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애우와 노인미술교육 체험분석 연구

        이경우 ( Kyung Woo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3 No.-

        본 연구는 최근 평생교육*1)맥락에서 확장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한 사례로서 미술 평생교육 현장의 다양한 접점에서 연구자 본인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계층별로 본 체험 분석과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즉 장애우의 미술교육 체험 분석과 노년기 노인 미술교육의 체험을 토대로 현장에서의 교육사례를 통한 결과 분석과 함께 앞으로의 장애우·노인 미술교육에 있어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다.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장애우의 미술교육 체험 분석에서 청각 장애우의 미술교육 사례 및 치료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고, 둘째, 자폐성 장애우의 미술교육 사례 및 치료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노인 미술교육 체험 분석에서 개인지도에 의한 노년기 교육사례 및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고, 넷째,조직· 단체에 의한 노년기 교육사례 및 활성화 방안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평생교육현장에서의 장애우와 노년기 미술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인지하면서 그들(장애우 및 노년기 교육 수혜자 층)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참여로써 자아실현 욕구에 맞춘 문화예술 평생교육에서의 미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As a case of culture & art education recently expanding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experience analysis and alternatives for each class, focusing on the researcher``s educational experience in diverse contact points of sites for art lifelong education. In other words, based on the experience analysis on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nior citizens, it aims to seek for the vitalization measures of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nior citizens through the results of educational cases in sites. Thus,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First, in the experience analysis on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cases, treatment effects, and vitalization measures of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re examined. Second, the cases, treatment effects, and vitalization measures of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autism are suggested. Third, in the experience analysis on art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the educational cases of senior citizens by private instruction and its vitalization measures were examined. Fourth, the educational cases of senior citizens by organization/group and its vitalization measures are understood. Cognizing problems with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nior citizens in lifelong education sites of Korea, it aims to suggest the vitalization measures of art education as culture & art lifelong education suitable for desires for self-realiz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recipients of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nior citizens) lives and participating in society.

      • KCI등재

        문화도시를 위한 시민예술교육의 융복합 프로그램 고찰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도시를 위한 시민예술교육의 내용과 활동의 사례를 통하여 시민예술교육의방향성을 찾고 우리 공동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융복합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화도시의형성을 위해서는 시민의 삶 속에서 향유하는 예술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시민성 함양이 무엇보다중요하다. 문화도시로 대표되는 유럽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토대로 고찰할 때, 개방성과 소통으로전 세대를 포괄하는 시민예술교육에서는 융복합적인 사고와 내용에 공통적인 시사점이 있다. 시민예술교육에서 ‘버스킹’과 ‘스토리텔링 콘서트’와 같은 연주방법은 이러한 특성을 잘 구현할 수 있는방법이다. 하지만 ‘버스킹’과 ‘스토리텔링 콘서트’가 도시의 문화로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공공예술의 개방성을 고려하여 무분별한 거리연주를 지양하고 지역의 정체성에 기초한 전문가 및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the citizen arts-education aimed at creating culture city and propose convergence art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realized in our community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existing citizen arts-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culture city, enjoying of art in life and desirable citizenship is important. This paper searches for the direction for the citizen arts-education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art education programs in European culture cities. Because citizens from various backgrounds of the society are the leading subjects of the citizen arts-education, expression of convergence art becomes a common factor, along with openness and rapport. The implication lies in the contents that express artistic ideas and imaginations that cover diverse generations. In citizen arts-education, performance methods of busking and storytelling concert are some of the skills that can implement these attributes well.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busking and storytelling concert as the culture of a city, continued interests and development through a collaboration with experts and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regional identity is required by considering the openness of public art, while rejecting from rash street performances.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에 기반한 미술교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장연자(Yeonja J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1

        21세기 들어 국가 간 경계를 넘는 여러 문제들로 인해 지구촌의 갈등과 긴장이 커지고 있다. 이 문제들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만큼 심각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 벌어지는 이러한 일들이 결코 나와 무관하지 않다는 깨달음이 필요해졌다. 이러한 위기의식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성이 부각 되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추세와 요구에 발맞춰 미술교육 안에서 세계시민교육과 연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중점 연구내용은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내용 요소, 세계시민교육 기반 미술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향,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시민교육에 기반한 미술교과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UN의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의제가 미술교과 안에서 어떻게 구체성을 띠며 교육으로 실현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Conflicts and tensions in the world have been expanded due to multiple problems beyond the borderlines between countries in the 21st century. These problems are perceived to be serious enough to threat the survival of the mankind and it is required to realize that these matter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re related to me. Amid this crisis,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raised and the roles of education that can change men’s thinking and behaviors fundamentally as the long-term perspective have been highlighte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s to be aligned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arts education to meet these trends and needs. Main research points are to review the concept and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ts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action learning; and to develop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will show how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re materialized and realized in the subject of the arts.

