novels of Kim Ki-chang and Kim Cho-yup, we can also look at the response to the violent situ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In a situation where climate change is becoming extreme, what is given to humans is life as a struggle for survival. The two authors depict how human life occurs in these situations and how each character copes with it. Through this, we can think ahead about human biological life exposed to the violence of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Kim Ki-chang and Kim Cho-yup demonstrate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through climate change in their novels. First, Kim Ki-chang’s “Promised Land” calls for a change in perception of life on Earth. Through this, it reveals how fictional the modern myth was and how fictional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s in the reality of climate change. This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anthropocentric view of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s. This perspective corresponds to a planetary perspective on life that goes beyond the global perception of anthropocentrism. Next, Kim Cho-yup’s novel specifically shows the action of reconstructing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plants. In particular, the history reconstructed through Mosbana, the plant that overcame the end of humanity, is not human history. This is the history of the planet re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plants. Through this, this novel also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life, including humans, the Earth, and the universe. 기후변화를 다룬 문학과 영화 및 논픽션 등은 기후변화 텍스트로서 기후변화의 의미가 형성되고 그에 대한 논쟁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자넷 피스키오는 이런 점에서 기후 관련 문화 텍스트의 미적 서사적 형식 검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세 편의 기후소설– 백민석의 『해피, 아포칼립스!』, 김기창의 『기후변화 시대의 사랑』,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 -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서사는 기후 내러티브 가운데에서도 종말 및 종말 이후로서의 포스트아포칼립스적 양상을 잘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소설이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이를 어떻게 이야기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기후변화가 전 지구 차원의 현상이긴 하지만 개개의 차원에서는 균등하지 않다. 각 국가의 차원에서도 그러하다. 아직은 경제 여건에 따라 대응하는 양상도 그 영향도 상이하다. 경제 취약층에게 기후변화는 그 자체가 폭력 상황이다. 특히 백민석의 소설에서 기후변화는 경제 취약 계층이 맞닥뜨린 폭력적 현실이다. 그의 소설은 인간과 무력한 괴물로 형질변이된 비인간을 통해 이를 보여준다. 김기창과 김초엽의 소설에서도 기후변화가 초래한 폭력적 상황에 대한 대응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기후변화가 극단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인간에게 주어지는 것은 생존 투쟁으로서의 삶이다. 두 작가는 이런 상황에서 인간의 삶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또 각각의 인물이 이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그린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라는 폭력에 노출된 인간의 생물적 삶에 대해 앞서 생각해 볼 수 있다. 특히 김기창과 김초엽은 각각의 소설에서 기후변화를 통한 사유의 전환을 잘 보여준다. 먼저 김기창의 「약속의 땅」은 지구상의 생명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촉구한다. 이를 통해 근대 신화가 얼마나 허구적이었는지 나아가 기후변화의 현실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구분 또한 얼마나 허구적인지를 드러낸다. 이는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에 대한 인간중심주의적 시선의 한계에 대한 지적이기도 하다. 이러한 관점은 인간중심주의의 지구적 인식을 넘어선 생명에 대한 행성적 시선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김초엽의 소설은 식물의 관점에서 역사를 재구성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인류의 종말을 극복한 식물 모스바나를 통해 재구성된 역사는 인간의 역사가 아니다. 식물의 관점에서 재구성된 행성의 역사이다. 이를 통해 이 소설 또한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와 지구 및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제공한다.

      • KCI등재

        언론보도 분석을 통해 본 북한의 기후변화 담론 변화

        윤순진,안새롬,홍종호,이찬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9 아태연구 Vol.26 No.3