      • KCI등재

        시민교육 측면에서 바라본 공공미술: 서울시 ‘공공미술 시민 발굴단’을 중심으로

        배진희(Bae, Jin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1

        본 연구는 2019년 서울시에서 실시하였던 ‘공공미술 시민 발굴단’ 프로젝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시민들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공공미술 발굴활동을 시민교육 측면에서 바라보아, 이 프로젝트의 의의를 찾고 실천과정에서 도출되었던 문제점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6년부터 4년째 운영되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2019년에는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10개조로 편성된 조들은 관심주제와 관련된 공공미술을 발굴하여 관련 스토리를 만들고, 스스로 시민 참여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여 그 결과를 전시하였다. 연구자는 6개월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육자로서 시민 교육적 측면에서 공공미술에 대한 현안을 고찰하였다. 공공미술의 변화와 시민교육의 개념을 살펴보고 공공미술과 시민교육의 연계 점을 찾아 공공미술을 통한 시민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공공미술 발굴단 활동 사례를 시민교육 측면에서 분석하여 실천의 내실화를 위한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공공미술을 매개로 한 시민 주도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운영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xamples of the ‘Public Art Citizens Excavation Team’ project conducted in Seoul in 2019, looking at public art excavation activities made by citizens participation from the aspect of citizenship education, fi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project, and finding problems in the practical process. The project, which has been in operation for 4 years from 2016, was conducted for 6 months. The groups, organized into 10 groups, discovered public art related to the subject of interest, created related stories, and planned and operated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themselves to display the result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as an educator, he considered the current issues of public art from citizen education. We examined the changes in public art and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ivic education through public art. The case of public art excavation group was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citizen education, and a supplementary point for the improvement of practice was presented. Through this, it has the significance of providing practical help to the operation of public art projects led by citizens.

      • 시민과 함께 하는 인문학 교양 교육

        김응교 ( Kim Eung-gyo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0 교양교육과 시민 Vol.1 No.-

        시민을 위한 문학교육 현장을 공공기관이 진행하는 현장을 세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시민교육현장을 보았다. 세계시민 혹은 민주시민으로 세계문학과 한국문학을 더 알고 싶어 하는 시민이 있다(인천근대문학관 등). 둘째 사설기관에서 운영하는 시민교육현장을 보았다. 작가가 되고 싶어 신뢰하는 작가가 가르치는 교실을 찾는 수강자들(세계문학 아카데미, 아이파크 문화센터)이 있다. 마지막으로 주변인을 위한 교육현장을 살펴보았다. 문학작품을 읽고 글쓰기를 통해 상처받은 영혼을 치료받기를 원하는 시민들이 있다(민들레 문학교실 등). 필자는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하며 글을 맺었다. 첫째, 대학교육 과정에서 실용적인 문학교육 수업이 필요하다. 대학교 수업에서 시민 강좌를 위한 실용적인 문학교육 수업이 있어야 한다. 문학치료(Literatherapy) 과정, 독서치료(Bilbliotherapy), 시치료(Poet Therapy), 저널치료(Journal Therapy)도 연구해야 한다. 둘째, 글쓰기 창작교실이 더욱 많아져야 할 것이다. 많은 작가들이 시민을 위한 문학 교실 출신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이나 학회와 시민 문학 교육현장과 연대와 교류를 갖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해외에서는 시민 문학교실을 어떻게 하는지 해외의 연구소나 시민단체와 네트워크를 맺고 교류하는 일도 필요할 것이다. 셋째, 현장을 찾아가는 문학기행 혹은 실천은 효과가 크다. 넷째, 시민 문학 교실에 대해 강연자나 연구자들이 좀더 밀접한 연관을 갖고 상호생성자(inter-becoming)로서 시민문학교육의 허부, 혹은 학문공동체도 있어야 하지않을까. 고전부터 현대문학과 세계문학을 읽고 토론하고, 자신의 개성을 담아 쓰는 고독하고 주체적인 시민들이 많아질수록 그 사회는 혁명적인 건전한 사회(The Sane Society)가 될 것이다. The field of literacy education for citizen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We saw the civic education field run by public institutions. There is a citizen as a citizen of the world or a democratic citizen wants to know more about world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Incheon Modern Literature Museum). Second, We saw the civic education field run by the private agency. There are citizens who want to be a writer and look for a classroom where a trusted author teaches(Literary Academy of World Literature, Ipark Cultural Center) . Finally, We looked at the education scene for the Margimalized people. There are citizens who want to read literary works and receive treatments for wounded souls through writing (Dandelion literature class, etc.). I wrote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irst, practical literary education classes are needed in university curriculum. There should be practical literacy education classes for civic classes in university classes. Literatherapy courses, Bilbliotherapy, Poet Therapy, Journal Therapy should also be studied. Second, there will be more writing classrooms for writing.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many writers are from the literary classroom for citizens. For this purpose, it is meaningful to have an exchange with the university, the society, and the civic literature education field.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with overseas research institutes and civic groups to exchange information on how to do civil classes in foreign countries. Third, literature travel or practice is effective. Fourth, do not you think that lecturers and researchers should have a closer connection with the civic literacy classroom, and should have an autonomous or educational community of civic literacy education as an inter-becoming. The society will become a revolutionary sane society as the number of solitary and subjective citizens who read and discuss modern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from their classics and write their own personality.