        In order to cope with consequences of rapid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active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is critical. To do this, we need to look at how North Korea understands climate change. This study traces North Korea’s discourse on climate change from 2009 to 2017 through an analysis of North Korean media reports. 968 articles related to climate change were collected from “Rodong Sinmun” and “Minju Joseon,” which are representative media of North Korea. In addition, only nouns were extracted from the headlines of articles containing ‘climate’ or ‘warming’ in the text,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on climate change over time were reviewed by comparing the yearly word cloud and the keywords network. Analysis of discourses on climate change over time were carried out through news reports,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by yearly word cloud and key word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the biggest change in North Korea’s discourse on climate change was the regime change. Both Kim Jong-il and Kim Jong-un regimes, in general, stress that climate change is a serious problem that can bring about a global food crisis, and that international joint efforts and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s are needed. However, unlike the Kim Jong-il regime’s self-rehabilitation and Arctic development discourse, science farming and forest response discourse were formed in the Kim Jong-un regime. In particular, the Kim Jong-un regime is distributing more concrete discourses on the meaning, consequences,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 compared to the previous regime, and actively discourse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directions and measures for future North-South climate cooperation by identifying North Korea’s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its willingness to respond, and its needs. 한반도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남과 북의 적극적인 환경협력이 긴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이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 언론보도 분석을 통해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북한 기후변화 담론을 추적하였다. 북한의 대표적인 언론 매체인 『로동신문』과 『민주조선』을 통해 기후변화 관련 기사 총 968개를 수집하고 보도 추이를 분석하고, 북한 기후변화 담론 변동의 계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특정 사건들 전후의 담론 변화를 검토하였다. 또, 표제나 본문에 ‘기후’ 또는 ‘온난화’가 포함된 기사의 표제에서 명사만 추출한 뒤, 연도별 워드 클라우드, 핵심어 연결망 비교 분석 등을 실시하여 시간 흐름에 따른 기후변화 담론의 내용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의 기후변화 담론 변화의 가장 큰 계기는 정권 변화로 나타났다. 두 정권 모두 공통적으로 기후변화가 세계적 식량위기를 가져올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며 국제적인 공동 노력과 대체 에너지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였지만 김정일 정권의 자력갱생, 북극 개발 담론과는 다르게, 김정은 정권에서는 과학 농사, 산림 대응 담론이 형성되었다. 특히 김정은 정권에서는 이전 정권에 비해 기후변화의 의미와 결과, 대응 방안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담론들이 유통되고 기후변화 적응 담론이 활발하게 구성되고 있다. 이 연구는 북한의 기후변화 이해와 대응 의지 및 요구들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남북 기후협력의 방향과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기후변화 인식이 기후변화 문제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와 기후변화 관여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민정,송연주,이은주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후변화 인식이 기후변화 관여도와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해결을 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한 청소년의 관여는 그들이 주로 노출되는 미디어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미디어로 SNS와 매스미디어뿐만 아니라 교과서를 포함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청소년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조사 원본 데이터를 활용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SNS와 매스미디어, 교과서와 같은 미디어는 기후변화 관여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기후변화 관여도를 통해 기후변화 문제해결 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미디어들의 적극적인 활용이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중요성 인식뿐만 아니라 행동 실천을 유발도하기 위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mpact of youth's awareness of climate change on their involvement in climate change and their actions to solve problem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it was predicted that youth's involvement in climate change would vary depending on the media they were primarily exposed to. At this time, we attempted to include not only SNS and mass media as information collection media, but also all experienc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including textbooks encountered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using original data from a survey of youth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edia such as SNS, mass media, and textboo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limate change involvement, and indirectly influenced climate change problem-solving behavior through climate change involvement.

      • KCI등재

        기후 변화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개발

        권주연(Ju Yeon Kwon),문윤섭(Yun Seob Moon) 한국환경교육학회 2009 環境 敎育 Vol.22 No.1

        Global climate change is associated with all of the human activity, and its sudden change can be taken an issue of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in our hum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goal and the content system for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As a result, first,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s on climate change, students from Grade 3 to Grade 10 seem to interpret it as fragmentary perspectives. In addition, in terms of students' own actions as the corresponding strategy to climate change, the higher their grades were, the lower their actions were. Second, the development goal on climate change and its educational directions were set by reflecting students' perception. The education goal on climate change is to perceive the changing environment by understanding phenomena of climate change, to propose plans that can mitigate and adjust climate change through a variety of research, and to keep practicing the proposed plans as a member of a community for the global environment. Third, fields and items of educational contents to climate change were created and drawn out. The content system is composed of ‘basic science of climate change', ‘relationship with climate change', and ‘coping with climate change'. Furthermore, concrete contents for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suggested so that its goal and content system can be used in the existing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시대의 불법행위법 - 기후변화대응 정책수단으로서 불법행위소송의 장·단점 및 발전방향에 관한 소고 -

        허성욱 사법발전재단 2012 사법 Vol.1 No.21

        There is overwhelming scientific consensus that climate change is in progress and that increas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s one of its major factors. This climate change causes damages such as ① rises in sea-level, ② melting permafrost, ③ heat waves, and ④ hurricanes; and these damages not only cause property damages, but also communal harm or cultural damages. Current responses to climate change consist of two major trends. First one is the policy response, which includes agreements between nations and domestic policy. Second one is the legal response, which includes both public law response such as emissions trading act, and also private law response such as tort litigation. It seems that tort litigation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cover private litigants' losses caused by climate change. It is clear that within traditional tort law,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identity of the tortfeasor who caused the plaintiff's loss, prove the causation between the defendant's actions and the plaintiff's loss, and evaluate the damage itself. This is because, unlike traditional tort law principle, climate change has new characteristics as a risk problem such as its complexity, uncertainty, extensiveness, and policy-relatedness. Tort litigation as a response to climate change has its own unique significance. First, tort litigation enhances regulatory policy making. That is, tort litigation may inform the seriousness of the matter caused by the climate change to the public, and it also allows the policy-making institution to place this matter as its major priority. Second, tort litigation carries out many social functions, such as allowing courts to provide corrective justice by compensation, creating incentives to avoid future harmful activities and risks. However, it is essential that tort law should be under a paradigm changing reformation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First of all, each individual and company should recognize that not attempting to reduce CO₂ emissions is an immoral and illegal act in itself, and not just a mandatory public interest cooperation. When determining whether defendants should be held liable for plaintiff's damages or not, judges should make an effort to examine the seriousness of the climate change and its systematic relations. And in the case of climate change litigation, there is a greater chance for the court to apply strict liability rather than negligence liability. Also, from the causation perspective, courts need to modify existing theories of causation to solve the risk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while judges should make substantive decisions on evidences with a sufficient capabilit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cientific evidences beyond the adversarial system. Finally, besides the existing calculable economic damag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ensation for ‘communal harm’ or ‘cultural damages’. 기후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 및 그 주된 원인이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대기집적이라는 것은 충분한 과학적 근거가 있는 사실이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①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손해, ② 영구 동토층 해빙으로 인한 손해, ③ 열파로 인한 손해, ④ 허리케인으로 인한 손해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범위는 재산적 손해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손해(communal harm) 또는 문화적 손해(cultural damages)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은 두 가지 형태로 나뉘어진다. 첫째는 국가 간의 협약, 국내의 기후변화대응정책 등과 같은 국내외의 정책적 대응의 형태, 둘째는 기후변화대응입법 등과 같은 법적 대응의 형태이다. 그리고 후자는 다시 온실가스배출권거래법과 같은 각종 규제정책으로 대표되는 공법적인 대응과 불법행위소송으로 대변되는 사법적 대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기후변화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정신적·물질적 손해를 전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대응책은 사법적 대응 - 즉, 불법행위소송으로 보인다. 물론, 전통적인 불법행위 소송의 법리로는 기후변화소송에서 주된 쟁점이 될 수 있는 가해자 특정, 인과관계의 입증 및 손해액의 산정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기후변화현상은 전통적인 불법행위의 모습과 달리 리스크 문제로서 불확정성, 광범위성, 정책관련성 등의 새로운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불법행위 소송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규제행정목적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즉, 기후변화소송을 통해 기후변화문제의 심각성을 대중에게 알릴 수 있으며, 기후변화담당 규제행정청은 기후변화문제를 우선과제로 삼게 된다. 둘째, 불법행위소송은 손해전보를 통해 교정적 정의를 실현하고, 사회적으로 유해한 행위를 예방하며, 위험을 분산시키는 등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기후변화시대에 있어 불법행위소송제도는 새롭게 변화할 필요성이 있다. 우선, 위법성 측면에서, 각 개인과 기업들에게 CO₂ 배출 저감노력을 하지 않는 것이 도덕적·법적 의무위반이라는 규범적 인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법관들은 행위자들의 의무위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기후변화문제의 심각성과 시스템 관련성을 이해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때 기후변화소송에 있어서는 과실책임주의보다 무과실책임주의가 적용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커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인과관계 측면에서, 기후변화와 같은 리스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과관계법리가 수정될 필요성이 있으며, 법관들은 대립당사자주의의 원칙을 넘어서 과학적 증거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역량을 갖추어 실질적인 증거판단을 하여야 할 것이다.마지막으로 손해의 측면에서도, 기존의 금전으로 환산 가능한 경제적 손해를 넘어서 공동체의 손해 또는 문화적 손해에 대한 보상 문제에 대해서도 법학자와 법률가들이 전향적으로 기존의 법리를 재검토함으로써 기후변화로인한 손해의 실질적 배상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우정애 ( Jung Ae Woo ),남영숙 ( Young Sook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증진과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한 예측을 통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기 위한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과학과 교과시간을 위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은 8개의 주제가 기후 변화의 현상과 원인, 영향 및 대응방안 등의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기후변화가 가지는 지구시스템 과학 교육의 특성과 지속가능 발전 교육의 통합적인 특성을 반영하도록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이해 수준 및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실천 의지의 향상에 기여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middle school scienc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apply the program,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mproves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nd ability to take action about climate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cienc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cover eight topics. The middle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contained the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the cause of climate chang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a climate change measurement system. These contents were developed to reflect the global science education syste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Secondly, the results of the program`s application showed that middle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levels of students, awareness, attitude towards, and the will of students to act in accordance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기후변화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노희정 한국환경철학회 2018 환경철학 Vol.0 No.26