      • KCI등재

        진로 및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본 일본의 대학방재교육

        신현정 한국일본교육학회 2017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오늘날 일본의 대학들이 사회공헌적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방재를 위한 다 양한 연구와 교육활동의 현황 고찰을 통해 한국의 대학방재교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1995년 이후, 방재와 관련된 일본 대학의 노력을 특징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민?관?학 연 대에 기반한 연구성과 사회환원형 둘째, 방재?재난 경감 전문가 육성형 셋째, 방재교육 프로젝트 주 도형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를 대학의 교육과정측면에서 다시 분석해 보면 전공 중심의 진로교육과 시민교육 중심의 교양교육으로 구분된다. 대학의 방재교육은 사회공헌학, 방재학, 재해의료치과학 등 새로운 학문영역을 개척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새로운 진로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공동 체 중심의 봉사활동을 통해 능동적인 시민 양성이라는 교양교육의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처 럼 방재교육에 있어서 진로교육과 교양교육이라는 두 개의 중심축은 다양한 공동체와의 연대를 통 한 대학의 학사력(?士力) 증진과도 직결된다. 따라서 방재교육은 개방형 협업을 중시하는 4차 산업 혁명시대의 핵심역량교육으로서도 의미가 있다. 진로교육 및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본 일본 대학의 방재교육이 한국 대학의 방재교육에 미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안전?안심이 가능 한 사회구현에 공헌하기 위한 방재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대학의 방재교육은 학문 연구라고 하는 대학의 본래 기능적 측면의 전문교육과정과 공동체 사회의 시민역량을 고양할 수 있는 교양교 육과정 측면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은 학생들과 시민들에게 다양한 공동체와의 접촉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어려움에 처한 이들을 위한 봉사활동이 상생을 위한 민주 시민의 자연스러운 권리이자 책무임을 인식하게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various research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disaster prevention which Japanese universities are active in social contribution. Since 1995, the role of universities in disaster preven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social return of research results based on civilian, public and academic solidarity, the second is fostering experts on disaster prevention and reduction, the third is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project leading. The disaster prevention efforts of these universities can be divided into career education centered on majors and liberal education centered on civic education. The university's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can provide students with new career options by pioneering new disciplines such as social contribution, disaster prevention, disaster medicine, and dental science. Through the various community-based volunteer activities, the value of liberal education as an active citizen education can be maxim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for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must secure disaster prevention expertise. Second, in the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of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combine the professional curriculum and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universitie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experience contacting with groups with diverse backgrounds, so that the service for those in need is a natural right and responsibility of the democratic citizens for win-win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대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김상열 ( Sang Youl Kim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4 No.-

        Since the law to boost arts and culture education was enacted in 2005, the poli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maintained the keynote to improve citizens` cultural life and to strengthen the national culture power in spite of several policy changes. But today we feel the need to discuss not only the policy direction and the method to choose the agenda, but also the policy development tailor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ts practical use. Today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sets the agenda and takes charge of funding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while the ``metropolit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center`` and ``local arts and culture eudcation center`` assumes the role of putting the policy into action. This centralization of government had been effective in terms of the utility of agenda decision and facility of execution. But if the regional system is provided, this central system will disturb the flexibility of regional characteristic policy and, most of all, turn out having the limit in inducing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e should discuss several questions. First, we hav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basic policy. Also W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and build the infrastructur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 In addition I will examine Daeje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I will suggest the direction for Daeje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문화도시와 문화예술교육 간 상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강원 문화도시를 중심으로 -

        최보연,강이수 한국교육연극학회 2023 교육연극학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xt in which the cultural city project and the base-building support initiative for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promoted in connection with three cities of Gangenung, Chungcheon, and Wonju in Gangwon province. It aims to explore what kind of synergistic impacts have been manifested in the process of linking the two government’s initiatives. Based on an explor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d the evidence that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cultural city and arts education projects go beyond the technical parallel promotion. It presents not only positive policy synergy effects for the realization of cultural cities, but also contributes to exploring new values of local arts education. The five finding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some crucial policy implications not only for other cultural cities concerned about local arts education ecosystem beyond Gangwon province, but also for arts education practitioners in the field. 이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내 강릉, 춘천, 원주 등 3개 도시를 중심으로 법정문화도시 사업과 기초 단위문화예술교육 거점 구축 지원사업이 연계되어 추진되었던 맥락을 살펴보고, 실제 두 사업 간 연계 과정에서 어떠한 상생적 효과가 발현되었는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탐색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한 연구 결과, 이들 세 도시에서 나타난 문화도시와 문화예술교육 간 연계 경험은 사업단위의 기술적 병행 추진을넘어서서, 문화도시 구현을 위한 긍정적인 정책 시너지 효과뿐만 아니라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가치를 실험적으로 탐색하고,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주요하게 기여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로발견된 다섯 가지 시사점은 강원도 지역을 넘어서서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고민하는 타 문화도시 뿐 아니라 현장에서 활동하는 문화예술교육 활동가들에게 있어서도 주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배심원토론’을 활용한 민주시민 인성교육에 관한 수업방안 연구

        한승우,김보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1

        This study sought the possibi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universal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final goal was to develop the teaching model and to prove the effect. We introduced jury discussion as a method of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realized the lessons that can share and sympathize with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As a result, the teaching model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meaning and efficacy of jury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combina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new personality education model. I showed the curriculum for 16 weeks, confirmed all the lessons, and confirmed the possibilities by running them. Second, we tried to differentiate from the existing university discussion methods in that we chose jury discussion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e structure of the jury s debate which has not been settled yet was able to present another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class. Third, we concluded that the communication 본 논문은 교양 교육 안에서 민주시민 인성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 이에따른 수업 모형을 계발하여 효능을 증명해 내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였다. 민주주의에 입각한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배심원 토론’을 도입하였고, 공동체의 문제를 나누고 공감할 수 있는 수업을 직접 실현해 보았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제시한 민주시민 인성 교육의 수업 모형과 ‘배심원 토론’이 갖는 의의와 효능은 다음과같다. 첫째, 대학 교양수업과 민주시민 인성교육이 만났다는 점에서 하나의 새로운 인성 교육 모델의 대안이 될 수 있다. 16주 수업에 대한 커리큘럼을 제시하여 한 학기 수업을 전반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고, 직접 실행해 보면서 그 가능성을확인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의사소통 수단으로 ‘배심원 토론’을 선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대학 토론 방식들과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아직 자리 잡지 못한 배심원토론을 구조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사소통 수업의 또 다른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있었다. 셋째, 배심원 토론을 통한 의사소통 수업이 ‘사회윤리’ 측면에서 성과를 거두었다는 결과를 도출하면서, 수업의 유의미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우리 삶을 바꾸는’ 큐레이터 경험 -서울시립미술관「시민큐레이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오명숙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ocess of citizen ‘participation of citizen curator’ program of Seoul Museum of Art. This study contains the process of performing public responsibility of the Seoul Museum of Art.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itizen curator” exhibition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We analyzed and reinterpreted the meaning of “citizen curator” experienced by the plann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 of ‘being citizen’ of the planner was experimental process of discourse, reconfiguration of experience and confirmation of interrelationship. The planners were people who chose to be citizens and made democracy as citizens. In terms of social integration, their planning activities were the experience of being ‘citizens’ forming social relations through social inclusion and capabilities. 본 연구는 서울시립미술관의「시민큐레이터」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시민 ‘됨’의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시립미술관의 공적책임을 수행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연구자는 교육의 관점에서「시민큐레이터」전시를 분석하였다. 기획자가 경험한「시민큐레이터」의 의미를 분석하고 재해석하였다. 연구결과, 기획자들의 시민 ‘됨’의 의미는 담론의 실험적 과정으로, 경험의 재구성이었고 상호관계(interrelationship)를 확인시키는 것이었다. 기획자들은 시민이기를 스스로 선택하고 시민으로서 민주주의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이었다.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이들의 기획행위는 사회적 포용성(Social Inclusion), 실현 능력(capabilities)을 통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시민 ‘됨’의 체험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