        This paper examines climate change ethically. To this end, I first review the ideal ethical theory and non-ideal ethical theory and examine the ethical issues of climate change. And I explore individuals' moral responsibilities for climate change. When we try to establish a code of climate change ethics, it seems that non-ideal theory is more appropriate than ideal theory and ethical approach is more appropriate than economic approach. In fact, there is no direct causal link between the behavior of individuals polluting the environment and rapid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ethics are a special feature in that there is no institutional framework that clearly reveals the damage caused by our environmental pollution behavior in a spatially and temporally dispersed manner and specifically the direct harm to anyone. Given the peculiarities of this climate change ethic, we should have the responsibility ethics and virtue ethics that takes into account our direct obligations to our own conduct but also the consequences of uncertain acts or consequences of widespread conduct. Today's climate change is a matter of justice between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Given this point, climate change ethics should be the ethics of fairness. If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is a common tragedy, this should be solved by mutual agreement rather than responsibility and conscience. And if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is the product of a moral hazard that pursues the benefits of the present generation with the sacrifice of future generations, we need to establish a code of climate change ethics that all members of the global community can agree on. And these codes of climate change ethics should include virtues such as courage, benevolence, hope, frugality, humility, and respect. 본 글은 기후변화에 대해 윤리학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이상적인 윤리이론과 비이상적인 윤리이론에 대해 고찰한 다음에 기후변화에 대한 윤리적 쟁점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개인의 도덕적 책임에 대해 탐색한다. 우리가 기후변화에 대처할 윤리규범을 정립하고자 할 때, 비이상적인 이론이 이상적인 이론보다 더욱 적합하고 경제학적 접근방식보다는 윤리학적 접근방식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개인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행위와 급격한 기후의 변화 사이에는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의 환경오염 행위로 인한 피해는 공간적·시간적으로 분산되어 나타나고, 구체적으로 어느 누구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끼치는지를 명확히 밝혀주는 제도적 틀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볼 때, 기후변화 윤리는 특수한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이러한 기후변화 윤리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기후변화윤리란 자신이 저지른 행위에 대한 직접적인 의무만이 아니라 불확실한 행위의 결과나 광범위한 행위의 결과에 대해서도 고려하는 책임의 윤리, 덕의 윤리가 되어야 한다. 오늘날의 기후변화는 현세대와 미래세대 간의 정의의 문제이자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의 정의의 문제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기후변화윤리는 공정성의 윤리가 되어야 한다. 기후변화의 문제가 공유지의 비극에 해당한다면, 이는 책임과 양심보다는 상호합의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후변화의 문제가 미래세대의 희생을 볼모로 현세대의 이익을 추구하는 도덕적 해이의 산물이라면, 우리는 지구공동체의 전체 구성원이 합의할 수 있는 기후변화 윤리규범을 하루빨리 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후변화 윤리규범에는 용기, 호의, 희망, 검소, 겸손, 존중 등의 덕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